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질탄산(重質炭酸)칼슘을 혼합(混合)한 시멘트 경화체(硬化體)의 내구특성(耐久特性) 평가(評價)

        정호섭,이승태,김종필,박광필,김성수,Jung, Ho-Seop,Lee, Seung-Tae,Kim, Jong-Pil,Pak, Kwang-Pil,Kim, Seong-Soo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6 資源 리싸이클링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중질탄산칼슘을 콘크리트용 혼화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중질탄산칼슘을 시멘트 중량의 0, 5, 10 및 15%의 4단계로 혼합한 시멘트 경화체를 제조한 후 시멘트 경화체의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탄산화 및 황산염침식 저항성 등과 같은 내구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본 연구 범위내에서 혼합율에 관계없이 중질탄산칼슘을 혼합한 시멘트 경화체의 경우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탄산화 저항성, 황산염침식 저항성은 중질탄산칼슘의 충전효과에 의하여 중질탄산칼슘을 혼합하지 않은 시멘트 경화체에 비하여 저항성이 다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article, we would like to investigate a durability characterization of cement mortar with inert filler, which is ground calcium carbonate(GCC). The kinds of techniques to evaluate cement mortar are chloride ion ingress, carbonation and sulfate attack. For the experimental result of the resistance of chloride ion ingress, carbonation and sulfate attack, as the addition of GCC makes decreasing the permeability by micro-filler effect, the specimens of $5{\sim}15%$ ratio of replacement are superior to the GCC0 mortar specimen with respect to durability of cement matrix in this scope.

      • KCI등재

        고구려 적석총의 被葬者에 관한 재검토

        정호섭(Jung Ho-Sub) 한국사연구회 2008 한국사연구 Vol.143 No.-

        Many of researches about buried people in Kogury? stone-filed tombs and locating of Kogury? kings' tombs have been preceded without general analysis on written records. The location of the Kogury? king's tombs is recently discussed energetically. It is considered better to work based on historical records for the moment. Also, making a chronicle according to the location. size, excavated remains and style of the tomb to figure out approximate period of its establishment and tomb's original location is crucial. This study will point out few problems in other theories and verify historical facts precisely from Samguksagi, Samgukyusa, Japanese historical material, and inscriptions engraved into stones or metal to scrutinize the location of the Kogury? king's tomb. Because the burial site of the Kogury? king's tomb is kept on record in Samguk Sagi, if the location of tombs in other studies differ to a great extent from that of Samguk Sagi, that location might be wrong. Gukyang. Gogukwon and Gukgansang are found out to be indicating the same region, a certain plain area around Gungnae Castle. Thus, instead of the original theories on river in Ji'an. Gukcheon can be located as Amnok River, Seocheon as Tongu river, Dongcheon as a small river in front of Taewanghyang. Jungcheon as a small river from Woo Mountain to south of Gungnae Castle and Micheon as Maseonguha. This implies a number of tombs of Kogury? kings since King Shindae had existed at Woo Mountain tomb or near the Chilsung Mountain tomb group. Considering the development procedure of Kogury? stonefiled Tomb closely. these kings' tombs which were established after the late of 3rd century when stepped tombs were common could be located at following places: Woo Mountain tomb NO.2110(late 3C) as the tomb of King Jungcheon: Chilsung Mountain tomb No.0211 (late 3C) as the tomb of King Seocheon: Imgang Tomb(late 3C~ mid 4C) as the tomb of King Bonsang: Seodae Tomb(early 4C) as the original burial site of King Micheon and Masungu tomb No.2100 (mid 4C) as the second burial site: Woo Mountain tomb No.0540 (late 4C) as the tomb of King Gogugwon: Cheonchu Tomb(late 4C) as the tomb of King Sosurim: Taewang Tomb(late 4C) as the tomb of King Gogugyang: Jangun Tomb(early 5C) as the tomb of Gwanggaeto the Great. Meanwhile, the burial site of the Kogury? nobility is found out to be located based on the land territory of family or one's hometown. From now on, it is important to carry out investigations on this subject, locating the Kogury? king's tomb, with great care and from various views. Particularly the way of selecting archaeological features which is regarded as the utmost reliable should be examined divided into two periods: when the tomb is originally established, and when it was restored.

