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 SNS 활용 평가를 위한 정량 및 정성 지표의 도출과 지표별 중요도 분석

        조창환 ( Chang-hoan Cho ),이희준 ( Heejun Lee ),김연진 ( Yeon-jin Kim ),김상진 ( Sangjin Kim ),최모세 ( Mose Choi ),백남정 ( Nam Chung Paik ) 한국PR학회 2018 PR연구 Vol.22 No.2

        This study aims to develop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asurement model for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 corporate social network service (SNS) account that is used for a marketing communication channel.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depth interview with field experts and a questionnaire-based survey were conducted to develop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indices. In addition, an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was adopted to explore the degree of importance of multifactorial value of each measurement model. The measurement model is proposed from both professional and academic perspectives, and thus it offers practicality in its use for the evaluation of corporate SNS accounts.

      • KCI등재

        중간광고 도입 찬반에 영향을 미치는 수용자 인식 분석

        조창환(Chang-Hoan Cho),김주연(Ju Yeon Kim),오신영(Shinyoung Oh),박경인(Kyung In Park),장수현(Soo Hyun Chang) SBS 2014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2 No.4

        본 연구는 일반광고와 중간광고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고, 중간광고 도입 찬성의견이 형성되는 과정을 구조적으로 살펴보았다. 중간광고 도입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어, 중간광고 도입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을 연구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중간광고 도입 찬반의견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기술수용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광고와 중간광고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 차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간광고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모형 분석 결과, 중간광고의 가치 등 인지하고 있는 중간광고의 유용성, 중간광고 체계와 효과에 대한 수용자의 지식수준은 중간광고 태도를 매개로 하여 중간광고 도입 찬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doption of commercial-break advertising in network TV is a controversial issue that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and it is a timely and important subject to study in the current media environment in S. Korea. In this vein, this study compared consumer perceptions of general advertising and commercial-break advertising and examined the structural causal model of consumer"s agreement of commercial-break ads in network televisio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agreement of commercial-break ads in network TV. The results of a consumer survey showed that consumers perceive commercial-break ads more negatively than general advertising. Structural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perceived advertising values and level of media system understanding (advertising-supported free media content) influenced consumer"s attitude toward commercial-break advertising, which in turn affected consumer agreement to adoption of commercial-break advertising in network TV.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트위터 이용행태 분석

        조창환(Chang Hoan Cho),성윤희(Yoon Hee Sung),한경정(Kyung Jung Han),권택주(Taek Joo Kwon),최원영(Won Yong Choi)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광고연구 Vol.0 No.88

        본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 하나인 트위터 이용자의 특성 및 영향력을 살펴보고, 개인 및 기업 트위터의 이용행태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3861개의 트위터를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트위터 이용자의 영향력을 측정하는 지표로서의 팔로워수와 언급수, RT수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팔로잉수, 트위터 사용기간, 하루 평균 트윗수 변인들이 영향력(팔로워수, 언급수, RT수)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성별에 따른 트위터 이용자의 영향력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팔로워수, 언급수, RT수를 보여주고 있었다. 한편, 트위터 이용자들의 관심글 주제를 분석한 결과, 기업/단체의 홍보글을 수집한 이용자는 관심글 이용자 중 9%로 나타나, 광고/홍보 매체로서의 트위터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witter users, their influence on other users, and how both individuals and corporations use Twitter. For this, 3861 Twitter accounts were content-analyzed. This study found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ree measures of twitter influence(the number of followers, mentions, and retweets). It was also found that three variables(the total number of followers, length of Twitter usage, and the average number of tweets per da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xtent of influence for Twitter users(the number of followers, mentions, and retweets). The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 in twitter influence showed that males had more followers, mentions, and retweets than female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subjects of favorites that each Twitter user had saved demonstrated that nine percent of Twitter users saved the tweets that were tweeted by corporations and communities to their tweet favorite list. This implies that Twitter has a potential as an advertising and PR medium.

