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한국불교의 파승 원인과 한국승가의 화합 방안

        조기룡(Cho, Ki-ryong) 불교학연구회 2017 불교학연구 Vol.52 No.-

        본고는 근래 갈등과 반목을 노정하고 있는 한국불교의 파승 원인과 그에 따른 한국 승가의 화합 방안을 대한불교조계종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런데 본고에서 사용 하고 있는 화합과 파승의 정의가 율장의 여법한 갈마 여부를 기준으로 하는 화합과 파승의 정의와는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우선하였다. 본고는 한국불교의 파승 원인을 경제적 불평등 , 선거제도, 문중 (門中) 중심 문화 , 정치 계파 [ 종책 (宗策) 모임 ] 에서 찾고 있다. ‘ 경제적 불평등 ’ 에서는 가분불 (可分物)의 평등 분배 원칙과 불가분물 (不可分物) 의 공동 소유 원칙이 지켜지지 않음으로써 파생된 승가 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주요 쟁점으로 하고 있다. ‘ 선거제도 ’ 에서는 승자독식으로 인 한 승가의 분열문제를 다수결이 가진 한계성의 관점에서 조명하고 있다. ‘ 문중 중심 문 화 ’ 에서는 정치적 권력과 경제적 자산을 자신의 집단 내에서만 공유하려는 문중의 배타성과 폐쇄성을 지적하고 있다. ‘ 종책 모임 ’ 에서는 계파들의 이합집산으로 인한 승가의 분열을 문제로 제기하고 있다. 이에 따른 한국승가의 화합 방안으로써 , 본고는 승가의 공정 분배와 승려의 일분 (一 分) 만족 , 종단 제도의 탈세속화와 종권 (宗權) 의 분산 , 일불제자 (一佛弟子) 의 승단구조 수립을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승려의 만족 , 승가의 탈세속화 , 일불제자의 구조는 모두 승려의 인식 혹은 가치관에 기반을 두어야 하는 사안들이다. 그리고 사람의 인식과 가치관은 교육에 의하여 형성된다 . 이에 본고는 전술한 3 가지 화합 방안의 전제로 승가교육의 여법화 (如法化)를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root causes responsible for the destruction of the harmony in the Korean samgha currently marked by conflicts and rivalries, and explores the measures conducive to promoting harmony in samgh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This article seeks the causes of disharmony in Korean samgha in terms of economic imbalance, election system, clan-centered culture, and the councils for the policy of the order. The “economic imbalance” mainly arises from the phenomenon of the poor getting poorer and the rich getting richer. The “election system” is examined in terms of the limitations inherent to the majority decision when dealing with the problem of factionalism of samgha resulting from the situation of winner-takes-it-all. The “clan-centered culture” is characterized by the exclusiveness and imperviousness of a clan mentality to share power and economic assets only among the clan members. The issue of “councils for the policy of the order” is associated with the issue of factional struggles accelerated during the coalition and dispersion among different sub-orders. Drawing on the problem analysis thus performed, this article presents measures for promoting harmony in Korean samgha: equitable distribu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one part ( 一分 )” assigned to each monk, de-secularization of the order system and dispersion of the power of the order, and establishment of the framework for the Buddhist community of the disciples of single Buddha ( 一佛弟 子 ). Each of these three measures (satisfaction of individual monks, de-secularization of the order, and structuration of the disciples of single Buddha) relies on individual monks’ perceptions and value judgments, which are built by education. Therefore, this article proposes “to educate the order in accordance with the Dharma ( 如法化 )” as the prerequisit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aforementioned three measures for achieving harmony in Korean samgha.

