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李德馨의 임진왜란 중 외교 활동

        이철성(Lee Chul-Sung) 한국인물사연구소 2007 한국인물사연구 Vol.7 No.-

        This paper examines activities by Lee Deok-hyeong, a diplomat and statesman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Imjinwaeran. Le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aving Ming forces dispatched to Chosun early in the war. He also was a diplomatic expert who took the charge of treating Ming's generals and gave the conditions and information about Ming's and Japan's forces. During peace negotiation, he not only played the role of a diplomat but also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new military forces to make efforts to cultivate soldiers and expand military facilities. He also established plans for defending Chosun from Yeojin. During re invasion by Japan, Lee transmitted information about the conditions of Ming Japan peace negotiation, and tried to make a favor for Chosun. As such, Lee's diplomatic activities were carried out not based on justification but in a substantial dimension. His opinion apparently is seen as based on toadyism and peace orientation that Chosun should ask Ming to send military forces and dispatch an envoy to Japan. However, Lee tried to change Ming's passive attitude toward combats by means of diplomatic activities, and positively advocated Ming's generals who stood for active engagement. He also claimed that Chosun should give chase to receding Japanese forces and then subjugate Tsusima. Deok hyeong was a clever diplomat who coped with matters in the position of pragmatism.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고려홍삼 무역량의 변동과 의미

        이철성,Lee, Chulsung 고려인삼학회 2019 인삼문화 Vol.1 No.-

        이 논문은 1797년 고려홍삼 무역이 포삼제(包蔘制)라는 공식적인 제도로 시행된 이후 그 수출량과 홍삼세의 규모를 살핌으로써 고려홍삼 무역의 변동과 그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19세기 조선의 고려 홍삼무역은 조선 정부가 받아들이는 세금만으로도 공무역의 비용을 능가하였다. 조선은 인삼을 재배하는 농업기술과 저장 기간을 늘리는 홍삼 증포 기술을 바탕으로, 은화의 유출을 막고 중국의 완제품 및 원료를 들여와 국내 상업계와 수공업 및 광업부문을 자극했다. 더우기 조선정부는 고려 홍삼수출로 19세기 후반 매해 20만 냥에 달하는 재정 수입을 올릴 수 있었고, 한때는 중국에서 말굽 모양의 은을 사와서 호조에 비축하기도 했다. 세도정권하에서도 상업계가 전반적으로 활발하게 움직이고, 개성상인 의주상인 서울상인의 활동이 두드러진 것은 이러한 사정에 따른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evaluate the official Korea Red Ginseng(Hongsam) trade in 19th century. The Hongsam trade activities of the 19th century also show that the collected amount of Posam taxes (Hongsam taxes) alone outweigh the amount of cost spent during the same time period to launch tributary actions. It is quite obvious that the Chosun dynasty, supported by the developed techniques of ginseng cultivation and preservation methods, managed to stop the silver leaks while also stimulating the domestic commerce, handicraft business and mining operations, by exporting Hongsam to China and importing raw material and other finished products in return. The Chosun government also managed to secure considerable amount of marginal profit which at times mounted to almost 2 hundred thousand Nyangs of silver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thanks to this Hongsam trade activities, and accumulated the hoof-shaped pieces of silver ingot at the office of Ministry of Taxation. Even under the mostly undesirable political environment featuring unjustified deeds of the powerful houses, the commercial activities were being strongly maintained, and the transactions conducted by merchants of the Gaeseong, Euiju areas and the capital city were prospering.

      • KCI등재

        전통시장 내 소매경쟁이 임대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철성 ( Lee Chul Sung ),김장현 ( Kim Janghyun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8 유통경영학회지 Vol.21 No.5

