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의료시설 병동부의 시대적 변천과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수경,최윤경,Lee, Sukyung,Choi, Yoonkyung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2017 의료·복지 건축 Vol.23 No.3

        Purpose: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interrelation between healthcare policies, design standards and hospital architecture of the United States since 1950s; to examine spatial characteristics of inpatient care facilities through case studies; and to consider the social implication of these spatial changes. Methods: In this study, reviewing the overall healthcare system, design standards and inpatient care facilities of the United States since 1950s, a total of five inpatient care facilities, one for each period, were selected in order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The spatial maps of Space Syntax were employed for analyzing five case studies. Results: The distance between the nursing station, the support service, and inpatient room were getting closer. The spatial structure of inpatient care facilities is transformed from tree structures to annular tree structures. This result shows that the efficiency between patient, staff and support service is higher and the depth of the spaces is getting deeper, which indicates that efficiency for improving healthcare quality affect the spatial structure of inpatient care facilities. Implications: In the future, if Korea's health policy is changed to a demand-oriented health care policy, this conclusion predicts medical planning of hospital will be focused on the efficiency.

      • KCI등재

        편측 상사근마비에서 상사시 각도에 따른 단일 하사근절제술의 치료 효과 및 유용성

        이수경(Sukyung Lee),한진우(Jinu Han)한승한(Seung-han Han),신우범(Woo Beom Shin)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1

        목적: 편측 상사근마비 환자에서 수술 전 상사시각에 따른 단일 하사근절제술의 유용성을 살펴본다. 대상과 방법: 편측 상사근마비 진단 하 일차적으로 단일 하사근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99명을 수술 전 상사시각에 따라 15 prism diopters (PD) 이하(그룹 1), 16 PD 이상 20 PD 이하(그룹 2), 20 PD 초과(그룹 3)로 분류하여 수술 전후 상사시각 및 머리기울임 호전 여부를 분석하였다. 수술 성공은 잔여 상사시각이 5 PD 이하이고 과교정되지 않았을 때로 정의하였으며, 수술 전 상사시각이 5 PD 이하였을 경우 수술 후 잔여 상사시각과 머리기울임 호전이 있으며 과교정되지 않았을 때로 정의하였다. 결과: 전체 99명 중 그룹 1, 2, 3은 각각 65명, 22명, 12명이었으며, 모든 그룹에서 수술 후 상사시각의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그룹 1에서 그룹 3으로 갈수록 상사시 교정 효과가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머리기울임은 각 그룹의 80.3%, 95.0%, 90.9%에서 호전되었다. 각 그룹의 수술 성공률은 각각 87.7%, 77.3%, 50.0%였고, 그룹 1과 2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그룹 1과 3 사이에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수술 성공률과 머리기울임 호전, 과교정 등을 고려하였을 때, 수술 전 상사시각이 20 PD 이하인 편측 상사근마비 환자에서 단일 하사근절제술이 1차 수술로서 유용하다. 반면 수술 전 상사시각이 20 PD보다 큰 환자에서는 50%의 성공률을 보였으므로, 두 외안근의 동시 수술 혹은 단일 하사근절제술 시행 후 2차 수술의 필요성을 고려해야 한다. Purpose: To evaluate surgical outcome and effectiveness of inferior oblique (IO) myectomy on unilateral superior oblique palsy (SOP) as a primary treatment. Methods: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medical records of 99 patients who had undergone IO myectomy due to SOP as a first-line treatment. Sixty-five patients with hyperdeviation of 15 prism diopters (PD) or less were categorized into group 1, 22 patients with hyperdeviation between 16 PD to 20 PD into group 2, and 12 patients with hyperdeviation higher than 20 PD into group 3. Preoperative hyperdeviation, postoperative hyperdeviation, and improvement of head tilting were then compared between the 3 groups. Surgery was determined to be successful when the post-op residual hyperdeviation is less than 5 PD, or when the improvement of hyperdeviation and head tilting was noted, for the patients who had preoperative deviation less than 5 PD, and without hypercorrection. Results: All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hyperdeviation, and the amount of correction was larger in group with larger preoperative hyperdeviation. 80.3%, 95.0%, and 90.9% of patients showed improvement of head tiling and success rate was 87.7%, 77.3%, and 50.0% in group 1, 2, and 3 respectively. Group 1 and 2, group 2 and 3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cess rate but only group 1 and 3 had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Considering success rate with improvement of head position, self-titrating and possibility of overcorrection, IO myectomy could be an effective option as a first-line surgical treatment for unilateral SOP with hyperdeviation of 20 PD or less. However, due to a 50% success rate in patients with hyperdeviation larger than 20 PD, a secondary operation must be considered following IO myectomy, or a two-muscle procedure must be considered as a primary treatment.