      • KCI등재

        『滿洲源流考』 部族편의 내용과 성격

        정호섭(Jung Ho-Sub) 한국고대학회 2018 先史와 古代 Vol.- No.58

        「만주원류고」는 한족 중심의 사관에서 벗어나 만주족의 시각에서 편찬한 것으로 주로 영토 와 종족 문제에 대한 강한 집착을 드러낸 책이다. 내용은 기본적으로 만주족이 시대별로 숙신, 읍루, 말갈, 발해, 여진, 만주족으로 그 계통이 이어지고, 청나라의 건국은 만주지역에서 천여 년 동안의 이어져온 만주족 계통의 고유한 정치적, 문화적 발전과 진보의 결과로 설정하고 있다. 만주원류고 에서는 금의 시조를 신라, 혹은 고려 등의 인물로 상정하면서 고구려를 제외하고 부여, 삼한, 백제, 신라, 발해 등을 만주족의 계통과 범주에 포함시켰다. 물론 숙신 이하의 계통과 부여, 신라, 백제에 대한 인식이 동일한 수준의 것이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여러 사료상에 나타나는 기록 가운데 만주 계통과의 유사성을 취사선택하여 고증하고자 하였고, 특히 언어학적인 방법으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만주어, 몽고어 등을 고찰하여 비교하는 언어학적 방법의 객관성을 담보할 수 없는 것이기에 그러한 언어적 분석이 어느 정도 타당한 것인지 의문이다. 또한 당시의 기록들에 해당되는 1차 사료와 후대의 2차 사료에 대한 구분이 없는 점에서 이전 시기의 사료와 후대의 사료에 대한 객관적 사료 비판이 부재된 측면도 없지 않다. 「만주원류고」는 어쩌면 청대에 이루어진 만주족 중심의 역사서술에 기인한 의도된 사료 발췌를 통해 그들의 정통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서술된 만들어진 역사서였다고 할 수 있다. 「만주원류고」는 한반도에 존재하였던 삼한, 신라, 백제의 위치도 만주 지역으로 보고, 백제의 요서경략설을 인정하면서 수록하였고, 신라의 계림을 언어학적 유추를 통해 길림으로 비정 하면서 백제, 신라도 만주에 그 중심이 있었다고 서술하였다. 대체로 많은 사료들에 나타나는 여타의 다른 기록들을 배제한 채 서술한 것이었고, 주요 고증의 방법인 언어학적인 방법론도 그 타당성을 증명할 수 없는 것이다. 그들이 동이의식 등을 통해 만주족의 정통성을 강조하면 서 삼한, 신라, 백제 등 우리의 역사의 일부를 빌려와야 고구려가 중심인 시기에 있어서 그들의 역사와 공간 속에 나타나는 존재의 미약함을 극복할 수 있었고, 아울러 일정한 공백도 메울 수 있었다. 반대로 고구려에 대해서는 그들의 계통과는 다른 존재로 인식하였다. 고구려와 관련한 종족의 문제, 지배와 종속의 문제, 고구려와 고려의 국호의 동일함 등의 문제를 언어학 적인 방법론으로도 극복할 수 없었고, 만주라는 공간에서 고구려를 철저하게 배제하고자 하였다. 고구려의 중심을 만주가 아니라 한반도 북부로 설정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고조선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청대 만주원류고 편찬자들이 인식한 만주족 계통의 역사가 존재하였듯이 그들이 인식한 그 반대쪽 저편에 자리 잡고 있다고 볼 수 있는 우리의 역사는 고조선 고구려 고려 조선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상정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Researches on Manchu Origins was written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Manchu people beyond the Han China-centered view. It shows the strong attachment to the territorial and tribal issues. The contents of the book include the geneology from Sushen, Euploo , Mohe, Balhae, Jurchen, finally to the Manchu people in a timely order. The book proclaims that the establishment of Qing dynasty was the outcome of political and cultural evolutionary and developmental processes of the Manchu people over the 1000 years in the Manchuria. In particular, this book suggests the founder of Jin dynasty was a figure from Silla or Goryeo, attempting to bundle Buyeo, Three Hans, Baeje, Silla and Balhae together with the people of Manchu in order to emphasiz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m, based on the literature and the results of a linguistic analysis. The lack of objectivity in a linguistic analysis of comparing between Manchu and Mongolian languages has led to the question of the reliability of such analyses. Another problem of this book is that there was no distinction between contemporaneous primary documents and secondary documents written in the later period and all the references were quoted without a critical review. It seems that the aim of Researches on Manchu Origins based on deliberately chosen references was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Qing Dynasty. Researches on Manchu Origins located the places of Three Hans, Silla and Backje on the Manchu region and accepted the assumption that Baekje ruled over the west of River Liao. In addition, it also locates the position of Gyerim of Silla on the Jirin area based on the linguistic analogies as well as stating the locations of Baekje and Silla ’ s core region in the Manchuria. It is seriously flawed because not only other reliable evidence in many critical literatures were missed but also the results of such linguistic analyses cannot be verified. Identifying Dongyi communal ideology appears to have intended to emphasize the legitimacy of the Manchu people and fill the temporal and spatial gap in their history by adopting Three Hans, Silla and Baekje, which is a part of Korean history. On the other hand exclusion of Goguryeo with the independent world view in this book is thought to have been due to the fact that the existence of Gogyryeo could not be explained throughout a linguistic analysis on the issues of tribal ethnicity, rule-subjugation relations and the identical names between Goguryeo and Goryeo. Gojoseon may have been the same case.

