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경상도편 「산천(山川)」 항목에 수록된 수경(水景) 요소의 특징

        임의제,소현수,Lim, Eui-Je,So, Hyun-Su 한국전통조경학회 2016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4 No.2

        본 연구는 용어의 개념과 차이점을 명료하게 규정하기 어려운 전통 수경(水景) 요소의 쓰임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문헌분석을 위주로 진행되었다. 조선 전기 관찬(官撰) 지리지인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경상도편 "산천" 항목에서 수경과 관련된 지명을 발췌하여 다양한 수경 요소를 파악하고, 사전적 정의와 원문에 대한 해석 및 유사 사례 고찰을 통해서 수경 요소별 특징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1. "산천" 항목에 수록된 수경은 22개 요소였으며, 이를 입지와 물 흐름의 방식에 따라서 하천경관, 호소(湖沼)경관, 해안경관으로 분류하였다. 2. 자연적 물 흐름을 항시 유지하는 하천경관은 물줄기의 위계와 관련된 선적(線的) 형태의 '수(水)', '강(江)', '천(川)', '계(溪)'와 감입곡류하천 특성으로 인해서 형성되는 점적(點的) 형태의 '탄(灘)', '뢰(瀨)', '폭(瀑)', '저(渚)'로 구성된다. 3. 일정 구역에 모인 물 형태를 갖는 호소경관은 '강'의 중하류에 형성된 넓고 잔잔한 지점을 일컫는 '호(湖)', 하천 중상류 유로 상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연(淵)', '담(潭)', '추(湫)', 평지에 모인 물로서 '지(池)', '당(塘)', '택(澤)', 그리고 자연적으로 솟아나는 샘을 지칭하는 '천(泉)', '정(井)'으로 구성된다. 4. 해안경관에는 육지와 섬, 혹은 섬과 섬 사이 공간을 지칭하는 '량(梁)'과 '항(項)', 바다를 향해 돌출된 '곶(串)', 바닷가 모래사장 형태의 '정(汀)', 그리고 도서 지역의 지리적 중요성이 반영되어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인 '도(島)'가 포함된다. 연구 결과를 통해 전통 수경 요소의 다양성을 파악하였으며, 이들이 입지적, 경관적, 기능적으로 차별화된 특징을 반영한 개념이라는 사실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서 선조들의 자연경관에 대한 관심과 예리한 관찰력으로 형성된 자연에 대한 심미안이 인공을 최소화하고 자연이 주체가 된 우리 전통정원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바탕이 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This study aims at the consideration of the usages of traditional waterscape elements, which are difficult to define their concepts and their differences and it has been proceeded mainly with analysis of literature. It elicited various waterscape types by extracting the place names associated with the watersacpe elements from the chapter "Sancheon" of the volumes Gyeongsang-province in "Sinjeung Donggukyeojiseungram", which is a government-compiled geography book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drew the features of each waterscape element by interpreting the dictionary definition and the original text and studying the similar examples. The results of study are drawn as follows. 1. The chapter "Sancheon" includes 22 types of waterscape elements and they are classified by means of locations and water-flow forms: River Landscape, Lake & Pond Landscape, Coast landscape. 2. River landscape maintaining constant natural water-flow constitutes the linear type, related to the class of stream, which includes 'Su(water)', 'Gang(river)', 'Cheon(stream)' and 'Gye(brook)' and the dotty type, created by the nature of trenched meander rivers, which includes 'Tan(beach)', 'Roe(rapids)', 'Pok(waterfall)' and 'Jeo(sandbank)'. 3. Lake & Pond Landscape forming water collected in a certain area constitutes 'Ho(lake)', which is a broad and calm spot created around mid and down stream of river, 'Yeon(pool)', 'Dam(pond)', 'Chu(small pond)', which are naturally created on the water path around mid and down stream of river, 'Ji(pond)', 'Dang(pond)', 'Taek(swamp)', which is collected on a flatland and 'Cheon(spring)', 'Jeong(spring)' which means gushing out naturally. 4. Coast Landscape includes 'Ryang', 'Hang', which are the space between land and an island or islands, 'Got(headland)' which sticks out from the coast into the sea, 'Jeong(sandbank)' which forms sandy beaches and 'Do' which shows high appearance frequency by reflecting the geographical importance of islands. This study comprehended the diversity of traditional waterscape elements and drew the fact that they are the concept reflecting the differentiated locational, scenic and functional features. That way, it understood the aesthetic sense on nature, which ancestors had formed with the interests in natural landscape and the keen observation on it, became the basic idea elucidating the characteristic on Korean traditional gardens, which minimize the artificiality and make nature the subject.

