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헬스 환경에서 센서네트워크의 안정성 보장을 위한 소프트웨어 플랫폼

        정민우,조정훈,Jung, Min Woo,Cho, Jeonghun 대한임베디드공학회 2012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Vol.7 No.5

        The rises of the life index quality together with the medical technology improvement lead to a longer life expectancy. Then a better health care program, especially for elderly, is needed. The common health problems facing those senior citizens are changed from acute diseases to chronic diseases, such as diabetes, hypertension. Then u-Health takes center stage in medical industry. Although u- Health medical device manufacturers have been improving their instruments, these instruments still rely on proprietary technologies without fixed platform. Even if the interface has been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there is no widely-accepted uniform data model to access data of various u-Health devices. IEEE 11073 is a standard attempting to unify the interfaces of all medical devices.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a conversion software platform that assures interoperability among medical devices for ubiquitous sensor network. This module uses in order to develop a standard platform of medical system.

      • 물체 자세 추정기를 이용한 지능형 로봇의 테이블 정리 서비스 개발

        최정현(Jung-Hyeon Choi),송성호(Sung-Ho Song),배혜림(Hye-Lim Bae),전현진(Hyun-Jin Chun),신희원(Hee-Won Shin),김인철(In-Cheol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2 No.6

        최근 4차 산업 혁명 및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서비스 시장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로봇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람 대신 로봇이 테이블 위에 놓인 물체들을 적절한 수거함들로 옮겨 테이블을 정리해주는 지능형 로봇 서비스를 구현함으로 목표로 한다. 효과적인 목표 서비스 개발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 기반의 심층 물체 자세 추정기를 이용해 물체들의 실시간 위치를 파악하고, 시멘틱 웹 기반의 지능형 로봇 체계를 활용하여 작업 환경에서 동적 상황 정보를 추론해낸다. Recently,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VID-19, demand in the non-face-to-face service market has been increasing and there is a trend to develop various useful robot services around the world. In this paper, we aim to develop an intelligent robot service that the robot cleanups a table by picking and placing objects placed on the table into proper bins instead of human users. In order to develop the target service effectively, we use a deep learning-based object pose estimator to find out real-time pose of individual objects, and make use of a robot intelligence framework based on semantic web technology to infer dynamic context from the task environment.

      • KCI등재

        ‘가족’의 경계에 선 청년세대

        정민우(Min-Woo Jung),이나영(Na-Young Lee) 비판사회학회 2011 경제와 사회 Vol.- No.89

        이 논문은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결혼이라는 생애 사건을 경험하지 않은 비혼 남녀 20~30대의 주거 경험을 통해 ‘독립’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청년세대가 가족 제도의 안과 밖에서 계급, 젠더, 나이, 가족 이데올로기등 다양한 사회적 규범들과 충돌, 협상하며 독립의 의미를 (재)구성하는 방식들을 살피고자 한다. 이는 중산층, 이성애, 가족 재생산 제도를 기반으로 한 규범적 시공간성의 작동방식을 구체적으로 들여다봄으로써 한국사회에서 가족의 의미를 재고하고자 함이다. 교육기간과 노동시장 진입, 그리고 평균적인 결혼 적령기가 점차 사회적으로 지연되면서 청년기는 가족적 관리와 기획의 시기가 되었으며, 개인의 생애과정을 구성하는 데 계급화된 가족 전략이 강화된다. 안정적인 물질적·정서적 ‘집’을 제공해줄 수 없는 빈곤층 가족이 청년세대를 가족제도로부터 밀어낸다면, 중산층은 이들을 가족 안으로 포섭하면서 부분적 독립을 보장한다. 한편 이성애 가족 제도가 제도적·상징적·일상적으로 특권화되는 사회적 조건하에서 청년세대의 지배적인 독립 경험은 태어나고 자란 원 가족으로부터 벗어나 결혼을 통해 구성된 또 다른 가족으로 이행하는 것이 된다. 특히 가족의 재구성을 통한 독립만이 유일한 선택지로 남는 여성의 경우, 가족으로 부터의 독립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또 다른 가족 만들기를 시도하는 등 독립의 역설이 발생한다. 그럼에도 대안적 친밀성을 모색함으로써 규범적 가족 제도의 경계에서 ‘독립’의 의미를 계속 협상하는 청년세대는 규범적 시공간성의 균열의 계기를 마련해가고 있다. This paper analyses experiences of ‘independence’ of the unmarried youths. Meanings of independence are continuously (re)constituted through conflicts against and/or negotiation with the ideologies of class, gender, and age, as well as the social normativity of the family.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normative spatio-temporality based on the middle-class heterosexual family in order to rethink the implications of the ‘family’ in South Korea. As the periods of training, employment, and marriage have become delayed because of the reorganization of life-course after the 2000s, the social practice of youth independence has become postponed. Youth, in this vein, becomes a period of familial design and management, reinforcing classed familial strategies in the making of a person’s life-course. While youths who can postpone their independence stay with their middle-class family of origin, becoming ‘post-adolescent’, those who cannot are dislocated not only from their lowerclass family of origin, but also from stable housing. The hegemonic discourse of youth independence leads them towards a family transition (eg. moving out of their family of origin to the family formation and reproduction), particularly for women from privileged heterosexual family not only institutionally but also in discursive ways. However, youth experiences to navigate interdependent ways of life by pursuing alternative intimacy of co-habitance suggest a possibility of unmaking the normative spatio-temporality.

