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충북 청주시 오송지구 유적 발굴지의 화분분석: 색생과 퇴적환경 고찰

        이상헌,김주용,Yi, Sang-Heon,Kim, Ju-Yong 한국제4기학회 2010 제사기학회지 Vol.24 No.1

        충북 청주시 오송지구 원평 II-3 보조단면 (B11칸 서벽)의 홀로세로 판단되는 퇴적물로부터 이 지역의 식생과 기후변화를 추정하였다. 트렌치 단면의 퇴적물들은 주로 조립질의 퇴적물로 구성되어 유기물의 함유량이 대체적으로 낮았다. 비록 화분의 산출량은 높지 않았지만 우점 종과 일부 중요 종으로부터 중부 내륙 산간지역의 기후변화에 따른 식생이 변화가 있었음을 인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화분군집상의 변화를 선행화 분분석 자료들과 대비하여 간접적으로 연대를 추정할 수 있었다. 초기 홀로세의 식생은 최종 빙기 이후 온난화로 전이되는 한랭기동안 번성하였던 주요 수목들이 사라져 단순한 산림형태화가 되었던 것으로 간주된다. 중기 홀로세에는 온난, 습윤의 최적화된 생육조건으로 낙엽활엽수림과 상록수형 활엽수 및 난온대성 소나무 등이 번성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후기 홀로세의 기후는 다시 한랭화가 진행되어 본 연구지역은 침엽수-낙엽활엽수 혼합림으로 천이되었다. 최상부 구간에는 농경활동 지표 종들의 산출로 이 지역에 본격적인 농경활동이 행해졌던 것으로 생각되며, 산림형태는 자연환경변화보다는 인간간섭에 의해 더 영향을 받은 특징을 보여주며 기후조건은 오늘날과 비슷하였다. Holocene vegetation and climate changes were assumed on the basis of pollen records from Wonpyeong Trench II-3 of the Osong archaeological site, Cheongju, Chungbuk Province, Korea. An organic matter beared in coarse sediments appeared to be low throughout the succession. Although an occurrence of pollen grains is not high, some dominant and principal taxa may indicate vegetation changes response to climate changes in central inland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The age determination can be estimated with indirect way by comparing with previous age-controlled pollen studies. It is assumed that the former last glacial conifer forests had been changed into open mixed conifers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during the early Holocene period. Warmer and more humid climate conditions, during the mid-Holocene, might have allowed the hardwoods including deciduous- and evergreen-broadleaved trees, and warm-preferring pine tree to flourish. Subsequently, the former forests were replaced by mixed of conifer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owing to deterioration of climate conditions during the late Holocene. Human activity is also detected by agricultural indicators, such as buckwheat and large pollen grains comparable to corn, in upper most pollen profile. During this time, the forests in studied area were primarily affected by human disturbance rather than natural environment.

      • 홀로세말 의림지 호소환경과 식생변천 고찰

        강상준,이상헌,김주용,Kang, Sang-Joon,Yi, Sang-Heon,Kim, Ju-Yong 한국제4기학회 2009 제사기학회지 Vol.23 No.2

        제천 의림지는 홀로세말에 형성된 호소로서 중부 내륙지역의 수문, 기후 및 식생변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최적의 퇴적체를 포함하고 있다. 의림지 호소 퇴적체 중 ER3-1호공에서 AMS 탄소동위원소 연대측정 자료를 수반한 퇴적상과 화분군집산출상을 검토하여 고기후와 수문환경변화를 해석하였다. ER3-1호공의 고도 307.5m~309.5m 구간은 약 1,920 yrBP~1,420 yrBP 기간에 안정한 퇴적체를 보이며, 이 상부에는 과거 약 2000년 전 후에 재동된 퇴적물이 분포한다. 본 시추공의 화분군집산출을 보면 목본화분으로 소나무속, 참나무속이 우점한 것으로 보아 현존식생과 거의 유사한 식생환경으로 추론된다. 전반적으로 천변에는 오리나무속, 물푸레나무속, 버드나무속과 같은 호습윤성 교목이 생장했으며, 호안에는 부들, 수련, 고마리 등 수서식물이 생육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문화편년으로 볼 때 의림지는 청동기~철기시대 및 고대사회 초기에 축조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의림지 입지환경과 호저 퇴적체에서 나타나는 양상은 약 3,200 yrBP~200 yrBP 기간 동안 전반적으로 서늘하고 건조한 시기(Cool and dry period)가 우세한 환경 하에서 참나무속-소나무속-전나무속을 우점으로 하는 식생군락이 형성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AMS radiocarbon dates indicated that Eurimji reservoir, located at Jecheon City, Chungbuk Province, has been formed during the late Holocene Epoch. The sedimentary sequence at bottom reveals histories in hydrology, climate conditions and past vegetation dynamics. Ages controlled sedimentological and palynological analyses on ER 3-1 Core contribute to reconstruct paleoclimate and past hydrological conditions. These analyses suggest that lower interval (307.5m~309.5m elevations) of the ER 3-1 Core was deposited in stable from 1,920 yrBP to 1,420 yrBP, but upper layer sediment above these elevations was composed of reworked sediments during the pre and post 2,000 yrBP. Pollen assemblage indicates that watershed vegetation of the Eurimji reservoir, during the period of 1,920 yrBP~1,420 yrBP, was closely comparable to modern vegetation dominated Pinus and Quercus mixed vegetation. Also, riparian including Alnus, Fraxinus and Salix were inhabited along the banks of stream, and aquatics such as Typha, Nymphaea and Persicaria flourished at shore of the reservoir. According to cultural chronicle, it infers that the Eurimji reservoir was formed from the Bronze Age to the Iron Age or the beginning of ancient society. An integrated data suggested that Quercus-Pinus-Abies mixed forest flourished under cool and dry climate conditions during 3,200 yrBP~200 yrBP.