      • KCI등재

        리타겟팅 광고의 지각된 인지적 속성이 광고태도, 클릭의도, 회피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원경(Cho, Won-Kyoung),조창환(Cho, Chang-Hoan) 한국광고홍보학회 2024 광고연구 Vol.- No.140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온라인 쇼핑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였고 이에 따라 온라인 쇼핑 이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리타겟팅 광고’의 중요성 또한 높아졌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리타겟팅 광고의 지각된 인지적 속성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긍정 요인인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관련성’, ‘쇼핑 선택지 압축’, ‘쇼핑 리마인더’와 부정 요인인 ‘지각된 피감시’, ‘프라이버시 염려’, ‘끈질김 및 잔류성’, ‘지각된 침입성’이 추출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리타겟팅 광고의 지각된 인지적 속성 요인이 리타겟팅 광고 태도, 클릭 의도, 회피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 광고 태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지각된 유용성’, ‘쇼핑 선택지 압축’, ‘지각된 침입성’이 확인되었고 두 번째, 클릭 의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쇼핑 선택지 압축’과 ‘지각된 침입성’이 있었다. 끝으로, 회피 의도에는 ‘끈질김 및 잔류성’과 ‘지각된 침입성’이 영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리타겟팅 광고에 대한 소비자 측면의 지각된 인지적 속성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리타겟팅 광고 전략을 위한 실질적인 인식 요인을 도출하였다는 것에 실무적 시사점이 있다. Starting with COVID-19 pandemic, the online shopping market has exploded, and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Retargeting Advertising’ based on online shopping history data has also increased.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erceived cognitive attributes of retargeting advertising on the advertising effect.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ositive factors such a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Relevance’, ‘Shopping Option Compression’, ‘Shopping Reminder’, and negative factors such as ‘Perceived Monitoring’, ‘Privacy Concern’, ‘Persistence and Residuality’, and ‘Perceived Intrusion’ were extracted.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erceived cognitive attribute factors of retargeting advertising on Ad attitude, click intention, and avoidance intention. As a result, factors that influenced Ad attitudes included Perceived Usefulness’, ‘Shopping Option Compression’ and ‘Perceived Intrusion’ and factors that influenced click intention were ‘Shopping Option Compression’ and ‘Perceived Intrusion’.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Persistence and Residuality’ and ‘Perceived Intrusion’ had an effect on avoidance intention.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viding a practically useful retargeting advertising recognition factor in establishing a strategy for retargeting advertising in the future by examining perceived cognitive attribute factors on the consumer side of retargeting advertising.

      • KCI등재

        SNS 광고에서의 개인화 요소가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윤세연(Yun, Se-Yeon),조창환(Cho, Chang-Hoa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0 No.2

        최근 광고 분야에서 주목 받고 있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인화 광고는 개개인에게 맞춤화된 메시지를 노출시켜 유용한 정보로서 인식되어 긍정적인 광고 효과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으로는 개인화를 위해 수집, 조합 및 활용되는 다양한 개인 정보로 인해 개인화 광고는 프라 이버시 침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특히 이는 다소 사적인 공간으로 여겨지는 SNS상에서 논란의 소지가 더 크다. 본 연구에서는 SNS 광고에서의 개인화 요소가 광고 수용자들의 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광고 수용자들의 인지가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개인화 요소를 ‘개인 프로필 정보’, ‘개인 활동 정보’, ‘개인 정황 정보’로 설정하였고, 프라이버시 계산 모형(privacy calculus model)에 적용하여 광고의 혜택(benefit) 요인으로는 정보성(informativeness)을 위험(risk) 요인으로는 프라이버시 우려(privacy concern)의 인지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현재 위치 정보를 활용한 ‘개인 정황 정보’는 정보성과 프라이버시 우려 인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검색 이력 정보를 활용한 ‘개인 활동 정보’는 프라이버시 우려 인지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친구 이름 정보를 활용한 ‘개인 프로필 정보’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정보성을 높게 인지할수록 긍정적인 광고 효과(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가 나타났으며, 프라이버시 우려를 높게 인지할수록 부정적인 브랜드 태도만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인 정황 정보’는 정보성에 의해 완전 매개되어 광고 태도와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SNS를 활용한 개인화 광고에 있어 개인화 요소에 따른 다양한 광고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개인화 광고에서 소비자들이 더 이상 프라이버시를 지키는 것이 아니라 혜택과 위험을 계산한 후에 혜택이 크다면 쉽게 정보를 제공한다는 프라이버시 역설(privacy paradox)이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upon us, and personalized messages are getting more important in the era of big data marketing. Recently, traditional advertising for mass markets has shifted to personalized advertisements. Today’s technological capabilities enable advertisers to create a personalized message for the ‘right’ person at the ‘right’ time and the ‘right’ place. Personalized advertising is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because consumers perceive the ads that are more useful for them than unpersonalized ads. However, consumers are also concerned about their personal information remaining private, especially on social networking service platforms. Consumers often regard their social networks as a private space, making this a highly controversial.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ersonalization factors in social networking advertising on consumers’ response to advertising applying the privacy calculus model. The personalization factor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the personal profile, content, and context. The perception of the ads as beneficial information or privacy concern was compared in this study as key mediators between personalization factors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attitudes toward advertisement; attitudes toward brand; and purchase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 context factor of personalization affected both informativeness and privacy concern. The content factor of personalization affected only privacy concern of the ads.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informativeness affected users’ attitudes toward the advertisement and their intention to purchase a product based on the ads. Also, their concerns about the privacy affected their attitudes toward brand. In addition, users’ perception that the information was beneficial to them had a perfect mediating effect between personalization factors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The research reached several important conclusions. First, it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personalization factors in advertising on social networking service platforms. Second, a privacy paradox exists regarding personalized advertising in social networking services, providing significant insight in understanding consumers’ behavior about privacy in the digital age.

