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논문2- 주제: <주제: 전통공연유산의 지속과 변화> : 현대사회 문화콘텐츠로서 산조의 활용 방안 연구

        조석연 ( Seogyeon Cho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6 공연문화연구 Vol.0 No.32

        본고는 산조는 음악적 완성도뿐 아니라 한국인의 정서를 가장 잘 담아낸 곡으로서 절대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시대적 변화에 따라 신봉하는 가치의 중심이 변하고 새로운 관점에서 가치가 정립되기 때문에, 산조역시 절대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사회에서 요구하는 동시대적 가치를 보유하기 위해 또 다른 변화와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는 이러한 ‘대중과의 소통’에 중점을 두고, 산조의 발전방향을 시대적가치의 실현, 실험과 사회적 변신, 21세기형 창조적 축제, 융합융화의 도약, 콘텐츠의 사회화라는 다섯 가지 관점에서 고찰해보았다. 첫째, ‘시대적 가치’로서의 산조는 크게 전통과 계보를 고수하며 이 시대의 새로운 ‘더늠’으로서 창작활동을 하는 것과, 산조가 제시하는 기본 형식과 틀 안에 머물면서도 자유롭게 이탈을 일삼는 창작활동을 가리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어느 쪽이든 산조는 새로운 창작에서 ‘시대적 가치’를 갖는다. 새로운 선율이 가미된 새로운 유형의 산조만이 현대의 대중들과 소통할 수 있는 시대적 가치를 갖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가치가 사회적으로 실현될 때, 비로소 산조는 새로운 생명력을 얻게 될 것이며, 그 무한한 가치를 인정받게 될 것이다. 둘째, 실험과 사회적 변신으로서 ‘21세기 전통악기의 변모’를 살펴보았으며, 서양음악어법을 연주하기 위해 우리 악기가 변모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음악을 보여주기 위해 우리 악기가 변모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셋째, 창조성의 사회 확산은 ‘21세기 새로운 산조축제’로서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축제의 장을 소개하고 설명하였다. 넷째, 융합융화의 도약과 관련해서는 ‘스토리텔링 산조’와 ‘미디어아트 도입’을 통해 산조 공연을 끊임없이 움직이고 변화하는 매개물로서 대중들과 소통시킬 수 있는 공연문화를 제안하였다. 다섯째, 콘텐츠의 사회화에서는 대중매체를 이용하는 방법을 통해 산조가 대중매체의 콘텐츠로 자리 잡아야 함을 강조하였다. Sanjo has a quintessential value not only because of its musical depth but also because of its style of music that best expresses Korean sentiment. However, new values are being established from different viewpoints as time passes so Sanjo’s values need a modification in order to encompass a contemporary value that is required and accepted by modern society. In this context, while focusing on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I contemplated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Sanjo in five perspectives; The Social realization of value, The Experimental and social transformation, The Social diffusion of creation, The Leap of fusion and harmony and finally The Socialization of contents. In the perspective of ``social realization of value``, Sanjo refers to creative activity as a new ``duneum`` which allows traditional and creative activity to deviate freely while still being under the Sanjo guideline. Either way, it has a periodical value because new forms with new rhythms are the only ways to communicate with the modern public. When these values can be understood by modern society can Sanjo be revived and be acknowledged as an infinite value. Secondly as an experiment and social transformation, there is a transformation of musical instruments in the 21th century. Our musical instruments should be transformed to effectively perform our music rather than to perform Western music. Third, social diffusion of creation should be the ``new Sanjo festival in 21th century`` which can facilitate th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Fourth, regarding leap of fusion and harmony, I suggest a performing culture consisting of ‘Storytelling Sanjo’ and ‘Media Art’ which will ceaselessly evolve Sanjo performance as a medium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Finally, in regards to the socialization of contents, I emphasize that Sanjo should have contents of mass media as a way of means to help utilize mass media.

