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녹화공법 적용을 위한 포러스 폴리머 콘크리트의 개발 및 식생 블록 내 생장 특성

        성찬용 ( Chan-yong Sung ),김영익 ( Young-ik Kim ),김태호 ( Tae-ho Kim ),이승훈 ( Seong-hoon Lee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건설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구조물의 대형화 및 고층화 등 사용환경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새로운 건설재료에 대한 인식이 대두되면서 강도 뿐만 아니라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약품성 및 내동결융해성 등과 같은 내구성이 매우 우수한 고분자 재료인 폴리머를 활용한 폴리머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콘크리트를 환경친화적인 재료로 개발하는 연구가 확대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 환경보존 및 생태계와의 조화를 도모한다는 의미에서 환경친화적인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다공성 콘크리트의 공극을 활용하여 식생을 적용한 식생콘크리트는 자연친화적이면서 동·식물의 서식처 제공 등의 생태 및 환경보호가 가능하여 하천 호안 및 사면 등의 녹화 공법에 활용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결합력이 높은 불포화폴리에스터 수지와 쇄석을 활용한 포러스 폴리머 콘크리트 및 포러스 폴리머 블록 내 식생 적용을 통한 식생 폴리머 블록을 개발하여 하천의 호안 및 사면의 녹화 공법에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러스 폴리머 콘크리트의 공극률 및 압축강도와 다공성 폴리머 블록에 한지형 잔디 및 초본식물의 식재를 통한 식생 폴리머 블록 내에서의 식물의 초기 발아 및 생장 특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포러스 폴리머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결합재는 올소타입의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충전재는 탄산칼슘을 사용하였다. 골재는 5-10mm 및 5-20mm의 쇄석을 사용하였으며, 포러스 폴리머 콘크리트블록 내 식생 적용을 위한 품종은 녹화시 피복 밀도가 높으며, 초기 생육속도가 우수하여 우리나라의 비탈면시공에 많이 사용되는 한지형 잔디인 톨훼스큐(Tall fescue) 및 페레니얼 레이그라스(Perennial ryegrass)와 다년 초본식물로서 난지형 자생 식물인 비수리(Lesedeza) 및 알파파(Alfalfa)를 선정하였으며, 각각 단일 파종하였다. 포러스 콘크리트 블록에 식생 적용 결과 식생 종류에 관계없이 초기 발아 시점은 5~7일로 나타났으며, 파종 후 2주가 경과한 시점에서 한지형 잔디의 경우 80% 이상의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파종 후 4주가 경과한 시점에서 한지형 잔디의 경우 초기의 높은 생장으로 인하여 8~9점의 높은 피복도를 나타내었으며, 발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비수리는 6점 이하의 피복도를 나타내었다. 파종 후 8주가 경과한 시점에서 한지형 잔디의 생장량은 16~22cm로 높은 생장량을 나타낸 반면에 자생식물은 3~6cm의 생장량을 나타내었다.

