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sub>2</sub>농도 및 온도 상승이 하천변 잠재자연식생인 졸참나무와 갈참나무 잎의 형태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조규태,김해란,정헌모,유영한,Cho, Kyu-Tae,Kim, Hae-Ran,Jeong, Heon-Mo,You, Young-Han 한국습지학회 2013 한국습지학회지 Vol.15 No.2

        한반도의 참나무 중 하천변 잠재자연식생인 졸참나무와 갈참나무를 대상으로 지구온난화의 핵심 요소인 $CO_2$농도와 온도를 상승시킬 때 잎의 형태학적 반응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알아보고자 유리온실 내에서 대기 중의 $CO_2$농도를 그대로 반영한 대조구와 이보다 $CO_2$농도는 약 1.6배와 온도는 $2.2^{\circ}C$상승시킨 온난화처리구에서 실험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졸참나무와 갈참나무는 $CO_2$농도와 온도의 상승으로 인하여 잎폭 길이, 잎몸 무게 그리고 엽면적이 증가하고 잎 수와 비엽면적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졸참나무는 잎폭 길이, 잎몸 길이, 잎몸 무게, 잎 수, 엽면적 그리고 비엽면적 모두 대조구와 온난화처리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갈참나무는 잎폭 길이와 잎몸 무게의 증가, 비엽면적의 감소가 뚜렷하였다. 이상의 잎의 형태학적 반응으로 볼 때, 갈참나무는 $CO_2$농도와 온도에 대하여 졸참나무 보다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성분분석 결과, 두 종은 요인 1과 2에 의해 대조구와 온난화처리구에서 배열에 차이가 있었고, 온난화처리에 대한 변화는 졸참나무보다 갈참나무에서 명확히 구별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leaf morphological responses of Quercus serrata and Q. aliena which ar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riverine in Korea under elevated $CO_2$ and increased temperature. Rising $CO_2$ concentration was treated with 1.6 times than control(ambient) and increased temperature with $2.2^{\circ}C$ above the control(ambient) in the glass greenhouse. As a result, leaf width length, leaf lamina weight and leaf area of Q. serrata and Q. aliena was respectively increased, and number of leaves and specific leaf area(SLA) was decreased by elevated $CO_2$ and temperature. Leaf width length, leaf lamina length, leaf lamina weight, number of leaves, leaf area, and specific leaf area of Q. serrata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 Leaf width length and leaf weight of Q. aliena was increased, but specific leaf area was de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Q. aliena was to be sensitive than Q. serrata in response to global warming situation. According to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two oak species were arranged based on factor 1 and 2 in the control and warming treatment. And change on the warming treatment was clearly distinguishable from the Q. aliena than Q. serrata.

      • KCI등재

        모의기반획득을 위한 시뮬레이션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개발

        조규태,심준용,이용헌,이승영,김세환,Cho, Kyu-Tae,Shim, Jun-Yong,Lee, Yong-Heon,Lee, Seung-Young,Kim, Sae-Hwan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10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19 No.3

        Recent modeling and simulation technology is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Especially in the field of military, Simulation-Based Acquisition (SBA) is recognized as a essential policy. To effectively carry out SBA, modeling and simulation techniques should be applied in the whole life-cycle for the weapon system development, and simulation architecture framework which provides easily reusable and interoperability is needed. Through reusability and interoperability, the costs of constructing the integrated collaborate environment for simulation based acquisition can be minimized. In this study, we define requirements, issues for enhancing reusability and interoperability, and propose simulation framework as a solution of the problem including structural design. Proposing simulation framework provides common functions for producing simulator as reusable units and easily changeable structure on user's purpose. In addition, we provide the result for applying simulation framework to our project.