        기존 전통시장에 대한 정부 정책은 대형유통업체와의 경쟁으로 인하여 전통시장의 매출감소를 방지하고 지역 경제의 기반을 유지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대형유통업체는 SSM 및 상품공급점, 식자재 마트 등과 함께 최근에는 편의점을 통해 전통시장에 입점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대형유통업체로 인한 전통시장잠식은 매출하락에 영향을 미치며, 장기적으로는 부동산 가치의 하락을 야기하여 전통시장이 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소매경쟁의 측면에서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철성, 김영기, 김승희(2018)과 김승희, 이철성, 김영기(2018)의 연구를 바탕으로 전통시장의 소매경쟁과 임대료의 관계를 살펴보려 한다. 이를 위하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한국감정원의 자료를 바탕으로 이들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시장 내 SSM 및 상품공급점의 입점은 점포의 단위면적당 임대료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존 김승희, 이철성, 김영기(2018)의 연구결과에서 이들 업체의 입점이 전통시장의 공실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전통시장 내 하나로 마트의 입점은 점포 임대료에는 영향을 미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하나로 마트가 유통산업발전법 제외 대상이나 실질적으로 대형유통업체로 간주해야 하며, 전통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전통시장 내 식자재 마트와 기타 마트의 입점은 점포 임대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vernment policy on the traditional market has been made in order to prevent the decrease of sales in the traditional market due to competition with large retailers and to maintain and activate the foundation of local economy. However, large retailers have recently entered the traditional market through convenience stores, commodity supply stores, and food materials mart. Recently, it has been opened through convenience stores. Traditional market erosion caused by these large distributors affects sales decline, and in the long run, it may lead to a decline in real estate value and the traditional market may disappear. However, research on retail competition is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tail competition and rent in traditional markets based on the researches of Lee Chul-sung Kim Young ki, Kim Seung-hee (2018) and Kim Seung-hee, Lee Chul-sung and Kim Young-ki (2018).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based on the data of the market promotion corporation and the Korean appraisal agenc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SM and commodity supply store in traditional markets lower rent per unit area of stores.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Kim Seung-hee, Lee Chul-sung, and Kim Young-ki (2018) that the entry of these firms negatively affects the vacancy rate of traditional markets. Second, Hanaro mart's entry has a negative effect on store rents. These results imply that Hanaro Mart should be regarded as a large-scale retailer or a target to be excluded from the retail industry development law and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traditional market.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food materials mart and other mart in traditional markets did not affect store rents.

      • KCI등재

        18·19세기 조선과 일본의 인삼 재배기록 비교연구

        이철성(Chul-Sung Lee)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1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60

        이 연구는 18-19세기 조선과 일본의 인삼재배 기록에 나타나는 저술의 목적과 배경 그리고 재배 기술을 비교하여 인삼 재배법의 수준과 그 의미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밭에서 키우는 인삼재배 역사는 문헌 부재라는 현실적 장벽에 부딪혀 분명히 밝혀지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인삼재배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동아시아의 인삼 무역네트워크의 토대를 밝히는 근본적 연구임이 분명하다. 조선의 인삼재배와 일본의 조선인삼 시험재배 기록을 살피는 것은, 한일 인삼 산업의 토대와 수준을 가늠하고, 19세기 이후 중국시장에서 조선 인삼의 비중을 이해하는 가교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19세기 서유구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중 <인삼(人蔘)>이 18세기 이후 농서 상 인삼경작의 핵심적인 내용을 총정리한 이론서라면 이학규의 『낙하생집(洛下生集)』 중 <삼서>는 핵심 이론을 전제한 위에서 현장의 재배 기술과 경험을 나눌 수 있는 활용서라고 평가하였다. 한편 사카노우에의 『조선인삼경작기(朝鮮人蔘耕作記)』와 이학규의 『낙하생집(洛下生集)』 중 <삼서(蔘書)>의 기록을 비교 검토하여, 전자가 조선 인삼의 시험 재배단계의 내용을 삽화를 섞어 알기 쉽게 저술한 보고서라면, 후자는 인삼의 생태학적 특징과 재배단계별 내용이 이론적·실용적으로 종합 정리되는 단계의 기록이었다고 평가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level and meaning of ginseng cultivation methods by comparing the purpose, background, and cultivation techniques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of Joseon and Japan s ginseng cultivation records. The history of ginseng cultivation in the fields has not been clearly revealed due to the lack of literature. However, it is clear that ginseng cultivation is a fundamental study that sheds light on the foundation of the ginseng trade network in East Asia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壬辰倭亂] and the Manchu Invasion of Korea[丙子胡亂]. The reason why Joseon’s ginseng cultivation and Japan’s cultivation records are being examined is because they serve as a bridge between the foundation and level of the Korean and Japanese ginseng industry and understand the proportion of Korean ginseng in the Chinese market after the 19th century. Accordingly, if “Insam[人蔘]” in the 19th century’s “Imwonkyeongjeji[林園經濟志]” is a theory that summarizes the core contents of ginseng cultivation in agricultural books after the 18th century, Lee Hak-kyu’s “Samseo[蔘書]” in “Nakhasaengjip[洛下生集]” is a guide to sharing cultivation skills and experiences in the field on the premise of core theory.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Sakanoue s “JoseonInsamkyongjakgi[朝鮮人蔘耕作記]” and Lee Hak-kyu’s “Nakhasaengjip”, the former is a simple experimental report written by mixing illustrations of the test cultivation stages of Joseon ginseng, the latter evaluated that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ginseng and the contents of each cultivation stage were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organized.