      • KCI등재

        미국의료시설 응급부의 시대적 변천과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수경 ( Lee Sukyung ),최윤경 ( Choi Yoonkyung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2018 의료·복지 건축 Vol.24 No.3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mergency department Chronologically through case studies; and to consider the social implication of these spatial changes. Methods: In this study, a total of eight emergency departments, one for each period, were selected in order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The spatial maps of Space Syntax were employed for analyzing case studies. Results: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emergency department has been changed from five or more emergency department specialties to four or less specialties such as psychiatric, pediatrics, emergency, and trauma. In the case of care initiation area, the concentrated arrangement mode was switched from the distributed arrangement mode. The spatial maps indicate that it can be seen that the tree structure changes to an annular structure emphasiz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pace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his shows that the space efficiency, safe, visual control and flexibility in the planning of the emergency department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emergency department. Implication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Korean emergency department will be more focused on efficiency, safe, visual control, and flexibility in the planning as in the case studies of the United States.

      • 조선시대 사회 통합 이념의 상징, 효자도

        이수경(Lee Sukyung) 한국민화학회 2015 한국민화 Vol.- No.6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은 조선시대의 효孝는 조선사회를 유지하는 사상적 기둥이고, 국가통치의 가장 기본적인 윤리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감계鑑戒적인 목적으로 제작되고 소비된 고사인물화故事人物畫중 하나가 효행孝行을 행하는 효자孝子 이야기를 그린 효자도孝子圖이다. 본고에서는 조선 사회를 유교로 통합하기 위해 효 사상을 널리 알리고자 국가적으로 판화 효자도가 수록된 행실도行實圖를 편찬하고 보급하는 과정과 효행고사의 확산 사례를 문헌 기록으로 살펴보고, 현존하는 일반 회화 효자도를 대상으로 궁중에서부터 일반 백성까지 효자도의 제작 목적을 알아보며, 효자도 수요가 이어진 19세기의 효자도 수요층을 추측해 보았다. 조선시대 풍속 교화를 위한 해결책으로 행실도를 반포하는 정책은 19세기까지 지속적으로 유효했다. 이 중 가장 많이 반포된 책은 세종대 처음 편찬한 『삼강행실도』이다. 16세기부터는 수록 항목을 1/3로 축소하고 한글 설명을 넣은 『삼강행실도』 산정언해본刪定諺解本을 제작하여 보급에 용이하도록 하였다. 정조대에 『삼강행실도』와 『이륜행실도』를 합해서 발간한 『오륜행실도』는 19세기 철종대까지도 간행이 이어졌다. 이러한 지속적인 행실도 보급 정책으로 행실도에 수록된 효행고사에 대한 이해가 일반 백성들까지도 펴져나갈 수 있었다. 가장 널리 알려진 효행고사로는 「왕상부빙王祥剖氷」과 「맹종읍죽孟宗泣竹」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미 고려 12-14세기 문인들은 시와 글에 효행의 상징으로 인용한 고사였음을 본고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비현실적이고 기이한 효행과 유사한 효행을 나라에 보고하고, 국가에서 포상을 받는 사례가 많아지는 부작용을 우려하는 기록이 18세기부터 등장하는데, 이는 효행고사의 인지도가 높아졌고, 효자도를 수록한 행실도가 실효성을 거두어 유교국가의 통치의 기초적인 이념으로 효가 자리를 잡았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행실도의 효자도외에도 일반 회화 형식의 효자도가 제작되었다. 궁중에서는 세자가 배우고 익히는 서화첩의 일부로 효자도를 제작하기도 하고, 사대부 계층에서는 자신의 부모를 정성껏 봉양하는 효행을 기존의 효자도에서 도상을 차용하여 효자도로 남기면서 후손들이 효행을 계승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제작되었다. 이렇듯 효자도의 수요가 이어져서 19세기에는 병풍 형식의 다양한 수준의 효자도가 전한다. 19세기 효자도 수요층을 구분하여 추측하여 보았는데, 보수적인 유림과 양반문화를 흡수하고자 하는 중인 및 신분이동 계층으로 제시해 보았다. 