      • KCI우수등재

        원효 화쟁의 사회적 실현을 위한전제 조건 고찰 -노사갈등에 대한 화쟁적 이해를 중심으로-

        조기룡(Cho, Ki-ryong) 불교학연구회 2015 불교학연구 Vol.43 No.-

        오늘날 한국사회가 지역 간, 계층 간, 이념 간, 세대 간 등의 다양한 갈등을 겪고 있는 상황 속에서 한국불교는 원효의 화쟁을 사회갈등의 불교적 해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원효가 화쟁의 대상으로 삼은 쟁론들이 불교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론(理論)에 대한 이견들이었음을 감안할 때 원효의 화쟁이 사회에 실재(實在)하는 갈등에 해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이에 불교학계에서는 화쟁의 사회적 적용 여부에 대하여 가능 관점과 곤란 관점이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본고는 화쟁의 사회적 적용의 가능과 곤란의 관점에서 선행연구들을 우선 분석하였다. 또한 원효의 화쟁이 사회적 실재 문제에 적용 가능한지를 알기 위해서는 원효가 제시한 화쟁을 우선 이해하여야 하는 바 원효 화쟁의 개념 그리고 그 논리와 방법을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와 원효 화쟁의 분석을 기반으로 본고는 화쟁을 사회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전제 조건들을 제시하였다. 그 첫 번째 조건은 ‘아집의 타파와 부분적 타당성의 수용’으로 자신의 아집에서 벗어나 상대가 가진 부분적 타당성을 수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조건은 ‘이문일심(二門一心)의 평등공동체 형성’으로 쟁론 쌍방이 가진 각각의 견해가 궁극적으로는 하나의 토대 위에 존재함을 인식하여 평등한 공동체를 형성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세 번째 조건은 ‘언표의 본질 이해와 언표의 정확 그리고 그 이해의 올바름’이다. 화자와 청자가 공히 언어 표현의 한계성을 인식하여서, 화자는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언어로써 정확히 표현하여야 하고, 청자는 화자의 언표 자체에 집착하지 말고 그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를 살려서 이해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시하고 있는 전제 조건은 ‘눈뜬 자의 중도적 중재’이다. 쟁론 당사자 간에 화쟁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 갈등의 본질 전체를 볼 줄 아는 제3자(눈뜬 자)에 의한 치우치지도 않고 편들지도 않고 말려들지도 않는 중재(중도적 중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Today, in circumstances where Korean society is suffering from diverse conflicts, including conflicts between regions, classes, theories, and generations, Korean Buddhism is presenting Wonhyo’s 元曉 (617–686) notion of harmonizing disputes 和諍 as the Buddhist solution for social conflicts. However, given that the disputes that Wonhyo was trying to harmonize were different views about Buddhist theories, it is questionable whether Wonhyo’s notion of harmonizing disputes can be effective in settling conflicts that exist in worldly society. Accordingly, in the Buddhist academic world some believe that the social adaptation of Wonhyo’s notion of harmonizing disputes is not possible, whereas others would more tentatively argue that it is not impossible. Reflecting this situation, this paper began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 on whether methods of harmonizing disputes were either adaptable or not adaptable to modern society. In order to know whether Wonhyo’s notion of harmonizing disputes is applicable to social problems, Wonhyo's ideas should first be understood, and then its concept, logic, and method can be examined. Based on this previous research and analysis of Wonhyo’s notion of harmonizing disputes, this paper presents the preconditions for the social realization of Wonhyo’s notion of harmonizing disputes. The first condition is to shed one’s egocentrism 我執 and accommodate the partial validity (of the other party). The second condition is to form an equal community of two approaches and one mind 二門一心, which means that by recognizing that each view of the two parties in dispute ultimately exists upon one unified base, an equal community can be formed. The third condition is an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language expression, the exactness of language expression, and the correctness of this understanding. Both the speaker and a listener should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language expression. The speaker should express exactly what he or she intends to say with language and the listener should not cling to the expressions of the speakers themselves, but instead understand what the speaker intends to express. The final precondition is the mediation of the dispute by one with their eyes open who follows the middle way 中道. Where parties cannot achieve harmony in their disputes, a third party (one with their eyes open) who can see the whole essence of the conflict needs to mediate without being biased or involved (middle-way mediation).

