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변한 것과 변하지 않은 것

        이상직(Lee Sang-Jic),김이선(Kim Ee-Sun),권현지(Kwon Hyunji) 비판사회학회 2018 경제와 사회 Vol.- No.118

        1998년 경제위기 이후 청년 노동시장 구조 변화에 대한 통념은 양극화와 불안정화, 그리고 위기 전후의 단절로 요약된다. 특정 시점에서 요약된 횡단면 비교를 통해 구축되어온 이러한 통념에 도전하면서 우리는 개개인의 노동이력 집합이 만들어내는 주요 고용 패턴의 구성 변화를 통해 경제위기 전후 청년 노동시장 구조 변화의 성격을 지속과 변화의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한국노동패널조사’ 직업력 자료를 사용해 4년제 대졸자의 졸업 후 120개월 노동이력을 8개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비중을 1990년대 초 · 중반, 1990년대 후반, 2000년대 초 · 중반 졸업 코호트별로 비교했다. 남성에서는 ‘안정 이력군’과 ‘유동 이력군’의 이분 구도가 경제위기 전후로 지속되는 가운데 두 군의 경계 영역에서 불안정화 추이가 나타났다. 여성에서는 ‘안정 이력군’과 ‘유동 이력군’, 그리고 ‘비취업 이력’ 간 삼분 구도의 무게중심이 최근 들어 취업 이력 쪽으로 대폭 이동하면서 구도가 상대적으로 급격하게 변했지만 그 성격을 양극화나 불안정화로만 볼 수는 없다. 남성에 비해 ‘안정 이력군’의 비중이 작고 ‘비취업 이력’의 비중이 큰 젠더 격차가 지속되고 있지만, ‘안정 이력군’과 ‘유동 이력군’ 모두의 증가 경향은 불안정화나 비정규화라는 말로 요약하기 어려운 내부 분화가 여성 노동시장에서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남녀 모두에게서 나타난 특기할 만한 변화는 첫 취업 전까지 상당한 시간을 보낸 후에 중소기업 정규직으로 진입한 이력의 비중이 커졌다는 점이다. 이 점은 적어도 대졸 청년 노동시장에서 불안정화, 양극화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대기업 정규직 감소나 비정규직 증가보다 중소기업 정규직 노동시장의 분화, 또는 불안정화 경향에 더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re is a social convention on the changes in the youth labor market structure in South Korea after economic crisis of 1998, characterized as punctuated changes - polarization and precariousness. This notion is based on cross-sectional researches that mainly focuses on the structure captured in discrete time with various categories such as type of employment, type of occupations, size of enterprise, etc. Apart from this approach, we attempt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the structure of youth labor market after economic crisis focusing on work history as a unit of analysis. Using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KLIPS), we compare three cohorts (1993∼1995, 1998∼2000, and 2003∼2005) of college graduates’ work history of 120 months since gradu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men, while two groups of career patterns, ‘stable career group’ and ‘unstable career group’, still remained, within each part, the proportion of unstable careers has increased. For women, on the other hand, three career patterns of ‘stable’, ‘unstable’, and ‘unemployed’ have shifted to two patterns of ‘stable’ and ‘unstable’. Nevertheless, cohort effects with attributes of people controlled was consistent for the both of men and women. The chances of entering careers as wage earners have increased and that of quitting or changing jobs have decreased. The most notable point here is that the chances of “delayed entry into regular work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have considerably increased. These changes in the pattern of work history turn our attention from labor market of regular work in large company or that of irregular work to the differentiation in labor market of regular work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conclus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change in the structure of youth labor market in South Korea after economic crisis of 1998 is neither linear nor discontinuous.

      • KCI등재

        일본 사회적경제의 조직 지형: 포괄적 제도 분석과 전망

        이상직 ( Sang Jic Lee ),연준한 ( Jun Han Yon ),미우라히로키 ( Hiroki Miura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5 韓國 政治 硏究 Vol.24 No.2

