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초판평가물어(天草版平家物語)』에 나타나는 「む,ん,う」의 표기 및 의미용법의 특징

        이수향 ( Su Hyang Lee ) 한국일어일문학회 2007 日語日文學硏究 Vol.62 No.2

        本稿は『天草版平家物語』を對象にし、「む · ん · う」の表記及び意味用法の特徵を考察したものである。表記上、全體の683の用例中「む」の使用例は一つも見られず、「ん」は21例(3.1%)、「う」は662例(96.9%)であった。また、室町時代の後期に表れるとされる「よう」の用例は一つもなく、「しょう」や「みょう」のような「う」と「よう」の中間的な形態が見られた。このことから、『天草版平家物語』が編纂された時期にすでに口語體では「う」が使われており、さらに「う」から「よう」へと形態の分化が進んでいったと考えられる。意味用法の場合、先行硏究によると「意志 · 決意 · 希望」と「推量 · 想像 · 予想」が主な用法とされているが、本分析結果でも「意志 · 決意 · 希望」の用法が最も多く(341例、49.9%)、次に「推量 · 想像 · 予想」(168例、24.6%)、「婉曲 · 假定」(151例,22.1%)、「勸誘 · 期待 · 命令」(23例、3.47%)の順で使用率が高かった。「婉曲 · 假定」の意味用法の場合、高い使用頻度を示しているにもかかわらず、現代語の意味用法には殘っておらず、これについては今後詳しく調べる必要があると考える。また、推量の助動詞全體の用例を調べた結果、「ん」·「う」が683例(51.8%)、「うず」が533例(40.4%)、「べし」が29例(2.2%)見られた。これらの助動詞は「推量」以外にも「意志」の意味用法を持つ助動詞である。したがって、「推量」を主な意味用法とし、使用上の制限がある他の助動詞に比べて、「意志」の意味用法を持つという点で活用價値が高いため、多く使用されたと考えられる。そして、このような流れから「む(ん)·う」と「べし」は現代語に「う·よう·だろう」と「べき · べからず」の形態で殘るに至ったと推測される。今後は、同じ時期の中世の口語資料や近世の資料をもとに表記と意味用法の特徵を調査する予定である。表記では、「む」が「う」·「よう」に移行する樣相と「よう」が表れる時期を調べたいと思う。意味用法においては、まず、主な意味用法の調査を行った上で、特に他の資料においても「婉曲 · 假定」の意味用法の使用率が高いのかに注目し、調査を行うつもりである。假に「婉曲 · 假定」の意味用法の使用が多く認められるとしたら、同用法が消滅に至った理由やその背景についても考察を行いたい。