      • KCI등재

        통영 충렬사의 경관변화 고찰 - 시설물과 식생 경관을 중심으로 -

        임의제 ( Lim Eui-je ),배수현 ( Bae Soo-hyun ),김봉준 ( Kim Bong-jun ) 한국경관학회 2019 한국경관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는 통영 충렬사를 대상으로 통시적 관점에서 경관변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각종 문헌 및 도판자료, 현장조사를 통해 조선시대 충렬사의 창건 시부터 현재까지 경관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과 양상을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충렬사는 19세기에 강한루가 건축되면서 원형경관이 완성되었다. 외삼문과 함께 횡으로 배치된 비각 군은 사우의 위상과 상징성을 부각함과 동시에 영역을 구분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 주목된다. 식생경관은 사우 뒤편에 대나무 숲과 전나무로 추정되는 상록수림이 배경이 되었으며, 진입부에는 의도적으로 배식된 동백나무 가로수가 진입부의 경관을 대표하였다. 경역 내에는 제향공간과 강학공간 마당에 최소한의 대칭식재가 이루어졌다. 둘째, 일제강점기에는 충렬사의 경관이 훼손되기 시작하였으며, 문루인 강한루가 훼철되면서 외삼문과 비각이 충렬사의 전면을 대신하게 되었다. 1960년대는 진입로변의 민가들이 철거되면서 서측의 동백나무 가로수가 사라져 진입부의 원형경관이 훼손되었다. 경역 내에는 조선시대 식재 수목 외에 곳곳에 추가 식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셋째, 국가 주도의 1970년대 사적지 정화사업은 충렬사의 경관에도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다. 충렬사 정화사업을 통해 이루어진 가장 큰 외형적 경관변화는 사적지 경역의 확장이었다. 또한 진입부의 평탄화 공사는 주변과의 레벨 차이를 크게 만들었으며 동백나무 가로수가 고사하고, 주변의 도시조직과 격리되는 계기가 되었다. 정화사업 당시 조경계획이 수립되어 경내에 다양한 수목이 식재되기 시작하였으며, 각종 구조물과 시설물에 대한 공사가 크게 이루어졌다. 넷째, 1980년대 이후의 정비사업에서는 일제강점기에 훼철된 강한루를 복원하였으며, 이후 충렬사 진입부를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한쪽 열만 남아있던 진입부의 동백나무 가로수는 대부분 고사하여 충렬사의 대표적인 원형경관이 사라졌다. 이 시기부터는 다양하고 빈번한 식재사업이 전개되었으나 사적지 공간의 경관특성과 전통 수종의 검토 없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현재의 산만한 식재경관이 형성된 원인이 되었다. This study researched the patterns of landscape change of Chungnyeolsa(忠烈祠) Shr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hungnyeolsa), Tongyeong from the diachronic perspective. Through various literatures, drawing materials and field researches, the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landscape changes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Shrine in the Joseon Dynasty to the present have been grasp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ungnyeolsa in the Joseon Dynasty completed the original landscape by constructing Ganghallu(江漢樓) pavilion in 19th century. It receives attention that the group of monument houses arranged in parallel with Oesammun not only emphasizes the status and the symbolism of the shrine but also distinguishes the area. The vegetation landscape is by the evergreen forest presumed to be bamboo forests and fir forests behind the shrine. And at the entrance, an intentionally planted camellia trees along the road represented its landscape. In the boundary area, the least symmetrical planting was made at the ceremonial area and the lecture area. Second,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landscape of Chungnyeolsa began to be damaged. As Ganghallu, a gate with loft, was damaged and demolished, Oesammun(外三門) and the monument house(碑閣) took over the front of Chungnyeolsa. In the 1960s, as the private houses along the entrance road were removed, the camellia trees on the west side disappeared, and the original landscape of the entrance area was destroyed. In the boundary area, additional planting began to take place in various parts besides the existing trees from the Joseon Dynasty. Third, the purification projects of the historic sites in the 1970s, which brought about rapid changes, also brought about drastic changes in the landscape of Chungnyeolsa. The biggest external change of landscape conducted by the purification project of Chungnyeolsa was the extension of the boundary area. In addition, the leveling work of the entrance area made large height differences with the surrounding areas, which led to withering the camellia trees and the isolation from the surrounding urban structures. The landscape architecture plan was included in the purification project at the time, so various trees were planted in the Shrine, and diverse structures and facilities were constructed on a large scale. Fourth, since the maintenance projects in the 1980s, Ganghallu, which had been demolish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s been restored and become a landmark representing the entrance area to the Shrine. However, most of the camellia trees remained row-planted on the one side of the road in the entrance area were withered, and the representative original landscape of Chungnyeolsa disappeared. From this time on, various and frequent planting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but they were proceeded without reviewing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of historic site or studying the traditional species. It finally has caused the present distracted planting landscape.