      • KCI등재

        M&S 기반 시험평가 장비 개발의 효율성 및 신뢰성 강화 방안

        조규태,이승영,이한민,김세환,정하민,Cho, Kyu-Tae,Lee, Seung-Young,Lee, Han-Min,Kim, Sae-Hwan,Jeong, Ha-Min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12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21 No.1

        최근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국방 분야에서는 모의기반획득(Simulation Based Acquisition)이 필수적인 정책으로 인식되고 있다. 모의기반획득 과정 중 시험평가 단계에서는 실제 시험이 불가능한 시험평가 환경을 모의하고 실장비 연동검증을 위한 모의 기반 시험환경 구축이 필요하다. 이때 시험평가의 효율성 및 신뢰성향상을 위해 시험평가 장비의 상호운용성, 재사용성 및 신뢰성 확보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대공 유도무기 체계 시험평가의 효율성을 위해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 기반 모의기를 제작하였고 시험평가 신뢰성 향상을 위해 VV&A 프로세스를 적용하였다. 지대공유도무기 시험평가를 위한 통합시험시스템의 개발과정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하고 실제 시험평가 적용사례 및 결과를 제시하며 향후 활용방안 및 연구방향에 대하여 설명한다. Recent modeling and simulation technologies are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especially in the field of military simulation-based acquisition (Simulation Based Acquisition) is recognized as an essential policy. In test and evaluation phase of the SBA process, to build a simulation-based T&E(test and evaluation) environment is needed when T&E cannot be carried by real weapon system. To improve efficiency and reliability for T&E, interoperability, reusability and reliability for T&E equipments and systems are important. In this study, we propose applying simulation framework for efficienct test and applying VV&A process for reliable evaluation. We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process, the actual test cases and the results of evaluation. Finally utilization plan and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is described.

      • KCI등재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인용된 식물과 한국의 우점식물종 간의 일치도 분석

        조규태 ( Kyu Tae Cho ),조이연 ( Yi Yun Cho ),유영한 ( Young Han You ) 韓國生物敎育學會 2015 생물교육 Vol.43 No.2

        In order to know how often plants in nature are utilized as educational training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e analyzed the coincidence between plant species in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the dominant plant species in natural ecosystem and school garden. Tree species cited in the science textbook agreed 15% with the dominant plant community in the natural ecosystem and 70% with the school garden trees. Terrestrial herbaceous plant matched 30% with the school garden one. However, wetland plant especially plant living in the running water system was not refereed in the textbooks. Therefore, in order to reach the educational goals of elementary life science we need to use plant distribution in natural ecosystems, Korea, and the plants need to be planted dominant species in nature like to the oak in school gardens to be frequently observed in schools.

      • KCI등재

        논문(論文) : 재미한인 임정구의 종교 활동과 민족운동(1905-1939)

        조규태 ( Kyu Tae Cho ) 대구사학회 2014 대구사학 Vol.114 No.-

        This paper is an article about Korean American Yim Chungkoo, who had lived as a religionist and nationalist, 1905-1939. To write this, I made use of Shinhanminbo, student`s records of Yim Chungkoo, annual reports of Methodist Church, South, and etc. Yim Chungkoo was born as a son of poor merchant in Pyungan-do Gangseo-gun, 1886. He became a Christian under the guidance of Arthur Noble about 1900. He went to America to study in 1905. He entered Pomona College in 1911, and transferred to U. C. Berkeley in 1914. In 1917, he graduated the department of economics of U. C. Berkeley. Also he majored in theology. After studying theology for one semester in San Francisco Theological Seminary in 1918, he entered Pacific School of Religion as connection course of BA and MA in 1927. He got a Master`s degree of literature in 1929 and a Bachelor`s degree of theology in 1930. He attended the San Francisco Methodist Church from 1914 under the guidance of Hwang Sayong, Hwang Saseon, and Cho Seonghak. He became a local preacher in 1915. After that, his status ascended to circuit preacher in 1917, Deacon in 1919, and Pastor and Port Missionary in 1921. He had worked as a minister in Oakland, Manteca, Stockton from 1915 to 1926. From 1927 to 1939, he worked in Oakland and Sacramento. During this time, he increased believers. He shared pleasure and sorrow with them, and worked to keep their rights and interests. He didn`t forget Korean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He worked on positive lines as a member of Gongliphyuphoe and Daehaninkookminhoe. Being active as a president, vice-president, member of executive committee, officer in charge of various department, representative of the assembly, he made an effort to establish the branch of the Gongliphyuphoe and Daehaninkookminhoe. He collected war funds and supported provisional government, fostered younger generation. In 1930s, he made an effort to build the anti-Japanese line of Korean and Chinese in America. By 1939 when he died, Yim Chungkoo had not pursued comfortable life, on the contrary to this he had walked across a thorny path for Korean and Korean liberation. (Hansung University / chouchi@hansung.ac.kr)

