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환경 NGO에 대한 정부지원의 특성 분석: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비교

        조윤직 ( Yoon Jik Cho ),박기일 ( Gi Il Park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3 行政論叢 Vol.51 No.1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연구주제를 다루었다. 첫째, 어떤 조직적 특성들이 정부의 한경 NGO 지원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노무현 정부 당시의 자료를 바탕으로 알아보았다. 둘째,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 하에서 비영리민간단체에 대한 사업지원의 전반에 대해 살펴보고, 정부의 지원을 받는 환경 NGO의 특성의 두 정부 간에 어떤 차이점을 보이는지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노무현 정부 하에서는 직원수가 많고 예산규모가 큰 환경 NGO들이 정부의 지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를 비교했을 때에는, 노무현 정부 아래서 정부 지원을 받은 환경 NGO가 이명박 정부에서 지원을 받은 환경 NGO에 비해서 더 오랜 기간 정부에 등록되어 있었고, 언론노출 빈도가 잦았으며,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는 비율이 더 높았다. 이는 노무현 정부 하에서의 환경 NGO에 대한 지원이 환경분야에서의 지위가 더 확립된 환경단체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해석함에 있어 환경NGO 실무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wo research subjects. First, it explores which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ffect government support for environmental NGOs under the Roh Administration. Second, the study compares how support differed between two recent administrations, the Roh Administration and the subsequent Lee Administr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monstrate that, under the Roh Administration, NGOs with a large budget and a large number of employees were more likely to receive government support. The comparison of the two administrations shows that the NGOs supprted under the Roh Administration had a longer period of registration, greater amount of media coverage, and were more likely to have their own homepage than the NGOs supported under the Lee Administration. An interview with an environmental NGO practitioner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interpretations of these findings.

      • KCI등재

        내재적 · 외재적 동기 충족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국 연방 공무원들을 중심으로

        박보연(Park, Boyeon),조윤직(Cho, Yoon Jik) 서울행정학회 2022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미국 연방정부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조직구성원의 내재적 및 외재적 동기에 대한 충족이 직무태도인 직무열의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직무요구가 유의하게 조절하는지를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조직구성원의 직무동기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지속되어 왔고, 내재적 및 외재적 동기의 영향력은 많은 기존 연구에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이에 더하여 각 동기의 충족 정도가 조직 구성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위해서 미국 연방정부 실적제보호위원회(Merit Systems Protection Board)가 2016년에 실시한 설문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동기요인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바탕으로 동기의 충족도를 측정하였고, 이를 다중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구성원 개인의 내재적 동기에 대한 충족은 직무열의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이직의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외재적 동기에 대한 충족은 직무열의에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이직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직무요구의 조절효과와 관련해서는, 직무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이직의도를 낮추는 내재적 동기 충족의 영향력이 약화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직무요구가 높은 수준에서는 외재적 동기의 충족이 오히려 직무열의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바탕하여 실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fulfillment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on employees attitudes, including job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where it also examines the moderating role of job demands. While many studies already demonstrated the effects of motivation on employee attitudes and behaviors, the current research focuses on the level of fulfillment of motivation rather than motivation itself. Measuring the level of fulfillment by comparing 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motivation,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fulfillment of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by using the 2016 Merit Principles Survey data conducted by the U.S. MSPB(Merit Systems Protection Board). The analysis results from multiple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demonstrate that the fulfillment of intrinsic motiv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job engagement, whereas it is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However, the fulfillment of extrinsic motiv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job engagement and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urnover intention.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 demands, the analysis confirms that, as job demands increase, the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fulfillment on turnover intention is weakened. On the other hand, at a high level of job demands, the extrinsic motivation fulfillment lowered employees’ job engageme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research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of motivation and job demands within organizations.

      • KCI등재

        감정노동이 사회복지사의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송현진* ( Hyun-jin Song ),조윤직 ( Yoon-jik Cho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6 行政論叢 Vol.54 No.3