      • KCI등재

        초/국적 시대 민족주의 정치학과 대중문화의 역학

        정민우(Min-woo JUNG)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0 언론과 사회 Vol.18 No.3

        2009년 9월 초부터 2010년 5월에 이르기까지, ‘한국(인) 비하’라고 명명된 이른바 ‘재범 사건’의 의미를 둘러싸고 벌어진 미디어, 팬덤,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네티즌들의 상이한 대응은 사건 자체를 여러 사회적 의제 및 정치학들이 경합하는 하나의 담론적장으로 창출했다. 이 사건은 대중문화 장에서 지구화 및 초국적 과정을 배경으로 해서 대중문화의 아이콘과 문화적 이미지와 재현, 그리고 그 생산과 소비를 둘러싼 분노와 애정, 공감과 연민 등의 정서를 가로지르는 민족주의 정치학과 대중문화의 역학을 드러낸다. 인터넷 공간에서 드러난 바, 미국 이민 3세로서 ‘재범’의 다중적 위치성에 상응하는 젠더화, 계급화, 인종화된 민족적 불안은 합리적 소비자-적절한 시민-적절한 국민의 의미를 연결시키며, ‘한국(인)’이라는 정체성을 일상적으로 재생산한다.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이러한 민족주의 정치학과 공모함으로써 경제적 이윤을 창출하고, 민족주의를 하나의 문화적 스펙터클로 재생산했다. 한편 재범이 기반한 미국 시애틀의 디아스포라 민족주의의 ‘상처’와 재범 탈퇴 이후 형성되어 확장된 초국적 팬덤이 만나면서 재범을 국경을 넘는 아이콘으로 의미화할 가능성을 내포하지만, 다시금 민족 및 종족성의 범주로 포획하는 위험 역시 존재한다. 이러한 결과는 지구화와 초국적 과정이 증대되는 대중문화 장에서 민족주의 정치학이 작동하는 현재적 방식 ‘들’에 주목할 것을 요청하는 동시에, 그 내부의 무수한 모순과 역설, 균열의 지점들을 열어젖힌다. From September 2009 to May 2010, different responses of media, fandom, entertainment industry and netizens on ‘Jaebum controversy’ named as ‘Insulting Korea(n)’ created a discursive sphere on which various social agendas and politics converged and contested. Especially, this controversy lays bare politics of nationalisms and dynamics of popular culture upon cultural icons, images, representations, and the rage and affection, compassion and sympathy across cultural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transnational processes. Gendered, classed, racialized national anxieties corresponded to the multiple locationalities of ‘Jaebum(Jay Park)’ as a Korean 3rd generation male from America. In effect, it (re)produced ‘Korea(n)’ identity of netizens with anger as a common sense in popular cultural sphere to make chain of meanings linking rational consumer-proper citizen-proper national. Media and entertainment industry gained profits and (re)produced nationalism as a cultural spectacle to conspire with politics of nationalism. Meanwhile, since Jaebum leaved Korea, his fandom practiced various activities at on/off-line for his return, and then expanded its scale across Korean national boundary. This transnationalized fandom encountered wounded diasporic nationalism based on Jaebum’s hometown community in Seattle, and then constructed alternative interpreting system of the controversy, making Jaebum as a victim of irrational nationalist rage. This, however, also implicit its own danger of making ‘Jaebum’ subsumed under the category of nation/ethnicity. This study finally wants to open up ironies, contradictions, and ruptures in/between politics of nationalism which is vital politics on popular cultural sphere in the rapid globalization and transnational processes of cultural productions, consumptions, and practices.

