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 수준,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관계연구

        현은자 ( Eun Ja Hyun ),조메리명희 ( Myung Hee Cho Mary ),경선 ( Kyung Sun Cho ),김태영 ( Tae Young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사용과 그로인해 파생되는 문제를 예방하기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일산 4곳의 시립어린이집과 서울시 강동구에 위치한 5곳의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3~6세 어머니 247명 이었다. 연구수행을 위해 성인스마트폰중독 자가 진단 척도, 한국판 양육효능감 척도, 한국판 부모양육 스트레스 검사 축약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x²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들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은 일반사용자군 2인 어머니가 61.5%, 일반사용자군 126.7%,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11.7%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은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많은 어머니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일반 사용자군 2인 어머니가 다른 어머니보다 양육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이 어머니가 다른 어머니보다 양육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들은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을수록 양육효능감이 낮게 나타났으며, 양육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어머니는 스마트폰에 대한 내성이 높을수록 양육효능감이 낮았으며 스마트폰에 대한 가상세계지향성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level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and provides basic materials for preventing problems related to smartphone use. Research participants were 247 mothers each of whom had one child between the age of 3 and 6 years of age attending either one of four public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Iisan, GyeongGi-Do or one of five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Gangdong-gu, Seoul.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Self-Rated Smartphone Addiction Scale for Adults(SRSASA), Le K-Echeele Globale du Sentiment de Competence Parentals, and the Korean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following statistical methods: frequency analysis, chi-suqare 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who got 40~43 points on the SRSASA or more than 14 points on the ``disturbance of adaptive function``, one of the sub factors of the Scale are categorized as the At-risk group, while those who got 30~39 and less than 30 on the SRSASA are did as general user group 1 and general user group 2 relatively. As for smartphone addiction levels, 26.7% group 1 and general user group 2 relatively. As for smartphone addiction levels, 26.7% of mothers could be considered as being at the lower end of general users Group 1while Group 2 consisted of more frequent general users at 61.5%. The At-risk group Group 3, consisted of 11.7% of mothers. Second, in general the study finds that the more mothers used their smartphone, the higher were their smartphone addiction levels. Third, group 2 mothers rated highest in parenting efficacy. Third, the At-risk group rated highest in parenting stress. Fourth, mothers with highest levels of smartphone addiction, rated lowest in parenting efficacy and highest in parenting stress. Fifth, the higher the tolerance for smartphones, the lower the parenting efficacy, and the higher the mothers` directivity with the virtual world of smart phones, the higher their parenting stress.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study is needed to develop a parent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ve use.

      • KCI등재

        가정에서의 디지털 모바일기기 사용에 대한 영유아 부모의 인식

        현은자 ( Eun Ja Hyun ),김태영 ( Tae Young Kim ),조메리명희 ( Mary Myung Hee Cho ),박은미 ( Eun Mi Park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1 신앙과 학문 Vol.16 No.4

        본 논문의 목적은 영유아를 둔 가정에서 모바일기기의 사용현황과 그것이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러한 결과가 기독교 부모와 비기독교 부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기독교 가정 내에서의 모바일기기 사용에 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것이다. 설문지는 모바일기기의 보유대수, 사용현황,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 모바일기기 사용에 대한 교육에 관한 내용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경기 북부지역 5곳의 어린이집에 다니는 영유아부모 241명이었다. 자료 처리는 SPSS 14.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및 일원분산분석 처리하였다. 결과는 첫째, 모바일기기 사용이 가족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부모들은 인식하고 있다. 둘째, 조사된 변인에 있어서 기독교 부모와 비기독교 부모 간에 차이는 없었다. 셋째, 모바일기기 사용에 대한 교육내용으로 자기조절능력에 대한 부모교육의 요구가 높게 나왔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대의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의 계발과 더불어 아동의 역할 모델이 될 수 있는 기독교 부모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young children`s parents perceive their use of mobile devices at home 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Christian parents and non Christian counterparts regarding the use of mobile devices at home and perception of the effect of mobile devices on family relationship.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41 parents from 5 nursery schools in north part of Kyung Ki Do.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30 questions asking how many mobile devices is used at home, how to use them, and how to perceive the effect of mobile devices on family relationship. The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One-way Anova.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s: 1) the parents are Likely to use the digital devices at home not considering enough young children`s presence, 2) most of them show the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effect of mobile devices on family relationship(common topics to share, time spent together, and the degree of intimacy). 3)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Christian parents and non Christian parents regarding the use of mobile devices and the perception of the effect of devices on family relationship. 4) majority of parents answered that parent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young children`s self-control ability regarding the use of mobile is nee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arents as a role model of young children need to have reflective thinking regarding the use of the digital devices in our daily Lives.

      • KCI등재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 수준 및 우울 점수와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현은자 ( Eun Ja Hyun ),박은미 ( Eun Mi Park ),조메리명희 ( Myung Hee Cho Mary ),김태영 ( Tae Young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5

        본 논문은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 수준 및 우울 점수와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로인해 파생되는 문제를 예방하기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유아교육기관에 다니고 있는 만3~6세의 자녀를 둔 어머니 290명이었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들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은 일반사용자군 2인 어머니가 70.0%, 일반사용자군 1 17.2%,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12.8%순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그리고 스마트폰 사용시에 멀티태스킹 이용하는 어머니가 다른 어머니보다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이 31~35세인 어머니와 학력과 경제수준이 낮은 어머니일수록 우울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많고 멀티태스킹을 하는 어머니가 우울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인 어머니가 다른 어머니보다 우울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인 어머니가 다른 사용자 집단보다 유아의 주의집중문제가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유아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 점수가 높을수록 외현화 문제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유아는 어머니의 우울 점수가 높을수록 주의집중문제와 공경행동 등 외현화 문제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여덟째, 유아는 어머니의 우울 점수가 높을수록 내재화 문제행동이 높았으며 외현화 문제행동에는 어머니의 우울 점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수준 및 우울 점수가 아동의 문제행동과 관계있음을 인지하고 스마트폰중독을 예방하는 프로그램과 교육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levels, maternal depression, and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Subjects were 290 mothers, each with a 3 to 6-year old child attending one of four urban child care centers in SouthKorea. The research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a Self-Rated Smartphone Addiction Scale for Adults,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the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1.5-5.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martphone addiction levels: 70.0% of the mothers self-assigned to group 2, infrequent general users, 17.2% assigned themselves to group 1, more frequent general users and 12.8 % assigned to the potential risk user group. The more frequently mothers used their smartphones and the more frequently they used them for multitasking, the higher their smartphone addiction level. 2) a) Depression was found most frequently in mothers aged 31 to 35 with low levels of education and low economic status, b) however, the highest percentage of depression was found in the potential risk group in mothers who spent the most time on their smartphones and did multitasking. 4) The children of these mothers exhibited the most behavioral problems, especially attention and aggression problems These strong correlations linking smartphone addiction levels,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suggest an urgent need for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and help for addicted parents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