      • 굴 패각 분말을 충전재로 활용한 폴리머 콘크리트의 강도 및 내구 특성

        성찬용 ( Chan-yong Sung ),김영익 ( Young-ik Kim ),김태호 ( Tae-ho Kim ),이승훈 ( Seong-hoon Lee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연평균 36만여 톤에 달하는 패각 발생량 중 패화석 비료(16만여 톤)와 채묘기(14만여 톤), 매립(3만여 톤)등을 제외한 나머지 3만여 톤이 미처리되어 주변 연안에 야적되는 실정으로, 미관상 뿐만 아니라 부착된 육질의 영향으로 악취 원인균인 S.aureus및 P.Vulgaris 등이 번식할 가능성이 크며, 이러한 미생물들은 염분 등을 분해시켜 NH<sub>3</sub>, H<sub>2</sub>S, Amine과 같은 냄새를 유발시키기 때문에 방치되는 패각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매립되거나 방치됨으로써 해양 환경 오염의 주원인이 되는 패각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친환경 건설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로서, 폴리머 콘크리트의 충전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미세하게 분쇄된 굴 패각 분말과 고분자 재료인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및 골재를 활용한 폴리머 콘크리트를 개발하여 단위결합재량 및 패분의 혼입에 따른 폴리머 콘크리트의 작업성, 유동성, 강도 및 내구성 등의 물리· 역학적 특성을 구명함으로서 굴 패각의 건설재료료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굴 패각 분말을 혼입한 폴리머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결합재는 올소 타입의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개시제는 메틸에틸케톤 프록사이드가 55% 함유된 DMP 용액을 사용하였다. 굵은골재로는 5~10mm 및 5~25mm의 쇄석을 사용하였으며, 잔골재로는 4.75mm 이하의 천연모래를 사용하였다. 굴 패각은 분쇄기를 사용하여 0.15mm 이하로 분쇄하여 충전재로 사용하였으며, 또한 비교 평가를 위하여 탄산칼슘을 충전재로 사용하였다. 굴 패각을 활용한 폴리머 콘크리트의 배합은 패각 분말의 혼입에 따른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단위결합재량을 10, 12 및 14%의 3종류로 하였다. 경화 전 폴리머 콘크리트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가사시간 및 슬럼프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경화 후 압축강도, 휨강도 및 내약품성 시험을 병행하였다. 실험결과 단위결합재량이 증가함에 따라 충전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슬럼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패각 분말을 혼입한 배합이 탄산칼슘을 사용한 배합에 비하여 슬럼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가사시간은 충전재에 관계없이 공시체 제작을 위한 소요시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결합재량이 증가할수록 패각 분말 및 탄산칼슘을 혼입한 배합의 압축강도가 거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황산 침적에 대한 내약품성은 충전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녹지 공간 조성을 위한 Green Planting Block에서 장기 식생 특성

        김영익 ( Kim Young-ik ),성찬용 ( Sung Chan-yong ),김태호 ( Kim Tae-ho ),이승훈 ( Lee Seong-hoon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최근 환경문제가 사회 전 분야에서 크게 대두되면서 건설분야에서도 친환경건설공법 및 건설재료 개발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구상의 자원 및 환경보전의 유한성을 고려해 볼 때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고 지구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재료의 개발 및 사용이 절실히 요구된다. 특히 식생콘크리트는 내부에 연속된 공극을 통하여 물과 공기 등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큰 연속공극을 함유하고 있어 식물의 뿌리 및 작은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서 자연친화적이면서 동ㆍ식물의 서식처 제공 등의 생태 및 환경보호 등에 활용될 수 있다. 현재 식생콘크리트의 모체가 되는 포러스 콘크리트에는 시멘트를 결합재로 사용한 포러스 시멘트 콘크리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골재와 골재의 결합에 의해 강도 발현을 하는 포러스 콘크리트의 구조 특성상 결합재로 사용되는 시멘트의 낮은 결합력에 의하여 강도, 내약품성 및 동결융해저항성과 같은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결합력이 높은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와 재생골재를 활용한 포러스 폴리머 블록에 식생을 적용한 Green Planting Block을 개발하여 도시지역 녹지공간조성에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결합재량에 따른 Green Block의 공극률, 압축강도 및 휨강도 특성과 Green Block에 한지형 잔디 및 초본식물의 식재를 통한 Green Planting Block 에서 식물의 지상부 및 지하부의 장기 생장 특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포러스 폴리머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결합재는 올소타입의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충전재는 탄산칼슘을 사용하였다. 포러스 폴리머 콘크리트의 배합에서 식생 적용 후 뿌리의 활착을 위한 공극 확보와 활착에 따른 골재의 저항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7.5% 결합재량 및 5-20mm의 골재를 적용하였다. 또한, 식생 적용을 위한 Gren Planting Block의 단면은 식생 후 발아율, 피복도 및 식물의 장기 생장 특성 등의 평가가 용이하도록 24×24 cm의 크기로 하였으며, 블록의 높이는 식생 적용 후 식물의 뿌리가 고착되어 성장할 수 있는 필요 공간을 평가할 수 있도록 5, 10 및 15 cm의 세 종류로 하였다. Green Planting Block에서 식물의 생장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발아율, 피복도 및 생장량 등을 파종 후 12개월 동안 측정하였다. 발아율 및 피복도는 육안으로 관찰하여 블록의 높이 및 식물의 종류에 따른 생육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피복도는 시각적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파종 후 4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생장량은 식물의 생장에 따른 지상부의 초장 및 지하부의 뿌리 길이를 직접 측정하여 정량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 투수 모형 실험에 의한 투수 블록 포장의 우수 유출 저감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영익 ( Kim Young-ik ),성찬용 ( Sung Chan-yong ),김태호 ( Kim Tae-ho ),이승훈 ( Lee Seong-hoon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으로 인한 기후변화 및 지구의 온난화 등이 심각해지면서 콘크리트를 분야에서도 환경 친화형 콘크리트(Eco-concrete)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도로 포장은 아스팔트 콘크리트와 시멘트 콘크리트 등의 불투수성 포장 재료에 의한 전면포장으로 직접 유출에 의한 도시 하천의 홍수량이 증가 및 지하수 고갈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최근에는 홍수에 의한 침수 피해를 방지하고 지하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투수 및 배수성 포장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투수성 시멘트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포장의 경우 결합재의 낮은 결합력으로 인하여 강도 및 내구성 저하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결합력이 높은 불포화 폴리에스터수지, 굵은골재로서 재생골재 및 충전재로 탄산칼슘을 활용한 투수 포장을 위한 투수 블록을 개발하고, 투수 블록 포장에 의한 우수 유출 저감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투수 포장체에 대한 투수 모형 실험을 실시하였다. 투수 모형 실험체는 자갈층, 모래층 및 투수 블록으로 형성된 투수 포장체, 다양한 강우강도 재현을 위한 강우모사장치, 포장체 상부에서의 실시간 강우량 및 포장체 하부에서의 우수 침투량 산정을 위한 강우기록장치 및 침투된 우수량 산정을 위하여 포장체 하부에 설치된 수조로 구성되었다. 모형의 제원에서 포장 높이는 차도용 블록포장 기준에 준하여 자갈층 15cm, 모래층 3cm 및 블록 두께 8cm로 하였으며, 모래층의 유실방지을 위하여 자갈층과 모래층 사이에 섬유 쉬트를 설치하였다. 투수 포장 단면은 1.80m×0.90m의 크기로 하였으며, 투수 블록의 형상 및 투수 블록의 조합에 따른 우수 침투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투수 블록을 사용하여 포장 단면을 구성하였다. 강우모사장치는 저수조, 모터펌프, 유량계, 압력계 및 분사노즐로 구성되었으며, 압력계에 의하여 다양한 강우강도를 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우포장 단면에 전체적으로 강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분사노즐을 분산 배치하였다. 강우기록장치는 디지털 강우량계 및 디지털 수위측정기를 사용하였으며, 실시간 강우량 및 우수 침투량을 측정하였다.