      • 온라인 구매상황에서 구전 정보의 정보적 특성이 구전 수용에 미치는 영향: 신뢰성과 유용성의 매개적 역할

        이철성 ( Chul Sung Lee ),이호배 ( Ho Bae Lee ),이상문 ( Sang Moon Lee ),김장현 ( Jang Hyun Kim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3 유통정보학회지 Vol.16 No.3

        오늘날 인터넷의 발전은 소비자의 정보탐색 및 수용에 있어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쉽고 빠른 검색을 통해 소비자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방대한 양의 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되었을 뿐 아니라 심지어는 소비자 스스로 정보를 만들거나, 이미 만들어진 정보 혹은 가공한 정보를 손쉽게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수도 있게 되었다. 즉 온라인상에서의 소비자는 적극적인 정보 탐색자인 동시에 정보의 생산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최근 많은 관심을 받는 주제 중 하나는 온라인 구전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구전과 관련된 연구들에서는 정보의 원전에 큰 관심을 가져왔으나, 온라인 구전 커뮤니케이션은 익명성이라는 특정으로 인하여 사회적인 관점에 의해 결정되기보다는 정보적인 관점에 의해 그 영향이 달라질 기능성이 높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본 연구는 주로 사회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진 구전 커뮤니케이션의 수용과정을 정보적인 관점에서 확인한 것이며, 구전 정보의 정보적 특성이 신뢰성과 유용성의 매개를 통해 구전 수용에 미치는 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구전 메시지의 동의 성이 높을수록 정보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둘째, 온라인 구진 메시지의 생생함의 정도가 높을수록 신뢰성이 높아진다. 셋째, 온라인 구전 메시지의 적합성의 정도가 높을수록 유용성이 높아진다. 넷째, 온라인 구전 메시지의 적시성의 정도가 높을수록 유용성이 높아진다. 다섯째, 온라인 구전에 대 한 신뢰성이 높을수록 정보에 대한 유용성을 더 높게 지각한다. 여섯째, 온라인 구전 정보의 신뢰성이 높을수록 구전 정보의 수용이 높아진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구전 정보의 유용성이 높을수록 구전 정보의 수용이 놓아진다. Today, the development of internet brings many changes in information exploration and acceptance. Not only the customers can meet much information about product or service by quick and easy search, but also they make information by themselves or can pass made or making information. In other words, customers are progressive information explorer and publisher on online. In this sense, one of most. interesting topic recently is online word-or-mouth communication. Existing studies about word-of-mouth arc interested in resource of information, but online word-of-mouth is likely to be changed by informational viewpoint more than social one because of anonymity. In this sense, this study is finding in sense of informational viewpoint which is studied in social viewpoint, and word-of-mouth information features act in accept of word-of-mouth by credi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next things. First, the higher agreement of word-of-mouth, the more credibility of information is. Second, the higher vividness of word-of-mouth, the more credibility of information is. Third, the higher credibility of word-of-mouth information, accept of word-of-mouth information is. The last, informational feature of word-of-mouth affect in accept of world-of-mouth mediated by credibility.

