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북한이탈청년이 인식하는 차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정영선(Jung, Youngs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연구 Vol.29 No.4

        이 연구는 8명의 20~30대 북한이탈청년이 남한에서 인식하는 차별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북한이탈청년 8명을 심층 면담한 자료를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북한이탈청년이 인식한 차별 경험을 31개의 범주, 14개의 상위 범주, 3개의 영역으로 구조화하였다. 3개의 영역은 차별을 경험하기 앞서 이들이 놓인 선행 경험, 차별의 경험과 대응, 그리고 차별의 결과이다. 차별의 선행 경험은 서로 상이한 남한과 북한에 대해 복합적인 감정을 갖은 채 남북한의 주민들과 관계를 형성하며 정착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나타났다. 차별은 남한 주민이 북한이탈청년을 구별하고, 이들과의 사이에 선을 긋고, 북한 출신의 낙인을 부여하며, 북한에 대한 비판을 인식하는 과정으로 경험되었으며, 북한이탈청년은 이에 대해 한 민족임을 강조하거나, 다름을 인정하거나, 남한에 동화되려하는 전략으로 대응하고 있었다. 차별의 결과는 북한이탈청년이 이방인, 유목인, 경계인의 세 유형의 삶을 살아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유형은 경계를 공고히 하고, 경계에 적응해 경계밖에 머무는 삶을 사는 ‘이방인’, 경계 안과 밖 어디에도 속하지 않으며, 향하고자 하는 종착지도 없이 떠도는 ‘유목민’, 평범한 존재가 되기를 희망하며 경계 안에 발을 내딛는 노력을 지속하는, 그리고 경계를 통해 남북을 잇는 가교로서의 가능성을 바라는 ‘경계인’이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청년에게 정체성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적 지원, 남한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 시민 교육과 인식 개선 캠페인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discriminatory experiences perceived by North Korean refugee youth. Eight North Korean refugee youth who had experienced discrimination in South Korea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phenomenological analysis. As a result, the discriminatory experiences perceived by North Korean refugee youth in South Korea was composed of previous experiences, the experiences of and responses to discrimination, and the consequences of discrimination. They tried to establish themselves in South Korea, making use of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residents of North and South Korea (previous experiences). Discrimination has been experienced to distinguish, draw lines, stigmatize, criticize(experiences and responses to discrimination). As a result of discrimination, they lived as strangers, nomads, and people within borders (consequences of discrimination). As possible measures to alleviate these problems, educational support to North Korean refugee youth and a campaign aimed at canging attitudes amongst South Korean citizens was proposed.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통일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정영선(Jung Young S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이 연구는 2000년부터 2019년까지의 20년 동안 교육 분야의 국내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통일 교육 관련 논문이 어떤 주제어로 연구를 수행해 왔는지, 그 경향성과 구조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분석하여 통일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총 381개의 논문에서 1945개의 주제어를 수집하였고, 주제어 정제 작업을 거쳐, KrKwic 및 Ucinet으로 연결 중심성, 매개 중심성, 아이겐벡터 중심성을 분석하고, Netdraw를 이용하여 연결망 구조를 시각화하여 제시하였다. 분석은 2000년부터 5년을 기준으로 총 4시기로 구분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1차 시기에서 4차 시기로 갈수록 연결망 구조가 복잡해지며, 연결망에서 여러 키워드를 연결하고 매개하는 역할을 하는 키워드가 다양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망 내 핵심 키워드를 나타내는 아이겐벡터 중심성을 기준으로 살펴볼 때, 각 시기 상위 15개의 키워드 중 7개가 공통적으로 영향력을 가진 키워드라는 점에서 전통적인 키워드가 반복적으로 연구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키워드는 ‘학교’, ‘교육과정’과 같은 학교 교육에 관련된 키워드, 그리고 ‘도덕’, ‘사회’, ‘국어’ 등 특정 교과에 관련된 키워드로, 이들은 다른 키워드와 밀접하게 연결되며, 통일 교육 연구의 연결망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별로는 ‘평화’, ‘민족’ 등이 높은 중심성을 보이다, 3차 시기 ‘다문화’의 중심성이 높아졌으나, 4차 시기에 와서 다시 ‘평화’로 회귀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이 연구는 통일 교육 연구에서의 주제어 다양화, 교과별 연계 강화, 통일 교육의 주체 및 관점 다양화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s in research and fi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unification education from 2000 to 2019. Out of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of the field of education, 1,945 keywords extracted from 381 articles that f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SNA) methods. Through the program including KrKwic, Ucinet and Netdraw, degree centrality, between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were analyzed. The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The network structure becomes more and more complicated. In addition, a variety of keywords are used to connect and mediate various keywords within the network. However, the eigenvector centrality, which identifies high-impact keywords in the network, shows that the top keywords appear repeatedly over time. Those are the keywords related to school education such as ‘school , ’curriculum , and ‘moral’, ‘society’, and ‘language’. These keywords are closely related to other keywords, and have played major roles in the network of unification education research.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ime analysis, after the high centrality changes from peace and ethnicity’ to multicultural , the centrality of the keyword peace comes out agai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s diversification of key words in reunification education research, strengthening linkage between subjects, and diversification of agents and perspectives of reunification education.