        본 연구는 감정노동이 조직 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고객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감정노동수행에 대한 요구가 증가했고, 공공부문에서 정책집행을 담당하는 일선관료들도 정책고객인 국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당한 정도의 감정노동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감정노동의 수행전략을 크게 자신의 진짜 감정을 숨기고 말, 표정, 몸짓을 바꾸는 표면행위와 인지적 노력을 통해 적절한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하는 내면행위로 나누고, 이들 전략을 수행할 때 각 전략이 사회복지사의 태도와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사회복지사가 소속된 조직이 제공하는 제도적, 정서적 지원의 영향력을 함께 검증하였다.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회복지사 246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표면행위는 소진과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증가시킨 반면, 내면행위는 소진과 이직의도는 증가시키지 않고, 조직시민행동을 높이는 결과를 보였다. 한편, 사회복지사의 서비스 제공 노력에 대해 조직이 제도적 지원을 수행하거나, 조직 내 동료 및 상사가 정서적 지원을 제공하는 경우, 이는 사회복지사의 태도 및 행동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조직의 정서적 지원은 소진을 증가시키는 표면행위의 부정적 영향력을 완화하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감정노동 수행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감정노동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력을 상쇄시키기 위한 조직의 지원이 어떠한 측면에서 제공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research seeks to examine how emotional labor affects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social workers, including burnout, turnover inten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laying the role of the street-level bureaucrat, social workers conduct emotional labor in their daily routine. Although many scholars and practitioners acknowledge its harmful effects, the social welfare service itself inevitably accompanies emotional labor to some extent. This research examines how the two strategies of emotional labor,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affect four attitudes and behaviors of social workers. In addition, it also analyzes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support, including institutional and affective support, which may offset the negativ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The regression analysis of survey data from 246 social workers reveals that surface acting increase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whereas deep acting enhanc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addition, the analysis also demonstrates that affective organizational support alleviates the negative effects of surface acting on burnout.

      • KCI등재

        공무원의 내재적, 외재적 동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과 혁신보상의 조절효과

        김효선(Hyosun Kim),조윤직(Yoon Jik Cho) 한국인사행정학회 2020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9 No.4

        오늘날 공공영역에서 혁신은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으며, 정부 조직은 혁신적인 조직문화로의 변화 및 개선 요구에 직면해 있다. 공무원의 역할상도 과거의 소극적이고 보수적이었던 역할에서 이제는 적극적이고 유연한 이미지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본 연구는 공공조직에서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미국 연방정부의 실적제보호위원회(Merit Systems Protection Board)가 2016년에 시행한 서베이 자료를 활용하여 개인의 동기요인과 조직관리 요인들이 어떻게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의 내재적 동기는 공무원 혁신행동을 높이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외재적 동기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관리 요인인 의사소통과 혁신에 대한 보상은 내재적 동기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강화시키는 조절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공무원 혁신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내재적 동기가 중요하며, 공공조직 내 보다 효과적인 혁신환경 조성을 위하여 원활한 의사소통의 촉진과 혁신에 대한 보상체계를 마련해야 함을 함의한다. his study seeks to explore determinants of innovative work behavior(IWB) of government officials by focusing on the roles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Using the survey data conducted in 2016 by the U.S. Merit Systems Protection Board, the research examines how motivational factors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factors influence public employees’ IWB. The analysis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intrinsic motiv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WB, whereas the extrinsic motiv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it. In addition, the research finds moderating roles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factors, including communication and reward for innova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IWB. These findings imply the necessity of innovation-friendly culture that facilitates the intrinsic motivation of public officials. In addition, top management may want to consider establishing effective communication system as well as independent reward system for innovation.

      • KCI우수등재

        감정노동이 소진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송현진 ( Hyun Jin Song ),조윤직 ( Yoon Jik Cho ) 한국행정학회 2016 韓國行政學報 Vol.50 No.1

        오늘날 고객서비스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공공부문에서도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감정노동의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일선관료인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개인의 감정노동 수행전략을 표면행위와 내면행위로 나누어 이들 전략이 만족과 소진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조직의 지원이 감정노동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지도 검증하고자 한다. 2013년 국가인권위원회에서 국내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사회복지사인권상황 실태조사``의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호작용항을 사용하여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표면행위는 정서적 고갈을 높이고 만족을 낮춘 반면, 내면행위는 정서적 고갈은 높이지만 직무만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그 수행전략에 따라 감정노동이 차별화된 영향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조직의 지원은 직무태도에 미치는 감정노동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Recently there has been more emphasis on customer service in the public sector; therefore the demand for emotional labor has been steadily increased to provide better services. Focusing on social workers who work as street-level bureaucrats, this research examines how two emotional labor strategies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affect satisfaction and burnout. It also explores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support, which is expected to relieve the negative effect of emotional labor.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uses data from a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South Korea.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s that surface acting increases emotional exhaustion and decreases satisfaction. Although deep acting leads to emotional exhaustion to some extent, it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those two strategies may have a differentiated influence on employee attitudes. The analysis also confirms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support. When there is a high level of organizational support, the negative effect of emotional labor is relieved.