      • KCI등재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경상도편 「산천(山川)」 항목에수록된 수경(水景) 요소의 특징

        임의제 ( Eui Je Lim ),소현수 ( Hyun Su S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6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4 No.2

        본 연구는 용어의 개념과 차이점을 명료하게 규정하기 어려운 전통 수경(水景) 요소의 쓰임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문헌분석을 위주로 진행되었다. 조선 전기 관찬(官撰) 지리지인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경상도편 「산천」 항목에서 수경과 관련된 지명을발췌하여 다양한 수경 요소를 파악하고, 사전적 정의와 원문에 대한 해석 및 유사 사례 고찰을 통해서 수경 요소별 특징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1. 「산천」 항목에 수록된 수경은 22개 요소였으며, 이를 입지와 물 흐름의 방식에 따라서 하천경관, 호소(湖沼)경관, 해안경관으로분류하였다. 2. 자연적 물 흐름을 항시 유지하는 하천경관은 물줄기의 위계와 관련된 선적(線的) 형태의 ``수(水)``, ``강(江)``, ``천(川)``, ``계(溪)``와 감입곡류하천 특성으로 인해서 형성되는 점적(點的) 형태의 ``탄(灘)``, ``뢰(瀨)``, ``폭(瀑)``, ``저(渚)``로 구성된다. 3. 일정 구역에모인 물 형태를 갖는 호소경관은 ``강``의 중하류에 형성된 넓고 잔잔한 지점을 일컫는 ``호(湖)``, 하천 중상류 유로 상에 자연적으로형성된 ``연(淵)``, ``담(潭)``, ``추(湫)``, 평지에 모인 물로서 ``지(池)``, ``당(塘)``, ``택(澤)``, 그리고 자연적으로 솟아나는 샘을 지칭하는 ``천(泉)``, ``정(井)``으로 구성된다. 4. 해안경관에는 육지와 섬, 혹은 섬과 섬 사이 공간을 지칭하는 ``량(梁)``과 ``항(項)``, 바다를 향해 돌출된 ``곶(串)``, 바닷가 모래사장 형태의 ``정(汀)``, 그리고 도서 지역의 지리적 중요성이 반영되어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인 ``도(島)``가 포함된다. 연구 결과를 통해 전통 수경 요소의 다양성을 파악하였으며, 이들이 입지적, 경관적, 기능적으로 차별화된 특징을 반영한 개념이라는사실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서 선조들의 자연경관에 대한 관심과 예리한 관찰력으로 형성된 자연에 대한 심미안이 인공을 최소화하고자연이 주체가 된 우리 전통정원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바탕이 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This study aims at the consideration of the usages of traditional waterscape elements, which are difficult to define their concepts and their differences and it has been proceeded mainly with analysis of literature. It elicited various waterscape types by extracting the place names associated with the watersacpe elements from the chapter 「Sancheon」 of the volumes Gyeongsang-province in 『Sinjeung Donggukyeojiseungram』, which is a government-compiled geography book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drew the features of each waterscape element by interpreting the dictionary definition and the original text and studying the similar examples. The results of study are drawn as follows. 1. The chapter 「Sancheon」 includes 22 types of waterscape elements and they are classified by means of locations and water-flow forms: River Landscape, Lake & Pond Landscape, Coast landscape. 2. River landscape maintaining constant natural water-flow constitutes the linear type, related to the class of stream, which includes ``Su(water)``, ``Gang(river)``, ``Cheon(stream)`` and ``Gye(brook)`` and the dotty type, created by the nature of trenched meander rivers, which includes ``Tan(beach)``, ``Roe(rapids)``, ``Pok(waterfall)`` and ``Jeo(sandbank)``. 3. Lake & Pond Landscape forming water collected in a certain area constitutes ``Ho(lake)``, which is a broad and calm spot created around mid and down stream of river, ``Yeon(pool)``, ``Dam(pond)``, ``Chu(small pond)``, which are naturally created on the water path around mid and down stream of river, ``Ji(pond)``, ``Dang(pond)``, ``Taek(swamp)``, which is collected on a flatland and ``Cheon(spring)``, ``Jeong(spring)`` which means gushing out naturally. 4. Coast Landscape includes ``Ryang``, ``Hang``, which are the space between land and an island or islands, ``Got(headland)`` which sticks out from the coast into the sea, ``Jeong(sandbank)`` which forms sandy beaches and ``Do`` which shows high appearance frequency by reflecting the geographical importance of islands. This study comprehended the diversity of traditional waterscape elements and drew the fact that they are the concept reflecting the differentiated locational, scenic and functional features. That way, it understood the aesthetic sense on nature, which ancestors had formed with the interests in natural landscape and the keen observation on it, became the basic idea elucidating the characteristic on Korean traditional gardens, which minimize the artificiality and make nature the subject.