      • KCI등재

        습지를 기반으로 라는 맹꽁이 대체서식처 조성 계획

        정영선 ( Young Sun Jung ),박미옥 ( Mi Ok Park ),구본학 ( Bon Hak Koo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13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6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ake a plan and design the substitute habitat for Kaloula borealis by pre-proposed planning model for wildlife based on wetlands. The habitat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strategies of habitats including conservation, enhancement were established by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and the substitute habitat needed to replace was selected One of three potential substitute habitats in the same watershed to the original habitat needed to replace was selected. One of three potential substitute habitats in the same watershed to the original habitat was selected by suitable site assessment. And finally the substitute habitat for Kaloula borealis was planned by the planning indices, and some adults and tadpoles were captured and released into built substitute.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사회화에 관한 질적 연구 : 일과 진로를 중심으로

        정영선(Young Son Jung)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8 글로벌교육연구 Vol.10 No.2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이 북한에서 남한으로 이주하기까지 일과 진로에 대해 어떤 경제사회화 과정을 경험하였는가를 탐색하고, 남한에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한 진로 교육적 대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인 20대~50대의 북한이탈 주민 24명과 개별 심층 면담을 수행하고, 이들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이 경험한 일과 진로의 경제사회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에서 주민의 진로 선택은 개인의 적성을 고려하기보다 부모의 직업을 세습하여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중국에서 북한이탈주민은 불법적 신분으로 일을 하기 때문에 정당한 대가를 받지 못하고, 북송의 가능성으로 인해 장기적인 진로를 고려하지 못하였다. 셋째, 남한에서 북한이탈주민은 장기적인 진로 계획을 세우기보다 단기적 생존을 위해 일을 하며, 그 과정에서 차별을 경험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만을 강조하기보다 진로 희망에 따라 교육 과정을 세분화‧다양화하여야 한다. 둘째, 교육과 취업의 연계성을 강조하고, 적절한 금전적 보상을 통해 동기 부여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취업 과정에서 경험하는 차별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다문화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conomic socialization process that the North Korean defectors have experienced in their work and career planning until they migrate from North Korea to South Korea and to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24 North Korean defectors’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A result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North Koreans‘ carrer tended to be determined by the parent s. Second, in China, North Korean defectors experienced wage discrimination and they could not plan for a career due to the instability of their status. Third, in South Korea, North Korean defectors receive various economic and educational support for economic settlement. However, this support focuses on short-term employment rather than long-term career planning. They also might be discriminated in the course of employment. I would like to suggest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work and career planning of North Korean defectors. First, according to the desire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career education should be subdivided and diversified. Second, economic support needs to be systematically implemented in connection with career edu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include multicultural education in regular curriculum.

      • KCI등재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의 금융교육과 금융행위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정영선 ( Son Jung You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5 시민교육연구 Vol.47 No.3

        본 연구는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들의 금융교육과 금융행위에 대한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들과 같은 취약 계층 학생들의 금융교육에 시사점을 논의하고자하는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퇴소청소년 세 명과의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금융교육과 금융행위에 대한 그들의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세 명의 아동복지지설 퇴소 청소년들의 금융교육 경험을 “무관심”, “대리적 관리”, “습관들이기”로, 금융행위는 “욕망의 표출”, “보호막”으로 주제화 할 수 있었다. 이러한 퇴소청소년들의 내러티브는 복지시설 청소년들에게 경험과 과정에 초점을 두는 금융교육이 필요하며, 교육이 이들에게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교육을 제공하는 교사와 학생의 관계가 친밀함과 신뢰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rratives of youths discharged from Child Residential Care regarding their financial education and financial behavior, and to discuss implications for the financial education of so-called disadvantaged class students like them.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three discharged youths and analyzed their narratives about their financial education and financial behavior.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ree youths`` financial education can be thematized as “indifference”, “represent management”, “having a habit” and financial behavior as “expression of the desire”, “safety shiel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policymakers to make discharged youths`` financial education focusing more on experience and process. And the findings also imply that the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the intimacy and the trust between the student and the teacher, for this education to be truly meaningful.

