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템플레이트의 국소 위치에 형성된 전도성 고분자 미세구조물의 전기화학 합성

        이승현,서수정,윤금희,손용근,Lee Seung Hyoun,Suh Su-Jeong,Yun Geum-Hee,Son Yongkeun 한국전기화학회 2004 한국전기화학회지 Vol.7 No.2

        다공성 멤브레인 필터를 템플레이트로 이용하여 전도성 고분자를 중합하면 템플레이트의 형태대로 나노 또는 마이크로 사이즈의 전도성 고분자 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화학 중합법을 템플레이트 합성 과정에 이용하여 전극에 고착된 전도성 고분자 미세 구조물을 얻었다. 이 전기화학 템플레이트 합성 방법에서의 관건은 플라스틱 템플레이트를 ITO 또는 금속 전극위에 부착시키는 일이다, 이 때 전극은 전기화학 특성을 보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PEDiTT(poly-3,4-ethylenedithiathiophene) 용액과 PVA (polyvinyl alcohol) 용액을 블랜딩히여 얻은 복합체(composite)를 접착제로 이용하여 다공성 멤브레인 필터를 전극에 부착시켜 템플레이트 전극을 제작하였다. 이 전극을 피롤농도가 0.5M인 중합용액에 넣은 후 전해반응으로 템플레이트의 기공 안으로 폴리피롤이 합성되도록 하였다. 폴리피를 형성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템플레이트의 제거 전과 후의 전극 모습을 SEM이미지로 얻어서 확인하였다 또한 순환전압전류댑으로 전류 곡선을 얻어 확인하였다. 비교적 면적이 큰 작업 전극과 매우 작은 미소전극을 상대전극으로 구성한 전해 중합계를 이용하여 큰 작업 전극의 국소 부분에만 전도성 고분자의 전해중합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마이크로 크기의 전극을 상대전극(Counter Electrode)으로, 그리고 템플레이트가 부착된 전극을 작업 전극(Working Electrode)으로 하는 2전극계를 구성하여 이용하였다. 이 전해계를 이용하여 얻은 미세구조물은 템플레이트의 동공 크기와 같은 크기로 성장하였고 형태는 튜브나 막대기 형태를 보였다. 특히 상대전극의 위치를 조정하여 원하는 위치에 튜브형태의 미세구조물을 합성하였다. 최종 합성조건으로는 $250{\mu}m$ 전극은 인가전위 4V로 100초간 중합시간, 그리고 $10{\mu}m$전극의 경우는 인가 전위 6V에 시간은 30초 동안 중합할 때 고분자가 멤브레인 동공 밖으로 넘쳐나지 않는 만큼 성장함을 알았다. The nano or micro sized structures of conducting polymer had been prepared by synthesizing the desired polymer within the pores of template of nano or micro porous membrane filter. In this study, we had tried to fabricate conducting polymer microstructures on an electrode by using electrochemical deposition adopting template synthesis. Our attention was focused on two different things, attaching template on the electrode and fabricating microstructures only at limited areas of the electrode. A conducting polymer, PEDiTT (poly 3,4-ethylenedithi-athiophene) solution was blended with PVA(polyvinyl alcohol) solution and used as an conducting adhesive. After attaching template membrane, the electrode were immersed in 0.5M pyrrole in 0.1M KCI solution, and electrochemical polymerization was performed. The growth process of the microstructures studied by SEM. The electrochemical fabrication of conducting polymer was performed by using two-electrode system. A large working electrode and a micro scale disc electrode were used for the confined area synthesis. Polymerization potential was 4V in an electrolytic solution made of KCI in deionized water. The optimum polymerization conditions were, i.e. (4V/100sec) for $250{\mu}m$ electrode and (6V/30 sec) for $10{\mu}m$ electrode.