      • KCI등재

        불교교단의 민간사회안전망 구축 방안

        조기룡(Ki Ryong Cho)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1 佛敎學報 Vol.0 No.59

        우리 주변에는 실직·건강악화·가족해체·빈곤 등의 이유로 갑작스럽게 위기에 처하는 사람들이 상존하고 있으나, 한정된 정부의 공공재원만으로는 효과적인 대처가 불가능하다. 그래서 민간자원을 동원한 민간사회안전망의 구축이 필요한데, 특히 자비와 사랑을 실천하는 종교계의 참여가 필요하다. 불교는 사상적으로는 연기(緣起·불이(不二)·공업(共業)·보은(報恩) 사상 등 민간사회안전망을 직접 설명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고 있으며, 역사적으로는 고려시대부터 오늘날까지 기근이나 재해가 닥치면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구휼하는데 앞장 서 왔다. 하지만 이와 같은 사상과 활동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불교교단은 민간사회안전망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이는 종단 부설 사회복지법인의 인력 부족과 중앙·본사·말사 간 사회복지 전달체계 미비에 기인하는 것으로 중앙과 교구 간 기능 배분, 중앙·교구본사·말사의 사회복지시설 간 연계 강화, 그리고 교구 단위의 불교사회복지협의체 구성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Always there are people who come to a crisis suddenly because of unemployment, ingravescence, dissolution of family, and poverty. But the Government doesn`t cope with these difficulties because public property is limited. 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nongovernmental social safety net is needed, especially the participation of religious world which practices mercy and love is needed. In the side of thought, Buddhism has the thought of dependent origination(緣起), gratitude(報恩), etc., and they explain nongovernmental social safety net directly. In the side of history, Buddhist order gives relief to the poor who was faced with famine and disaster from Goryeo Dynasty to the present. Despite of suchlike thought and history, the present Buddhist order doesn`t fulfill nongovernmental social safety. This result from a shortage of labor force in Buddhist social welfare foundation and a unpreparedness of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between the headquarters of Korean Buddhism and branch temples. But these problems can be overcomed by the distribution of role between district head temple and branch temples and the construction of consultative group of Buddhist social welfare.

      • KCI등재

        템플스테이 운영인력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근무환경에 대한 연구

        조기룡(CHO, Ki-ryong) 불교학연구회 2014 불교학연구 Vol.40 No.-

        본고는 템플스테이 운영인력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근무환경 요인들을 분석 후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장기근무를 유도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근무환경 요인은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직무 자체, 인간관계, 보수, 신분보장·복지후생, 근무조건, 사회적 인식 등 6개로 설정하였다. 상기의 요인들을 회귀분석한 결과, 인간관계 〉 사회적 인식 〉 신분보장·복지후생 〉 보수 〉 직무 자체 〉 근무조건 등의 순으로 템플스테이 운영인력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템플스테이 운영인력의 근무환경 개선방안은 정량조사와 정성조사를 병행 실시하여 각 요인별로 제시하였다. 정량조사는 컴퓨터를 이용한 109개 사찰의 템플스테이 운영인력을 대상으로 웹 설문조사 후 회귀분석을 실행하였으며 정성조사는 임의표본추출법으로 20명을 선정하여 1:1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고에서 도출한 요인별 개선방안은 ‘직무 자체’와 관련해서는 템플스테이 운영인력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체제 수립, ‘인간관계’와 관련해서는 의사소통 교육과 정기적 대화 그리고 제도적 장치의 마련, ‘보수’와 관련해서는 경력에 따른 차등화된 보수체계 마련, ‘신분보장·복지후생’과 관련해서는 사회법과 종법(宗法)의 관련 의무·보장사항 준수, ‘근무조건’과 관련해서는 팀제 구성(자원봉사자 활용)과 업무 분장, 마지막으로 ‘사회적 인식’과 관련해서는 종단과 사찰 내 인식제고의 선행과 공식적 자격증 취득제도의 마련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of working environments that affect the turnover intent of templestay employees, in order to explore ways of improving those factors and to induce their long-term service. Known working environment factors that affect intents of turnover include the job itsel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emuneration, career guarantees/welfare, working conditions, and social recognition, which were selected through the analysis of prior research. A regression analysis of the above-mentioned factors show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d the highest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s of templestay employees, followed by social recognition, career guarantees/welfare, remuneration, the job itself, and working condition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es were conducted. Furthermore, ways of improving each factor of the working environment are presented. For quantitative research, Computer Aided Web Interviews (CAWI)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For qualitative research, 20 templestay employees from 109 temples were selected through random sampling, and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m. Suggestions to improve each factor developed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With regards to the “job itself”, an educational system that enhances the professionalism of the templestay employees needs to be established.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raining in communication, regular dialogue, and the provision of institutional strategies are required. On “remuneration,” a pay system graded according to experience should be implemented. With regards to “career guarantees/welfare,” the enforcement ofduties and guarantees related to secular laws and the regulations of the Jogye Order is needed. For “working conditions”, the creation of a team system (using volunteers) and the division of labor is needed. Finally, with regards to “social recognition”, giving priority to enhancing their recognition in the religious order and temples, and an official system of certification is required.