      • KCI등재후보

        퀴어 이론, 슬픈 모국어

        정민우(Min-Woo Jung) 한국문화사회학회 2012 문화와 사회 Vol.13 No.-

        이 글은 1990년대 이후 영미권에서 등장한 퀴어 이론의 궤적과 한국에서의 수용 및 번역에 대한 이론적 에세이이다. 퀴어 이론의 역사는 어떻게 집필될 수 있는가? 누가 퀴어 이론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 한국에서 퀴어 이론은 어떻게 번역되거나 번역되지 않았는가? 퀴어 사유가 국경을 횡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굴절과 그 효과들은 무엇이었는가? 로컬한 퀴어 지식은 가능한가? 이러한 질문들의 연쇄 속에서 이 글은 서동진의 1996년 저작인 『누가 성정치학을 두려워하랴』를 재방문한다. 『누가 성정치학을 두려워하랴』가 창출한 사회적 정서와 시간성에 주목하며, 그것이 너무 일찍 도래하였거나 너무 늦게 되찾은 말이 아니라 아주 오랫동안 우리에게 남겨져 온 로컬한 퀴어 지식의 아카이브이자, 지식의 후기식민적 시간차를 둘러싼 우울증적 정서의 아카이브라 주장할 것이다. 그렇다면 모국어의 번역가능성으로부터 멀어져 가는 퀴어 이론과 포스트식민 지식 생산의 희박한 조건 속에서, 앎과 삶 사이에 깊게 팬 분열증적 상흔을 어떻게 직면해야 하는가? 어떤 시간성을 향하고 또 대결해야 하는가? 사유의 동시대성이라는 쟁점을 둘러싼 슬픔과 시간의 성 정치를 마주해야 할 때가 왔다. 그러나 무엇보다 이 글은 후기식민적 앎의 조건이 이토록 기괴하게 주조된 데 있어서의 몇 가지 계기들을 살핌으로써 이론, 지식, 모국어의 정서와 시간성에 대한 근원적 성찰을 요청하기 위해 쓰였다. This is a theoretical essay on a trajectory of queer theory after early-1990s in the United States, and on its Korean reception and translation. How could a history of queer theory be written? Who can be the theoretical subject of queer? While there is few vitality of academic queer discourse in Korea, what makes this lack of queer theory’s introduction and translation? What happened to queer knowledge when it crossed the national border with difficulty to create refractions, omissions, and tensions? Is it possible to localize queer theory? Following on this chain of questions, I revisit Who Would Be Afraid of Sexual Politics penned by Seo Dong-jin in 1996. Focusing on the texts’ affect and temporality, I demonstrate that Seo’s writings can be regarded not merely as asynchronous words of came-too-early or found-out-too-late, but as a repository of local queer knowledge, and an archive of melancholic feelings that are constitutive of postcolonial knowledge production embedded with belatedness, delay, and lag. If so, how can we inhabit the gap between queer theory moving away from sites of Korean translationality, and marginal conditions of postcolonial knowledge production? Which direction of the temporality to be faced and faced against? The time has come to think about sexual politics of time and grief in relation to the issue of contemporaneity. The point of this essay is to show several junctures that have shaped the conditions of postcolonial queer knowledge queer. This was written from a desire to call for radical thoughts on the affects and temporalities of theory and knowledge via Korean languag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스타를 관리하는 팬덤, 팬덤을 관리하는 산업

        정민우(Min-Woo Jung),이나영(Na-Young Lee)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미디어, 젠더 & 문화 Vol.1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엔터테인먼트 산업과의 관계 속에서 팬덤이 스타를 향유하는 방식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2000년대 초반 음악 시장의 수익성의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서의 엔터테인먼트 경영방식이 변화하는 맥락 속에서, 팬덤이 스타를 향유하는 지배적인 방식이 변화했음에 주목하고 그 구체적인 특징을 살피고자 하였다. 스스로를 ‘1세대’ 팬덤과의 관련 속에서 ‘2세대’ 팬덤으로 대별해내는 새로운 팬덤은, 스타를 유동적으로 선택하고 향유하는 ‘고객’인 동시에 이들을 육성하고 관리하는 매니저로서의 ‘엄마’로 표상된다. 엔터테인먼트 시장의 시간적ㆍ공간적ㆍ영역적 압축 속에서 증대된 ‘생존’에 대한 요구 하에서, 팬덤의 스타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관리는 스타가 끊임없이 자기를 계발할 것에 대한 관리이며, 이는 다시금 스타뿐만 아니라 팬덤을 상품으로 포획한 기획사의 관리 속에 놓이게 함으로써 위계적인 이중의 관리체계를 형성한다. 그러나 그러한 관리체계의 위계적 권력관계 및 팬덤 정체성의 불안정성은 스타(아들)-팬덤(엄마)-기획사(아빠)라는 성별화된 가족 표상 체계로 봉합된다. 본 연구의 함의는 팬덤의 문화실천을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맥락 속에 위치시키면서, 엔터테인먼트 산업과의 상호관계 속에 저항 및 행위성의 조건을 규명한다는 점에 있다. 팬덤의 문화실천이 특정한 사회역사적 국면에 놓인 과정 중의 실천이라는 사실은 현재의 형식과 의미가 다른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동시에 시사한다. Fandom as meaningful social phenomenon and cultural practices shows a significant dimension of contemporary Korean cultural topography.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 in fandom enjoying stars after mid-2000s under the condition of the management transformation of entertainment industry that attempted to cope with the crisis of profitability then. The so-called ‘2nd Generation’ fandom, or the new fandom who seperates itself from the ‘1st Generation’, is represented as ‘customers’ who can choose and enjoy stars with mobility on one hand, and ‘mothers’ who nurture and manage their ‘babies/sons’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ext of the market compressions of time, space, and sphere, star management of fandom is about ceaseless self-development of stars. However, this management of fandom is reversely managed by the corporation, which shows the hierarchical dual managing system over fandom-stars-corporation triangle. What informs from this analysis is a need to contextualize the agency of fandom as cultural practices, which means to understand it in relation to the entertainment industry. Fandom, as understood as a process situated in the socio-historical context, implies the possibility of changing forms and meanings to alternative directions.

