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연계 고등학생과 공학 전공 대학생의 글쓰기 교육에 대한 인식

        이효녕 ( Hyon Yong Lee ),임영구 ( Young Goo 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科學敎育硏究誌 Vol.3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글쓰기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광역시 소재의 일반계 고등학교의 자연 계열 318명과 전국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공학 계열 학생447명을 대상으로 이공 계열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글쓰기 능력에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효녕 외(2009)에 의해 개발된 이공계열 글쓰기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응답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글쓰기 교육에 대한 기초 인식 조사 결과 고등학생이 대학생보다 글쓰기의 필요성을 상대적으로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등학생이 대학생보다 글쓰기에 관한 어려움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쓰기 교육을 이수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이수과목은 대부분 기초 글쓰기과목이고 이공 계열 글쓰기에 대한 과목은 거의 이수하지 않았다. 공학 계열 대학생의 전공별 글쓰기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조사에서 각 전공별로 학생들이 요구하는 글쓰기 교육의 수준이 달랐다. 글쓰기 교육의 전반적인 필요성에서 화학공학 계열이 가장 높았고 기계공학 계열과 전자공학 계열 순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와 대학에서의 글쓰기 교육에 관한 연구는 글쓰기를 가르치는 교사나 교수에 대한 연구, 글쓰기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 그리고 대학의 전공별 글쓰기 프로그램 개발과 같은 연구로 확장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in natural science track and engineering major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writing and composition education. A total of 318 high school students in natural science track from two high schools in a metropolitan area and 447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engineering from three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asked to response their perceived status and needs of writing education for science-engineering track. The survey instrument, developed by Lee et al.(2009), was used for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SPSS 18.0 program for Windows for Multiple Respons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high school students relatively perceived that writing education was less necessary compared to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high school students found writing less difficult than university students do. In related to studying their experience with writing and composition education, almost no high school students have taken writing classes and university students have taken an average of one class. Most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writing classes took basic writing classes that were not programmed for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In the basic survey to revitalize writing and composition education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in different majors, the level of writing and composition education required by students in each major was different. Writing was considered most necessary for students majoring in Chemical Engineering, followed by students majoring in Mechanical Engineering and Electronic Engineering. The study of writing and composition education for high school and college should extend to studies on teachers or professors who teach writing, studies on contents and methods of writing education, and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writing programs for different majors in university.

      • KCI등재

        과학 고등학교와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스템 사고측정 도구의 타당도 검증 및 시스템 사고 비교

        이효녕 ( Hyon Yong Lee ),이현동 ( Hyun Dong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이효녕 등(2013)에 의해 개발된시스템 사고 측정 검사지의 타당도 재검 및 시스템 사고 측정 검사지를 활용하여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시스템 사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것이다. 과학고등학교 학생 116명과 인문계 고등학교학생 553명에게 시스템 사고 측정 검사지를 투입하고SPSS 18.0을 활용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Amos를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SPSS 18.0을 활용해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 두 집단의검사지 평균을 독립표본 t-test를 수행하여 시스템사고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5개의 요인구조가 나타났으며 각요인별 4문항씩 적재되었다. 시스템 사고 측정도구의전체 신뢰도는 .875였으며, 각 하위 요인의 신뢰도는.693~.751로 신뢰로운 검사지로 나타났다. 확인적요인분석에서도 χ2/df값이 2.765, TLI는 .907, CFI 는 .929, IFI는 .930, RMSEA는 .044로 모형 적합도5개 수치에서 적합한 값을 보여주어 모형을 수용할수 있다. 그리고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시스템사고를 t-test를 이용해 비교해 본 결과 시스템 사고전체 문항 뿐 아니라 모든 하위 영역에서 과학영재학생이 일반학생에 비하여 우수한 시스템 사고를 하고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가 더 낳은 성과를 얻기위해서는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향상을 살펴보는 연구에서 다른 질적 연구 도구와 함께 활용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다양한 학교 급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사고 측정 도구도 함께 개발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revalidate the developed Measuring Instrument Systems Thinking and 2) to compare systems thinking skills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test, 116 gifted science students and 553 non-gifted students were sampled from high school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and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using the average of the two groups. The finding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5 factors in the model with 4 items per single factor.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generally appropriate and acceptable (5 factor model: χ2/df : 2.765,TLI=.907, CFI=.929, IFI=.930, RMSEA=.044). The reliability for 20 items turned out to be high because the Cronbach`s alphas were at .875 and .693~.751 per each factor. In addition, the result of t-test showed that systems thinking skills among gifted scienc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gifted students. This study could be expanded to measuring systems thinking with qualitative research tools and to various school levels.