      • KCI등재

        기획 논문 : 사찰경영의 성공적 사례와 불교교단적 함의

        조기룡 ( Ki Ryong Cho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9 禪文化硏究 Vol.7 No.-

        수행을 본분사로 하는 출가자에게 사찰의 경영은 원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낯설고도 어려운 일이다. 현재 사찰경영과 관련해서는 교육을 제대로 받을 수도 없기 때문에 출가자의 대부분은 지인들로부터 사찰경영에 대한 노하우(know-how)를 듣는 수준에 그칠 수밖에 없다. 이에 필자는 사찰경영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사찰 중 양적 기준과 질적 기준을 충족하는 표본사찰을 선정하여, 그 성공과정과 성공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불교교단적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선정된 표본사찰은 능인선원(서울), 한마음선원(안양), 석왕사(부천), 한국불교 대학 大관음사(대구), 구룡사(서울)였다. 표본사찰들은 사찰별로 특성 있는 경영을 하여 성공적으로 양적·질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그런데 각각의 표본사찰들이 특성 있는 경영을 하고 있는 가운데서도, 공히 ``신도를 교육하여 체계적으로 조직한 후 대내적으로는 사찰의 일에 동참시키고, 대외적으로는 봉사활동을 통하여 지역사회에 기여하게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혹자들은 흔히 신도의 수를 증가시키고 사찰의 규모를 확장하는 것을 사찰경영의 성공적 사례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사찰경영의 궁극적 목적은 대형사 찰로의 성장이 아니라 부처님의 가르침을 널리 전하여 중생을 제도하는 것이다. 이에 사찰의 크고 작음이 아닌 사찰의 가치가 무엇이며, 포교란 어떤 의미인가에 대한 불교적 성찰을 통하여 목표가 성취되어가는 사찰이 만들어져야 한다. 또한 불법(佛法)의 홍포(弘布)를 위하여 포교당의 창건이 특정지역에 편중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현재의 대형포교당들이 막대한 지원을 하여 분원·지원을 개원하는 것은 해당 지역의 기존 중소형사찰들을 생존의 위기로 몰아넣을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The management of temple is an unfamiliar and difficult matter to the monk to be absorbed in the ascetic exercises. Because the monks have had little formal schooling about the management of temple, their learning for management of temple is degree of listening courteously the know-how from an acquaintance. On this, I select sample temples which are sufficient for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andards, analyze the process and the primary factor of success, and show the social implications. The selected sample temples are Nungin Sunwon(Seoul), Hanmaum Seonwon (Anyang), Seokwangsa(Bucheon), Korea Buddhist University·Great Kwaneum Temple (Daegu), and Guryongsa(Seoul). These temples have successfully grown both in quality and in quantity by the management to be able to project their own personality. But among the each personality management, we can find that "after training and organizing believers, all sample temples have believers join in affairs of temple internally and have them contribute to society externally by the voluntary activities. A certain person often considers successful management of temple as the quantitative growth. But a final object of temple management is not growth to big temple but salvation of mankind. On this, we must manage temple from the viewpoint of missionary activities. With this view, an establishment of temple has not to lean upon the specified region to gather believers easily. And also we must give attention to the branches to be established by the huge support of big temple because the branches can drive existing small temples to the ruin.