      • KCI등재

        기획논문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동학,천도교 서술 검토

        조규태 ( Kyu Tae Cho ) 동국사학회 2011 동국사학 Vol.51 No.-

        이 글은 2011년부터 사용되고 있는 6개의 『고등학교 한국사』의 동학과 천도교의 서술 체계와 내용을 검토한 것이다. 먼저 동학의 서술 체계와 내용을 검토하고,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어서 천도교의 서술 체계와 내용을 검토하고,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고등학교 한국사』에서는 동학의 창시에 관한 사항을 ``조선 사회의 변화와 서구 열강의 침략적 접근``이라는 대단원 하의 중단원과 소단원에서 다루고 있다. 대부분의 교과서는 동학이 19세기 혼란한 사회 질서를 배경으로 하여 인간평등과 사회변혁을 희구하는 새로운 사상으로 창시되었다고 있다. 각 교과서의 동학농민운동의 내용에 대한 소단원의 제목은 서로 다르다. 미래엔 컬처그룹과 삼화출판서와 지학사의 교과서는 ``제1차 농민봉기``와 ``제2차 농민봉기``로, 법문사 교과서는 ``제1차 농민 봉기``와 ``제2차 봉기``로, 비상교육은 ``동학농민운동``으로, 천재교육은 ``동학 농민군의 1차 봉기``와 ``동학 농민군의 2차 봉기``로 서술하고 있다. 이는 동학농민운동의 주체와 성격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동학 서술의 체계와 내용상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단원의 제목을 동학농민운동이라고 하면서도, 소단원과 본문에서 ``농민운동``, ``농민 봉기`` 등으로 사용하여 동학농민운동의 주체를 ``농민``으로 서술하고 있는데, 이는 중단원의 제목에 맞추어 주체를 ``동학농민``으로 바꾸어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국가교육과정에서 동학농민운동의 주체를 ``동학농민``과 ``농민``으로 섞어서 사용하고 있는 점을 통일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대부분의 교과서들은 동학농민운동 후 동학농민군의 잔여세력이 을미의병, 영학당, 활빈당 등 반외세적인 항일의병활동을 전개하였다고 하였으나, 동학농민군의 잔여세력 중 다수는 1904~5년 친일적 개화운동인 진보회(일진회) 운동을 전개하였으므로, 사실에 맞게 교과서의 서술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에 앞서 동학농민운동 잔연세력의 동향에 대한 국가교육과정 서술을 변경하는 문제를 신중히 검토해야 할 것이다. 셋째, 동학을 창시한 최제우의 신분에 대해, 미래엔 컬처그룹의 교과서는 ``몰락한 양반 출신``으로, 법문사와 지학사의 교과서는 ``몰락한 양반``으로 서술하였다. 그런데 최제우는 몰락한 양반 崔옥과 再嫁女 한씨의 소생이어서 양반으로 보기 어려우므로 ``몰락한 양반 출신``으로 표현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넷째, 법문사는 최제우가 ``인내천``을 강조하고, 미래엔 컬처그룹과 비상교육은 동학이 ``인내천``을 내세우고 포교하였다고 하였는데, 최제우는 ``侍天主``, 최시형은 ``人是天``과 ``事人如天``, 손병희는 ``人乃天``이란 용어를 사용하였으므로, 차라리 "동학은 ``사람이 곧 하늘``이란 점을 강조하며 포교를 확대하였다"라고 표현하는 것이 나을 듯하다. 다섯째, 대부분의 교과서에서는 동학농민군 제2차 봉기의 원인으로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과 조선 내정에 대한 간섭을 들고 있으나, 이에 더하여 ``관군과 일본군의 동학농민군 토벌``을 첨가하는 문제도 숙고해보아야 할 것이다. 여섯째, 미래엔 컬처그룹의 ``재판을 받기 위해 법정으로 출두하는 전봉준``의 화보와 지학사의 ``잡혀가는 전봉준``, 천재교육의 ``전봉준(1855~1895)``의 화보는 동일한 사진이나 캡션은 상이하므로, 사실 확인 후 정확한 캡션을 달아야 할 것이다. 일곱째, 동학농민군의 제2차 봉기에 대한 그림에 있어서, 법문사, 비상교육, 삼화출판사, 지학사, 천재교육의 교과서는 황해도지역의 동학농민군 봉기 사실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또, 비상교육의 ``동학 교세의 확장과 교조 신원 운동`` 도표 중에서 ``교조 신원 운동(1893)``이란 설명과 삼화출판사의 ``동학의 교세 확장``이란 도표 중에서 ``교조 신원 상소 운동(1892)``이란 설명은 ``복합상소(1893)`` 또는 ``경복궁 상소(1893)``로 수정해야 할 것이다. 