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연구를 통해 나타난 유아의 사회정서역량과 교사의 사회정서교수역량 변화

        임보영 한독심리운동학회 2023 심리운동연구 Vol.9 No.3

        This study aims to improve preschoolers’ and teachers’ quality of life by solving the difficulties in the field due to preschoolers’ challenging behavior. Thus, self-supervision-based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to strengthen the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of preschoolers and the social-emotional teaching competence of teachers, to induce positive changes in preschoolers’ challenging behaviors. This was an action research study in which the teacher was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were two non-disabled girls in a small classroom of a kindergarten in K city. The multidimensional positive behavioral support of universal, preventive, and individual dimensions was implemented for 18 sessions in three periods through a cyclical process of action research. This study used a mixed methods approach to examine the specific changes in children and teachers that occurred as a result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The resul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children's social-emotional competence and problem behavior, and significant changes in teachers' social-emotional teaching compet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for consulting with experts for practical application and effective intervention, and linkage with families considering the temperament and nurturing environments.

      • KCI등재

        기술 혁신에 의한 지역 일자리 변화에 대한 연구

        임보영(Im, Bo-Yeong),마강래(Ma, Kang-Rae) 한국지역개발학회 2020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2 No.2

        기술 혁신과 일자리에 대한 선행연구는 ‘기술 혁신에 의해 일자리 감소할 것’이라는 의견과 ‘기술 혁신으로 인해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는 의견으로 양분되어 나타나고 있다. 기술 혁신이 일자리에 미칠 영향에 대한 시각이 나뉘고 있으나, 기존 연구들에서는 기술 혁신의 직종별 영향에만 집중해 왔다. 기술 혁신의 영향력이 직종별로 차이가 나듯이 직종 구조가 다른 지역 역시 기술 혁신에 의한 영향력을 차별적으로 받을 수 있다. 지역적 차원에서 기술 혁신에 의한 영향력을 사전에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지역 간 경제력 격차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기술 혁신에 따른 지역별 일자리 변화를 추정하고, 이러한 변화가 지역 간·지역 내 일자리 격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재의 지역별 직종 구조가 유지된다는 가정 아래, 최근의 직종별 연평균 증감률을 지역별·직종별 일자리 수에 적용해준 결과 권역 간 일자리 격차는 0.491로 나타났다. 이러한 권역 간 일자리 격차는 기술 혁신 패러다임 아래 더욱더 심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기술 혁신은 수도권 및 충청권의 일자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나머지 권역에서의 일자리에는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기술 혁신이 지역별 일자리 변화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본 연구의 가설을 뒷받침해 준다. 기술 혁신에 따른 국토 내 일자리 편중 문제와 비수도권 시군의 일자리 감소가 우려되는 가운데, 향후 정부와 지자체의 산업 육성 정책과 일자리 정책의 중요성은 더욱더 커질 것이다. 그간 지역 산업 및 일자리 정책은 기존의 정책을 답습하고 있거나 지역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채 진행되어왔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서 권역별로, 도시 규모별로 산업, 일자리 전략을 새롭게 강구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권역별 신산업 산업 육성 분업 시스템을 구축하는가 하면, 지방의 고숙련 노동자 육성을 위한 지역의 산학연계 시스템 구축 및 강화 정책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권역 내 대도시에서는 도시형 신산업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고, 중소도시지역은 혁신도시의 성장 거점화·산업단지 고도화를 중점적으로 진행하며, 쇠퇴 지역에서는 지역 재생사업과 산업 및 일자리 정책을 연계할 수 있을 것이다(정우성, 2017).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the impacts of technologicalinnovation on employment may vary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composition at anational scale. Since the compositions of occupation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different regions, it can be expected that there may discriminative impacts on thenumber of jobs at the regional or local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regional changes of employment which can be influenced by technological innovations. The results of study indicate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can contribute to the growthof jobs in general, but certain areas may experience a reduction of workforce. It isexpected that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can increase the regional employmentdisparity, as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mployment in Seoul Metropolitan Area(SMA)and Chungcheong Province, but the other areas may not take advantage of suchtechnical adva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strong employment policies fornon-SMA regions should be implemented in order to respond the unemployment in the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맨큐-웨일 모형과 주택수요, 그리고 평균주거면적