      • KCI등재

        보살사상과 서번트 리더십에 기반한 사회복지사 리더십의 도출

        조기룡(Cho Ki-Ryong) 한국불교연구원 2008 불교연구 Vol.29 No.-

          Thought of boddhi-sattva(菩薩) that relieves mankind and servant-leadership that serves a person and leads him are the foundation of social welfare leadership that respects the dignity of all mankind.<BR>  Boddhi-sattva practices ?a?-p?ramit?(六波羅蜜) and caut?-sa?graha-vastu(四攝法). ?a?-p?ramit?(六波羅蜜) means d?na(布施), ??la(持戒), k??nti(忍辱), v?rya(精進), dhy?na(禪定), praj??(智慧) and Caut?-sa?graha-vastu(四攝法) means d?na-sa?graha(布施攝), priya-v?dit?-sa?graha(愛語攝), artha-cary?-sa?graha(利行攝), sam?n?rthat?-sa?graha(同事攝).<BR>  Robert K. Greenleaf who originates servant-leadership and Larry C. Spears who succeed to the servant-leadership present listening, empathy, healing, persuasion, awareness, foresight, conceptu alization, commitment to the growth of people, stewardship, and building community as the characters of servant leader.<BR>  ?a?-p?ramit? and caut?-sa?graha-vastu of boddhi-sattva are a means to relieve mankind and the characters of servant leader are a means to serve a person. And therefore according to the relief and service, the pre-sent writer presents understanding about a human being, a respect of other people, a increase of participation, and a self-sacrifice based on philanthropy as social walfare leadership.   중생구제를 하고자 하는 보살사상과 다른 사람을 섬기어 이끌고자 하는 서번트 리더십은 모든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존중하고자 하는 사회복지사에게 필요한 리더십의 기저가 될 수 있다. 보살은 보시(布施), 지계(持戒), 인욕(忍辱), 정진(精進), 선정(禪定), 지혜(智慧)의 육바라밀과 보시섭(布施攝), 애어섭(愛語攝), 이행섭(利行攝), 동사섭(同事攝)의 사섭법을 실천 덕목으로 한다. 또한 서번트 리더십의 창시자인 Robert K. Greenleaf와 계승자인 Larry C. Spears는 듣기, 공감, 치유, 설득, 인식, 선견, 개념화, 사람들의 성장을 위한 헌신, 청지기 정신, 공동체 형성을 서번트 리더의 특징으로 제시하였다. 보살의 육바라밀과 사섭법은 중생구제를 위한 방편이며, 서번트 리더의 특징은 섬김의 방편이다. 중생구제와 섬김은 사회복지사의 덕목과 일치한다. 이에 사회복지사의 리더십을 구제와 방편에 준거하여서, ‘인간에 대한 이해’, ‘다른 사람을 존중하는 태도’, ‘참여의 최대화’, 그리고 ‘박애에 의한 헌신’으로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대한불교조계종, 교구자치의 저해요인과 개선과제

        조기룡(Cho, Ki-ryong) 불교학연구회 2016 불교학연구 Vol.46 No.-

        현대불교사에서 조계종은 종정과 총무원장 중심의 중앙집권으로 인한 쓰라린 분규를 반복적으로 경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을 발판으로, 1994년 개혁종단은 인사권의 교구이양, 교구종회의 신설 등 교구분권적 제도를 도입하였으나, 현재 까지도 여전한 중앙집권적 제도와 운영, 그리고 의식으로 인하여 교구자치는 정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제도, 운영, 의식의 측면에서 각각의 저해요인과 개선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우선 교구자치의 저해요인을 살펴보면, 제도 측면에서는 교구의 주요 인사와 재정을 총무원장의 임명과 승인으로 규정하고 있는 조계종의 중앙집권적 제반 법령이 해당된다. 운영 측면에서는 본사주지에게 집중되어 있는 교구내 권력 불균형과 교구본사간 현격한 사세(寺勢)의 차이로 인한 교구간 성장 불균형을 들 수 있다. 의식 측면에서는 총무원장과 본사주지를 중심으로 한 교구자치에 대한 중앙과 교구의 무관심을 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교구자치의 개선과제를 살펴보면, 제도 측면에서는 <교구자치법>을 제정 후 이를 모법(母法)으로 삼아서, 교구분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종단의 관련법령을 정비하여야 한다. 운영 측면에서는 첫째, 본사주지의 영향력으로부터 교구 종회를 독립시켜 교구행정기관에 대한 견제 기능을 강화시켜야 한다. 둘째, 교구의 운영에 신도의 참여를 보장하여 승가의 전유(專有)로 인한 교구행정의 불투명성을 제거하여야 한다. 셋째, 50여 년 전 획정된 현행 25교구체제를 재획정하거나 분구(分 區)하여 사회와 종단의 현 상황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의식 측면에서는 자신의 종단 권력을 나누어주어야 하는 총무원장의 의지와 이를 받고자 하는 교구의 의지가 모두 강력하게 존재하여야 한다.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n Buddhism, the Jogye Order has gone through repeated bitter disputes that could be attributed to the centralized administration of the Supreme Patriarch and the Executive Director of the Order’s administration. Based on such experiences, the Reformation Order introduced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in 1994. However, the autonomy of parishes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This study presents the factors hampering the introduction of changes to the system, operations, and mentality, as well a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First, the factors hampering the establishment of autonomy in the parishes are examined as follows: in terms of the system, the Jogye Order’s centralized laws have attracted a fair amount of critical attention. In terms of operations, great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question of the inequality of the power within the parish and the inequality of the power between parishes. In terms of mentality, an air of indifference in the central organizations and in the parishes has received much attention. Next,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nd implementation of autonomy within parishes are presented as follows. In terms of the system, the Parish Autonomy Law should be enacted as the parent law, and all relevant laws of the Order should be revised and improved to achieve power decentralization. In terms of operations, first the council of the parish should be free from the influence of chief monks at the head temple to bolster the checks and balances against parish administration institutions. Second, lay people’s engagement should be allowed for the transparency of administration. Third, the current 25-parish division system should be revised. In terms of mentality, there should be strong determination from both the executive director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Order and the parishes to execute delegation of powers.