여덟째, 전거의 기재 요령을 정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전거를 다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에서 다루는 천도교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Ⅴ단원 ``근대 국가 수립 운동과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제5장 ``민권 의식이 성장하고, 근대 문물이 들어오다``/제5절 ``문예와 종교에 부는 새로운 바람``의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항일 투쟁에 앞장선 천도교와 대종교``라는 항목에서 천도교의 성립 과정과 애국계몽운동을 다루고 있다. 다음으로 Ⅵ단원 ``일제의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에서는, 제3장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제3절 ``민족의 정기를 빛낸 3·1운동``에서 천도교의 3·1운동, 제3장/제4절 ``황제의 나라에서 국민의 나라로``에서 연해주에서 조직된 대한국민의회의 대통령에 선임된 손병희, 제4장 ``나라 안에서 다양한 민족 운동을 전개하다``/제2절 ``실력을 길러야만 독립을 이룰 수 있다``와 ``자치운동을 내세워 일제와 영합하다``라는 항목에서 천도교 신파의 최린의 자치운동, 제4장/제2절 ``실력을 길러야만 독립을 이룰 수 있다``의 ``6·10 만세 운동, 민족주의계와 사회주의계가 연대를 모색하다``라는 항목에서 천도교의 6·10만세운동, 제4장/제4절 ``차별 없는 사회를 꿈꾸며``의 ``아이에서 어린이로``라는 항목에서 방정환이 주도한 천도교의 소년운동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Ⅶ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이란 대단원/제3장 ``사회 운동의 변화와 민족 문화 수호 운동의 전개``/제3절 ``종교 활동을 통해 민족 운동에 나서다``에서는 ``대중 운동과 문화 운동에 힘쓴 천도교``라는 항목에서 천도교 청년회와 소년회가 청년·여성·어린이 운동을 벌였으며 "개벽", "신여성" 등의 잡지를 발간하여 평등사상과 민족의식을 고취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천도교 관련 서술 중에서 잘못되거나 표현이 적절하지 않은 다음의 사항은 재고 혹은 수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첫째, 대부분의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서는 1930~40년대에 해당하는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이란 Ⅶ단원에서 1920년대의 천도교의 활동을 다루고 있다. 이 서술은 체제상 적절하지 않다. 그러므로 이 내용은 Ⅵ. ``일제의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제4장 ``나라 안에서 다양한 민족 운동을 전개하다``의 절과 항에서 다루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둘째, 손병희가 1900년대 초 문명사회를 시찰하러 일본에 간 것을 ``도피``(비상교육) 혹은 ``망명``(천재교육)이라고 표현하였는데, 외국의 문물을 시찰하기 위해서 단지 밖으로 나갔다는 의미의 ``외유``라는 용어를 쓰는 것이 좋을 듯하다. 셋째, 천재교육의 『고등학교 한국사』 179쪽의 "1906년``에 동학을 천도교로 개편하였다"라는 내용 중 ``1906년``은 ``1905년``으로 수정해야 할 것이다. 넷째, 천재교육의 『고등학교 한국사』 228쪽의 ``천도교청년회``는 ``천도교청년동맹``으로, 법문사의 『고등학교 한국사』 278쪽에 실린 ``한순희``는 ``한순회``로 고쳐야 할 것이다. 다섯째, 법문사의 『고등학교 한국사』 278쪽의 캡션의 ``천도교의 단천 연맹 창립 기념 촬영(1928)``이란 설명은 천도교에서 모임을 가진 ``단천청년동맹``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미래엔 컬처그룹의 『고등학교 한국사』 234쪽의 "고종 황제가 서거하자 일제가 독살했다는 소문이 퍼져 국민들이 크게 분노하였다. 