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위암에서 RUNX3 발현의 임상적 의의

        장성화,신동규,김일명,유병욱,윤진,박상수,강성구,이윤경,허수학,조익행,Jang, Sung-Hwa,Shin, Dong-Gue,Kim, Il-Myung,You, Byung-Ook,Yoon, Jin,Park, Sang-Su,Kang, Sung-Gu,Lee, Yun-Kyung,Heo, Su-Hak,Cho, Ik-Hang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4

        목적: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3 (RUNX3)는 새로운 tumor Suppressor로써 최근 많은 연구들이 여러 암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위암에 대한 임상연구는 아직까지 보고가 많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위암조직에서의 RUNX3의 발현율과 임상적 의의에 대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서울의료원에서 위암으로 근치적 수술을 시행 받은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자에서 적출된 위 조직으로 만들어진 파라핀 블록을 이용해 위암조직 124예를 채취하여 RUNX3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염색으로 확인한 후 비교분석 하였다. RUNX3 염색결과는 핵과 세포질에서 양성과 음성으로 나누어 각각 판독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 11.0을 사용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은 61세($33{\sim}87$세)였으며 남자 81명(65.3%), 여자 43명(34.7%)으로 1.9 : 1이었다. 위암조직에서 RUNX3의 발현율은 59.7% (74/124명)이었으며 위암세포에서 주로 세포질에 발현되었다. 위암조직의 분화도에 따른 RUNX3 발현의 차이에서 분화도가 양호한 경우의 발현율(핵내: 9.1%, 세포질: 57.0%)에 비해 분화도가 나쁜 경우 발현율(핵내: 5.2%, 세포질: 46.6%)이 낮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133). 위암조직에서의 RUNX3 발현 유무와 생존율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626). 5년 생존율과 연관지어 단변량, 다변량 분석 통계에서 의미가 있었던 것은 UICC TNM 병기뿐이었다(P<0.001). TNM 병기별 5년 생존율은 IA-93.6%, IB-90.9%, II-81.7%, IIIA-30.0%, IIIB-31.3%, IV-22.7%였다. 결론: 위암조직에서 RUNX3 핵 내 발현이 위암조직의 분화도가 좋을수록 발현율이 높았다. RUNX3의 핵 내 발현율이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은 단변량, 다변량 분석에서는 유의성이 없어 향후 이에 대한 좀 더 많은 증례로 유의성을 찾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RUNX3, a novel tumor suppressor, is frequently inactivated in gastric cancer.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pattern of RUNX3 expression in gastric cancer cells from gastric cancer specimens and the impact of its alteration on clinical outcome.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24 samples of both gastric cancer and normal tissue were obtained from 124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gastrectomy at the Seoul Medical Center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05. RUNX3 expression was determin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Statistical analysis wabased on clinicopathological findings and differences in survival rate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1 years, and the male:female ratio was 1.9:1. The expression rate of RUNX3 was 59.7% (74/124). The expression rate was higher in differentiated gastric cancers (nucleus: 9.1%, cytoplasm: 57.6%) than in the undifferentiated types (nucleus: 5.2%, cytoplasm: 46.6%) (P=0.133). The 5-year survival rates according to RUNX3 expression determined from cancer tissue were 88.9% for the nucleus $\pm$ cytoplasm(+) group of patients, 76.1% for the cytoplasm only (+) group of patients, and 65.3% for the RUNX3 negative expression group of patients (P=0.626). Only UICC TNM staging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related to the survival rate, as determined by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The RUNX3 expression rate was higher in differentiated gastric cancer than in the undifferentiated types without significance. Although RUNX3 expression predicted better survival, based on multivariate analysis, the finding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 cases should be further evaluated.

      • KCI등재

        청소년의 우울, 대인불안, 학교적응이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장성화(Sung-Hwa Jang),조경덕(Kyung-Duk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1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우울, 대인불안, 학교적응이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지역 소재의 중?고등학교 각 2개 학교의 중학생 249명, 고등학생 337명으로 총 613명이었다. 응답결과는 상관계수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우울, 대인불안, 학교적응, 휴대전화 중독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강박과 학교친구적응을 제외하고는 모든 하위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휴대전화 중독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변인으로 우울, 학교친구적응, 대인불안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우울, 학교적응의 하위 변인인 학교친구적응, 대인불안에 어려움을 보이는 청소년들의 휴대전화 중독 경향이 높은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dictors of students depress, Interaction anxiety, school adjustment on cellular phone addiction of teenager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613 teenagers composed of 249 middle school students, 337 high school students in Daejeon. The data was conducted by using a correlations coefficient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correlations among measured variables of students depress, interaction anxiety, school adjustment, cellular phone addiction were significant. Secondl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showed that students depress, peer relations, and interaction anxiety variables to most greatly explain cellular phone addi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ellular phone addiction related to depress, interaction anxiety of teenagers.