      • KCI우수등재

        개혁종단의 한계와 과제

        조기룡(Cho, Ki-ryong) 불교학연구회 2021 불교학연구 Vol.68 No.-

        1994년 개혁불사는 개혁회의라는 혁명기구를 통하여 현재의 조계종 종단구조를 수립하고, 개혁종단을 출범시켰다. 이후 조계종에서 1994년 개혁불사와 개혁종단의 이념과 성과는 절대시 되어왔다. 그에 대한 평가는 긍정 일변도였으며, 부정적 평가는 금기시하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근래 들어서는 개혁종단의 종단개혁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조금씩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의 연구목적은 개혁종단의 한계와 과제를 객관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시대에 맞는 종단운영의 풍토와 구조의 형성에 기여하는데 있다. 개혁종단의 한계로는 종책모임의 대두와 종단정치의 과잉, 종단개혁의 세속성, 승가의 갈등과 분열, 행정 중심 종단운영을 제시하였다. 종책모임의 대두와 종단정치의 과잉은 개혁종단의 출범과 함께 대두된 계파로 인하여 종단에 정치가 넘쳐나면서 종교성이 상실되었다는 것이다. 종단개혁의 세속성은 개혁종단이 지향한 민주화와 자주화가 종교조직이 아닌 세속 조직의 절대 가치라는 것이다. 승가의 갈등과 분열은 개혁종단이 인적 청산과 선거제도 정착에 천착하면서 승가에 정치적・경제적 불평등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행정 중심 종단운영은 개혁종단이 종교적 개혁이 아닌 행정적 개혁에 치중했다는 것이다. 개혁종단의 과제로는 종교적 정체성의 회복, 화합공동체의 실현, 비구니와 재가자의 참종권 확대, 종단조직의 재정비를 제시하였다. 종교적 정체성의 회복은 개혁종단이 제도개혁에서 나아가 승풍진작과 종풍쇄신을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화합공동체의 실현은 계파의 해체 또는 순기능 강화, 1994년 징계자 재심, 소유와 분배의 평등 등을 통하여 승가의 화합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비구니와 재가자의 참종권 확대는 비구 중심의 종단 운영에서 변화하여 비구니와 재가자가 종단과 사찰의 운영에 참여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종단조직의 재정비는 중앙기구를 현재의 행정 우위에서 수행과 전법이 우위에 놓일 수 있도록 다시 정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The reform of the Jogye Order in 1994 completed the current order structure. Since then, the ideology and performance of the Reform Order have been regarded as absolute and negative evaluation has been forbidden. However, in recent years, objective evaluation of the Reform Order has been gradually m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present the limitations and tasks of the Jogye Order, thereby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the ambience and structure of order management system suitable for a new era. This paper presented the limits of the Reform Order in the following four ways: First, due to the factions that emerged with the start of the Reform Order, politics has overflowed within the order, while religiosity has been lost. Second, the democratization and independence aimed by the Reform Order are the absolute values of secular organizations, not of religious organizations. Third, political and economic inequality occurred in the saṃgha as the Reform Order was devoted to the liquidation of opponents and the settlement of the electoral system. Fourth, the Reform Order focused on administrative reform, not on religious reform. This paper presents the following four tasks: First, the present Jogye Order should focus on the renewal of the saṃgha spirit, not on the institutional reform. Second, the harmony of the saṃgha must be pursued through 1) the dissolution of the factions, while strengthening positive function of them, 2) reconsideration of the disciplinary punishment in 1994, and 3) the realization of equality in possession and distribu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urrent bhikṣu-centered order management so that bhikṣuṇīs and lay believers can participate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Order and temples. Fourth,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central organizations so that higher priority can be given to spiritual practice and propagation, not to administrative system.