이에 독자적으로 독립운동을 준비하던 천도교계, 기독교계와 학생들이 합세했으며"라는 표현은, 3·1운동을 주도한 천도교를 단지 고종의 독살에 항거하는 국민들에 합세한 집단으로 격하하는 것이므로, 서술의 방식을 수정하는 것이 어떨까 싶다. 몇 마디만 덧붙인다면, 천도교의 역할이 크고, 활동이 많았음에도 이에 대한 언급이 없는 천도교 구파의 신간회 활동, 1925년 천도교가 주도하여 설립한 대표적 농민단체인 조선농민사, 천도교에서 발행한 1920년대 대표적인 여성잡지인 『신여성』 등과 천도교와의 관련성을 언급하였으면 한다. 아울러 천도교 관련 화보의 수를 늘리고, 양질의 사진을 실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This research paper is on the Donghak and Cheondogyo written in texts of Korean History of High School used from 2011. I reviewed closely the description systems and contents about Donghak of Korean History of High School and suggested some problems. And I examined thoroughly the description systems and contents about Cheondogyo and presented several problems in them. In large and middle titles of texts of Korean History of High School, Donghak and Peasant Movement is described not as Donghak Revolution, Donghak and Peasan Revolution, Peasant War, but as Donghak and Peasant Movement. It means that the agent of Donghak and Peasant Movement is donghak and peasant. But in some body texts of the Korean History of High School, only peasant is described as the agent of Donghak and Peasant Movement. This is not correct. The agent of Donghak and Peasant Movement should be rectified as donghak and peasant. Most texts of Korean History of High School described remnants of Donghak and Peasant Movement as being changed into loyal soldiers. But in fact, most of remnants developed pro-Japanese enlightenment movement, Jinbohoe Movement. Texts of Korean History of High School should be modified according to facts. Several contents to describe Choe Je-Woo`s status as Yangban, Choe Je-Woo`s missionary method, and the reason of donghak and peasant army`s second uprising should be altered. And some pictures about Donghak Donghak and Peasant Movement have to be changed to correct ones, and a few captions and explanations about them should be modified. I think that it is very suitable to change the description system, where children movement and women movement of 1920s were treated in the Ⅶ chapter of Korean History of High School to cover from 1930s to 1940s. And some errors about Han Soon-Hoe`s name, the foundation year of Cheondogyo, the caption of Cheondogyo Dancheon Association, and the description about the role of Cheondogyo in 3·1 Movement should be modified.