      • KCI등재후보

        특별기고(特別寄稿) :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또래관계가 청소년의 인터넷 문화에 미치는 영향

        장성화 ( Sung Hwa Jang ),황윤미 ( Yoon Mee Hwang ),최성열 ( Sung Yeol Choi ),박영진 ( Young Jin Par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7 No.-

        본 연구는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또래관계가 청소년의 인터넷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2개 중학생 238명과 2개 고등학교 2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회수된 447부의 설문지 중 응답이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작성한 47부를 제외한 총 400(중학생 208명, 고등학생 192)부를 가지고 SPSS WIN 18.0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또래관계, 인터넷 문화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인터넷 문화의 하위변인 중 아버지 개방형은 일상생활장애, 현실구분장애, 금단, 일탈행동, 내성, 어머니 개방형은 일상생활장애, 현실구분장애, 일탈행동, 내성, 어머니 문제형은 일상생활장애, 현실구분장애를 제외하고는 모든 하위변인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인터넷 중독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변인으로 교제의 지속성, 아버지 문제형, 친구와의 신뢰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인터넷 문화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주요변수가 교제의 지속성에 있었기 때문에 또래관계 척도의 하위변수인 교제의 지속성와 인터넷 문화와의 관계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effect of parent- child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hip on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To achieve this goal,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34 students at two junior high schools and 216 students at two high schools located in Daejeon. 44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ut 47 questionnaires containing missing and unfaithful answers were excluded.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208 junior high school students, 192 high school students) was analyzed using SPSS WIN 18.0.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pon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s, peer relationship and Internet addiction, father open mind type which is sub variable of parent-child communications and Internet addic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ll sub variables except disturbance of daily living, disturbance of reality testing, withdrawal, deviate behavior and tolerance. Mother open mind typ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ll sub variables except disturbance of daily living, disturbance of reality testing, deviate behavior and tolerance. Mother problem typ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ll sub variables except disturbance of daily living and disturbance of reality testing.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shown that variables which explain Internet addiction very well were the duration of friendship, father problem type and reliability with friend. As a result, since the main variable to predict the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is duration of friendship,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necessity to conduct more in-depth study about relationship between duration of friendship which is the sub variable of scale for peer relationship and Internet addiction and to develop the program.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성화 ( Sung Hwa Jang ),민윤희 ( Yoon Hee Min ),이동률 ( Dong Ryul Lee ),이미애 ( Mi Yea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3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대전지역 3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6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무성의한 응답지 20부를 제외한 총 345부를 가지고 SPSS 18.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초등학생의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교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모든 하위변인들 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학교환경적응은 창의성과 비본질동기가 유의미한 영향이, 학교교사적응은 본질동기, 내재적 동기 그리고 자율성이 유의미한 영향이, 학교수업적응은 자율성, 비본질동기, 수업동기 그리고 본질동기가 유의미한 영향이, 학교친구적응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자기평가가 유의미한 영향이, 학교생활적응은 본질동기, 계속동기, 내재적동기 그리고 자기평가가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적응 전체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변인으로는 자율성, 비본질동기, 내재적동기, 본질동기, 그리고 창의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과 시사점을 제시하고,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stud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adapt to the school to verify the effect of three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to 365 people attending was conducted, except the vegetative part of the response over 20 have a total of 345 parts by SPS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18.0. The first, study i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all the sub-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reativity and adaptation to the school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non-intrinsically motivated, adapt to the nature of a school teacher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autonomy, significant impact, adaptation of school autonomy, non-intrinsically motivated, motivation, and classroom significant effect on intrinsic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school friend adaptation of a positive self-concept and self-assessment of the impact is significant, the nature of school adjustment motivation, continued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assessmen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in. In addition, school adjustment of the variables that best explain jeoncheeul autonomy, non-intrinsic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in order appeared. Based on the results of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and implications for increasing the variety of approaches present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 학업무기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성화(Jang Sung Hwa),지명원(Chi Myong Won),이주연(Lee Ju Yeon)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0 청소년상담학회지 Vol.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s of academic helplessness in the impact of the perceived social withdrawal on smartphone dependence. Among the data from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s 2018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he data for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in the second year (2018) were used, and a total of 2,547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cross the country were studi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withdrawal, academic helplessness, and dependence on smartphones. Second, the social withdrawal in which middle school students are tardy is a factor that affects their dependence on smartphones. Third, the academic helpless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be late for school was a factor that affected the dependence of smartphones. Finally, it has been verified that academic helplessness,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impact of social withdrawal on smartphone dependency.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위축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무기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데이터 가운데 제2차년도(2018) 중학교 1학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전국의 중학교 1학년 총 2,5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사회적 위축, 학업무기력, 스마트폰 의존도 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위축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학업무기력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위축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무기력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장성화 ( Sung Hwa Jang ),김순자 ( Soon Ja Kim ),최성열 ( Sung Yeol Choi ),이주연 ( Ju Yeon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3 아동교육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초등학생의 휴대폰 중독 감소를 위한 개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 휴대폰 중독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개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6학년 35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첫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 휴대폰 중독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 휴대폰 중독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 학교적응과 휴대폰 중독 간에는 부적상관, 정신건강과 휴대폰 중독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휴대폰 중독에는 자아존중감, 학교환경적응, 정신건강의 측면들이 중요한 요인임을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mental health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ellular phone addi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provide the relevant educational authorities with basic data in order to prevent problems related to cellular phone addict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correlation are their among the degree of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mental health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ellular phone addiction.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mental health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ellular phone addi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8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cated in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esteem and cellular phone addiction,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cellular phone addiction,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ental health and cellular phone addiction. Second, cellular phone addiction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the self-esteem, school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 KCI등재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장성화 ( Jang¸ Sung-hwa ),최성열 ( Choi¸ Sung-yeol ),이주연 ( Lee¸ Ju-ye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4