      • KCI등재

        도시와 농어촌 사찰의 지역친화 포교방안

        조기룡 ( Ki Ryong Cho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3 禪文化硏究 Vol.15 No.-

        사찰은 지역사회를 떠나서는 존립할 수 없기에 지역사회와 사찰이 상의상관(相依相關)할 수 있는 포교방안의 수립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도시 사찰[한마음선원(안양시)과 해남사(울산광역시)]과 농어촌 사찰[삼화사(동해시)와 정토사(당진시)]에 대한 정성조사와 정량조사를 실시 후 도시와 농어촌 사찰이 지역과 친화할 수 있는 포교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표본사찰의 선정과 그 서면•방문 조사는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의 협조와 행정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현행 도시와 농어촌 사찰들의 지역친화방안은 구체적인 시행방법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었으나 큰 틀에서는 문화와 복지 분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다만 농어촌 사찰의 경우는 환경[생명] 살리기 운동과 농촌경제 활성화[일자리 창출]도 지역친화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필자는 문화와 복지를 중심으로 한 ‘생활 공동체운동’과 환경과 농촌경제를 중심으로 한 ‘생태 공동체운동’으로 대별하여 지역친화 포교방안을 도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생활 공동체운동 중 문화 분야에서는 문화센터와 문화행사를, 복지의 측면에서는 노인복지, 아동복지, 실직자 및 노숙인 복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생태 공동체 운동 중 환경 분야에서는 자연환경보호운동과 생명농업운동[친환경유기농업]을, 농촌경제 분야에서는 마을기업과 영농조합법인, 그리고 도-농 사찰 간 직거래운동을 제시하였다. As Buddhist temples can not exist isolated from the community, propagation plans, in which the community and the Buddhist temples have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need to be established. In this thesis, propagation plans in which urban and rural Buddhist temples can have cordial relationships with the community were formulated by conducting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y on urban Buddhist temples (Hanmaum Seon Center, Anyang City; Haenamsa, Ulsan Metropolitan City) and rural Buddhist temples (Samhwasa, Donghae City; Jungtosa, Dangjin City). The selection of sample Buddhist temples and the conduct of written and visiting surveys were accomplished with the cooperation of and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Bureau of Missionary Activities in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differences in the concrete operating methods of ways to establish cordial relationships between urban and rural Buddhist temples and the community, but in the broad framework, they were categorized into the cultural and welfare fields. In the rural Buddhist temples, however, an environment-(life)-saving movement and rural-economy vitalization (job creation) were being carried out in the community-friendly aspect. Accordingly, community-friendly propagation plans were derived, which were categorized into a “life-care community movement” centering on culture and welfare and an ecological community movement centering on the environment and the rural economy. More specifically, in the cultural field of the living-care community movement, cultural centers and events were presented, and in the welfare aspect, the welfare of the aged, children, unemployed, and homeless people was presented. In the life field of the ecological community movement, the natural-environment protection and bio-farming (environment-friendly organic farming) movements were presented, and in the economic field, village enterprise-farming association cooperation as well as a movement for direct dealing between urban-rural Buddhist temple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