안타깝게도 현재로서는 이러한 구분을 증빙할 만한 자료를 찾을 수 없지만, 당시 길상적인 병풍과는 다른 성격의 효자도병풍의 사용 계층을 고민해 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Filial piety (孝 hyo) was regarded as an ideological standard and fundamental ethics that support the Joseon Dynasty (朝鮮, 1392-1897) where established Confucianism as the state ideology. Under such ideological climate, hyojado (孝子圖 painting of filial piety), which illustrates stories of filial piety, was produced and consumed for the purpose of discipline. This article explores historical records about the distribution of Haengsildo (行實圖 Illustrated Guide to the Ethics) that includes printings of hyojado and stories of filial piety. It also investigates the production purpose of surviving examples of hyojado and speculates the major consumers up to the nineteen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the policy for the distribution of Haengsildo to edify customs was valid until the nineteenth century. Among those publications, Samgang haengsildo (三綱行實圖 Illustrated Guide to the Three Bonds), primarily published in the Sejong period (世宗, r. 1418-50), was the most widely distributed. From the sixteenth century, Samgang haengsildo sanjeong eonhaebon (刪定諺解本 abridged edition with commentaries), which was reduced down to 1/3 scale of the original version, was produced to ease the distribution. Oryun haengsildo (五倫行實圖 Illustrated Guide to the Five Basic Human Relations) combined with Samgang haengsildo and Yiryun haengsildo (二倫行實圖 Illustrated Guide to the Binary Ethics) in the Jeongjo period (正祖, r. 1776-1800) continued being published during the Cheoljong period (哲宗, r. 1849-64)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continuous distribution of Haengsildo enabled the widespread understanding of old tales of filial piety. Of those stories of filial duty, Wang Xiang Splitting the Ice (王祥剖氷) and Meng Zong Sobbing toward Bamboo (孟宗泣竹) were the most famous tales. This paper confirms that literati of the Goryeo Dynasty (高麗, 918-1392) from the twelfth to fourteenth centuries cited the stories as the symbol of filial piety. Written records that concerned excessive rewards for reporting unrealistic and bizarre stories of filial duty appeared in the eighteenth century. It evidences that awareness of tales of filial piety increased and Haengsildo with hyojado was effective to establish hyo as the fundamental ideology of the Confucian state. In addition to hyojado published in Haengsildo, hyojado in a general painting format was also produced. The court commissioned hyojado to discipline a crown prince while the gentry-class hoped that their descendants succeed the moral duties when citing the traditional iconography of filial piety. Various versions of hyojado formatted in the folding screen have survived due to the constant increase of the demand. This paper suggests that both the conservative gentry-class and middle-men who were willing to absorb the aristocratic culture could be the major consumers of hyojado in the nineteenth century. Although written evidence for this conjecture is scarce, this paper has its significance in concerning potential consumers of hyojado screens.