      • KCI등재

        인구고령화와 기계의 금융자산 선택 : 이론 및 실증분석

        이상호(Sangho Yi),유경원(Kyeongwon Yoo),이상헌(Sang Heon Lee) 한국경제연구학회 2011 한국경제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인구고령화의 진전으로 위험기피 성향이 상승하면 금융자산 선택에 있어 위험자산 수요가 감소할 수 있음을 명시적으로 고려한 후 이를 이론 및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와는 달리 연령증가에 따라 위험기피 성향이 커지는 RRA(relative risk aversion 형태의 효용함수를 모형에 반영하였다. 또한 노동소득 및 자산가격의 불확실성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2000년대 들어 크게 달라진 경제상황을 고려하고자 하였다. 이론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최적 위험자산 비중은 위험자산의 초과수익률 (위험자산과 안전자산 간의 수익률 차), 투자자의 위험기피도, 그리고 투자자산수익률의 불확실성 이외에 연령, 노동소득, 노동소득의 불확실성 및 자산규모 등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의 증가는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위험기피 성향의 증가를 가져오며 이는 위험자산 비중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험자산가격의 불확실성과 노동소득의 불확실성 확대도 위험자산 수요감소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이론적 분석결과는 토빗모형에 의한 실증분석을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This study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household's financial asset portfolio decisions considering the impact of an increase in risk aversion on demand for risky assets due to population aging. To this end, we incorporate a relative risk-aversion type of utility functions into the theoretical model in order to capture that the risk aversion would increase as population aging is progressing in an economy. Also, we introduce uncertainty in labor income and asset price to reflect changes in economic situation since 2000. Our model implies that optimal risk asset holdings among the financial assets would be determined by excess returns (the returns on risky asset minus returns on safe asset), the degree of risk aversion of investors, and the uncertainty in investment asset returns, along with age, labor income, labor income uncertainty and total asset size. In particular, an increase in age, other things being equal, leads to an increase in risk aversion, and then it appears to reduce the weight of risk assets among the financial assets. Furthermore, the uncertainty in risky asset prices and labor income results in the similar impact. These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empirically supported by the household data in Korea using the Tobit model.

      • 오대천 수항 계곡의 산지 하천성 퇴적층 특성에 대한 연구

        김종연 ( Jong Yeon Kim ),이상헌 ( Sang Heon Yi ),김종욱 ( Jong Wook Kim ) 한국지리학회 2012 한국지리학회지 Vol.1 No.1

        강원도 평창군 하진부면 수항리의 사면 말단부에 위치하는 현 하상 비고 40-50m에 속하는 퇴적 지형을 구성하는 퇴적 물질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지역은 퇴적암 분포 지역으로 상류의 화강암 분포지역과 달리 하천이 곡을 깊게 개석하면서 하안에 여러 단계의 퇴적층을 형성하고 있다. 이 퇴적층들은 각각의 위치에 따라 물질의 기원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 인근 지역의 경우에는 화강암이 포함된 하성 기원의 원력의 퇴적층이, 본 연구 대상지에서는 사암 등 지역의 암석 중심의 아각력 퇴적층이 나타난다. 또한 퇴적층의 두께는 10m 내외로 전반적인 기복의 형상이 퇴적층의 형상보다는 퇴적이전에 형성된 기반암면의 형상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이 퇴적층의 배후 산지에는 우곡을 중심으로 하는 침식 및 퇴적 지형이 나타나고 있으며, 입자의 입도와 형상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 상당히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층의 고도와 인근 지류의 유입 특성, 퇴적 물질의 입도, 형상 등을 종합적으로 볼 때 이 퇴적층은 지류 유입의 선상지성 퇴적이나, 본류의 퇴적층으로 보기 어려우며 배후 사면으로부터 발생한 유수가 우곡 등을 통하여 사면의 하부로 이동되면서 만들어진 일시적인 산지 하천성 퇴적물로 보여진다. 이를 통하여 하천과 산지 간의 다양한 퇴적물 연계가 존재함이 나타났으며, 이후 산지의 하안 퇴적층 연구에 있어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sediment particles found from depositional landforms at Suhangri, Hajinbu, Gangwon province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depositional forms located near of Odaecheon. Odaecheon is deeply dissecting the paleozoic sedimentary rocks (mainly sandstone) and formed fluvial terraces along its course. The sediment particles of depositional landforms showed different origin and transport route. The lower terraces near of current channel are formed with well rounded granite gravels while higher depositional forms at the foot of the slope are formed with sub angular - sub rounded sandstone gravels with clay matrix.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landforms found less than 10m. So it should be pointed that overall feature of the landform is not decided by the depositional processes of stream but the surface feature formed by erosional processes. It is also found from the slope of the mountain that the gullies on the slope are the main erosional and depositional agents. The sediment particles formed by mechanical weathering or deposited by other processes are transported through the gully. The particles found from the bottom of the gully showed similar roundness and lithology with depositional forms at footslope. It means that sediment particles at the area transported from upslope by the gullying rather than upstream by the fluvial processes. So, it should be mentioned that the depositional forms at this area have different sediment link with slope or upstream reaches, though relative height form the channel is similar.