      • SCOPUSKCI등재
      • 제4분과 : 야생동물 ; 북한산국립공원 송추계곡의 어류 및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분포특성

        왕주현 ( Ju Hyoun Wang ),허진욱 ( Jin Uk Hur ),고민섭 ( Min Seop Ko ),정성훈 ( Sung Hun Jung ),이승현 ( Seung Hyun Lee ),최준길 ( Jun Kil Choi ),이황구 ( Hwang Goo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1

        북한산국립공원은 국내 대표적인 도심형 국립공원으로 수려한 자연경관과 문화자원을 온전히 보전하고 쾌적한 탐방 서비스제공을 위하여 1983년 15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북한산국립공원 중 특히 송추계곡은 연간 약 30만명이 찾는 수도권의 대표적인 휴양지로 이용되고 있다. 현재 송추계곡은 국립공원 지정 이전인 1963년 서울 교외선 철도가 개통되면서 서울 근교의 유원지로 개발되어 음식점, 수영장 등 편의시설의 무분별한 증가와 불법무질서행위가 반복적으로 발생되어 계곡 내 인위적 교란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로 인한 생물서식처 위협, 상업시설 난립으로 인한 경관의 훼손, 불법행위 예방단속으로 인한 주민과의 갈등 심화 등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야기되어 왔다. 이에국립공원에서는 송추계곡 주변 환경을 개선, 불법 영업 행위의 근절, 재해위험지구의 정비 등 송추이주사업을 통하여 국립공원의 지속가능성 확대와 21세기 국가 생태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자 2001년 이주사업 조사 연구 시행, 2011년이주단지조성 사업시행계획 결정 고시 등 사업을 추진하고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송추이주사업으로 인한 수생태계 회복의 효과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사업 전 송추계곡의 상류-하류 구간을 대상으로 어류 및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정밀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송추이주사업 이전의 수생태계 현황 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송추계곡의 어류 및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 연구는 별도로 이루어진 적이 없으며, 단지 북한산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을 통하여 조사된 바 있다. 특히 송추이전사업과 같은 커다란 환경변화는 송추계곡이 유원지로 개발된 이후 전무하므로, 사업 전·후의 생태계 변화자료는 큰 의미를 지닐 것으로 기대된다. 본 조사는 2012년 11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총 3회에걸쳐 실시하였으며, 조사지점의 선정은 이주사업에 따른 영향이 없는 상류의 대조구간(St. 1)과 이주구간(St. 2, 3) 및 이주구간 하류부(St. 4)의 총 4개지점을 선정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총 3과 4종 505개체가 출현하였다. 한국고유종으로는 얼룩동사리(Odontobutis interrupta) 1종이 확인되었으며, 환경부지정 법적보호종과 생태계교란종은 출현하지 않았다. 우점종 및 아우점종은 버들치(Rhynch ocypris oxycephalus)가 478개체(94. 7%)로 우점하였으며, 피라미(Zacco platypus)가 17개체(3. 4%)로 아우점하였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총 5강 9목 33과 77종 3, 805개체가 출현하였다. 날도래목이 24종(31. 71%)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는 하루살이목과 파리목이 각각 15종(19. 48%), 강도래목이 8종(10. 39%), 잠자리목과 비곤충류가 7종(9. 09%), 딱정벌래목이 1종(1. 30%)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중 청정하천의 지표로 알려져 있는 EPT분류군이 총 47종(61. 04%)의 점유율을 보여 전형적인 계류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구성을 나타내었다. 분류군별 개체수는 파리목이 1, 926개체(50. 62%)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강도래목 516개체(16. 16%), 날도래목 590개체(15. 51%), 하루살이목 519개체(13. 6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점별 어류 군집분석 결과 St. 1~3까지는 산간계류의 특성상 버들치 1종만 출현하여 군집분석이 불가능하였으며, 하류인 St. 4의 우점도지수는 0. 93, 다양도지수는 0. 66, 풍부도지수는 0. 61, 균등도지수는 0. 48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군집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지점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결과 대조지점인 St. 1은 우점도지수 0. 52(±0. 16), 다양도지수 1. 95(±0. 44), 균등도지수 0. 81(±0. 04), 풍부도지수 2. 25(±0. 85)로 비교적 안정된 군집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하류지점인 St. 4는 우점도지수 0. 76(±0. 07), 다양도지수 1. 37(±0. 37), 균등도지수 0. 51(±0. 12), 풍부도지수 2. 40(±0. 81)으로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군집구조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구간에서 우점종으로 출현한 버들치의 전장-체중 상관관계 분석 결과, 성장도지수는 1차조사(11월)시 2. 91로 회귀계수 b값의 기준값인 3. 0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2차조사(4월)와 3차조사(8월)시에는 각각 3. 11과 3. 00으로 기준값 보다 높거나 유사한 값으로 나타났다. 비만도지수는Slope(기울기)가 1차조사(11월)시 -0. 0038, 3차조사(8월)시-0. 0006으로 음의 값으로 분석되어 생육상태가 다소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차조사(4월)에서는 0. 0033으로 양의 값으로 분석되어 생육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점별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섭식기능군을 분석한결과 St. 1은 다른 조사지점들에 비해 Shredders가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중·하류인 St. 2, 3, 4로 내려갈수록 출현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Collector-gatherer와 Collector-filterer는 상류인 St. 1에서 St. 2, 3, 4로 내려갈수록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서식기능군을 분석한 결과 상류인 St. 1에서 하류인 St. 4로 내려갈수록 Clingers와 Burrowers의 비율이 증가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구간의 건강성을 평가하기 위한 KSI지수 산출결과 1차조사(11월)시 B등급인 St. 3을 제외한 St. 1, 2, 4 모두 수질등급이 A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탐방객의 이용이 적은 11월에 수질등급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하논 화구호 퇴적층의 특성과 고환경적 의미