      • KCI등재

        초중고 학생들이 생각하는 북한, 북한 사람 및 통일 : 학교 통일 교육에의 시사점

        정영선 ( Jung¸ Young Son ),박윤경 ( Park¸ Yun-kyoung ),조영달 ( Cho¸ Youngdal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1

        이 연구는 북한과 통일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생각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학교 통일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지역 초중고 학생 53명과 북한, 북한 사람 및 통일에 대한 심층 면접을 수행하고 면접 자료를 감성분석과 질적 분석을 활용한 혼합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북한과 관련하여 초중고 학생들은 국가로서의 북한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지만, 북한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기대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북한 사람과 관련하여 학생들은 북한 주민에 대해서는 연민을 내포한 부정적인 감정을, 북한 이탈 주민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지만 경계하는 양가적 모습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통일과 관련하여, 평화와 발전, 정치, 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통일에 대한 긍정적으로 기대와 함께 사회 안전 및 경제적 손실 측면에서 통일 이후 사회에 대한 부정적 우려가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북한, 북한 사람 및 통일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생각이 복합적이며 때론 모순적임을 드러내고, 학생들에게 북한과의 통일이란 ‘분리될 수는 없지만 신뢰하기는 어려운 대상과의 미리 예정된 결합’과 같은 딜레마적 상황이라는 의미를 도출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학교 통일 교육의 방향 설정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nk of North Korea, North Koreans, and unification,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mixed method that combined sentimental analysis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North Korea, students were negative toward North Korea as a state, but showed positive expectations for their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Next, with regard to North Koreans, students were ambivalent, showing negative feelings that included compassion toward North Korean residents, and positive but vigilant feelings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Finally, regarding unification, it was found that negative concerns about society after unification coexist in terms of social safety and economic losses, along with positive expectations for unification in various aspects such as peace and development, politics, and culture. These reveal that students have a complex and contradictory image of North Korea, North Koreans, and unifica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meaning of unification with North Korea for students was derived as a dilemma of “a pre-determined union with a country that cannot be separated but is difficult to trust,”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 KCI등재

        인신매매를 경험한 북한이탈여성의 삶에 대한 질적 연구

        정영선(Young Son Ju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8 여성연구 Vol.9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인신매매를 통해 북한을 이탈하여, 중국을 거쳐 한국으로 들어온 북한이탈여성의 경험의 본질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신매매를 통해 탈북한 8명의 북한이탈여성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를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이탈여성의 인신매매를 통한 탈북 경험을 15개의 하위 개념과 4개의 상위 개념으로 구조화하였다. 4개의 상위 개념은 ‘빈곤에서 벗어나는 길’, ‘출구 없는 세계’, ‘탈출구의 발견’, ‘다시 시작하는 여성으로서의 삶’이며, 인신매매를 통한 탈북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빈곤 탈출의 열쇠로 선택하여 예상치 못한 착취를 경험하였으나, 적극적인 시도를 통해 자립한 여성으로서 삶을 새롭게 시작하는 과정’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인신매매를 경험한 북한이탈여성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안하였다. 이들이 한국에서 한 명의 주체적 여성으로서 성공적으로 자립하기 위해서는 인신매매를 경험한 북한이탈여성을 대상으로 첫째, 맞춤형 심리 상담과 치료의 지원, 둘째, 평등한 성의식과 주체적인 인권 의식을 확립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의 제공, 셋째, 북한이탈여성의 정착에 초점을 둔 가족 지원 프로그램의 수립 등을 제공하고, 이와 더불어 북한이탈여성에 대한 편견 감소를 위해 체계적인 시민 교육을 마련하는 등 사회적 변화가 함께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s of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leaving North Korea through trafficking. Eight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who had experienced trafficking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phenomenological analysis. 4 concepts and 15 subconcepts were deduced from this article. Four concepts were ‘the way to escape from poverty’, ‘the world without exit’, ‘the discovery of escapeway’, ‘life as a resuming woman’.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leaving North Korea through trafficking was suggested as ‘the process of starting a new life as a independent woman getting out of poverty and unexpected exploitation through aggressive attempts’. To correct distorted sex consciousness and human rights awareness through the extreme experience of trafficking, we can suggest that the policies should provide customized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treatment to overcome their injuries ; conduct appropriate education program to establish gender equality and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 provide supporting program with family members to get understanding and support of new families in Korea ; conduct civic education program for all citizens to reduce prejudice against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 KCI등재