      • KCI등재

        경상남도 남해안 마을숲의 문화경관 특성 연구 -남해군과 통영시를 중심으로-

        임의제 ( Eui Je Lim ),소현수 ( Hyun Su So ),이수동 ( Soo Dong Lee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0 No.3

        본 연구는 마을숲 연구에서 심도있게 다루어지지 않았던 해안 마을숲의 문화경관 특성을 파악하고, 그 가치와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경상남도 소재의 남해안 마을숲 10개소를 연구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문헌연구, 현장조사, 인터뷰를 통해서 남해안 마을숲을 고찰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남해안 마을숲의 문화경관 특성은 문화적 특성, 실용적 특성, 경관적 특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내륙 마을숲이 유교적 배경이 강한데 비해 민촌에 조성된 해안 마을숲은 민간신앙의 영향이 두드러진 마을 공동체의 정신적 공간이다. 둘째, 남해안 마을숲은 해안마을이 접한 현실적 문제 해결과 경제적 효율을 우위에 둔 사고와 문화를 반영한 실용적 공간이다. 셋째, 남해안 마을숲은 단순히 수목으로 구성된 숲에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 토지이용을 구성하는 바다부터 마을과 배후 산까지 광역적 범위에서 경관적 정체성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남해안 마을숲의 기초 자료를 구축하고, 내륙 마을숲과 차별화되는 해안 마을숲의 가치를 제고하였음에 의의를 지닌다. 나아가 동해안과 서해안 마을숲으로 연구의 대상을 확장함으로써 각 해안 마을숲의 특성과 차이점을 밝히는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s objective is to inform people of the value and identity and to understand the cultural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coastal village forest, which have not been studied in-depth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10 village forest sites in the southern coast of Gyeongsangnam-do, Korea and the present state of forests were investigated through bibliographical and on-the-spot survey, as well as interviews with local villagers. The following points(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ulture, practical characteristics, scenic characteristics) are the important factors for analyzing cultural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coastal village forest verified through the study. First, The coastal village forest in the village commons is mental space for the local community affected by folk belief rather than confucian backgrounds. Second, The coastal village forest is a reasonable space contriving economic efficiency and solving the real problems facing the coastal village. Third, The coastal village forest identities should be understood the land use around village and behind mountain from the sea of wide range rather than confined to just a forest consisting of trees. This study`s significance is to make the basic data and to enhance the value of the coastal village forest unnoticed. In addi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should be extended to the east and west coastal village forests and subsequent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notific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each coastal village fores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아회도(雅會圖)에 나타난 조선후기 원림문화

