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제2분과 : 식물상 및 식생관리 ; 애기달맞이꽃의 분포특성과 위해성 평가

        황인천 ( In Chun Hwang ),이창우 ( Chang Woo Lee ),이효혜미 ( Hyo Hye Mi Lee ),김덕기 ( Deo Kki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1

        국내에 분포하는 달맞이꽃속의 자생종은 없으며, 모두 귀화식물이거나 원예용으로 식재하고 있으며, 이중 달맞이꽃(O. biennis L.), 큰달맞이꽃(O. erythrosepala Borbas), 애기달맞이꽃(O. laciniata Hill), 긴잎달맞이꽃(O. strictaLed.) 등 4종이 귀화된 것으로 보고 있다. 애기달맞이꽃의 경우 해안사구를 중심으로 자라며, 지면을 따라 방석처럼 옆으로 퍼져 나가 사구식물의 분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보이며, 현재 제주도와 남쪽 해안의 사구식생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향후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전국적인확산이 이루어지고 특히 해안 사구식생과 하천의 사질토양의 식생에 심각한 피해를 입힐 것으로 판단되는 식물이다. 애기달맞이꽃의 분포 및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향후 분포변화를 예측, 현재의 위해가능성이나 피해상황, 분포변화에 따른 피해를 예측해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목적과, 나아가 다른 귀화식물에 있어서도 위해성을 판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진행 하였다. 애기달맞이꽃은 2014년 현지조사와 문헌조사를 통하여 분포 및 분포특성을 조사하였고 출현가능지역과 기후변화에 따른 공간분포변화양상을 공간분포모델링(maxent)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애기달맞이꽃의 분포지역은 휴경지에서 해안사구 식생, 도로변 등 나지에서 단경초지에까지 분포가 확인된다. 하지만 단경초지일지라도 평균 초장 20cm이상, 식피율 60%이상 되는 조건에서는 확인되지 않고 있어 빛에 의한 발아율의 저하로 보인다. 토양의 경우는 사토가 대부분이며, 일반적으로 물빠짐이 좋은 토양에서 확인되고 있었다. 훼손 후 경과년도는 대략적으로 3년 이내였으며, 이차초지가 대부분으로 확인되었다. 토습은 물빠짐이 좋은 토양에 주로 확인되어 비교적 건조한 지역이 었으며, 분포형태는 모두 군생하거나 융단형으로 나타났다. 제주도지역에서는 휴경지나 도로변을 중심으로 해발 500m까지 침투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애기달맞이꽃이 생육하는 지역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32과 71속 87종 3변종으로 총 90분류군의 관속식물이 혼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출현 빈도에 의해서는 갯메꽃, 쑥이 빈도 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띠 빈도6, 갯무, 순비기나무, 갯금불초, 갯씀바귀, 사철쑥 등은빈도 5로 나타났다. 빈도 3이상 (출현율 25%이상)인 식물은 24분류군으로 확인되었고 해변의 모래사장에서 확인되는 식물은 11분류군, 이차초원의 대표적인 식물이13분류군으로 확인되어 애기달맞이꽃의 분포유형을 대별하고 있으며, 해변의 모래사장 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환경인 물빠짐이 좋은 토양의 이차초원에도 많은 분포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애기달맞이꽃의 분포지에는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종 Ⅰ등급 11종, Ⅲ등급 2종, Ⅳ등급 1종, Ⅴ등급 1종등 총 15종이 확인되었으며 전체 식물상의 16.6%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Ⅰ등급 종의 사철나무, 거지덩굴 등을 제외하면 모두 해안사구나 모래사장 등을 선호하거나 특정서식유형을 갖는 식물로 애기달맞이꽃이 선호하는 환경과 겹치고 있다. 모래사구 등의 특정 분포지는 일반적으로 지피층의 밀도가 높지 않아 애기달맞이꽃에 의한 교란에 취약한지역으로 예상된다. 애기달맞이꽃이 선호하는 입지 중이차초지의 경우 음지에서 발아율이 저하되는 특성으로 다년생 초본에 의해 점차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공간분포모델링의 AUC값은 0.93으로 애기달맞이꽃 분포 모형의 적합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적합도와 분포예측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변수의 기여도값 가운데 건기평균온도에 해당되는 bio9(MeanTemperature of Driest Quarter)이 52.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순차적으로 배수등급이 11.5%, 등온평균기온에 해당되는 bio3(Isothermality=it)이 7.7%, 표토토성이7.6%, 우기달의강우량인 b13(Precipitation of Wettest Month)이 6.7%, 토지피복지도가 3.4%, 최고기온분기의강우량인 bio18(Precipitation of Warmest Quarter)이 3.3%, 연강우량인 b12(Annual Precipitation)rk 2.7%, 최고건조달의강우량인 b14(Precipitation of Driest Month)가 2.6%, 모재가2.4% 순으로 나타남, 반면에 bio1, bio2, bio4, bio5, bio6,bio7, bio8, bio13, bio15, bio17, bio19, 해발값 등은 기여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잠재 분포지역은 제주도와 남해안을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미래시나리오인 RCP 8.5(2000-2050년)의 경우 한반도에서의 미래 분포확산은 강원도 등 해발고도 및 산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면적에 확산이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안의 모래사장을 선호하는 특징으로 기후변화에 따라서 동해안과 서해안의 해안을 따라 북상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해당지역의 겨울철 평균온도가 낮아 잠재 분포지와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확산가능지역에서는 제외 되는 결과를 얻었다. 애기달맞이꽃의 현재 잠재 분포지가 남해안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기후변화에 따라 내륙으로 깊숙이 침투될 것으로 예상되어 남해안의 해안사구 식생과 하천의 모래사장등의 특정 환경을 선호하는 식물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인 교란지역이나 이차초지에서는 빛이없는 곳에서 발아율이 낮아지는 특성으로 인해 점차 사라질것으로 예상되지만 해안사구의 경우는 심각한 피해를 입힐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 생합성 플라스틱 Poly-β-Hydroxybutyrate의 생분해와 토양온도의 관계

        이효혜미,조강현,조경숙 이화여자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1988 이화환경연구 Vol.2 No.-

        생분해성 플라스틱인 poly-β-hydroxybutyrate(PHB)의 미생물에 의한 분해에 대하여 2, 10, 20, 30 및 40℃의 항온이 유지되는 토양에서 49일간 배양하면서 조사하였다. 무게 감소로 측정한 poly-β-hydroxybutyrate의 분해속도는 배양 온도가 높을 수록 증가하였다. 배양온도 40℃에서 poly-β-hydroxybutyrate는 하루당 3.5%의 무게감소 속도로 빠르게 분해되었다. 한편 토양에서 poly-β-hydroxybutyrate의 분해는 토양의 pH, 전기전도도와 같은 화학적 특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탈수소효소 활성도로 나타낸 토양미생물의 활성도는poly-β-hydroxybutyrate의 분해에 따라서 증가하였다. The microbial degradation of poly-β-hydroxybutyrate(PHB) films was studied in soil microcosms incubated at a constant temperature of 2, 10, 20, 30 and 40℃ for up to 49 days. The degradation rate measured through loss of weight was enhanced by incubation at a higher temperature. At the soil temperature 40℃, poly-β-hydroxybutyrate was rapidly degraded at a decay rate of 3.5% weight loss per day. The degradation of poly-β-hydroxybutyrate did not affected significantly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such as pH and electric conductivity. However, microbial activity of soil in terms of dehydrogenase activity was increased by the degradation of poly-β-hydroxybuty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