        임보영(Bo-Yeong Im),김준형(Jun-Hyung Kim) 한국주택학회 2021 주택연구 Vol.29 No.3

        국내에서 맨큐-웨일 모형(MW모형)은 미래의 총주택수요뿐만 아니라 호수 단위의 주택수요 추정에도 활용되며, 이 과정에서 평균주거면적(AHS)은 총주택수요를 호수 단위 주택수요로 전환하는 주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 따르면 AHS는 MW모형에서 상수로 가정해야 할 대상이 아니며, MW모형을 통해 추정되어야 할 변수이다. 이에 본 연구는 MW모형으로 향후 AHS를 추정하였다. 주거실태조사와 장래인구 및 가구추계자료를 활용한 결과, 국내 가구의 AHS는 2021년 67㎡에서 2047년 94㎡까지 크게 상승한다. 항상소득과 주거비용 변화율을 조정한 모의실험 결과에서 2047년의 AHS는 82~100㎡의 범위에 분포한다. 이는 85㎡로 수십 년간 고정되어 있는 국민주택규모는 상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지역 간 평균주거면적의 차이가 크다는 점 역시 본 연구에서 동일하게 관찰된다. 인구변화에 따른 주택수요에 적극 대응하여야 한다면, 그 대응 역시 지역 간의 이와 같은 차이를 반영하여야 한다는 것이 본 연구의 또 다른 시사점이다. The Mankiw-Weil (MW) model is utilized not only to estimate the total future housing demand but also to predict the number of housing units. The average housing size (AHS) plays a vital role in converting total housing demand into the number of housing units. This paper reveals that AHS is not to be treated as a constant but in fact as a variable that should be estimated through the use of the MW model. This study presents a methodology based on the MW model for estimating AHS and attempts at calculating the AHS of national cities as well as provincial cities. Following the findings from the Korea Housing survey and the projected population and household data, the AHS of domestic households will increase from 67㎡ in 2021 to 94㎡ in 2047. In the simulation results, after adjusting for the rate of changes in permanent income and housing costs, AHS in the year 2047, will be distributed within the range of 82㎡ to 100㎡.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size of the national housing, which has remained constant for decades at 85㎡, needs to be raised. At the same time, the study also confirm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ize of AHS depending on the reg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have implications for the size of the national housing, which has remained a constant, and on how to bring about changes in that. Further, there is also a strong case for using AHS in establishing urban and residential plans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 소득 불평등과 행복 불평등 간의 역설적 관계에 대한 연구 (The Paradoxical Relationship between Income Inequality and Happiness Inequality)

        임보영(Im, Bo-Yeong),마강래(Ma, Kang-Rae) 한국지역개발학회 2016 한국지역개발학회 세미나 논문집 Vol.2016 No.1

        The issues on the inequality of income have been very well-documented in the economic literature. Previous literature has shown that individual incom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happiness of individuals. If this is the case, it can be expected that a gradual increase in income inequality may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increasing inequality of individual happiness. A recent study by Becchetti, Massari & Naticchioni (2011) suggested that the inequality of happiness has been influenced by a number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education, income, and job type. Interestingly, they also showed that there has been no relationship between unequal distribution of income and happiness inequalit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n increase in income inequality has any impact on the distribution of individual happiness using data from the 2012 KGSS. This study also tries to analyze the effect of changing income distribution on the distribution of individual happiness, by nvestigating how individual’s happiness can be changed in the following three different scenarios: 1. winner-take-all scenario; 2. equal distribution Scenario; and 3. polarization scenario; The main finding is there is different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happiness inequality by three different scenario.

      • KCI등재

        지방소멸과 저성장 시대의 국토공간전략

        임보영(Im Bo Yeong),이경수(Lee Kyoung Soo),마강래(Ma Kang Rae) 한국공간환경학회 2018 공간과 사회 Vol.28 No.2

        일본에서는 ‘대도시권화’와 ‘지방소멸’이라는 변화에 대응한 공간전략의 마련에 고심해왔다. 2000년대 초반부터는 인구 감소, 장기불황, 전통산업 쇠퇴에 관한 위기의식이 더욱 고조되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국토공간전략을 준비해왔다. 우리나라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인구 감소, 저성장, 산업구조 변화 등과 같은 대내외적 여건 변화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저성장, 저출산·고령화, 산업구조 변화 등의 메가트렌드는 우리 국토공간의 유례없는 변화를 예고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의 국토, 도시 및 지역정책에 관한 노력을 고찰하고, 우리나라의 국토 및 도시의 공간구조 재편 논의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먼저, 본 연구는 일본이 1990년대부터 시작된 경제적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여러 노력들을 고찰하며, 이러한 노력이 ‘공간전략’과 긴밀히 맞물려 있음을 고찰했다. 특히, 일본의 대도시권, 중소도시, 농산어촌의 공간 정책이 ‘압축+연계 전략’속에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는 지를 검토했다. 이후, 일본의 국토공간전략 수립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국토공간전략 구상에 관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큰 방향을 정리했다. 첫째로, ‘성장하는 대도시권’과 ‘축소·쇠퇴하는 중소도시’를 함께 고려할 수 있는 공간전략을 구상해야 한다. 둘째, 압축+연계 공간전략을 기반으로 한 국토공간전략은 국가 및 지역 경제정책과의 정합성을 높이도록 구상되어야 한다. 이상의 국토공간전략에 관한 논의는 저성장, 저출산·고령화라는 거대한 변화 속에서 도시 간 상생발전의 미래상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In Japan, there has been a huge migration of young people from regional areas to three major metropolitan areas of Tokyo, Osaka and Nagoya from the 1950’s. On the other hand, there have been a growing number of regional areas struggling to maintain a certain level of public or private services due to insufficient population density. A gradual increase in regional polarization has been reinforced by decreasing job opportunities in non-metropolitan regions. Japanese government introduced the spatial concept of “compact and networks” by developing ‘Grand Design of National Spatial Development towards 2050’ which aims to respond to the challenges Japan faces including an unprecedented population decreasing society, as well as economic depression. South Korea have the similar problems as the Japan has undergone in the several decad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rich discussion of spatial development strategies by reviewing Japanese government’s recent efforts to reshape spatial structures. This paper suggests that firstly, spatial development strategies should reinforce effective collaboration between growing metropolitan areas and adjacent areas in decline. Secondly,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need to be tightly linked with ‘compact and networks’ spatial strategies in order to not only develop the local economies, but als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entire nation.