      • KCI등재

        The Two Ways from Cogito to the Otherness : Jacques Lacan and Emmanuel Levinas

        이수경(Sukyung Lee),이재성(Jae-Seung Lee) 한국비평이론학회 2005 비평과이론 Vol.10 No.1

        라깡과 레비나스는 정신분석과 윤리학이라는 다른 사유의 틀 속에서 서로 다른 주체와 타자를 가정하고 있지만, 자아(동일자) 중심의 사고에 대한 비판적 태도에 있어 유사한 철학적 사유를 공유하고 있다. 그들은 서구의 전통적 철학이 타자를 자아(동일자)의 현상으로 축소하여 자아(동일자)의 영역에 제한하는데 반대할 뿐 아니라, 주체(성)에 대한 타자의 불가피성을 전제하면서 타자의 타자성을 복원시키는데 의견을 같이 한다. 자율적인 의식과 주체의 확실성을 표명하는 주체 중심적 사고에 대한 그들의 비판은 의식의 통일성 및 자유적 주체를 상징하는 코키토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이루어진다. 코키토에 대한 라깡과 레비나스의 부정은 단순히 코키토가 상징하는 주체의 확실성 자체를 문제삼는 것이 아니라, 코키토에 도달하는 데카르트의 사유의 과정에서 배제된 타자성, 즉 코키토가 부정한 것을 되살리는 작업이다. 라깡과 레비나스는 모두 코키토로부터 억압된, 또는 간과된 타자성을 재조명함으로써 데카르트의 사유를 타자성을 사고하는 출발점으로 삼는다. 데카르트에 대한 그들의 비판적 고찰은 주체에 대한 외재적 타자성을 전제로 하는 라깡의 정신분석과 레비나스의 윤리학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무의식의 구조를 추적함으로써 타자에 의한 주체의 분열을 밝히는 라깡의 시각에서 볼 때 코키토는 사유와 존재의 틈을 지울 수 없는, 그러나 그 틈을 없애기를 욕망하는 무의식의 주체이다. 라깡은 프로이드와 데카르트의 대립점을 추적하면서 코키토가 봉합하고자 하는 틈을 포착하고 타자에 의한 주체의 분열과 결핍, 그리고 욕망의 메카니즘을 밝힌다. 라깡이 코키토와 신에 대한 명상으로부터 주체의 통일성을 막는 타자의 근거를 발견한다면, 타자의 무한성, 절대성, 외재성 및 타자에 대한 주체의 책임 윤리를 강조하는 레비나스는 데카르트의 사유로부터 무한의 이념을 추적한다. 레비나스는 신에 대한 데카르트의 가정으로부터 무한의 이념을 발견하며, 이를 통해 타자의 절대성과 초월의 이념을 논증하며 타자에 대한 책임 윤리학을 강조한다. 타자성을 지향하는 라깡과 레비나스의 사고는 서로 다른 사유 체계와 접근 방식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타자에 대한 분리와 무한의 이념을 내포하는 데카르트의 사유로부터 의식의 근원으로서의 주체 대신, 분열과 욕망의 원인으로서의 타자와 관련되어있는, 또한 무한한 타자에 대한 절대적 책임을 피할 수 없는 윤리적 관계에 기초한 윤리적 주체의 가능성을 열어놓음으로써 타자성에 근거한 정신분석적 주체와 윤리적 주체의 접점을 제시해 준다.

      • KCI등재
      • 소방관 업무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안드로이드 기반의 무전기 기능 및 소화전 위치정보를 제공 어플리케이션 개발

        이수경 ( Kim Jihee ),김지희 ( Kim Songa ),김송아 ( Baek Siyoung ),백시영 ( Lee Sukyung ),( Krystian Tomasz Szadkowski ),백태산 ( Tae-san Bae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2

        현재 대구시 소방관들은 소화전, 위험물들의 위치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화 되어있지 않다. 이로 인해 관리 및 화재시 현장에 나갈 때 바로 검색할 수 없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화전과 위험물의 모든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소화전과 위험물의 위치와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하였다. 이와 함께 현재 소방대원들이 사용하는 무전기의 간섭, 끊김, 차단등과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존의 무전기가 사용하던 주파수대역보다 안정되고 좋은 품질의 Wi-FI 통신망을 이용하여 높은 통화품질의 모바일 단말기 기반의 무전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