        본 연구는 경기 지역의 유치원 5세 유아를 둔 어머니 374명 대상으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에서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가족건강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서표현성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정서표현성과 사회적 유능감의 정서조절, 정서성, 또래관계 기술, 사회적 규범이해와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부정적 정서표현성과 사회적 유능감의 정서조절, 정서성, 또래관계기술, 사회적 규범이해과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사회적 유능감과 가족건강성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하위요인 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정서표현성과 가족건강성과의 관계에서는 긍정적 정서표현성과는 정적 상관관계, 부정적 정서표현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 부정적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가족건강성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on the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374 mothers with kindergarten 5-year-old infants in Gyeonggi Provinc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family strength,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ity, peer relationship skills, and social norm understanding were found. There wer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ity, peer relationship skills, and social norm understanding.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family health performanc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pression and family healt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performance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performance. Second, the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were found to be factors influencing the child's social competence.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 on the effect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on infants’ social competence,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family strength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 were also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학교생활적응과 일상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장성화 ( Sung Hwa Jang ),최은희 ( Eun Hee Choi ),이주연 ( Ju Yeon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이 학교생활적응과 일상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생 321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초등학교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 학교생활적응, 일상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의 상관관계 분석,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생활적응, 자아탄력성,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탄력성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과 일상생활스트레스, 일상생활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안녕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이 일상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일상생활스트레스를 낮게 지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 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안녕감이 일상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in the effect of elementary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on adjustment to schol life and everyday life stress.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study targeted at 321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th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study used SPSS 20.0 program to collect the data an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ary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djustment to school, everyday life stress, and ego-resilience shows that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ego-resilience,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also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go-resilience.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veryday life stress, and also between everyday life stress and ego-resilience. Secondly, regarding the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 result shows that a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as higher, the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was higher. The result of examin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n everyday life stress shows that a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as higher, the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f everyday life stress was lower. Lastly, the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 positive(+) effect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ego-resilience was working as a partial mediating facto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 negative(-) effect on everyday life stress, and ego-resilience was working as a partial mediating factor.

      • KCI등재후보

        무용동작치료 연구동향 분석 : 2010년~2020년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장성화(Sung-Hwa JANG),이주연(Ju-Yeon LEE)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1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Vol.5 No.1

        연구는 2010년부터 2020년까지의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무용동작치료의 연구동향을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국회전자도서관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검색서비스를이용하여 석/박사 학위논문 총 120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정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맞게 코딩,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4년에 석박사학위논문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으며, 2014년 이후 2020년까지 10편 이상의 꾸준한 학위논문 연구가 진행되고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무용동작치료 학위논문의 연구대상은 성인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유·아동, 청소년, 노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의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통합적 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사례연구와 개관연구에 대한 연구가진행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상에 따라서 다양한 연구변인들을 중심으로 학위논문 연구가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dance movement therapy, focusing on domestic master s and doctorate thesis from 2010 to 2020. The analysi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20 master s and doctorate papers using the search service of the National Assembly Electronic Library and the Korea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 The selected data were cod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largest number of master s and doctorate thesis studies were conducted in 2014, and more than 10 steady thesis studies were conducted from 2014 to 2020. Second, adults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research subjects in the dissertation on dance movement therapy, followed by children, adolescents, and the elderly. Third, research methods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followed by integrated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integrative research. Fourth,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research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and research on case studies and overview was being conducted.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dissertation research was conducted mainly by various research depending on the subjec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