      • KCI등재

        김동인 단편 소설에 나타난 아이러니 연구

        이수향 ( Lee Su-hya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84

        이 논문은 근대문학의 형성기의 중요한 작가이자, 특히 소설 형식과 문체, 양식상의 완성도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김동인의 단편 소설 상당수에서 아이러니의 수법이 드러나고 있음을 주목하고, 이것이 단편소설의 구성적 특징에 있어 어떻게 드러나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김동인의 단편소설들을 아이러니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고, 각각의 작품들에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아이러니들을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김동인 단편 소설 중에서는 자기확신에 찬 순진성의 아이러니를 보여주던 인물들이 도리어 자가당착의 상황에 빠지게 되는 작품들이 있다. 이러한 작품들은 아이러니의 희생자의 순박성과 아이러니의 관찰자가 보여주는 비개성적 아이러니의 냉담함의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편, 김동인의 단편 중에서는 실존 인물들에서 취재한 작품군이 있는데 결말 구조상 부조화의 아이러니와 비극적 아이러니가 두드러진다. 이러한 아이러니의 사용은 내포작가에게 보여지는 아이러니적 태도의 거리감과 관련이 있는데, 극중 인물들을 통해 드러내는 실제 작가의 의도가 투영된 결과로 보인다. 본고는 김동인의 단편에서 아이러니가 주로 사용된 것이 어떠한 미학적 표현으로 드러나며 주제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기여하는지를 확인해 보았다. 또한 이러한 아이러니의 방법론이 ‘단편소설’이라는 양식을 통해 작가의 창작관과 연관되는 양상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Irony” in Kim Dong-in’s short story. Kim Dong-in was an important writer during the formation period of modern literature, and he contributed greatly to the perfection of style, especially short stories. In particular, many of the short stories use the technique of irony, and I tried to see how this contributes to the composition of the narrative. For this, I divided Kim Dong-in’s short stories according to the type of irony. I tried to analyze the irony that works complexly in each of the works. Kim Dong-in’s short stories, there are works where the “Antagonist” suddenly becomes a ‘Protagonist’. These works are due to the innocence of the “Victim of irony” and the coldness of the “Impersonality irony” that the “Observer of irony” shows. Among Kim Dong-in’s short stories, there is a group of works covered by real characters. Characteristic are the “Naivete irony” and the “Dramatic irony” of the ending. This irony is related to the sense of distance of the ironic attitude of the “Implied author”. This is the result of Kim Dong-in’s intention revealed through the characters in the play. This paper has examined how the use of irony in Kim Dong-in’s short story is revealed as an aesthetic expression, and how it effectively contributes to the subjec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ethodology of this “Irony” is related to the author’s view of creation through the style of short novel.

      • KCI등재

        부모의 수학 성 고정관념, 고정 마인드셋, 기대에 의한 초등 자녀의 수학 학습동기와 성취도 예측

        이수향 ( Lee Su Hyang ),이현지 ( Lee Hyun Ji ),봉미미 ( Bong Mimi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4

        이 연구는 수학능력에 대해 부모가 가지고 있는 성 고정관념과 고정 마인드셋, 그리고 자녀의 미래 수학성취에 대한 부모의 기대가 학생의 수학 학습동기와 성취도를 예측하는지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D 광역시에 소재하는 1개 초등학교 3, 4학년 학생과 학부모 중 연구참여에 동의한 171쌍에게 설문조사와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였고, 이 중 학생과 학부모 모두 설문에 참여한 131쌍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부모의 성 고정관념과 고정 마인드셋 모두 학생의 수학 동기와 성취도를 직접적으로 예측하지 않았다. 그러나, 부모의 고정 마인드셋은 자녀의 미래 수학성취에 대한 부모의 기대를 부적으로 예측하였고, 자녀의 미래 수학성취에 대한 부모의 기대는 다시 학생의 수학 자기효능감과 가치, 성취도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매개분석 결과, 부모의 고정 마인드셋이 자녀의 미래 수학성취에 대한 부모의 기대를 통해 학생의 수학 학습동기와 성취도를 예측하는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부모가 가지는 수학능력의 변화가능성에 대한 믿음과 자녀에 대한 기대가 초등학생의 수학학습동기와 성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test if the gender stereotypes and fixed mindset parents held about math as well as their expectations toward their child’s future success in math predicted students’ math motivation and achievement. Out of 171 pairs of third and fourth graders and their parents at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Daejeon,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research, the data from 131 parent-child pairs of which both the parent and the child completed the survey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neither parents’ gender stereotypes nor their fixed mindset directly predicted students’ math motivation and achievement. However, parents’ fixed mindset negatively predicted their expectations toward their child’s future success in math, which in turn positively predicted students’ math self-efficacy, value, and achievement. The mediation analysis further revealed that all of the indirect effects of parents’ fixed mindset on students’ math motivation and achievement via parents’ expectations toward their child’s future success in mat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parents’ beliefs about the malleability of math ability and their expectations towards their child’s success in math can wield a critical influence on the math motivation and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읽기 유창성에 관한 문헌연구

        이수향(Lee Suhyang) 한국음성학회 2012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4 No.4

        Reading fluency is an important variable in reading comprehension. However, a limited number of studies on reading fluency are availabl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articles about reading fluency during last 10 years and to present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Forty research papers from the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were selected from 2002 to 2012. These paper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About 64% of the articles focused o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children with dyslexia. About 67% of the research consisted of descriptive studie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research on reading fluency.