      • KCI등재

        핵심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에 따른 TV광고 효과 연구

        이희준(Heejun Lee),조창환(Chang-Hoan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1

        본 연구는 TV 광고의 핵심적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가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TV 광고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를 조작한 후 브랜드 친숙도, 성별 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광고 효과를 측정하였는데,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첫째, 광고 태도와 브랜드 태도 측면에서 제품 및 비제품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광고가 비제품 요소가 포함되지 않은 광고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둘째, 브랜드 친숙도가 높을 경우, 제품 및 비제품 요소가 모두 포함된 광고에 대한 호의적 평가의 강도가 높았다. 셋째, 브랜드 친숙도가 낮을 경우, 남성 소비자는 제품 및 비제품 요소가 모두 포함된 광고에 대하여 여성 소비자보다 높은 강도의 호의적 광고 태도를 형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광고의 핵심적 크리에이티브 요소들이 광고에 포함되는 형태에 따라 소비자는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실증적으로 확인한 것으로서, 이는 향후 광고 제작 시 광고 집행 상황에 따른 적절한 표현전략의 실질적 가이드라인이 되어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ad novelty, certain types of ads are frequently created to gain consumers’ attention leaving out some of the main creative elements which have generally been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producing ad effectiveness. Given circumstance, this experimental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different sets of creative elements in TV advertising; specifically, the research manipulated a TV commercial containing different types of creative elements and explored the effects on attitude towards the ad and the br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Fis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ad attitude and brand attitude between two groups. The group of people who watched a TV commercial including both product & non-product related elements showed higher mean attitude towards the ad. Second, the ad with both product & non-product elements led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s the ad when brand familiarity is high. Finally, the group of male participants showed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s the ad with both product & non-product related elements when brand familiarity is low.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a valuable contribution to the strategic decision-making process as ad agencies look for the basis for consideration of creative strategy in TV advertising.

      • KCI등재

        AI 금융 챗봇 추천 메시지의 의인화와 개인화 수준이 고객 반응에 미치는 영향

        변성혁(Byun, Sung-Hyuk),조창환(Cho, Chang-Hoan)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2 No.2

        본 연구는 고객이 비대면 모바일 금융 상품을 챗봇에게 추천받는 상황에서 고객의 긍/부정적인 인식과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챗봇의 특성과 그 효과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AI를 활용한 금융 챗봇 추천 메시지의 의인화와 개인화 수준에 따라 고객이 인지하는 메시지의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된 유용성, 프라이버시 염려가 어떠한지 살펴보고, 이것이 챗봇 추천 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화 수준을 세 단계로 제시하고 개인화 수준이 높을수록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인식을 줄 것인가에 대해 최적자극수준 이론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이 과정에서 실제 금융 상품 서비스와 유사한 챗봇 플랫폼을 제작하여 실험에 활용하고 응답자에게 경험하게 함으로써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고객이 금융 챗봇 추천 메시지의 의인화 수준과 개인화 수준이 높아질수록 사회적 실재감이 증가하고 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화 수준이 높아질수록 프라이버시 염려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개인화 수준이 높아질수록 고객이 인지하는 유용성은 점차 커지나 역설적으로 이용의도는 중간 지점 이후 오히려 떨어지는 역U자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AI 금융 챗봇 추천 메시지의 의인화와 개인화 수준이 고객에게 어떠한 반응을 일으키는지 확인하였으며, 특히 개인화 마케팅의 개인정보 활용 수준에 따른 고객 반응을 최적자극수준 이론을 적용하여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금융 챗봇 추천 메시지가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에 활용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실무적 함의 또한 가진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atbots and their effects that could induce positive/negative perceptions and reactions of customers when a non-face-to-face mobile financial product was recommended by a chatbot. More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social presence, perceived usefulness, and privacy concerns of the messages perceived by the customer according to the level of anthropomorphism and personalization of the financial chatbot recommendation messages. In particular, in this process, the level of personalization was presented in three stages. This study focused on the theory of Optimal Stimulation Level Theory to see if the higher level of personalization gave consumers a positive perception. As a result, the higher the level of anthropomorphism and personalization in the financial chatbot recommendation message, the higher the social presence and intention to use. And also, the higher the level of personalization, the more privacy concerns. In addition, the higher the level of personalization, the greater the perceived usefulness of the customer, but paradoxically, the intention to use was rather reduced after a middle point. This study confirmed how the level of anthropomorphism and personalization of financial chatbot recommendation messages caused customer reactions. And in particular, it had a theoretical significance in identifying customer respon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sonal information usage in personalized marketing. In addition, it was meaningful that the financial chatbot recommendation message was a practical proposal for the industry by suggesting a method to be used in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인화 서비스 유형별 소비자 인식조사 :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을 적용하여