      • 석조문화재의 자연재해 피해양상 예비분석

        양동윤,김주용,김진관,이진영,김민석,이상헌,김정찬,남욱현,양윤식,Yang, Dong-Yoon,Kim, Ju-Yong,Kim, Jin-Kwan,Lee, Jin-Young,Kim, Min-Seok,Yi, Sang-Heon,Kim, Jeong-Chan,Nahm, Wook-Hyun,Yang, Yun-Sik 한국제4기학회 2007 제사기학회지 Vol.21 No.1

        90년대 이후 세계적으로 집중호우와 같은 자연재해에 문화재가 극심한 피해를 입고 있다. '05년도 문화재 보수건수는 '86년 건수 대비 거의 6배에 달하고, 특히 경상도와 전라도의 보수실적이 전국의 63%를 차지하였다. 이는 90년대 이후 발생한 태풍이 대개 남해안으로 상륙하여 북상하는 형태였고 경로에 해당하는 전남 및 경남 지역에 막대한 피해를 주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석조문화재 보수자료를 기반으로 현지조사를 거쳐 자연재해 발생 가능성이 높은 석조문화재를 예비 분석하였다. 이의 분포현황을 보면 토사재해와 사면 붕괴 등 사면과 관련된 재해가 58% 이상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석조문화재 중 사면에 분포하는 것이 59%로 다수를 차지하고 이들은 집중호우가 발생하면 산사태나 토사이동으로 인한 재해에 대해 매우 취약하기 때문이다. 집중호우 하에서는 산사면 표층수 또한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흐르면서 석조문화재 지반의 토양을 침식시킬 수 있다. 마애불과 같이 자연상태의 암석을 이용한 석조문화재 중, 전석상태의 것은 침식이나 지반침하 등의 지반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여 지반에 변화가 오면 기울음이나 전도 등의 피해를 볼 수 있다. 자연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석조문화재의 분포는 '90년대 이후의 5대 태풍의 전체 강우분포와 관련성이 보여 2등급 정도의 범주 안에 들어온다. 특히 태안반도와 경기의 일부 문화재는 전체 강우분포도 보다는 태풍올가 등의 강우분포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The severe damage of cultural heritages induced by natural hazards like heavy rain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1990. The number of the repair works of stone heritage of 2005 was six times as many as those of 1986 year. Especially the ratio of the repair works of Gyeongsang Province and Jeolla Province stood 63% of those of all over the country. Since 1990, the typhoons usually struck the southern part of Korea and went northward. The heavy damage of stone heritages in two provinces was caused by them. We made a preliminary survey the stone heritages that exposed to the natural hazards on the basis of repair works of them and a field survey.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natural hazards such as landslide and soil disaster of the stone heritages related to a sloping surface stood 58% of all kind of natural hazards. The reasons are caused by the 59 % of all the stone heritages distributed in a sloping surface resulted in natural hazards like landslide and soil disaster. The bases of stone heritages can be easily eroded by the surface water with high energy induced by heavy rainfall. Most of the stone heritages like Maebul were engraved on a natural rock wall(outcrop). But some of them engraved on rolling stones are very vulnerable in a change of a base condition caused by erosion and ground subsidence and they can be tilted or fell down. The distribution of the stone heritages vulnerable in natural hazard is related to that of the rainfall distribution compounded five typhoons after 1990. Most of them are included in level two on the rainfall distribution map except those of Taean peninsula and some of Gyeonggi Province. They seem to be rather related to the rainfall distribution of the Typhoon Olg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