      • KCI등재

        페미니즘 없는 문화연구?

        정민우(Min-woo JUNG),김효실(Hyo-sil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9 언론과 사회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1990년대 중반부터 활발히 생산된 한국 ‘미디어 문화연구’ 메타비평 담론에서 페미니스트 지식이 어떻게 타자화되었는지를 살피면서, 이러한 ‘(미디어) 문화연구’의 역사와 현재를 다시 쓰기 위한 경험적, 이론적 자원으로서 초국적 페미니스트 문화연구를 제안하는 것이다. 1990년대 초반 이후 ‘문화’ 영역에 대한 증대되는 관심과 문화연구의 제도화와 함께, 커뮤니케이션학에 기반한 문화연구자들은 ‘미디어 문화연구’라는 자기정체화를 통해 한국 문화연구의 경계와 역사를 정당화하고(재)구성했다. 이 과정어서 페미니스트 지식은 한국 문화연구의 탈식민성ㆍ정치성 ‘부재’라는 ‘위기’를 증명하기 위한 ‘위협적 외부’로 동원되거나, 위기가 투사되는 ‘식민화된 내부’가 된다. 그러나 한국의 페미니스트들은 1980년대 초반부터 문화운동, 문화비평, 번역 등을 실천하며 페미니스트 문화연구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러한 ‘다른’ 역사들은 한국 ‘(미디어) 문화연구’의 경직되고 남성중심적인 역사를 문제 삼을 뿐만 아니라, 역사적 자기성찰성을 요구한다. 초국적 페미니스트 문화연구는 이러한 한국의 역사적 조건들과 현재의 경계들을 고려하면서, 젠더화하고 식민화하는 지구화 과정들에서 (재)생산된 경계들을 인식하는 동시에 그것들을 넘어서고자 한다. 따라서 이러한 초국적 페미니스트 문화연구의 문제설정은 한국의 탈식민적 지식생산 기획에 하나의 전망을 제안하며, 문화연구와 페미니즘이라는 간학문적 학제의 경계에서 다양한 사회역사적 경계들을 넘나드는 학문적 실천으로서 ‘급진성’을 배태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ize how feminist knowledge claims have been otherized in discourses of Korean 'media cultural studies' actively produced since mid-1990s, as welt as to argue that feminist cultural studies considering "historical present"(s) propose useful prospects to post/colonial cultural contexts of Korean society and knowledge production system. With arising interests in the sphere of 'culture' and institutionalizing cultural studies since early-1990s, a group of scholars who trained from communications have justified and (re)constructed 'the' boundary and history of Korean cultural studies in the self-identifying name of 'media cultural studies'. In this manner, feminist knowledge claims have been mobilized as 'threatening outside' for demonstrating 'the crisis of Korean cultural studies' and/or 'colonized inside' being projected the crisis. The claims of interdisciplinarity and self-reflexivity from '(media) cultural studies' have rarely let feminist knowledge claims on the 'inter-', rather given marginalized position to them. However, Korean feminists have built up the foundations of feminist cultural studies with practicing movements, critics, translations from early-1980s. This 'another' histories not only mise the need to problematize the rigid and masculinist history of Korean '(media) cultural studies', but also remind the requirements of historical self-reflexivity. ill this respect, Korean feminist cultural studies considering historical conditions and contemporary borders encounter the problematiques of "transnational feminist cultural studies" which acknowledge the borders and search for "crossing through, with, and over these borders" (re)produced from the processes of gendered and colonizing globalization. Feminist cultural studies(scholars) otherized from the rigid and masculinist history-making of 'mainstream' '(media) cultural studies' in Korea have explored practicing crossing-borders which "travels" the disciplinary boundaries as "outsider/within". This demonstrates the interdisciplinarities of feminism as well as cultural studies, giving us 'an' alternative vision from the reflection of 'ourselves', asking "where we 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