      • KCI등재

        해산(海山) 김정묵(金正黙)의 중국 관내(關內)에서의 민족운동

        조규태 ( Cho Kyu-tae ) 대구사학회 2020 대구사학 Vol.138 No.-

        이 글은 경북 선산의 양반 출신인 김정묵(1888~1944)이 1911년 중국으로 망명하여 사망한 1944년까지 중국의 상해와 북경, 만주 등지에서 전개한 독립운동에 대하여 살펴본 글이다. 이 글을 쓰기 위하여, 일제의 정보문서, 신문, 독립운동가의 일기와 증언,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등을 활용하였다. 김정희는 1911년 장인의 동문인 한계 이승희가 있는 중국 밀산 한흥동에 가서 독립운동기지를 건설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1914년 한계 이승희가 공교회운동을 하기 위해 북경에 이동한 것에 맞추어 북경에 유학하였다. 그는 1914년 북경법정전문학교 법률과에 입학하여 4년간 근대적인 학문을 수학하였다.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의 종전에 즈음하여, 만주와 연해주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한 그는 1919년 4월 경 상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이에 참여하였다. 그는 임시의정원 경상도 의원으로 제도를 정비하고, 각종의 정책을 결정하고, 독립운동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방책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그는 임시의정원 의원으로서 1919년 9월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한성정부와 대한국민의회의 통합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그는 통합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임시의정원의 운영에 불만을 품고 임시의정원 의원을 사직하였다. 그리고 그는 북경으로 가서 신채호 등과 무장투쟁세력의 통일과 이를 통한 독립운동을 전개하려 하였다. 다만 그는 소비에트 러시아의 지원에 의해 군대를 양성하려는 박용만과 신숙 주도의 군사통일회의에 참여하지 않고, 김좌진 등과 연계하여 중국의 지원에 의한 군사단체의 통일을 이루려고 하였다. 1920년대 중반 소·일협약과 三矢協定에 의해 일본과 소련, 일본과 봉천군벌과의 화해 분위기기 형성되고 중국과 연해주에서의 독립운동이 난관에 봉착하고, 또 국내에서도 타협적 독립운동인 자치운동이 전개되자, 그는 투쟁적 독립운동노선을 견지시키기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는 1925~26년 의열단과 연계하여 김창숙의 제2차 유림단의거를 지원하였고, 1926년 대독립당조직북경촉성회에 참여하였다. 한편 그는 1926년 11월 경 북경에서 入籍墾民會를 발기하고 만주지역 한인의 입적을 도와 이들의 권익을 옹호하기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아울러 만주지역의 한인을 괴롭히는 마적과 관계를 개선하고, 반한인감정을 갖고 있던 중국인들의 태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1931년 만주사변이 발생한 후 그는 만주에서 북경으로 이동하여 1932~33년 경 김원봉과 항일구국회 활동을 벌였고, 열하에 중한항일전을 전개하기 위한 한인의용군 사령부를 조직하려고 하였다. 한편 그는 1932년 8월 이후 군사위원회 북평분회 법무관이 된 것을 활용하여, 중국 국민당의 간부 및 군사위원들과 접촉하여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와 낙양군관학교의 개설과 학생의 모집, 운영 등을 후원하였다. 양반으로서 고등교육을 받아 유복하게 살 수 있었지만 그는 독립운동이라는 험한 길을 걸었다. 그의 인생은 ‘노블리스 오블리제’를 실천한 선각적 독립운동가의 모습이었다. The topic of this article is Kim Jung-mook(1888-1944) who was a patriot born in Sunsan, Gyeongsangbookdo Province. I reviewed his activities in Shanghai, Beijing, Manchuria and elsewhere in China, from 1911 until 1944. To do this research, I made use of information documents of Japan government, newspapers, testimony from independence activists, and ect. In 1911, Kim Jeong-mook went to Hanheung-dong in Milsan, China, where with his father-in-law's alumni, Lee Seung-hui, he made an efforts to build an independence movement foundation. IN 1914, he went to Beijing and entered into Peking Law School, and studied modern laws for four years. Around the end of World War I in 1918, he did independence movement in Manchuria and Primorsky of Russia. And immediately after the establishing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Shanghai around April 1919, he went to Shanghai and become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He decided on various policies, and prepared measures to raise funds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whe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Hansung Government and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were merged in 1919, he supported the integra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Shanghai and the Provisional Legislative Council of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he resigned from the interim parliament in 1920 after learning that Lee Seung-man had insisted on mandatory rule. Then he went to Beijing to organize a military unification promotion association with Shin Chae-ho and Park Yong-man and called for the unification of armed struggle forces. However, he did not participate in the military unification conference led by Park Yong-man and Shin Sook, which was to train troops by the support of Soviet Russia, but tried to achieve the unification of military groups supported by China in conjunction with Kim Jwa-jin. In the mid-1920s, when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and the Maritime Provinces faced difficulties, and the autonomous movement, which was a compromise, was developed at home, he proceeded to maintain the militant independence movement line. He supported Kim Chang-sook’s second Yurimdan struggle in 1925-26, and participated in the Great Independent Party Organization Beijing Promotion Conference in 1926. Meanwhile, he launched the Civil Society in Beijing around November 1926 and helped Korean residents in Manchuria to defend their rights and interests. In addition, activities were carried out to improve the stable relationship and the attitude of the Chinese who had anti-Korean sentiment in Manchuria.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occurred in 1931, he moved from Manchuria to Beijing to engage in anti-Japanese activities. There around 1932-33, he tried to organize a Korean-Chinese military headquarters to stage a War against Japan. Meanwhile, using his status as a lawyer for the Military Commission's North Pyeongbun Division since August 1932, he contacted senior officials and military members of the People's Party of China to sponsor the opening of the Chosun Revolution Military Political Officer School and Nakyang Military Academy, recruiting and operating students. As a nobleman, he was able to live comfortably with a higher education, but he walked on the rough road of independence movement. His life was one of a visionary independence activist who practiced Noblesse Oblige.