      • KCI등재

        강릉시 일부 노인의 구강근육운동 프로그램 형태별 운영 효과 비교

        이수향 ( Sue-hyang Lee ),유진아 ( Jean-a Ryu ),유하은 ( Ha-eun Yu ),이진희 ( Jin-hee Lee ),신선정 ( Sun-jung Shin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6 치위생과학회지 Vol.16 No.6

        본 연구는 구강체조와 구강근육마사지를 접목한 구강근육운동을 매뉴얼화하여 운영 형태에 따른 프로그램의 비교를 통해 효과적인 프로그램 운영방식을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 자가 실천 프로그램을 적용한 한울노인대학 노인 14명과 전문가 개입 프로그램을 적용한 강릉종합사회복지관 이용노인 2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문가 개입 집단에서 프로그램 운영 후 타액분비율이 증가하고, 주관적 구강건조증의 완화되었으나, 자가 실천 집단은 주관적 구강건조증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집단에 대하여 프로그램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자가 실천 집단이 전문가 개입 집단보다 프로그램 내용, 방법, 자신의 구강 건강관리 도움, 계속 참여 의향, 타인에게 권유의향이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으나, 대체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연구기간 중 대상자 모집의 한계로 표본수가 적고, 개입기간이 짧았던 한계가 있으나 본연구를 통해 구강체조와 구강근육마사지의 복합적 적용인 구강근육운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노인의 자발적 구강건강 행동 유지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일정 정도의 전문가 개입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노인의 특성에 따라서 자가실천 구강근육운동 프로그램과 전문가개입 프로그램 적용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데 의의가 있다. 노인의 구강건강유지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구강건강증진사업을 전개할 때 효과적인 구강체조뿐 아니라 구강근육마사지가 접목된 구강운동 프로그램의 보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programs according to management type by preparing a manual for oral muscle exercises that integrates oral movement and oral massage. The program was performed on 14 elderly patients in a seniors` college self-practice program group and 28 elderly patients in a social welfare center expert intervention group. In the self-practice group, an expert demonstrated oral muscle exercises and subsequently encouraged self-practice by selecting an oral muscle exercise leader. In the expert intervention group, an expert demonstrated oral exercises on a one-on-one basis and subsequently gave oral muscle massages. In the self-practice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saliva secretion (p=0.213) or oral dryness (p=0.206),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t intervention group showed improvements in saliva secretion (p=0.009) and oral dryness (p=0.007).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ogram satisfaction between groups (p=0.143), and both groups reported high satisfaction. As seniors may have difficulty in maintaining oral health behaviors, a certain amount of expert intervention may be needed. The results suggest that both a self-practice oral exercise program and an expert intervention program can be effective elderly patients.

      • 중국과 한국의 영화 각색 사례에 나타난 텍스트 확장성과 의미론적 체계 연구

        이수향(Su-Hyang Lee)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2023 스토리콘텐츠 Vol.- No.3