      • KCI등재

        한국의 군사기술혁신, 무엇이 문제인가?

        정호섭(Jung Hosub)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22 전략연구 Vol.29 No.1

        한국군은 군사기술 혁신을 매우 진지하게 추진하고 있다. 무엇보다 국방부는 4차 산업혁명(이하 4IR) 시대 기술을 기반으로 초연결, 초지능화, 초융합을 목표로 "스마트 국방혁신"이라는 슬로건 아래 이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각 군은 Army Tiger 4.0, "Smart Navy" 및 "Air Force Quantum 5.0"이라는 슬로건 하에 매우 강력한 기술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 모든 사치스러운 구호와 표현들에도 불구하고 군사기술혁신을 위해 각 군이 투자한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인 점을 고려할 때 한국군의 전투력 향상 측면에서 가시적인 성과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왜 그럴까? 문제가 무엇일까? 이 논문은 이에 대해 두 가지 이유가 있다고 주장한다. 하나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프라 구축 노력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데이터 전략, 다양한 로봇(무인 차량)의 공통 통제 시스템, 미국이 추구하는 JADC2(Joint All Domain Command and Control)와 같은 공동 작전 네트워크와 같은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군사기술혁신의 성과가 저조한 또 다른 이유는 예산, 인력, 시간, 조직, 제도적 집중, R&D 인프라 활성화 등의 국가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는 북한 핵 능력으로부터의 실존적 위협과 동시에 주변 강대국의 잠재적인 강압에 직면하고 있는 한국과 같은 중급수준의 국가로서는 불가피한 요인일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무엇보다 NCOE(Network centric Operation Environment),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환경, 합동 AI 센터, 데이터 전략 및 거버넌스, 합동작전 네트워크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추구에 필요한 필수 인프라를 구축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이 논문은 기술혁신 추진에 있어 부족한 국가역량을 극복하기 위한 ‘선택과 집중’ 접근방식을 제안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본 논문은 지상, 해상, 공중기반의 장거리 정밀 화력으로 지원되는 한국식 반접근/지역거부(A2AD) 능력을 각 군 수준에서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 기반의 군사기술혁신 과정에서 국회(국방위)가 보다 적극적인 감독 역할을 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 The ROK military is pushing for innovation in military technology very strongly. Above all,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s promoting this under the slogan of "Smart Defense Innovation," with the goal of hyper-connectedness, hyper-intelligentization, and hyper-convergence, based on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4IR) era. In addition, each service also is leading very strong technological innovations, under the slogan of Army Tiger 4.0, "Smart Navy," and "Air Force Quantum 5.0" respectively. However, in spite of all these extravagant slogans and expressions, there are few tangible results in terms of combat power improvement of the ROK military, considering that each service has invested a lot of time and effort for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Why ? What is the problem ? This paper argues that there are two reasons for this. One is the lack of efforts to build the core infrastructures of the 4IR. This includes programs such as cloud computing environment, data strategies, common control system of various robots(unmanned vehicles), and joint operations network such as the joint all domain command and control(JADC2) pursued by the United States. Another reason for the poor performance of the military technological innovation is lack of national capacities such as budget, manpower, time, organizations, institutional concentration, and R&D infrastructures activation, etc. This may be an unavoidable factor for an middle-level country such as the ROK which faces existential threats from North Korea"s nuclear capabilities and, at the same time, potential coercions from neighboring power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paper proposes, above all, to establish the essential infrastructures necessary for the pursuit of the 4IR technologies, such as NCOE (network centric operation environment), cloud computing platform environment, Joint AI center, data strategy and governance, and joint operation networks. In addition, the paper proposes a "selection and concentration" approach to overcome the lack of national capacities in promoting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In so doing, this paper proposes to develop Korean-style anti-access/area denial(A2AD) capabilities at the military service level, supported by land-, sea-, air-based long range precision firepower. Finally,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National Assembly(National Defense Committee) should play a more active supervisory role in the process of the military technological innovation based on the 4IR.

