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광음향분광법을 이용한 GaAs와 Si 반도체의 열확산도 측정과 운반자특성 연구

        임종태,한호연,박승한,김웅,최중길,Lim, Jong Tae,Han, Ho Youn,Park, Seung Han,Kim, Ung,Choi, Joong Gill 대한화학회 1997 대한화학회지 Vol.41 No.7

        광음향 분광법을 이용하여 GaAs와 Si 반도체에서 운반자 운송특성을 연구하고 열확산도를 측정하였다. 변조주파수에 따른 반도체에 광음향신호와 위상으로부터 반도체에서의 운반자 특성이 낮은 주파수영역에서는 주로 순간적인 열원에 의하며, 높은 주파수영역에서는 비방사 벌크재결합과 비방사 표면재결합에 의한 효과임을 관찰하였다. GaAs와 같은 직접전이 밴드갭을 갖는 반도체의 경우 위의 세가지 광음향효과를 모두 나타내는 반면, Si과 같은 간접전이 밴드갭을 갖는 반도체의 경우 순간적인 열원에 의한 효과와 비방사 벌크재결합에 의한 효과만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효과로 변조주파수에 따른 광음향신호의 위상에서 GaAs 반도체는 극소값을 보이는 반면 Si 반도체에서는 단조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아울러 광음향신호로부터 반도체 시료의 열확산도 ${\alpha}_s$는 GaAs의 경우 0.35 $\textrm{cm}^2/s$ 이고 Si의 경우 1.24 $\textrm{cm}^2/s$ 를 얻었다. 또한 광음향신호의 위상을 curve fitting하여 열확산도를 측정한 결과 광음향신호로부터 구한 값과 유사한 열확산도를 구할 수 있었다. Photoacoustic spectroscopy was utilized to investigate the carrier transport and the thermal diffusivity in GaAs and Si. From the frequency dependence of the photoacoustic signal, it is found that heat source was originated from the instantaneous thermalization process in low frequency region. In high frequency region, however, the heat was generated by the nonradiative bulk recombination and the nonradiative surface recombination processes. It was also shown that the photoacoustic effects in GaAs of a direct band gap were governed by all three processes and those in Si of an indirect band gap were produced by the instantaneous thermalization and the nonradiative bulk recombination only. The phase of the photoacoustic signal showed a minimum value in GaAs. In Si, the phase of the photoacoustic signal was monotonically decreased as the modulation frequency was increased, demonstrating the above-mentioned mechanisms of the generation of heat. By measuring the photoacoustic signal, thermal diffusivities of semiconductors were determined to be ∼0.35 ㎠/s for GaAs and ∼1.24 ㎠/s for Si. In addition, the similar values of thermal diffusivities were obtained from the curve fitting of photoacoustic phase spectra.

      • UNIX를 기반으로 한 데이타베이스 관리체제의 프로토타입 설계

        임종태(Jong Tae Lim),김유성(YooSeung Kim),이윤숙(YoonSuk Lee),신동천(Dong Chun Shin),안종길(Jong Kil Ahn),문송천(Song Chun Moon) 한국정보과학회 198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5 No.1

        UNIX 운영체제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UNIX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타베이스 관리체제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도 실세계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데이타베이스 관리체제를 개발한 경험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UNIX를 기반으로 하여 높은 성능을 갖는 데이타베이스 관리체제를 개발하기 위한 데이타베이스 관리체제의 프로토타입을 설계하였다. 이 데이타베이스 관리체제를 효율적인 질의 처리를 위한 질의 최적화 부분과 다수의 사용자에게 만족한 성능을 주기 위한 트랜잭션 처리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특집2 : 숙종대의 과학과 실학 ; "서양의 물질문화와 조선의 의관(衣冠)": 이기지(李器之)의 『일암연기(一菴燕記)』에 묘사된 서양 선교사와의 문화적 교류