      • KCI등재후보

        배소와 봉소의 명칭에 대한 문제점 고찰

        조석연(Cho Seogyeon) 한국국악교육학회 2016 국악교육 Vol.42 No.42

        이 논문은 소(簫)의 다른 말인 배소(排簫)와 봉소(鳳簫)의 명칭 문제에 관한 글이다. 고려 이후 소의 유입에서부터 조선시대 『악학궤범』과 『세종실록』을 거쳐 1930~40년대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소’라는 명칭이 대표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봉소와 배소는 소의 보조적인 용어로 기록되었을 뿐이다. 하지만 현재 배소와 봉소는 소의 별칭일 뿐 아니라, 각기 종류가 다른 악기를 가리키는 악기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소의 근원적인 생성설화가 봉황과 연결되어 있어 ‘봉소’라는 용어는 낯설지 않으며, 그러한 이유로 관대만을 엮어 만든 고대의 소를 가리켜 봉소라 기록한 문헌이 존재한다. 더불어 『악학궤범』과 『세종실록』의 악기 설명에도 ‘소’라 지칭하는 기록이 나오며, 도설에 기록된 봉소라는 명칭 외에도 훨씬 더 많은 기록이 ‘소’라 지칭하고 있다. 『악학궤범』에 소개된 소는 커다란 가(架)에 쌍날개형인데, 이러한 악기를 설명한 문헌인 『원사』에서는 이 악기를 가리켜 ‘배소’라 칭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 악기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는 『어제율려정의후편』도설에도 이 악기는 ‘배소’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악서』의 봉소 도설에 ‘봉소’라는 명칭으로 등장하는 악기는 관의 수가 도합 18개라는 점과 가(架)의 형태로 미루어보아 『악학궤범』에 기록되어 있는 소와는 전혀 다른 악기를 가리키고 있다. 따라서 ‘봉소’라는 호칭을 『악학궤범』의 소와 같은 쌍날개 가형에만 국한시키는 것은 잘못된 점이라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중국 문묘에서 쓰이는 악기를 설명한 『산동통지(山東通志)』와 『복건통지(福建通志)』에서는 소에 대한 설명을 하는 가운데 배소와 봉소라는 이름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봉소와 배소를 동일한 악기로 지칭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사항들을 종합하여 볼 때, 배소는 관대만을 엮어 만든 악기를 뜻하고 봉소는 관대를 봉황모양의 나무틀 형태에 꽂은 악기라고 주장하는 기존 학계의 이분법적 분류는 잘못된 것이며, 배소와 봉소는 단지 ‘소’를 지칭하는 또 다른 별칭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naming problems of ‘Baeso’ and ‘Bongso’, which are mere the other names of the musical instrument ‘So’. From the introduction of So during the Koryo Dynasty, throughout the Chosun Dynasty and until the 1940s, in our country the name So was in general use. And the other names Baeso and Bongso were registered only as an additional name. But at present Baeso and Bongso don’t mean only a byname of So. They go one step farther and refer to each different types of musical instrument. Nowadays man used to assert boldly, Baeso designates only the musical instrument made of in a row connected several pipes and Bongso means the musical instrument which connected pipes were sticked into Bonghwang-shaped wooden frame. But after all the analysis of the related historical records we can verify that this dichotomous classification is obviously wrong and Baeso and Bongso is just a different way of calling So. The use of dichotomous classification of Baeso and Bongso without clear and conspicuous grounds may affect the forming of common misconceptions and stereotypes about Baeso and Bongso. And this may cause diverse academic confusions. Establishing of the name of musical instruments based on convenience and necessity will be very helpful and necessary. And that’s exactly why we should be discretion within the establishing of the name of musical instruments and the use of them.

      • KCI등재

        진양 『악서』공후의 세 종류 완목(腕木)에 관한 고찰

        조석연 ( Seogyeon Cho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4 동양예술 Vol.25 No.-