        최혜진(Choi, Hye-Jin),조창환(Cho, Chang-Hoan)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광고연구 Vol.0 No.124

        개인화 서비스는 개개인에게 관련성이 높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게 인식된다. 한편으로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이용자의 사적인 정보 활용이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로 부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부작용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화 서비스 유형(광고, 추천, 프로모션)이 이용자들의 인지에 미치는 영향과 지각된 통제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용자 인지가 정보제공의도와 서비스 이용의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개인화 광고의 인지된 혜택이 가장 낮았으며 개인화 추천과 개인화 프로모션 간의 인지된 혜택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프라이버시 위험은 개인화 광고, 개인화 추천, 개인화 프로모션 순으로 높았다. 서비스 유형이 인지된 혜택에 미치는 영향은 행동통제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인지통제력은 서비스 유형이 프라이버시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절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인지된 혜택은 정보제공의도와 서비스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반면 프라이버시 위험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개인화 서비스 유형에 따른 이용자의 태도를 비교한데 의의가 있으며 기업이 소비자의 개인정보를 활용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서비스 유형과 지각된 통제력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With the use of big data, targeting of personalized service became more sophisticated than before, but there exists a privacy 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type of personalized service(personalized advertising,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personalized promotion) on consumer’s perceived benefit and privacy risk. The result showed that perceived benefit of personalized advertising was highest, and the difference between personalized recommendation and personalized promotion was not significant. The privacy risk was higher in personalized advertising, personalized recommendation, and personalized promo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n service type and perceived benefit wer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cognitive control on service type and privacy risk were also significant. Finally perceived benefit had positive effect, and privacy risk had negative effect on consumer’s intension to use the service and intension to disclose personal inform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type of personalized service and perceived control are important factors that can influence consumer’s attitude towards personalized services.

      • KCI등재후보

        인터넷 구매의도를 결정하는 요인들: 융합 Flow-TPB(Theory of Planned Behavior)모델

        강재원 ( Jae Won Kang ),조창환 ( Chang Hoan Cho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6 언론과학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실용적인 동기이외의 요인인 플로우(flow)가 어떻게 소비자의 인터넷 구매의 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플로우(flow) 모델과 기존의 계획된 행위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을 결합, 새로운 융합Flow-TPB 모델을 제안했다. 구조방정식모델 접근을 통해, 여러 가지 모델들을 검증했고 마침내 최종 수정 모델을 얻었다. 이 수정 모델은 인지적인 즉 실용적인 동기뿐만이 아니라 감정적인 무드(mood)인 플로우 역시 인터넷 이용자들의 인터넷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가지 주요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인터넷 구매행위는 플로우라는 독특한 속성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속성은 타 비상점(non-bricks-and-mortar store) 구매행위와는 구별된다. 둘째, 인지적인 태도가 플로우라는 감정적 측면의 영향을 구체적인 인터넷 구매의도로 전달해 주는 매개 역할을 하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reveal how the non-utilitarian variable of "flow" affects a consumer`s decision-making process of online purchasing behavio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attempted to refine and modify the establish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with the flow model.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several models were tested, resulting in a final revised TPB model. From this revised model, it was suggested that a consumer is influenced not only by cognitive or utilitarian motivations, but also by a feeling occurring while active on a medium in itself. In other words, the unique mood, i.e., the flow "as actual feelings," which a consumer has experienced on the Web in the past, was found to affect indirectly his or her intent to make purchases on the Web. The study has two primary findings: (a) online purchasing behavior has a unique attribute (i.e., the flow "as actual feelings") distinguishable from other medium-mediated or physical store purchasing experiences, i.e., online purchasing behavior has not simply an extrinsic, motivation-oriented aspect, but an intrinsic, affective aspect as well; (b) the motivation-oriented aspect of online purchasing behavior mediates the effects of the flow on the online purchasing 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