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형태론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찾아서

        오규환(Oh Kyu hwan,吳珪煥),김민국(Kim Min gook,金玟局),정한데로(Jung Han dero,丁한데로) 형태론 2014 형태론 Vol.16 No.2

        본고에서는 최형용(2013)을 개관하고 한국어 형태론의 유형론과 관련한 쟁점들을 부각하여 이에 대한 필자들의 견해를 제시하였다. 본고의 논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최형용(2013)에서 문제 제기의 발단이 된 '굴절'이라는 용어는 단어형이 변화하는 방식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의미ㆍ기능적인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한국어 문법 기술에서 굴절이라는 용어를 이해할 때에는 이러한 사정을 고려할 필요도 있음을 주장하였다. 둘째, 조사와 어미를 문법적 단어로 설정하는 '분석적 체계'는 그 나름의 장점을 지니지만 한국어의 형태론적 특성을 설명하거나 한국어와 다른 언어를 유형론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서는 조사와 어미를 접사로 간주하는 '종합적 체계'도 그 나름대로의 의의를 지니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한편 최형용(2013)이 '음운론적 단어'로 간주한 '어절'은 딕슨ㆍ아이켄발트(2002)에서 제안한 '음운론적 단어'와 거리가 멀다는 점과, 비교적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는 '문법적 단어'의 경우에도 이를 정의하는 일이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셋째, 유형론적인 특수성을 강조하는지, 보편성을 강조하는지에 따라 어휘적 단어의 분류 체계는 달리 세워질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한국어의 유형론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어휘적 단어의 분류 체계를 제안하였다. 넷째, 한국어 형태론의 현저성을 나타내어 주는 통합성 지수를 산출할 때에는 한자 형태소와 영형태소의 분석이 문제가 될 수 있는데 그 분석 방법에 따라 통합성 지수가 달리 산출될 수도 있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다섯째, '단어 기반 모형'만이 한국어 단어 형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한 모형이 아니며, '형태소 기반 모형'과 '단어 기반 모형'이 가지는 장단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In this article, we review Choi(2013) critically and emphasize our opinions about the relevant issues of linguistic typology of Korean morphology. Our discuss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rm 'inflection', which can be seen as the beginning of problems in Choi(2013) not only refers to the manner or technique of varying of word-form, but also can be interpreted as something semantic or functional. Thus, this needs to be considered, if we understand the term 'inflection' in the context of the description of Korean grammar. Second, so-called 'analytic system', in which both 'josa(조사)' and 'emi(어미)' are regarded as grammatical words has its own merits. However, for the sake of revealing the morphological traits of Korean or of contrasting Korean with other languages from linguistic typological perspectives, what we call 'synthetic system', in which both 'josa(조사)' and 'emi(어미)' are seen as affixes may have more advantages than 'analytic system'. And 'ejel(어절)' which might be equal to 'phonological word' in Choi(2013) is different from 'phonological word' which is suggested in Dixon & Aikhenvald(2002). In case of 'grammatical word', though it seems easy to give a definition of it, it is hard to define it to all intents. Third, We argue that the classification of lexical words could vary with the typological viewpoints. So, a classification of lexical words can be composed differently according to which trait is stressed between linguistic typological universals and particularities. Then we suggest our own classifications of lexical words that can represent linguistic typological universals and particularities of Korean morphology respectively. Fourth, in calculating the 'index of synthesis' which shows the morphological prominence, the analyses of Sino-Korean morphemes and zero morphemes could be a problem, so we show that the results of calculating the 'index of synthesis' can vary with the way of analyzing given morphemes. Fifth, 'word-based model' is not the sole approach to explain word-formation processes of Korean. Accordingly, considering the (de)merits of 'morpheme-based model' and 'word-based model', we emphasize that a balanced approach in between two models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