      • KCI등재

        역사 실천으로서의 공공역사와 지역학의 방향 -서울 성북구 사례를 중심으로-

        정호섭(Jung, Hosub),백외준(Baek, Oejune) 고려사학회 2023 한국사학보 Vol.- No.91

        본고에서는 역사 실천의 하나로 서울 성북구에서 지난 10여년간 진행해 온 사례를 소개하고 이러한 사업이 지역학과 공공역사의 입장에서 지니는 의의를 살펴보았다. 역사학을 비롯한 인문학이 지역사회와 결합하여 결과물을 만들어낸 사례로서 지역학 내지는 공공역사와 무관하지 않다. 여기서는 이러한 성북구의 역사문화자원조사, 성북마을아카이브 구축, 역사문화자원 해설 어플리케이션 개발 등을 통해 성북학으로서의 지역학과 공공역사의 한 사례가 가지는 의의를 세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지역 역사문화자료의 수집과 연구를 통한 문화자원화와 스토리텔링을 통해 다양한 지역문화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인문학 분야의 연구가 지역 개발 계획에 적용될 수 있는 사례를 보여주었다. 인문학 연구를 토대로 한 제안이 어떻게 지자체의 도시 개발과 문화 정책 속에서 구현되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인문학 연구의 성과를 일반 시민과 공유하는 창구를 지역사회와 결합해 만들어냈다는 의의가 있다. 향후 지역학과 공공역사의 방향성은 지역에 대한 연구 수행과 성과물의 공유를 넘어 다른 분야의 연구자, 시민, 지방정부를 포섭하고 연결하여 지역의 현안 문제를 다루는 공론 네트워크와 소통의 창구를 만들고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것 역시 공공역사가, 시민역사가의 책무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This article introduces examples that have been carried out in Seongbuk-gu, Seoul for the past 10 years as one of the historical practices, and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such projects from the standpoint of regional studies and public history. It is an example of humanities, including history, combining with local communities to produce results, and is not unrelated to regional studies or public history. Here, through the survey of Seongbuk-gu’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he establishment of Seongbuk Village archives, and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explanation applications, one example of regional studies and public history can be presented in three ways. First, it showed that various local cultural contents can be produced through cultural resourceization and storytelling through collection and research of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data. Second, studies in the humanities field showed examples that could be applied to regional development plans. It can be said to be an example of how proposals based on humanities research were implemented in the urban development and cultural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Third, it is meaningful to create a window to share the results of humanities research with ordinary citizens by combining them with the local community. The future direction of regional studies and public history is to build governance by incorporating researchers, citizens, and local governments in other fields beyond research and sharing deliverables. This is also emerging as a responsibility of public historians and civil historia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