      • KCI등재

        브랜드로서의 문화가 갖는 지각된 글로벌성과 문화전이효과: 남미에서의 한류 확산을 중심으로

        이철성(Lee, Chulsung),송명규(Song, Myungkyu),김장현(Kim, Janghy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20 문화산업연구 Vol.20 No.2

        세계화 관련된 추세가 나타나고 있으면서 브랜드 글로벌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문화를 브랜드로 본다면 브랜드로서의 문화 역시 글로벌성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기존 문화 관련 연구들에서 강조되는 관점 중 하나는 문화 전이효과이며 이는 문화적 커뮤니케이션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브랜드로서의 문화가 갖는 지각된 글로벌성이 기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문화전이 효과를 살펴보려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영향이 제조 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문화 후광 효과에 의한 것으로 예상한다. 더불어 문화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제품의 구매 과정에서 집단의 영향에 대하여 논의하려 하며, 제품의 유형이 공공적 제품인가 혹은 개인적 제품인가에 따라 상이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페루에서 수집된 설문응답을 바탕으로 지각된 글로벌성이 기업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과정에 있어 문화전이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려 한다. 이와 함께 제품 유형의 조절적 매개효과를 살펴보려 한다. 분석 결과, 지각된 글로벌성은 기업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과정에 있어 문화전이의 매개효과와 제품 유형의 조절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한다. As globalization trends emerge, interest in the perceived globalness of brand is increasing. For example, research has shown that perceived globality increases the perceived quality or luxury of a brand (Akram, Merunka, and Akram, 2010). In this context, if you look at culture as a brand, you can expect that culture as a brand can have globalness. and In addition, one of the perspectives emphasized in the existing cultural studies is the cultural appropriation effect of cultural communica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ultural appropriation on the effect of perceived globalness on corporate attitudes as a brand. In addition, this study anticipates that this effec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manufacturing companies, which is due to the cultural halo effect, and a study that examines the effect of culture on consumers discusses the influence of groups on product purchas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se effects will vary depending onwhether they are public or personal.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perceived globalness on corporate attitude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ultural appropriation in this process based on questionnaires collected in Peru.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erceived global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attitude. In this process, mediating effect of cultural appropriation andmoderatedmediating effect of product type appeared. Based on thi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 『충청감영계록』을 통해 본 19세기 충청감사의 지방행정

        이철성(Lee, Chul sung)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0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29 No.1

        이 글은 19세기 『충청감영계록』의 텍스트 검토를 해 충청감사의 행정적 기능과 역할의 일단을 밝히려는 것이다. 그간 『충청감영계록』은 시간적 연속성을 지니지 못하고 내용상 완결성이 떨어지는 자료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이 자료가 문서첩의 형태로 묶여 현존한다는 점에서, 『충청감영계록』은 오히려 편찬자의 ‘의도적 선택 에 의해 남겨진 사료이며 따라서 이를 나름의 기준을 가지고 재구성하면 유의미한 결론을 얻을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충청감사의 업무를 〈체임(遞任)〉 - 〈봉공(奉公)〉 - 〈애민(愛民)〉의 항목으로 분류하고 문서의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충청 감영의 문서 행정이 연례보고와 수시보고 등 계열성을 가지고 있었고, 그 속에서 충청감사의 한 해의 주요 임무가 윤곽을 드러냈다. 또한 충청도 각 고을의 이해관계와 생생한 삶의 현장의 모습도 파악할 수 있었다. 결국 『충청감영계록』은 첫째 연속성이 떨어지고 분절적인 자료 집성이 아니라, 조선 왕조의 중앙집권적 통치체제 속에서 지방자치와 분권의 역할을 수행하는 충청감사의 기능과 성격을 들여다볼 수 있는 소중한 사료라는 점, 둘째 『충청감영계록』은 법전류와 민서류에 나타나는 법식(法式)이 아니라 현실에서 적용되고 있던 행정의 실상과 연대기와 문집류에 가려져 있던 일반 백성의 삶을 적나라하게 보여 주는 콘텐츠의 보고(寶庫)라는 점 셋째 『충청감영계록』은 조선 왕조가 지방행정을 통해 민생을 안정시키고 사회 통합력을 높이려 했던 제반 시책을 밝힐 수 있는 자료집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