      • KCI등재
      • KCI등재

        1920년대 북경고려기독교청년회의 종교활동과 민족운동

        조규태(Cho Kyu-Tae)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9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1 No.-

        경술국치를 당한 1910년 후 손정도ㆍ이대위ㆍ장자일 등 수명의 기독교인들은 유학의 목적으로 북경으로 이주하였다. 그리고 3ㆍ1운동 후, 이용설, 한영복, 조영 등의 기독교인들이 국내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고 일경의 검거를 피해 북경으로 망명하였다. 북경의 기독 청년들은 1919년 말부터 연해주와 만주 등지에 사람을 보내 기독교인들을 모집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대한독립청년단 등의 독립운동단체에 참여하기도 하였지만, 독립운동단체를 조직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그런데 마침 1920년 2월 북경에서 ‘미감리교회동아총회’가 열리고, 이 회의에 참석하기 위하여 북경에 온 감독 허버트 웰치, 선교사 노블ㆍ케이블ㆍ무어와 한국인 감리사 오기선ㆍ최병헌, 목사 김종우ㆍ안창호ㆍ배형식 등이 기독교청년회의 설립을 권유하였다. 그러자 독립운동단체를 조직하기를 희망하였던 북경의 기독 청년들은 웰치 등의 제의를 받아들여 1920년 2월 10일 북경고려기독교청년회를 조직하였다. 그리고 燈市口의 公理會에 사무실을 마련하고 활동을 시작하였다. 창립 당시 동회의 회장은 이용설이었고, 총무부장은 심천, 운동부장은 김하선, 교육부장은 한영복이었다. 1922년 중반 이용설이 귀국하자 회장은 심천, 총무는 조영, 교육부장은 이윤재, 체육부장은 이병호, 간사는 이병화ㆍ최진 등으로 교체되었다. 관동대지진으로 일본유학생들이 피해를 입고, 일본유학비가 비등하자, 1923년말부터 북경에 유학을 오는 학생들이 대폭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기독교인의 수효도 증가하였다. 그리하여 1924년 북경고려기독교청년회의 회원수는 44~45명에 이르렀다. 북경에 거주하는 외국인 선교사와 중국의 기독교청년회원과 기독교인의 후원도 증가하였다. 세브란스 교수로 활동하였고, 당시 협화의학전문학교 교수로 있던 밀스, 감리교 목사 Wilder 등이 ‘청년회'의 활동을 지원하였다. 그리고 북경 기독교청년회의 고천우ㆍ장지신 등도 동회의 활동을 후원하였다. 북경고려기독교청년회는 1924년 초 조선기독교청년회연합회의 가입을 신청하여 뜻을 이루었다. 1924년 7월에는 朝陽門大街314-1호에 북경한인기독교회를 설립하고, 동회의 사무실을 마련하였다. 이후 북경고려기독교청년회는 국내의 장로교ㆍ감리교연합회 본부, 북경의 협화교회, 북경 근처의 通州와 海甸교인의 후원, 북경교인들의 성금에 의하여 교회를 운영하였다. 북경고려기독교청년회는 회원 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기독인 유학생들에게 편의를 제공해주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또 동회의 회원들은 기고와 강연을 통하여 기독교인에게 청년회 운동의 중요성을 홍보하고, 겸애의 사상을 진작시키고, 민족의식의 고취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뿐만 아니라 북경고려기독교청년회의 회원들은 3ㆍ1운동기념식 등의 기념식을 개최하거나 이에 참석하여 한인의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또 집회와 시위에 참석하여 관동대지진 시 일본인의 학살만행을 규탄하고, 소비 에트러시아의 러일평화조약 체결을 비난하였다. 때로는 중국의 인민과 함께 항일시위를 전개하기도 하였다. 북경고려기독교청년회와 그 회원들은 설립 초기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외교노선을 비판하는 북경군사통일회의와 보합단 등과 함께 활동을 하였다. 그런데 1922년 중반 이후에는 안창호가 이끄는 흥사단에 참여하여 실력양성ㆍ농장경영ㆍ한국독립당 결성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한편 동 청년회가 세운 북경한인기독교회는 한인의 민족운동과 독립운동을 위해 장소를 제공하였다. 북경한인기독교회는 교회의 예배당을 1924년 유학생 단체의 통일을 협의하기 위한 회의장소, 1926년에는 대독립당조직북경촉성회를 조직하기 위한 회의장소 등의 용도로 제공하였다. 결론적으로 말해, 북경고려기독청년회는 표면적으로 기독교청년회라는 이름을 사용하였으나 실은 민족운동 및 독립운동을 전개하기 위한 결사체였다. 