        본 논문은 새로운 콘텐츠의 제작과 형성에 있어 원천소스에 대한 재매개 뿐만 아니라 국가 간의 상호콘텐츠적인 영향 관계가 지속적으로 고려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소설에서 영화로, 이후 국가를 옮겨 다시 영화로 리메이크된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안니바오베이(安妮寶貝 혹은 칭산慶山)의 소설「칠월과 안생(七月与安生)」은중국에서 증국상(曾国祥) 감독의 영화 <안녕, 나의 소울메이트(七月與安生, Soulmate)> (2016)로, 다시 한국에서 민용근 감독의 영화 <소울메이트>(2023)로 재탄생하는데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매체 변용과 각색의 특성들을 추출한다. 소설이 영화로 각색되면서 서사 양식과 영상 매체의 차이에 따른 변화들이 수반되는데, 특히 원작 단편을 중심으로 형태의 변형 및 주제론적 심화라는 측면에서 차용적 각색의 성격을 보인다. 이를 통해 원작에 대한 충실한 각색을 넘어 시점의 변화 및 서사적 디테일의 확장을 통해 원작과는 다른 ‘베이퍄오(北漂)’의 세대론적 문제의식을 주제로 구현하게 한다. 한편, 이렇게 만들어진 2차 창작물은 다시 한국에서 리메이크되는데, 이 3차 창작물에서는 인물들의 성격화에 좀 더 강조점을 두는 것을 통해 기존 영화에 대한 충실성의 각색에서 벗어난다. 또 여성 인물들의 워맨스와 세대론적 문제의식을 가져오면서도 2020년대의 한국의 실정에 맞게 재설정하는데, 이 과정에서 빈부 격차의 문제와 속류적 성공이라는 가치가 여성 인물에게 특히 문제시되는 상황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을 조망해낸다. 이러한 매체 변용에 따른 각색 작업을 통해 각각의 창작물들은 하나의 원천 서사를 공유하면서도 각각 다른 입각점을 보여준다. 원작에 대한 각색의 과정이 단계를 거치면서 겹쳐지고 확장되면서 작품들은 자신만의 고유한 미적 체계와 주제론적 방향성을 획득한다. 이는 비교연구에 있어서의 원천 서사에 대한 위계 관계를 전복하고, 영향에 대한 불안을 의식하지 않고도 각색이 자유로운 창작물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This paper is a study that started from the fact that in the production and formation of new content, not only the remediation of the original source, but also the relationship of mutual content influence between countries is constantly being considered. We will focus on cases where the novel was remade into a movie, then moved to a country, and then remade into a movie. Annie Baobei's novel 『Qiyue and Ansheng(七月与安生)』 was remade into the Chinese movie <Soulmate(七月與安生)> directed by Zeng Guoxiang(曾國 祥). In Korea, it is reborn as <Soulmate> directed by Min Yong-geun, and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transformation and adaptation revealed in this process are extracted. As novels are adapted into films, changes are accompanied by differences in narrative style and video media. In particular,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 and adaptation in the form of narrative loosely integrating not only the original short story but also several other short stories. This goes beyond the 'faithful adaptation' of the original work and materializes the generational critical mind of 'Beifiao',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work, through the change of viewpoint and the expansion of narrative details. Meanwhile, the secondary creations made in this way are remade again in Korea, and in this third creation, more emphasis is placed on the characterization of the characters, breaking away from the 'faithful adaptation' of the existing films. In addition, while bringing the womance of female characters and generational critical mind, it is reset to fit the reality of Korea in the 2020s. In this process, it shows a critical look at the situation in which the problem of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the value of vulgar success are particularly problematic for female characters. Through the adaptation work according to such media transformation, each creation shows a different point of view while sharing one original narrative. As the process of adapting the original work overlaps and expands through stages, the works acquire their own unique aesthetic system and thematic direction. This overturns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of original narratives in comparative studies and shows that adaptation can function as a free creative work without being conscious of anxiety about influence.

      • KCI등재

        나도향 소설에 나타난 젠더 표상과 근대의 불안

        이수향 ( Lee¸ Su-hya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0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8