        본 연구는 진양『악서』에 도설된 공후의 완목에 관한 연구이다. 『악서』에 나타난 다섯 종류의 공후 완목을 면밀히 살피기 위해 현지 조사를 통해 루브르박물관과 대영박물관, 이집트박물관, 일본 쇼소인(正倉院)에 현재 남아 있는 유물과 도상의 완목과 중국 각 지역의 도상과 문헌의 완목을 비교 연결하여 특징을 추출하였다. 이로써『악서』에 기록된 공후의 완목은 원통형 완목, 나무못형 완목, S자형 완목의 세 종류완목이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악서』의 대공후의 원통형 완목은 원통형태의 완목에 현을 매는 방식이 다. 이 방식은 공후가 사용되기 시작한 기원전 2000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사용되고 있으며, 이집트 공후와 신강 지역의 공후 실물 및 돈황 벽화 등 수많은 도상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조율 방식은 둥근 완목을 돌려 음을 조율하는 방법으로, 정확하고 세밀한음 조율은 불가능하지만 조율된 음이 쉽게 풀리지 않는 장점을 갖고 있다. 둘째, 『악서』의 소공후와 와공후의 나무못형 완목은 악기의 음을 더욱 쉽게 조율하기 위해 완목의 나무못에 현을 묶어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원통형 완목과 같이 완목에 현을 고정시켜 완목을 돌림으로써 전체 음을 조율하는 대신 현 하나하나를 완목에 부착된 나무못에 고정시킴으로써 원통형 완목보다 훨씬 섬세한 음을 만들어 낸다. 또 현 홀더로서 기러기발 역할을 하며, 맑고 깨끗한 소리를 내게 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나무못형 완목은 이집트 카이로 박물관의 공후 실물과 일본 쇼소인 소장 나전 공후의 실물에서도 확인된다. 셋째, 『악서』의 수공후의 S자형 완목은 고대 공후의 완목 중에서 가장 독특하고 발전된 형태이다. S자형 완목이 명확하게 표현된 고대 공후의 실물은 일본 쇼소인 소장 옻칠 공후이다. 완목 형태는 두껍고 긴 통나무 원목에 두 개의 홈을 깎아 S자를 옆으로 누인 형태로 만든다. 이로써 전수(轉手)가 3단계의 나무 조임 단계를 거치는 효과를 가져 오게 한다. 이렇게 전수가 완목의 3단계 나무틀을 통과하면 현이 쉽게 풀리지 않으면서 미세한 음의 명확한 조율이 가능해진다. 음 조율을 위해 현을 감는 전수는 쉽게 풀리지 않도록 손잡이 부분에서 끝으로 갈수록 점점 가늘어지는 형태이다. 기러기발 역할을 하는 현괘 역시 완목 위쪽에 삽입하여 전수에 묶인 현이 공명통과 바로 연결되지 않게 함으로써 맑은 소리를 내게 한다. S자형 완목은 고대 악기의 조율법이라고하기에는 믿을 수 없을 만큼 과학적인 구조로서, 음을 고정하고 조율하는 탁월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 research on the crossarm, the tuning-device of the ancient string instrument Gonghu. For this, crossarms which were used in the ancient string instrument Gonghu were examined closely. And the present writer had conducted spot investigations in Louvre Museum, the British Museum, the Egyptian Museum, Shosoin Treasure House of Japan, and many principal regions of China. In there numerous important relics of ancient times and research materials are housed. I had compared and contrasted various types of crossarm on these objects, the graphic materials and literatures each other. And I could draw a conclusion from this comparative study that for the purpose of tuning three types of crossarm had been used in ancient Harp Gonghu: cylindrical crossarm, wooden nail crossarm, S-shaped crossarm. The characteristics of them are as follows: First, cylindrical crossarm is a form which ties the strings on cylindrical crossarm. From about 2000 BC in which the Gonghu was invented to the present this type is being widely and steadily used. This form tunes up by turning of cylindrical crossarm. This type is not appropriate for aaccurate and minute tuning of sound, but it has the virtue that the tuned sound don``t easily come loose. Second, wooden nail crossarm is a way which ties strings at wooden nail on the crossarm. This type has the virtue of simplicity and possibility of more delicate tuning. Above all by maintaining of the space between the strings and the body this type enables the instrument to make moreclean and pure sound. This type of wooden nail crossarm could be found in the Gonghus which were housed in the Egyptian Museum and Shosoin Treasure House. Third, S-shaped crossarm is the most distinctive and advanced method of three types. This type is to confirm in the lacquered Gonghu which was possessed in Shosoin Treasure House. This type was made by cutting two grooves in S-shape on a thick and long wood. By doing this, the strings which passed three-level wooden frame doesn``t easily come loose and it makes possible to tune accurate and delicate sound. This S-shaped crossarm is very scientifically constructed type, it shows excellent ability in tuning and fixing of sound. Above-mentioned three types crossarm are all essential and fundamental type for ancient string instrument.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need they could be also engrafted into the contemporary musical instrument.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on three types of crossarm could play fundamental roles not only in case of Gonghu but also in study and restoration of whole ancient string instrument.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2015년~2021년 서울 지역 다중일 PM<SUB>2.5</SUB> 고농도 사례 특징 분석

        박현영(HyeonYeong Park),안준영(Joon-Young Ahn),박진수(JinSoo Park),조석연(SeogYeon Cho) 한국대기환경학회 2023 한국대기환경학회지 Vol.39 No.6

        Examining PM<SUB>2.5</SUB> mass and species concentration monitoring data, all multi-day PM<SUB>2.5</SUB> episodes from 2015 to 2021 in Seoul were analyzed to identify common meteor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determine causes. Among the five multi-day PM2.5 episodes identified, four of them took place during the winter and early spring and one in autumn. The weak and western wind pattern mainly blew with a wind speed of 1~3 m/sec. The particulate nitrate mainly composed of PM<SUB>2.5</SUB> mass during the multi-day PM<SUP>2.5</SUP> episodes. Higher sulfur oxidation ratio (SOR) and nitrogen oxidation ratio (NOR) during the multi-day PM<SUB>2.5</SUB> episodes were obtained and compared to those during the non-episode, implying domination of sulfate and nitrate over precursors during the multi-day PM<SUB>2.5</SUB> episodes. Observation in Baengnyeong, up-wind region and remote site, were used to estimate long-range transport of PM<SUB>2.5</SUB> toward Seoul with coefficient of divergence. Also, correlation between NOR and temperature were used to assess long-range transport of PM<SUB>2.5</SUB>.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