그리고 동회의 사무실과 동회의 회원들이 설립한 북경한인기독교회는 한인민족운동의 중심무대로 기능하였던 것이다. Before and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a few young christians moved to Beijing. They are Lee Dae Wi, Lee Yong Sul, Shim Chun, Cho Young, and Han Young Bok. Some of them came there for independence movement, others came for studying and etc. They wanted to made a christian organization for independence movement in Beijing. Fortunately, the East Methodist Churches General Council was opened in Beijing at 1920. Then H. Welch, W. A. NobleㆍE. M. CableㆍJ. Z. Moore, Oh Ki SunㆍChoi Byung Hun, Kim Jong WooㆍAhn Chang HoㆍBae Hyung Sik, who were a supervisor, missionaries, methodist district superintendents, and pastors, came to Beijing to attend the meeting. They met Lee Dae Wi, Lee Young, and etc, and persuaded this persons to organize a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for religion. A few young Christians of Beijing organized ‘the Korean Men's Christian Association of Beijing’ as an intention for religion and independence movement at February 10th, 1920. The president of it was Lee Yong Sul, and the manager of general affairs of it was Shim Chun. The office was establishd at a room of the Gongleehoe(公理會) church, in Deungsigu(燈市口) of east castle(東城). After Lee Yong Sul's returning to Korea in 1922, Shim Chun was appointed as the president, and Cho Young was appointed as the manager. In 1924, the members of ‘the Korean Men's Christian Association of Beijing’ were extended to 44~45 persons. This Christian association joined the Choseon YMCA in 1924. Subsequently the members of it established the Beijing Korean Church at the Choyangmoon(朝陽門) main street 314-1 ho. And they moved its office from the Gongleehoe(公理會) church to this church. The members of ‘the Korean Men's Christian Association of Beijing' worshiped God and kept X-mas together. They spreaded spirits of Christianity by writing for newspapers and magazines. They gave aids to Christians and common students to study abroad. Out of the religious activities, they devoted themselves to independent movement. They inspired national consciousness to Koreans by opening and participating commemorative ceremonies. Some of them joined Heungsadan (興士團) and made their efforts for independence of Korea. And others endeavored at making a national party for Korea's Independe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