        1920년대 『백조』 동인의 한 사람인 나도향은 그 기법의 미숙함과 낭만적 과잉이 한계점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나도향 소설 속 인물들의 감정적 격렬함의 토로에는 근대 소설의 주체로서의 성격화가 진행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나도향의 소설에서 주체적 욕망이라는 측면에서 남성인물과 여성인물들이 보여주는 성격화의 표현에 유의미한 지점이 있다고 보고, 근대적 소설로서의 성취가 인물들이 가지고 있는 젠더적 수행성(gender performativity)의 특징을 답습하거나 전유하면서 이루어진다고 본다. 또한 당대의 젠더적 문화 규범에 있어 나도향 소설 속 인물들이 독특하게 점유하고 있는 지점이 있다고 본다. 나도향 소설의 남성 인물들은 ‘처녀’라는 표상에 집착하며 여성에 대한 대상화의 시선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여성혐오적이다. 한편, 나도향의 소설에서 ‘처녀’만큼이나 자주 등장하는 여성 젠더의 기표가 ‘모성’인데 여성인물은 어머니로서 돌봄과 보살핌의 수행성을 드러낼 때 긍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위계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나도향 소설의 남성 주체들은 가부장적 남성 권력의 수행성을 도착적으로 드러낸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즉, 여성을 물화하는 남성적 응시를 지속하면서도 여성에게 군림하기보다는 그들에게 불안한 내면을 자주 노출한다는 것이다. 1920년대 당시의 가부장제 사회에서 주체는 남성이며 여성은 남성 주체에 대한 타자로서 존재해왔다고 볼 때 이러한 남성인물들의 태도는 다소 이질적인 것으로 보인다. 나도향 소설의 남성 인물들은 종종 격렬한 눈물을 흘리며 멈추지 못한다. 남성인물들의 잦은 눈물은 일반적으로 당대 남성 일반에게 요구되던 태도(attitude)를 넘어선다는 점에서 가부장제의 남성 주체에게 요구되던 규범을 위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 여성 인물들은 눈물을 좀 더 기능적으로 사용하고 이에 성차에 기인했던 역학관계에 변화가 일어나기도 한다. 이는 나도향의 소설이 여성을 대상화하는 시선에서 당대적 시야의 한계에 갇혀 있으면서도 젠더적 규범을 전유하고 교란할 만한 인물들을 등장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근대적 시공간의 재배치가 일어나고 있던 식민지 조선을 징후적으로 독파할 새로운 인물유형을 창조해 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근대적 의미의 새로운 소설적 주체가 형상화되고 있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problem of gender representation in Na Dohyang's novels. Na Dohyang, was evaluated as a limitation of the technique's immaturity and romantic excess. However, the emotional intensity of the characters in Na Dohyang's novels shows the characterization as the subject of modern novels. In addition, the characters in Na Dohyang's novels are special in terms of the gender cultural norms of the day. The male characters in Na Dohyang's novels are obsessed with the symbol of "virgin." It is misogynistic in that it shows the objectification of women. Still, male characters often shed violent tears and cannot stop. This can be seen as a violation of the norms required of male subjects of the patriarchal system of the day. Meanwhile, female figures use tears functionally. There is also a change in the dynamics between female and male characters. This means that Na Dohyang's novels target women, which means that they are confined to the limits of their contemporary view, but they are introducing characters who can appropriate and disturb gender norms. And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a new type of character is being created that will symptomaticly dictate the colonial Joseon, where modern space-time relocation was taking place. A new novel subject with a modern meaning was being embodied.

      • KCI등재

        초등 국어교과서 지시문과 의문사 분석

        이수향(Suhya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의 지시문과 지시문에 포함된 의문사를 조사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2, 4, 6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Microsoft Office Excel에 모든 지시문을 입력한 후 의문사가 포함된 지시문을 구분하였다. 지시문 분석에는 (주)낱말의 분석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의문사와 질문 유형 분석을 위해서는 선행 연구의 기준을 참고하였다. 연구 결과 2, 4, 6학년 국어교과서의 지시문에는 명사, 동사가 많이 포함되었고, 평균 6.9 어절의 문장으로 구성되었다. 지시문에 포함된 의문사 유형으로는 11가지 유형의 의문사가 분석되었다. 모든 학년에서 ‘무엇, 어떤, 어떻게’ 의문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질문 유형은 모든 학년에서 사실적 질문보다 추론적 질문이 많았다. 본 연구는 문어가 중심이 되는 학령기 아동의 언어 중재 특히 의문사 중재 목표와 관련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ives and Wh-words in the directives from elementary 2nd, 4th and 6th grade Korean textbooks. After entering all directives into Microsoft Office Excel, directives with Wh-words were separated. The analysis program, Natmal,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directives and Wh-words. The criteria from previous studies were also applied for this analysis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are a lot of nouns and verbs in directives. They were consisted of sentences with an average of 6.9 Eojeol. There were a total of 11 types of Wh-words and ‘Mueot(what), Eotteon(which), eotteohge(how)’ appeared most frequently in all grades. For question types, both grades had more inferential questions than literal information questions. This results we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language interventions with school aged children who have language disorders.