      • KCI등재후보

        갑상선수술 후 유착

        김영민(Young Min Kim),김수진(Su jin Kim),이진욱(Jin Wook Yi),성찬용(Chan Yong Seong),김종규(Jong Kyu Kim),유형원(Hyeong Won Yu),채영준(Young Jun Chai),최준영(June Young Choi),이규언(Kyu Eun Lee)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16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Vol.16 No.4

        Purpose: Postoperative adhesion after thyroidectomy results in neck discomfort and swallowing difficulty. However, risk factors for adhesive symptom after thyroidectomy have not been well studied. This study evaluated symptoms related to postoperative adhesion after thyroidectomy. Methods: The Glasgow-Edinburgh Throat Scale (GETS) questionnaire was used to evaluate postoperative adhesion. Patients who completed the GETS questionnaire either pre- or post- operatively were enrolled. Patient clinical and pathological details including age, gender,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MI), tumor size, thyroid volume, extent of thyroidectomy, postoperative months, and neck thickness on ultrason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CT) were abstracted. Results: Twenty-eight preoperative (22 females, six males) and 101 postoperative (83 females, 18 males) patients were enrolled. The mean age of the pre-operative enrollees was 52.1±11.7, and of post-operative enrollees 51.8±12.4 years. Patients who were within one month post-surgery had higher GETS scores than preoperative patients (27.4±20.1 vs. 6.5±11.1, P<0.001). Two months after surgery, GETS scores of postoperative patient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scores of the preoperative pati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clinical and pathologic features (age, tumor size, BMI, neck thickness on ultrasonography and CT) and GETS scores. Conclusion: Postoperative adhesive symptoms were most severe at one month after surgery, while questionnaire scores two months after surgery were comparable with preoperative patients. Further studies will be requir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atural course of postoperative adhesion after thyroidectomy.