      • KCI등재후보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초등 교사의 관심도 변화에 관한 탐색 연구

        박경숙 ( Kyung Suk Park ),김용기 ( Yong Ki Kim ),전재돈 ( Jae Don Jeon ),이효녕 ( Hyon Yong Lee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科學敎育硏究誌 Vol.3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교사가 융합인재교육(STEAM)에 어떤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융합인재교육 시범학교를 운영하면서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새롭게 적용되는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Hall에 의해 개발된 관심도 검사 도구(SoCQ)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융합인재교육 시범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초등학교 90명이며, 시범학교 운영 기간인 4월, 6월,12월에 관심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인재교육 시범학교를 운영하고 있는 전체 초등 교사의 관심도의 변화는 4월에는 무관심 단계가 가장 높고 결과적 관심이 가장 낮았으나 12월에는 무관심과 운영적 관심이 낮아졌다. 4월과 비교하여 결과적 관심의 평균값이 54.7에서 74.3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교사들의 개인적인 변인을 대상으로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교 이과를 이수한 초등 교사들은 운영적 관심의 단계가 낮게 나타났으며, 석사 이상의 학력을 갖춘 초등 교사의 경우도 운영적 관심의 단계가 낮게 나타났다. 아울러, 교육대학교 STEM 관련 교과의 심화과정을 졸업한 초등 교사들 역시 운영적 관심의 단계가 낮게 나타났다. 개인의 요인에 따라 융합인재교육을 받아들이는 관심 단계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탐색적 연구의 결과는 융합인재교육의 통합적 접근을 위해 가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elementary teachers’ stages of concerns and its changes about STEAM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9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lementing STEAM education in their schools.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 (SoCQ) was administered after the permission was granted by Hall. Data were collected three times from April, June, and December in the year of implementing the exemplary STEAM school. The results indicat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rns toward STEAM education, the differences of the percentile scores of each stages of concerns, showed slightly low. The SoC of teachers in April showed that Awareness(Stage 0) was relatively very high and Consequences(Stage 4) was very low. However, in December, both Awareness(Stage 0) and Management(Stage 3) were very low. In particular, the percentile scores of Consequence(Stage 4) showed the big difference from 54.7 to 74.3. In addition, teachers who took science track in their high schools showed the relatively low score in the stage of Management(Stage 3). Teachers having the degree of Master of Arts presented the relatively low percentile score in the stage of Management(Stage 3). Teachers who majored in STEM related areas at the university presented the relatively low score in the stage of Management(Stage 3). The findings of this exploratory study may provide the useful insights into the integrative approaches of STEAM education.

      • KCI등재후보

        자전축 기울기 방향의 일관된 삽화 제시가 중학생의 천문 개념 형성과 파지에 미치는 영향

        조현준 ( Hyun Jun Cho ),이호 ( Ho Lee ),조미선 ( Mi Sun Jo ),정진우 ( Jin Woo Jeong ),위수민 ( Soo Meen Wee ),손정주 ( Jung Jo Sohn ),이효녕 ( Hyon Yong Lee ),김현정 ( Hyeon Jeong K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科學敎育硏究誌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구의 운동 관련 개념을 연속적으로 학습하는 과정 속에서 중학생들에게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가 일관되게 묘사된 삽화들의 제시가 지구의 자전, 공전에 따른 계절변화, 별자리 변화 등 관련 개념 습득 및 파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1학년 학생 116명을 대상으로 이질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를 하였다. 실험집단(n=59)과 통제집단(n=57) 모두 3차시 동안 동일한 내용과 교수방법으로 교수-학습활동을 전개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자전축의 기울기 방향이 동일한 삽화들을 제공하였다. 학습 종료 2일 후, 습득된 개념의 두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ANCOVA 테스트로 1차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자전축기울기가 일관되게 표현된 삽화를 제시하였을 경우에 학습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1차 사후 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습득한 개념들의 파지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2달 후 2차 사후검사를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에서는 1차 사후 검사 점수와 2차 사후 검사 점수의 평균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개념의 파지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통제집단에서는 평균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개념의 파지에 부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천문 개념을 학습하는데 있어서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해 일관된 삽화를 사용하는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onsistent presentation of illustrations about the aligning direction of the Axis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astronomical concepts. This study was taken using the 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on 116 7th middle school subjects. The sam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given to both the experimental (n=59) and control groups (n=57) through three lessons.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a consistent presentation of the illustrations about the aligning direction of the Axi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given an inconsistent presentation of the same illustrations about aligning direction. Two days after the three lessons, the 1st posttest was administered to compare the statistical difference of mean of both groups, using ANCOVA test. The result of ANCOVA test implicated that the consistent presentation of the illustrations about the aligning direction of the Axi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xperimental group`s acquisition of the concepts. The 2nd posttest result for retention effect was given two month later by one-paired t-Test in each group and showed that the metho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ed that paying careful attention to using the consistent illustration is highly beneficial for students` meaningful learning on astronomical concep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