      • KCI우수등재

        신뢰받는 정부의 특징: 실험설문 방법을 중심으로

        김정숙 ( Kim Jungsook ),조윤직 ( Cho Yoon Jik ) 한국행정학회 2020 韓國行政學報 Vol.54 No.4

        본 연구는 ‘어떤 특성을 갖는 정부가 국민들의 신뢰를 받을 수 있는가?’라는 연구질문에 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뢰(trust)와 신뢰성(trustworthiness)의 개념을 활용하여, 신뢰받는 정부의 특징을 능력, 선의, 투명성, 일관성 등 네 가지로 규정하고, 이 특징들의 조합이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만 18세 이상 시민 806명을 대상으로 실험설문을 실시하여 데이터를 확보하였고,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모형(Hierarchical Logistic Model)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네 가지 신뢰성 요인들이 정부신뢰에 고루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보적인 이념 성향을 지닌 응답자들일수록 정부신뢰를 결정함에 있어 선의와 투명성을 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정부의 기본적인 역량을 키우는 일 뿐만 아니라 선의와 투명성, 정책의 일관적인 수행 등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The main question of this research is “What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 enhance citizens’ trust in government?” Using the concepts of trust and trustworthiness, the research identified four characteristics of trustworthy government; namely, ability, benevolence, transparency, and consistency.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a survey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806 citizens. The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all four factors of trustworthiness contributed to citizens’ trust in government. In addition, the effects of benevolence and transparency of government were larger for liberals than conservativ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argues that to earn citizens’ trust, government needs to steadily develop its benevolence, transparency, and consistency, as well as build its basic capabilities.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근로조건이 직무만족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실제 근로조건과 상대적 근로조건의 비교

        송현진(hyun jin song),조윤직(Yoon Jik Cho) 한국인사행정학회 2020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민간시설사회복지사의 ‘실제(actual) 근로조건’과 개인의 인식을 바탕으로 형성된 ‘상대적인 근로조건’이 직무만족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직무요구-자원이론에 근거하여 직무요구에 해당하는 업무의 양이 많을 때 직무만족이 낮아지고, 스트레스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 반면, 직무자원에 해당하는 보수와 여가활용이 적정한 수준일 때, 직무만족은 높아지고 스트레스는 낮아질 것으로 보아 가설을 수립하였다. 이에 더하여 직무자원과 직무요구의 절대적 수준과 상대적 인식을 동시에 모델에 투입해 이들의 상대적인 영향력도 비교해 보았다. 실증분석을 위해서 한국사회복지사협회가 수행한 ‘2018년 사회복지사 통계연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설문 응답을 통해 얻은 실제 근로조건 수준과 근로조건에 대한 상대적 인식이 각각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민간시설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민간시설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 결정에 있어서 실제 근로조건에 비해 상대적 근로조건이 훨씬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단순히 보수를 높이는 것에서 나아가 종사자의 여가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해 향후 사회복지사 근로조건 개선에 대한 다각도의 접근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and compare the effects of actual and perceived working conditions o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of social workers. According to the job demand resource theory, as the workload increases, job satisfaction is expected to decrease while job stress is expected to increase. Regarding wages and leisure, which are considered as job resources, they are expected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while decreasing stres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consider both actual and perceived resource-demand factors in the same model. That is, it sought to compare the effects of actual working conditions with those of perceived conditions. Using the data from the 「2018 Social Workers Statistical Yearbook」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n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this research conducte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 demonstrated that perceived working conditions were much more influential than actual working conditions in determining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n addition to re-confirming the importance of wages, the result also stressed that leisure is worthy of attention to manage satisfaction and stress. The results imply that one needs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of social workers from multi-dimensions by considering various factors.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감정소진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이정철(Lee, Jung Chul),이정욱(Lee, Jung Wook),조윤직(Cho, Yoon Jik) 서울행정학회 2015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선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감정소진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와 함께 사회적 지원 변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4년 서울시 내에 근무하는 일선 경찰공무원들 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선 경찰공무원들의 감정노동, 특히 감정부조화를 느끼는 정도가 심할수록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등 개인의 감정소진은 물론이고 직무몰입, 조직만족 등 조직유효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정의 주의성은 개인의 성취감과 직무관여에 대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선 경찰공무원들이 감정표현규범에서 요구하는 감정과 실제 느끼는 감정 간의 부조화가 강하게 나타날수록 감정소진 현상이 심화되지만, 괴리된 감정을 일치시키고자 하는 내면 행위로서의 감정노동은 업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기존 연구들과의 차별점으로 조절변수로서 사회적 지원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상사와 동료에 의한 사회적 지원이 감정노동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선 경찰공무원들의 감정노동에 대한 체계적 관리의 필요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그 관리전략의 하나로서 조직구성원들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emotional labor of street-level police officers affects burnou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t also explores the role of social support that moder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expected outcomes. Conducting a survey of 400 police officers work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research implements OLS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The analysis result confirms the negative effects of emotional dissonance, one of the dimensions of emotional labor. It depletes the emotions and facilitates dehumanization. It also decrea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involvement, while increasing turnover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he analysis demonstrates the positive role of social support by supervisors and colleagues. It directly decreases burnout and increas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urthermore, it indirectly contributes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moderating the negative effect of emotional labor. In other words, when social support is high, the negativ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relieved to some extent. Altogether, the analysis result implies that a systematic treatment of emotional labor is required and social support has a potential as a managerial tool to alleviate the negative effects of emotional lab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