        임종태 ( Jong Tae Lim ) 한국실학학회 2012 한국실학연구 Vol.0 No.24

        이 논문은 1720년 연행사절의 일원으로 북경을 방문한 李器之와 북경 천주당에 거주하던 예수회 선교사 사이에 이루어진 문화적 교류를, 이를 기록한 이기지의 연행록을 통해 분석한다. 이기지의 연행록 『一菴燕記』에는 선교사들과 자신의 만남 및 교류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담고 있어, 18세기 초 조선의 양반 지식인이 서구 문화에 어떻게 접촉하고 이를 어떻게 인식했는지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하지만, 이 논문은 예수회 선교사와 이기지의 교류를 조선과 서양 사이에 이루어진 ``직접적`` 문화 접촉의 사례라기보다는,朝淸간 외교 관계 하에 이루어진 燕行, 그리고 그 문학적 결과물인 연행록이라는 특정한 사회적, 문학적 제약조건 하에서 그 매개를 통해 이루어진 사건으로 분석한다. 이 논문에서는 두 가지 점을 주장할 것이다. 첫째, 서양인과의 만남에서 이기지가 경험한 것, 그리고 그에 대한 이기지의 서술 방식은 그가 북경에 여행한 방식, 그리고 그와 서양인의 만남이 이루어진 ``접촉 지대``로서 북경이라는 공간이 지닌 정치적, 문화적 성격에 크게 영향 받았다. 둘째, 서양인과의 만남에 대한 이기지의 묘사는 그의 연행록 전체가 추구한 수사학적 목적, 즉 18세기 초 청제국의 예기치 않은 번영에 대면하여 조선 사대부의 문화적 정체성을 새로이 규정하려는 목적에 기여하고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ltural encounter between a Korean envoy to Beijing named Yi Kiji and the Jesuits in Qing China, as documented in the former`s 1720 Beijing travelogue. Yi`s travelogue, which contained detailed accounts of his meeting with the Jesuits, provides us a rare vantage point, from which to look closely into a moment of the Korean`s encounter with European culture. Yet,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Yi Kiji`s experience with the Jesuits not as a moment of his direct exposure to the West, but as something highly mediated by certain socio-literary constraints: the Korean tributary travel to Beijing and one of its literary outcomes, the genre of Beijing Travelogues of the late Choson period. Two points will be suggested. First, the mode of Yi`s travel and the nature of the "contact zone," the Qing imperial metropolis, crucially shaped Yi`s experience with Westerners and his description of the episode. Second, the way Yi portrayed this episode contributes to the broader rhetorical aim of his entire travelogue-reshaping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n Confucian literati in the wake of unexpected prosperity of the "barbarian" Manchu empire that he witnessed during his travels.

      • KCI등재

        聖住寺 創建 以前 先代伽藍에 대한 檢討

        임종태(Lim Jong-Tae) 한국고대사학회 2013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2

        보령 성주사지는 新羅下代 文聖王 12년(847년)에 무염대사가 주석하게 되면서 창건된 사찰이며, 창건 이전의 先代伽藍은 百濟時代 烏合寺로 알려져 있다. 본 論文은 이러한 聖住寺 創建 以前의 先代伽藍이 百濟 烏合寺(烏含寺)로 인식되는 현 시점에서 몇 가지 의문에 의해 시작하게 되었다. 이를 간략히 언급하자면 성주사지선대가람은 백제시대 오합사로 알려져 있으나 관련 사료인 『聖住寺碑文』과 『朗慧和尙白月?光塔碑文』에는 성주사 창건 이전의 선대가람을 金仁問과 연관 짓고 있다. 그러나 후대 기록인 『崇嚴山聖住寺事績記』만이 百濟 法王이 창건한 오합사가 그 기원임을 밝히고 있다. 이외에 백제시대 北岳에 위치하는 오합사와 현재 성주사지와의 지리적 모순도 이러한 의문점을 가중시킨다. 이에 대하여 筆者는 발굴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유구와 관련된 층위, 유물에 대한 고고자료를 좀 더 세부적으로 검토하여 성주사지 선대가람의 創建時點에 대하여 논해 보고자 하였다. 검토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발굴조사 당시 확인된 고고자료에 따라 층위를 분석한 결과 선대가람은 하나의 가람군으로 造營되고 維持되었을 가능성이 크며, 건물지의 基壇은 모두 塼石混築基壇으로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기에 출토유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선대가람에 사용된 Ⅰ형식의 연화문수막새 중 ⅠB유형은 선대가람의 유구와 관련성이 높은 안정된 층위에서 확인되고 있어 당시 건물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이보다 이른 유형에 속하는 ⅠA유형은 비교적 개채수가 적고 출토 위치 또한 대부분 불분명하기에 사역 조성 과정에서 混入된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현재 성주사 사역 중앙에 위치한 성주사 창건 이전의 선대가람은 7C 중ㆍ후반기경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창건과 관련된 주체는 당시 보령지역을 封地로 받은 金仁問 勢力일 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Seongju Ancestor Temple, Boryung has established in year 847 (Year 12 新羅下代文聖王) when Mooyum ambassador has became premier and before that ancestor temple is known as Baekje Ohab temple. This study is started from the few doubts of present situation of realizing Ancestor temple as the Baekje Ohab temple. To mention it briefly, Seongju ancestor temple is widely known as Baekje Ohab temple but related references such as 『聖住寺碑』 and 『朗慧和尙白月?光塔碑』, both stated Seongju ancestor temple is related to Kim In Moon. However, upcoming generation record 『崇嚴山聖住寺事績記』 stated that the Ohab temple which established by Baekje Pope is the origin. Other than that, Ohab temple placed at the Bugak in Baekje period and present Seongju temple’s distance is increasing the doubts. About these doubts, author has studied the hamate bones from the excavation investigation and related relics more in details to find out the real establishment period of the Seongju Ancestor Temple. To summarize those shortly, the layer examination of the archeological specimens from the excavation investigations, found that the Ancestor Temple is established as one of the temples and the stylobate pattern of the Seongju Ancestor Temple is almost likely to the Gyeongju the four heavenly guardians of Buddhism Temple. But from the relics studies, IB type from the I type of the Lotus Convex Tiles has verified as it was used in the buildings back then. IA type, which is earlier type, has found less in number and not verified, they are presumed not be mixed from the sieve area. As a conclusion, ancestor temples are presumed as they are established in late 7C, before the Seongju Temple and IA type used temples in current sieve area are hard to find but also can’t count aside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保寧 聖住寺址 출토 명문와 속성과 특징

