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 발달장애인 대상 고용환경 중심의 시뮬레이션 게임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및 사회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주란(Ran Ju),이영선(Lee, Young-Su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4

        본 연구에서는 고용환경에서 사회적 능력의 결함으로 고용 및 고용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발달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및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의 향상을 위해, 앱 기반 시뮬레이션 게임을 활용한 소프트 스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시행하였다. 이후 연구참여자의 대인관계, 사회적 문제해결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양적분석을 보완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참여자의 참여 경험 묻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전⋅후를 비교하였을 때, 연구참여자의 대인관계, 사회적 문제해결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연구참여자의 참여 경험을 통해서 이전의 교육과 달리 시뮬레이션 게임을 활용하여 한층 더 효과적인 교육이 될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으며, 앱 내 자기 모니터링 기능과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복잡한 맥락을 파악할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시뮬레이션 게임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은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때 적절한 게임 요소는 연구참여자의 참여를 촉진했다. 또한, COVID-19 상황으로 모든 과정이 비대면으로 진행되어 발달장애성인 대상으로 한 비대면 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연구참여자는 실제 고용환경에서도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고, 고용환경뿐만 아니라 학교 환경, 가정환경에서도 양질의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발달장애인 대상 사회성 연구가 학령기, 학교 환경 중심으로 이뤄진 것에 반해, 성인기의 주요 환경인 고용환경을 중심으로 사회성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와 참여 경험을 탐색한 것에 의의가 있다. Purpose: A oft skills training program using a mobile app-based simulation game was created and implemented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interpersonal an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ie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ir work environment. Method: When compar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interpersonal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 observed that their skill sets improved significantly. Based on their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achieved a higher level of education using the simulation game and that they could grasp complex contextual clues better through the self-monitoring app’s functions and repeated practice. Result: The research participants transformed unpredictable situations into predictable ones through the simulation game, and the appropriate elements in the game facilitated their participation. In ad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contact-free manner due to the COVID-19 pandemic, proving that online learning can be effectiv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also reported that they became more proactive in the workplace and noticed improved communication skills not only at work, but also at school and at hom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the study was focused on the experiences and effects of social development program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ir work environment, contrary to the existing research, which is only focused on the school environment.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사회성 기술 향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기반 시뮬레이션 게임 개발 가이드라인

        주란(Ran Ju),이보원(Bowon Lee),이영선(Youngsun Lee) 한국게임학회 2023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23 No.3

        발달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시뮬레이션 게임을 개발하기 위한 과정을 애플리케이션 내 콘텐츠, 접근성, 디자인 및 레이아웃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선행연구 및 사용자 분석, 전문가 타당도, 사용자 평가를 거쳐 설계한 애플리케이션은 발달장애 사용자의 인지적 제한을 고려하여 콘텐츠를 단순화 및 구조화하였고 생활연령을 고려한 시각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이들의 제한된 관심사, 집중력을 고려하여 흥미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 등을 구축하여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발달장애인뿐만 아니라 모두를 위한 게임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cess of developing a simulation gam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divided into three aspects: in-app content, accessibility, design, and layout. The app, designed through user analysis, expert validity, and user evaluation, simplified and structured the contents in consideration of the cognitive limitations of us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used visual data considering the chronological age of the users. In addition, considering their limited interests and concentration, we tri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by constructing various devices that can induce inter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guidelines for developing games for all, not jus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고기능 자폐성장애인의 차별경험 및 지원요구 : 교육과 고용영역을 중심으로

        민기연(Min, Kiyeon),주란(Ju Ran) 한국자폐학회 2021 자폐성 장애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사회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고기능의 자폐성장애인들이 교육 및 고용영역에서 겪어왔던 직․간접적 차별 경험 및 지원요구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장애 및 장애인 차별을 주제로 이루어진 국내외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면담의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고, 남녀 자폐성장애인 당사자 7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의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이 학창시절 전반에 걸쳐 경험한 차별 및 인권침해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 시기의 경험이 현재 성인이 된 자폐성장애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인이 된 이후 대학생활 및 직장생활 과정에서 경험한 차별 및 인권침해의 내용을 통해 장애 및 장애인에 대한 현재 우리 사회의 이해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기능 자폐성장애인이 사회에서 경험하는 차별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와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established to explore the direct and indirect discrimination experiences, especially in education and employment, of adults with high-functioning autism who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For this purpose, interview guidelines were prepared by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on discrimination towards disability and the disabled. Seven male and female people with autism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throughout their school days, and that there exists the influence of those experiences on their current lives. In addition, through the content of the 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during college and working life after becoming an adult, we were able to grasp the current level of understanding of our society about disabilitie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 discuss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to find ways to resolve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people with high-functioning autism in society.