        윤석훈 ( Seok Hoon Yoon ),윤호일 ( Ho Il Yoon ),이승현 ( Seung Hyoun Lee ) 한국녹지환경디자인학회 2006 녹지환경학회지 Vol.2 No.1

        The Hanon volcano on the southern coast of Jeju Island is a nested maar-scoria cone complex. The crater of the volcano is filled with lacustrine sediments deposited in ponded lake and shallow swamp settings.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 10 m-long drilling core obtained from the crater-lake deposit were analyzed to reveal the paleo-environmental variations related to the late Quaternary glacial and interglacial paleoclimatic changes. The crater-lake deposit since ca. 32,000 years BP consists mainly of silt- to clay-sized clastic and organic particles, and shows various sedimentary structures including bioturbation, lamination and normal grading. The sedimentary sequence is divided into 4 stratigraphic units based on the sediment texture, magnetic susceptibility, sediment color and sedimentary structures. According to the AMS 14C dates, the stratigraphic units are considered to correspond to Marine Isotope Stages (MIS) 1 to 3. Unit 4 below the core depth of 780 cm is characterized by common intercalation of massive to graded sand and gravel layers with background fine mud. This is attributed to a frequent generation of mass flows on the unstable pyroclastic crater rim of the incipient Hanon volcano. Units 2 and 3 at the core depth between 210 cm and 780 cm approximately correspond to last glacial period (MIS 2 and 3). They are characterized by restricted bioturbation and slightly higher silt content and magnetic susceptibility than unit 1, which most probably represents a deposition in a deeper lake setting and a dominant influence of strengthened winter monsoon winds coupled with cold and arid climatic conditions of East Asian region during the glacial period. Unit 1 above the core depth of 210 cm consists of dark gray to black peaty mud with a very low magnetic susceptibility, and shows intense post-depositional disturbance by plant roots and other bio-activities. This reflects the rapid climate change from cold and arid to warm and humid climate conditions at the Pleistocene-Holocene boundary and an increased input of biogenic materials into the shallow swamp under the warm climatic condition (MIS 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