        금융사회화 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정영선 ( Young Son Jung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6 경제교육연구 Vol.23 No.2

        아동복지시설 청소년은 금융사회화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가족과 분리되어 생활하기 때문에, 다른 금융사회화 기관인 학교와 시설 등의 역할이 보다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아동복지시설 청소년을 위한 금융교육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서 이들의 금융사회화를 설명할 수 있는 관계 중심의 금융사회화 모형을 개념화하였다. 이 모형에 따르면, 아동복지시설 청소년들은 가족, 학교, 아동복지시설, 직장 등 금융사회화 기관과 직접 경험·리적 경험의 형태로 상호작용하면서 금융 지식, 태도, 행위를 학습한다. 모형을 검토하기 위해서 시설 퇴소청소년들의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접 경험을 통한 금융교육은 금융 지식, 태도, 행위의 학습으로 연결되었다. 둘째, 금융 사회화기관과 학습자 간에 사회자본이 형성될 때, 대리적 경험을 통한 금융교육이 유의미하게 발생하였다. 사회자본은 지속적이고 친밀한 상호작용을 전제로 하며, 관계에 대한 신뢰를 통해 형성된다. 셋째, 대리적 경험을 통해 금융교육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사회자본이 형성되었더라도 모든 학습이 금융지식, 태도, 행위의 형성으로 연결되지는 않았다. 학습이 나타나기 위해서는 대리적 경험이 구체적인 형태로 제공되고(구체성), 개인이 대리적 경험을 통한 학습의 필요성을 인식하며(필요성), 학습한 결과를 금융 시장에서 실제 적용할 수 있다는 판단(실현 가능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아동복지시설 청소년들의 금융교육을 위해서 학교 교사는 학생들과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수평적인 동료 학습자의 관계를 형성할 필요가 있고, 금융교육은 구체성, 필요성, 실현 가능성을 고려하여 구성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a purpose for suggesting a model which explains the process of the financial education for the disadvantag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financial education through direct experience was established as financial learning. Second, financial education through vicarious experience was realized as financial learning, on the basis of the social capital as the main factor. Third, even though social capital was formed, not every learning would be related to the financial learning. This study implies the following in the financial education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First, in the financial education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cre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or and the educatee has the most meaning. Second, financial education can be more meaningful when the learning experience consists of ‘concrete activity, purposeful directivity, realistic possibility’.

      • KCI등재

        청소년의 합리적인 금융 행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

        정영선 ( Young Son Jung ),조영달 ( Young Dal Cho ),박형준 ( Hyung Joon Par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3 시민교육연구 Vol.4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합리적인 금융 행태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의 합리적인 금융 행태를 `합리적인 예산 관리``, `합리적인 저축 행동``, `합리적인 신용 관리``로 정의하고, 각 금융 행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기술 통계, t-검증, 중다회귀 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학업 성취도가 높을수록, 정기적으로 용돈을 받는 경우일수록, 풍족하게 용돈을 받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경제적 상황이 자신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믿을수록, 가정의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금융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을수록, 선택 과목 `경제``를 이수한 학생일수록 합리적인 금융 행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선행 연구의 검토를 통해 예측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반면, 연령이 높을수록, 경제 활동 참여 경험이 있을수록 오히려 합리적인 금융 행태의 점수가 낮았으며, 금융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의 신용 관리 점수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금융 교육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추후 검토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청소년들의 금융 행태에 대한 분석 결과는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 학습의 개선 등 금융 교육과 경제 교육 영역의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to verify what factors have an effect on rational financial behavior of Korean adolescents. The data from this study, which was based on a survey of nine hundred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the rational financial behavior was defined as the rationality of their budget management, saving behavior, and credit management. The findings are that the factors which positively influence rational financial behavior are academic achievements, periodical allowance, confidence to control his/her own financial circumstances, household income, parents` academic careers, financial education and economic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factors like age and economic experience adversely affect rational financial behavior, and financial education negatively influence rational credit management. The research suggested that a range of more effective and relevant financial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available for use in and out of the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