        임의제 ( Eui Je Lim ),소현수 ( Hyun Su S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조선후기에 성행한 아회도가 기록화의 가치를 지님에 주목하여 도판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당시의 원림문화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아회도에 묘사된 원림의 경관과 이용행태의 양상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제택에서 아회의 주된 장소는 사랑마당과 후원이었으며, 대저택에서는 높은 담장 위에 정자를 설치하고 샛문을 두는 등 외원(外園)의 경영과 이를 염두에 둔 입지 선정이 주목된다. 둘째, 화훼류를 심은 화분은 주택 정원에서만 사용하고, 사랑마당의 화오(花塢)에 식물 없이 화분과 괴석분을 놓은 경우가 있었으며, 송첨(松添)과 그늘시렁 같은 식물 재료를 이용한 전통 차양시설을 설치하였다. 셋째, 제택과 별서 원림에서 괴석이 중요한 경관요소였으며, 일부는 태호석(太湖石)으로 묘사되어 조선후기 원림에 실제 도입된 것인지 그 여부가 주목된다. 넷째, 별서 원림은 목책, 바자울, 토담 등 다양한 재료로 낮은 울타리를 설치하여 차경을 도모하고, 마당을 확보하여 지당, 괴석과 노송, 대나무, 매화, 버들, 오동, 연, 파초를 심어 인위적 정원을 조성하였다. 다섯째, 조선후기 경화사족(京華士族)은 제택과 인접한 한양의 승경지에 별장형 별서를 조영하였다. 여섯째, 누정 원림은 수림(樹林), 기암(奇巖), 단애(斷崖), 수석(水石)이 아름다운 계류변의 자연성이 높은 지역에 입지하였으며, 정자의 뒤편은 대나무 숲으로 위요하고 앞쪽에는 소나무, 은행나무, 버드나무 정자목을 식재하였다. 일곱째, 아회의 장소로 선호되었던 승경의 구조는 기봉(奇峰)과 단애가 골격이 되고 폭포가 어울려 원경을 이루었으며, 부감(俯瞰)이 가능한 산봉우리 너럭이나 송림, 버드나무, 매화가 있는 계류변 너럭바위가 아회의 적지였다. 여덟째, 원림에서 소나무가 다른 수종에 비하여 선호된 수종으로 추정되며, 특히 노송(老松)을 단식(單植)하여 상징성을 강조하였다. 아홉째, 전다(煎茶)를 위한 이동식 다로(茶爐) 시설이 네 가지 유형의 원림 모두에 도입되었다. 열 번째, 길상적 경관요소들이 어우러진 원림은 문인들의 금기서화(琴棋書畵)및 전다를 통한 탈속적 아회를 위한 풍류의 장이었다. This study contemplated the gardening culture from the pictures, which the scholars of late Joseon Dynasty, the aspects of garden landscapes and garden use behaviors are drawn as follows. 1. The yard by the detached house for men and guest in front of the premises(Sarang Madang) and backyard were the major places for Ahoi(social gatherings of the scholars). The mansions had interests in the management of the outer garden beyond the house wall with building structures like the pavilions on the high walls and side gates. This management and the selection of location anticipating in advance of the management are noteworthy. 2. Only house gardens had plant pots with flowers and the small flower bed(Hwa-O) at Sarang Madang occasionally had plant pots without flowers and oddly shaped stone pots and equipped pine branch eaves and traditional awnings made of plant material like a trellis. 3. The oddly shaped stones were significant landscape elements in the gardens of houses and villas. Some of them were depicted as the Taihu stone and this draws attention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 Taihu stone was actually used in the garden of late Joseon Dynasty. 4. The gardens in villas accommodated the borrowed scenery with various materials like wooden fences, bamboo or reed fences, mud walls. They also had the artificial gardens with some odd shaped stones, old pines, bamboos, Japanese apricots, willows, paulownia trees, lotuses and plantains in the secured Madangs. 5. Gyeong Hwa Sa Jog(The scholars of the ruling class adapted to the 18th century``s new historical aspect) of late Joseon Dynasty built the villas at the beautiful scenery closed to the their houses. 6. The Gardens around pavilions were located high closed to the mountain streams with nature like beautiful forests, oddly formed rocks, precipitous cliffs and viewing stones. The back side of the pavilion was enclosed by bamboo forests and the front had pines, ginkgoes and willows as shade trees. 7. The beautiful scenery which was preferred as the place for Ahoi was basically with fantastic peaks and precipitous cliffs which forms the distant view harmonized with a waterfall. Broad and flat rocks at the summit of a mountain which commands a bird’s-eye view or on a mountain streamside with pine forest, willows and plum trees were chosen as the optimal places for Ahoi. 8. Pine trees were presumed to be more preferable than other species in the garden, especially an single planted old pine tree accented symbolism. 9. Portable tea braziers for boiling tea were adopted in all four types of the gardens. 10. The gardens mixed with auspicious landscape elements were the places of the arts for an unworldliness Ahoi through GeumGiSeoHwa(enjoying strings, go, writing and painting) and boiling tea.