      • KCI등재

        특수교사를 위한 세계시민교육 교사 역량 측정 도구 개발

        최지혜(CHOI JEE HAE),이영선(LEE YOUNGSUN),주란(JU RA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2 특수교육논총 Vol.38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를 위한 세계시민교육 교사 역량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교사 역량 척도와 측정 도구의 문항을 검토하고 수정·보완하여 특수교사용 세계시민교육 교사 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전문가 검토, 현장적합성 검사, 예비조사 단계를 거쳐 전국 유아, 초등, 중등 특수교사 527명에게 본조사를 시행하였다. 최종 486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여, 특수교사용 세계시민교육 교사 역량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 결과 특수교사용 세계시민교육 교사 역량 척도는 ‘세계시민교육 이해’, ‘세계시민성(지식, 기술, 태도)’, ‘세계시민교육 교수 역량’의 3가지 요인구조로 설정되었다. 전체 수렴타당도는 .930이었고, 하위요인별 수렴타당도는 .814부터 .941까지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든 영역(χ², df, χ²/df, CFI, TLI, SRMR, RMSEA, CR, AVE)에서 해당 측정 도구가 타당하고, 안정적으로 측정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단순재현전략(loose replication strategy)을 사용하여 교차타당도 분석한 결과, 두 모델은 모두 수용 가능한 범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특수교육에서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교사 역량을 파악할 수 있는 측정 도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이를 위한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신뢰롭고 타당한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특수교사의 세계시민교육 교사 역량을 강화할 연수를 개발하고, 특수교사를 위한 세계시민교육 연수를 시행하여 이에 대한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tool to measure the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 based on previous studies. Method: We reviewed the GCE teacher’s competency scales and measurement tool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and extracted possible items. Finally, we completed the tool with 27 items through the processes of content validity and a pilot field test. Five hundred and twenty-sev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nationwide participated in out survey; and the response of the final 486 teacher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urther,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develop a tool to measure the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CE and to grasp the validity. Resul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actor structure was set up in three ways: “Understanding GCE”, “Global Citizenship” (knowledge, skills, attitude), and “GCE teaching Competency”. The overall convergence validity was .930, and the convergence validity by sub-factor was high and between .814 to .941.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measurement tool was valid and stably measurable in all areas (χ², df, CFI, TLI, SRMR, RMSEA, CR, AVE), and the cross-validation analysis using a loose replication strategy showed that both models were within acceptable ranges.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that it is possible to reliably and reasonably measure teachers’ competence by developing a measurement tool for teachers in the absence of such a tool to measure their competence in GC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possible not only to develop training methods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future, but also develop tools to conduct GCE training for such teachers and measure their effectiveness.

      • KCI등재

        전환기 장애청소년의 미래 계획 수립을 위한 개인중심계획 프로그램 적용

        이현 ( Lee Hyun-joo ),이영선 ( Lee Young-sun ),주란 ( Ju Ran ),민기연 ( Min Ki-ye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장애청소년의 미래 계획 수립과 의미 있는 참여를 지원하기 위해 개인중심계획의 원리에 기반한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적용한 후 성과를 살펴보았다. ‘개인중심접근 기반 미래계획 프로그램’은 ADDIE 교수설계 모형을 토대로 설계되었고, 총 2회 반복설계하여 내용의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경증 발달장애 학생으로 40명이다. 프로그램 사전, 진행 단계에서 수집된 질적 자료 분석에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목표, 가치, 운영방법, 자료를 포함한 ‘개인중심접근 기반 미래계획 프로그램’을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둘째, 본 연구 프로그램은 연구 참여자의 사회적 네트워크와 지원 체제, 부모의 기대, 자아인식과 미래에 대한 기대 및 계획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신의 미래 계획 수립 참여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implement a person-centered planning program to support future planning and meaningful participation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The ADDIE model was employed to design a 'person-centered future planning program', and successive cycles of design phase were used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A total of 40 students with mild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ted.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was conducted to analyze qualitativ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son-centered future planning program' was developed including goal, value and content. Second,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identifying participants' social network and support system, parents' expectation, and self-awareness and expectations toward future lives. Additionally, participants showed a positive experiences in participating in the future planning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