        임종태(Lim, Jong-Tae) 역사문화학회 2016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9 No.2

        본 論文은 보령 성주사지에서 출토된 명문와를 배면의 속성에 따라 형식적으로 분류하여 이에 대한 단계를 설정해 각 단계의 특징 등을 추론하는데 목적이 있다. 성주사지에서 출토된 명문와는 19종류에 총 365점으로 이들 명문와를 배면의 문양과 명문대 구성방식에 따라 분류․검토한 결과 명문와 배면의 문양적 요소는 대부분 어골문계가 주류를 이루었다. 아울러 명문대의 구성은 三區分 방식 중 중앙 배치가 대부분이며, 명문대의 구획은 ‘十’자 구획과 ‘丨’자 구획, 무구획 등이 확인되고 있어 미흡하게나마 시간적 속성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분류된 명문와는 총 4단계에 걸쳐 성주사에 제작․공급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자세히는 먼저 Ⅰ단계는 성주사 창건기 무렵에 해당되는 9세기 중반 이후인 9세기 중반~10세기 중반기경 제작․공급된 것으로 명문와의 내용 구성은 寺名과 建物名稱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내용 末尾에 瓦草 또는 瓦를 붙여 매듭짓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Ⅱ단계는 10세기말경~11세기말경 사이에 제작․공급되었을 것으로 판단되며, 명문와의 내용 구성은 干支+寺名+建物名稱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내용 말미에는 ‘草’만을 덧붙여 마무리한 것이 특징이다. Ⅲ단계는 11세기 말경에서 12말경 사이에 제작․공급된 것으로 추정된다. 명문구성은 이전 단계와 비슷한 干支+寺名+建物名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이전 단계에 비해 장문으로 구체화 되고 있다. Ⅳ단계 명문와는 삼천불전의 조성과 밀접하게 관련된 기와들로 이들 명문와가 제작되고 공급된 시점은 적어도 12세기 말경~13세기 말경 사이인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서 Ⅰ단계와 Ⅱ단계는 가장 많은 명문와가 사용된 단계로 이들 명문와에서는 주로 ‘金堂’, ‘祖堂’, ‘千仏堂’과 같은 建物名稱이 사용된 점으로 보아 이들 기와는 위의 중요건물이 신축되는 과정에서 사용된 初瓦로 판단된다. 아울러 Ⅲ단계와 Ⅳ단계에 이르러서는 명문와의 출토빈도가 눈에 띠게 줄어드는데, 이는 사원의 운영과 경제력이 이전과는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傍證한다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ally classify the inscribed roof tiles (銘文瓦; 명문와) excavated from the Seongjusaji temple site 성주사지; 聖住寺址)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ir backs, to set stages for them, and then to estimate the characteristics of inscribed roof tiles for each stage. A total of 19 types and 365 pieces of inscribed roof tiles were excavated from the Seongjusaji temple site. The confirmed inscribed roof tiles were examined based on the methods of constructing patterns and inscription bands of their backs. As a result, the pattern elements on the backs of the inscribed roof tiles excavated from the Seongjusaji temple site consisted mainly of the herringbone pattern. In addition, inscription bands were mostly composed of central arrangement by three-section method, and ‘十’-shaped section, ‘丨’- shaped section, and non-section were confirmed as a section of inscription bands. It is estimated that temporal properties are insufficiently refle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scribed roof tiles excavated from the Seongjusaji temple site were classified into 13 types. The classified inscribed roof tiles were estimated to be produced and provided in a total of four stages. For more details, the inscribed roof tiles in Stage I were produced and provided from the mid-ninth century to the mid-tenth century after the foundation period of Seongjusaji temple (성주사; 聖住寺), and their inscriptions were mainly composed of names of temple and building. They are characterized by finishing with the letter of ‘瓦草’ or ‘瓦’. The inscribed roof tiles in Stage II were estimated to be produced and provided from around the end of the tenth century to the end of the eleventh century, and their inscriptions consisted mainly of the sexagenary cycle and names of temple and building. They are characterized by finishing with the letter of only ‘草’. The inscribed roof tiles in Stage III were estimated to be produced and provided from around the end of the eleventh century to the end of the twelfth century, and their inscriptions consisted of the sexagenary cycle and names of temple and building the same as the previous stage. However, they are characterized by a long sentence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age. The inscribed roof tiles in Stage IV were closely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Samcheonbuljeon (三千佛殿; 삼천불전) and estimated to be produced and provided from around the end of the twelfth century to the end of the thirteenth century.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most greatest number of inscribed roof tiles were used in Stages I and II and building names such as ‘金堂’, ‘祖堂’, and ‘千仏堂’ were mainly used for these inscribed roof tiles, it is considered that these roof tiles are ‘初瓦’ us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new important buildings described above. Furthermore, the frequency of the excavation of inscribed roof tiles visibly decreased in Stages III and IV. It can be said that this corroborates that the operation and economic power of temples was obviously different from before th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