      • KCI등재

        지리산 유람록에 나타난 이상향의 경관 특성

        소현수 ( Hyun Su So ),임의제 ( Eui Je L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지리산 유람록 23편을 대상으로 하여 문인들이 인식한 이상향의 경관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문장 속에 묘사된 ‘무릉도원(武陵桃源)’, ‘별천지(別天地)’, ‘동천(洞天)’, ‘청학동’, 그리고 ‘은거지’라는 다섯 가지 키워드를 지리산 이상향의 유형으로 이해하고, 이들의 경관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문인들이 꿈꾼 지리산의 ‘무릉도원’은 신비감을 주는 깊은 산속, 협곡 안에 마련된 넓고 평평한 터, 감나무와 밤나무 등 향토식생, 닭과 소 등 생리(生利)를 만족시키는 토속경관이 반영된 이상향이다. ‘별유천지(別有天地)’의 ‘별천지’는 선경(仙境)과 승경 개념이 결합된 이상향이다. 또한 문인들은 은일에 적합한 위요된 지형 구조를 가진 곳에 이름을 붙이거나 일정한 영역의 승경지를 한정하는 개념으로 ‘동천’을 사용하였다. 지리산에 설정된 ‘청학동’은 불일암 일대 협곡과 불일폭포로 이루어진 수석(水石)경관, 소나무와 대나무 등 식생경관을 토대로 하여 최치원의 설화와 바위글씨로 전승되었다. 문인들은 지리산에서 배산임수형 지세, 교역 가능한 하천, 대숲으로 위요된 평평한 토지, 유실수 위주의 식생, 아름다운 산수를 갖춘 마을을 지상에실현된 이상향으로 인지하였다. 이것은 대자연 안에서 적당하게 노동하며 사는 인간 세상의 모습과 같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조선시대 문인들의 유산(遊山) 문화와 이상향의 관련성, 그리고 선계(仙界)로 인식한 지리산의 여건을 파악하고, 중국에서 전래된 개념부터 토착화된 현실적 이상향까지 다양한 전통적 이상향을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contemplates the utopian landscape recognized by the scholars with twenty three pieces of ‘travel record``. Consequently, five key words - Mureungdowon(武陵桃源), Byeolcheonji(別天地), Dongcheon(洞天), Chonghakdong, Eungeoji(hermitage) - are chosen for comprehending the utopia and their landscape characteristics are organised as follows. Mureungdowon in Jirisan Mountain which the scholars dreamed of is a flatland with the full energy for local vegetation and domestic animals in the mysterious and deep gorge. This utopia eventually reflects the rural landscape. Byeolcheonji is a utopia combining the concept of a fairyland and beautiful scenery. The scholars also used the term ‘Dongcheon`` for naming the enclosed landform which is suitable for seclusion and defining the some areas of beautiful scenery. Cheonghakdong, which is set only in Jirisan Mountain, has been formed by the stone scenery of gorges and Buril waterfalls around the whole area of Burilam Hermitage, the vegetation scenery of pine trees and bamboos with the legend of Choi Chiwon and his engraved inscription on a rock. Adding to the utopia passed down, the scholars perceived the village with geographical features with back to the mountain and facing the water, the river practising the trade, the flatland enclosed by bamboo forests, the vegetation mainly consisting of fruit trees and beautiful scenery as the utopia realized on earth. It is equivalent to the world of human beings laboring appropriately and living in Mother Nature.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or apprehending the relevance between the culture of strolling in the mountains by the scholars of Joseon Dynasty and the fairyland and explaining the various traditional utopias from the inherited concepts from China to the naturalized realistic utopia.