      • 소득 불평등과 행복 불평등 간의 역설적 관계에 대한 연구

        임보영(Im, Bo-Yeong),마강래(Ma, Kang-Rae) 한국지역개발학회 2017 한국지역개발학회 세미나 논문집 Vol.2017 No.1

        The issues on the inequality of income have been very well-documented in the economic literature. Previous literature has shown that individual incom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happiness of individuals. If this is the case, it can be expected that a gradual increase in income inequality may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increasing inequality of individual happiness. A recent study by Becchetti, Massari & Naticchioni (2011) suggested that the inequality of happiness has been influenced by a number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education, income, and job type. Interestingly, they also showed that there has been no relationship between unequal distribution of income and happiness inequalit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n increase in income inequality has any impact on the distribution of individual happiness using data from the 2012 KGSS. This study also tries to analyze the effect of changing income distribution on the distribution of individual happiness, by investigating how individual’s happiness can be changed in the following three different scenarios: 1. winner-take-all scenario; 2. equal distribution Scenario; and 3. polarization scenario; The main finding is there is different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happiness inequality by three different scenario.

      • KCI등재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연구

        임보영(Im, Bo-Yeong),마강래(Ma, Kang-Rae) 한국지역개발학회 2016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8 No.1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arguing that inference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cannot be deduced from inference for the group to which those individuals are belonging to. This kind of ecological inference fallacy, however, has been ignored in the field of life satisfaction studi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e aggregate data analyses are different from those from the disaggregate data analyses.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Data was use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both individual- and regional-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any inferences obtained from the aggregate data analyses may not be substantiated by analyses of individual level data. This implies that a careful interpretation is needed when the findings from analyses of regional level data are applied to policies aimed to improve the level of individual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원격근무확산을 위한 전제조건에 관한 논의

        임보영(Im Bo-Young),정진우(Jeong Jin-Woo)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06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9 No.2

        유비쿼터스 정보통신기술(u-IT)이 점진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근무가 가능한 새로운 근로패러다임인 원격근무는 다른 분야와 접목되어 향후에 노동시장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 많은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원격근무의 예상 효과로는, 첫째, 근로자 개인의 차원에서 업무자율성?만족도 향상, 통근으로 인한 시간?비용?피로감 감소, 둘째, 기업차원에서는 비용절감, 고급인력 확보, 생산성 향상, 셋째, 사회적 차원에서 환경오염 감소 및 에너지 절감, 교통 체증 해소, 지역균형발전에 기여 등이다. 원격근무확산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고려해야 할 요인은 세 가지 방향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원격근무 확산을 저해하는 사회?문화적 요인인 공무원 복무규정 등 관련 법?제도의 개선?보완, 업무성과중심의 인사고과제도 정착, 기혼 여성의 육아를 위한 주중의 선택적 원격근무 제도 시행, 둘째, 최근 행정수도 이전 및 공공기관의 지역분산화 정책과 관련하여 원격근무를 유효한 대안들 중의 하나로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대도시의 교통난 해소 및 고유가 시대에 대비한 에너지 절약정책, 환경오염 방지책을 수립시 원격근무제도와 적절히 연계하고, 셋째, 신기술 적용?애플리케이션 개발, 정보보호?보안?인증 등의 문제 해결을 정부가 적극 지원하는 것이다. Telework will be essential work paradigm in a few years with development of ubiquitous IT. Telework will be effective 3 perspectives. First, in personal dimension, improvement of work condition. Second, in organizational dimension, reduction of work cost. Third, in social dimension, effective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This study suggests 3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lework in Korea. First, it is better to arrange office regulations in public sector. Second, it is required to connect energy policy, environmental policy with telework. Third, government should support private sector at technical issues for example development of applications, information secu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