      • KCI등재

        시나리오 각색(脚色) 과정을 통해 본 최인호의 영화(映畵) 미학(美學) -최인호(崔仁浩)의 <걷지 말고 뛰어라>(1976)를 중심으로

        이수향(李壽䅨) ( Lee Su-hya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1

        본 연구는 1970~80년대까지 이어진 최인호의 영화작업에서 드러나는 ‘작가’로서의 주체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영화의 기획에 있어 당대 최인호의 위상과 그가 속해 있었던 담론장에서의 위치가 고려되었다는 것, 제작을 위한 심의의 과정에서 시나리오의 확정이 이루어지면서 주제론적 측면이 강화된다는 점을 확인해 보았다. 이를 위해 최인호가 유일하게 각본과 감독 모두에 참여한 영화인 <걷지말고 뛰어라>(1976)의 오리지널 시나리오와 심의대본, 영화를 각각 세밀하게 비교해보는 방식을 택했다. 최인호의 시나리오 각색과정에서는 영화적 용어가 좀 더 포함된다는 것 외에도 영화화에 유리하도록 내용이 수정되거나 변형되고, 대사를 대폭 삭제하거나 몽타주, 효과음 등을 사용하여 영화적인 재현을 위해 노력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 그런 의미에서 당대 인기 작가로서의 최인호가 가지는 유명세와 달리 감독 최인호의 영화에는 그간 주목되지 않았던 ‘표현주의 영화(Expressive Film)’의 ‘작가’로서의 성격이 드러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1970~80년대 최인호 문학에 있어 기존의 대중성이나 청년문화와 관련된 논의 외에도 새로운 미학적인 특징을 도출해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inematic perception and subjectivity as a “writer” in Choi In-ho’s film work from the 1970s to 1980s through the movie < Don't Walk But Run! >. In the planning of the film, it was confirmed that Choi In-ho’s status and the position in the discourse where he belonged were considered, and that the production intention was revealed and the thematic aspect was reinforced as the screenplay was confirmed in the process of deliberation for production. Choi In-ho is a novelist who has written many works, and has provided original works for about 30 films in addition to novels, and he himself wrote screenplays for about 20 films. And most of the works gained great popularity in the 7-80s. In order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Choi In-ho’s film work, it was considered that it was important to consider the 'determining' process of the screenplay rather than simply comparing the original novel and the released film as the main text. Films as the finale tend to be recognized as the director’s work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erception of authorist theory. In that sense, it is difficult to discern the cinematic vision or personality of a “writer” named Choi In-ho by deriving only the characteristics of Choi In-ho’s individual screenplays. In that sense, the only film in which Choi In-ho participated in both the script and the director, < Don't Walk, Run > was very important. For this, I chose a method of comparing the original screenplay, the deliberation script, and the movie in detail. Looking at Choi In-ho’s screenplay, the original screenplay and deliberation script contain more cinematic terms, and are modified or transformed in terms of content to favor filmization.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more modifications and additions were made to the movie than the script for the filming. Part of the effort to recreate the cinematic by drastically deleting lines or using montages and sound effects is also noticeable. In terms of genre, it is characterized as a Buddy-movie, which can be seen as a result of Choi In-ho’s perception of male subjects in the 70s. In that sense, it can be said that director Choi In-ho shows the character of the “writer” of the “Expressive Fil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