      • KCI등재

        조경기사 필기시험 중 한국조경사 문제의 출제 경향

        소현수 ( Hyun Su So ),임의제 ( Eui Je Lim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0년간 축적된 국가기술자격검정 조경기사 필기시험 중 조경사 과목의 문항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조경사 문제의 출제 경향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제공한 출제기준은 조경사를 구성하는 다섯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에서 최근 ‘서양의 조경’에 대한 문항의 출제 비율이 낮아진 반면에 ‘한국의 조경’에 대한 문항의 출제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둘째, ‘한국의 조’에 대한 문항에서 약 30여 종의 전통수종과 11가지 유형의 전통조경 시설물이 포함되는 전통조경요소가 다루어졌다. 또한 역사서, 지리서, 실학서, 원예서, 문집 및 기타, 정원도 및 회화자료로 분류되는 전통조경 관련 기록물 25개가 제시되었다. 다음으로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궁원의 조영 시기와 관련된 왕, 별서의 조영자나 소유자, 기록물의 저자, 중국 문인으로 구성되는 인물들이 문항에 등장하였다. 셋째, ‘한국의 조경’에 대한 문항 중에서 선사시대와 발해시대에 해당하는 문제는 없었으며 조선시대에 집중 분포되었다. 이에 조선시대로 한정하여 고찰한 전통공간 사례지는 별서가 가장 많았고, 도성·궁궐, 주택, 누·정·대, 서원 순서였으며, 읍성과 사찰의 사례지는 낙안읍성과 용주사뿐이었다. 넷째, 조선시대 전통공간과 관련하여 사례지의 조성 시기, 조영자, 입지 특성, 건축 구조, 평면 형태, 정원 구성 요소에 대한 세부적 내용 파악이 요구되었다. 또한 한국조경사 교재 9권으로부터 문항에서 추출한 전통공간 사례지의 출현 여부를 검토한 결과 동춘당, 풍암정사, 십청정, 곡수대, 유상대, 심곡서원은 등장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통해서 보편성이 결여된 지엽적 사실에 대한 정보를 묻는 문제, 조경사 교재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정보와 대상지가 포함된 문제 등과 같은 한국조경사 기출문제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contemplates the tendency of the examination questions for History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The study targets the questions of ‘Landscape Architecture History’ which has been set in the written test for National Qualification Test of a landscape engineer for recent 10 years from 2005 to 2014 and derives analyzable items based on the guidelines of question-setting presented b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drawn as follows. First, among 5 areas composing Landscape History, the proportion of Korean Landscape questions is getting increased while that of Western ones is decreasing. Second, about 30 traditional trees and 11 types of traditional landscape elements including traditional facilities were shown in Korean Landscape questions. Besides, history, geographic, practical science, horticulture, anthology books and the 25 tradition landscape-related historic documents categorized as the garden painting data were found. And the kings from ancient era to Choseon Dynasty who were associated with the time of palace garden building, the builders or owners of the villas, the authors of the document and Chinese scholars also appeared. Third, there were no the questions of prehistoric times and Balhae Kingdom, whereas those of Choseon Dynasty were dominantly focused. Among the traditional sites of Choseon Dynasty, Byeolseo(villas) were set most, followed by Dosung or Gung-gweol(castle towns or palaces), houses, Nu·Jeong·Dea(pavilions) and Seowon(local schools) in order. Nak-an eupseong and Yong-ju sa were the only cases for a castle town and a temple each. Fourth, being associated with tradition spaces, the questions asked for understanding the detailed contents of time of sites` construction, builders, location features, building structures, ground plan types and the components s of garden. In addition,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raditional landscape sites were shown in the set questions in 9 Korean Landscape textbooks, Dongchundang, Pungamjeonsa, Simgogseowon did not appeare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tendency of the examination questions for History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the questions which ask minor facts without generality and which include difficult information and site uncomprehended in the textbook should be reconsider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