      • KCI등재후보

        원격전이가 동반된 미세 침윤형 여포암 환자의 임상병리학적 양상

        주영욱(Young Wook Ju),김수진(Su jin Kim),채영준(Young Jun Chai),이진욱(Jin Wook Yi),성찬용(Chan Yong Seong),김종규(Jong Kyu Kim),유형원(Hyeong Won Yu),최준영(June Young Choi),이규언(Kyu Eun Lee)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16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Vol.16 No.4

        Purpose: Although minimally invasive follicular thyroid carcinoma (MIFTC) is considered a thyroid tumor with low malignant potential, some MIFTC can spread, metastasize, and eventually lead to deat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isk factors for distant metastasis in MIFTC patients. Methods: Between 1981 and 2014, the records of 365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thyroidectomy for MIFTC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reviewed.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istant metastasis. Results: Of 351 patients, 10 (2.9%) presented with distant metastasis. Of these, two (0.6%) were found at the time of thyroidectomy, while eight (2.3%) were detected at later exams, over a median of 7.3 years (range, 0.2∼30.8). In univariate analysis, lymph node metastasis (P<0.001)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tant metastasis. In multivariate analysis, lymph node metastasis (P<0.001) and locoregional recurrence (P=0.008)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tant metastasis. Conclusion: Distant metastasis in MIFTC patients were associated with high-risk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more aggressive clinical courses.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ascertain these results with long-term surveillance.

      • KCI등재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한 안내염으로 의뢰된 113 사례 분석 및 시력예후와 관련된 인자

        성찬(Seong Chan Choi),조한주(Han Joo Cho),김형석(Hyoung Seok Kim),한정일(Jung Il Han),이동원(Dong Won Lee),조성원(Sung Won Cho),이태곤(Tae Gon Lee),김철구(Chul Gu Kim),김종우(Jong Woo Kim)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3

        목적: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한 감염성 안내염으로 본원에 의뢰되어 치료 받은 환자들을 분석하여 최종 시력과 연관된 인자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8년부터 2013년까지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한 안내염으로 본원에 의뢰된 환자 113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초진시력, 술 후 안내염 발생 시기, 전방축농 유무, 의뢰되어 시행한 치료의 종류, 균 동정 유무 및 종류 등이 최종시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결과: 환자 총 113명 중 초진시력이 안전수동 이하인 환자는 75명(66.3%)이었으며, 치료 후 최종시력이 0.5 이상 회복된 환자는 73명(64.6%)이었다. 초진시력이 안전수동 이상인 경우에 시력예후가 더 좋았으며(p=0.001), 그람 음성균에 의한 감염인 경우(p=0.007) 또는 백내장 수술 후 2일 이내에 발생한 안내염인 경우(p=0.043) 최종시력이 유의하게 나빴다. 초진시력이 안전수동 이상인 환자에서 초기 치료로 유리체절제술과 안구 내 항생제주입술은 최종시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초진시력, 동정된 균의 종류와 백내장 수술 후 안내염 발생까지의 기간이 치료 후 좋은 시력예후와 연관이 있었다. 조기 유리체 절제술과 안구 내 항생제주입술의 치료 효과는 분명치 않았으나,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o evaluate factors affecting final visual acuity by analyzing patients referred with infectious endophthalmitis after cataract surgery. Methods: A retrospective investigation of clinical notes of 113 patients referred with endophthalmitis following cataract surgery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13. To evaluate factors affecting final visual acuity, initial visual acuity, onset of endophthalmitis after the cataract surgery, types of treatment, presence of hypopyon and culture results were investigated. Results: Of the 113 patients, visual acuities at presentation were hand motions or less in 75 patients (66.3%) and final visual acuities after treatments were 0.5 or better in 73 patients (64.6%). Cases with initial visual acuity of hand motions or better achieved favorable outcomes whereas cases with gram-negative infection or endophthalmitis occurring within 2 days postoperatively showed poor prognosis. Statistically, vitrectomy versus intraocular antibiotic injection as primary means of treatment showed no differences in final visual acuity in patients with initial visual acuity of hand motion or better. Conclusions: Visual acuities at presentation, type of cultured organism and onset of endophthalmitis after cataract surgery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visual prognosis. Advantages of initial vitrectomy versus intraocular antibiotic injections were unclear and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cessary to clarify these is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