        사회적경제에 대한 한국사회의 관심이 커지면서 풀뿌리 조직이 발달한 것으로 알려진 일본에 대한 관심 또한 커지고 있다. 그러나 특정 조직을 넘어선 일본 사회적경제 영역 자체의 지형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논문은 제도적 측면에 착안하여 적실성 있는 현대 일본 사회적경제의 조직적 지형을 그리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사회적경제와 관련된 개념들을 검토해 분석 대상 조직의 전체 범위를 규명하고, 이들을 사회적경제의 3요소인 민주성·경제성·사회성에 부합하는 정도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이러한 분류를 토대로 평가한 일본 사회적경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알려진 바와 같이 NPO법인과 공익법인이 일본 사회적경제의 주요 주체로 부각되고 있다. 2) 그러나 영리/비영리, 공익/사익으로 분명하게 구분되기 어려운 성격을 가진 다양한 조직들이 등장하고 있다. 3) 이런 맥락에서 일본에서는 전형적인 사회적경제 조직이 있다기 보다는 여러 유형의 조직이 제도적, 정책적 네트워크를 통해 활동을 조율하는 형태로 사회적경제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concepts and institutions concerning the social economy in Japan and explores its organizational terrain. We have identified twenty-eight organizational types and categorized them into four levels: major, semi major, semi minor, and minor organization of the social economy according to their institutional hybridity. Specifically, we applied to each organizational type the three criteria which were generally considered as the basic conditions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They are namely “democratic operation,” “economic activity,” and “social purpose.”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shows that 1) NPOs, Public Interest Corporations, and Consumer Co-operatives play significant roles within the social economy sector. But at the same time, 2) other types of organizations, especially ones which nullify profitnonprofit and public-private interest distinctions, or the “trans-boundary” organizations, are rising rapidly. Finally, such a development within the organizational terrain tells us that 3) the contemporary Japanese social economy is comprised of various types of organizations. Some can be identified by the ideal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others by their individual business or social motives.

      • KCI등재

        Shifting Focus in Development Studies

        Shin-Kap Han(한신갑),Sang-Jic Lee(이상직),Yun-Joo Sung(성연주)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4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43 No.1

        How has development studies ? especially the one on and in East Asia in general, and South Korea in particular ? changed over the last decade and a half? We trace the recent trends through a review of articles published in Development and Society (D&S). Bibliographic metadata on a total of 201 authors and 199 papers for the period of 1998-2013 a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context, we find that, both in terms of authorship and regional coverage, the range of locales has expanded steadily. For content, research appears to have moved away from topics largely associated with quantity of development toward quality of development during the period. We conclude by discussing th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development studies and suggesting strategies for D&S to follow in order to enhance its role in the field of development studies.

      • KCI등재

        생애사 연구의 자료기반 확장: 생애사 시간표를 활용한 구술 생애사 자료의 조직 및 분석

        한신갑 ( Shin-kap Han ),이상직 ( Sang-jic Lee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7 조사연구 Vol.18 No.2

        생애사 연구자들은 대개 특정 사건을 겪은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어떤 식으로 이해하고 표현하는지에 관심을 두고, 그 생애 체험을 깊게 해석하려는 목적으로, 소수의 사례를 분석한다. 아직까지는 상대적으로 다수 사례의 생애사 자료로 생애이력을 비교하고 분류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관심이 적다. 이 연구는 생애사 연구의 방식을 확장해 보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생애사 시간표를 활용하여 생애이력을 비교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생애사 시간표는 주로 생애과정에 대한 조사연구에서 자료수집 용도로 사용되어 왔지만 이미 수집된 구술 생애사 자료를 조직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령이나 연도 단위로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축과 가족, 학교, 노동, 혼인 등의 범주로 구성된 주요생애 영역을 나타내는 축을 교차하여 만든 표에, 주요 사건의 발생 시점과 지속 기간을 표시하면 한 개인의 생애이력을 체계적으로 요약해 정리할 수 있다. 이렇게 요약된 사례별 생애이력을 모아 유사한 생애이력을 가진 사례들끼리 묶으면 하위집단별 생애이력의 패턴을 파악할 수 있어 개별 생애사의 특성을 집단 전체 생애사의 맥락에서 검토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노숙인 생애사 자료를 사례로 소개하면서 관련된 이론적, 방법론적 함의를 검토한다. The usual approach in life history research concerns how people understand and narrate their particular experience, and is typically implemented with a deep yet narrow focus on a small number of cases. As a result, how to organize, sort, compare, and map a large number of cases has yet to receive much sustained attention. We propose a method to scale it up-life history calendar. We a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applying it to repurpose existing oral history archive. The calendar we showcase here is constructed in tabular format to summarize individual information on various life history domains, such as family, school, and work, over time. Using the oral history archive data on 60 homeless people, we sort and group them to produce an interpretable framework that charts various paths to homelessness, and within which individual life history can be meaningfully contextualized. We conclude with a discussion on it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mplications.

      • KCI우수등재

        한국의 가족주의와 가족 관념

        백광렬(Kwang-Ryeol Baek),이상직(Sang-Jic Lee),사사노 미사에(Misae Sasano) 한국사회학회 2018 韓國社會學 Vol.52 No.4

        가족주의가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은 그 어떤 사회에서보다도 뚜렷한 것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그것이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측면에서 영향을 미쳐왔는가에 대한 개념적 합의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가족주의라는 용어는 상황에 따라 정반대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먼저 한국 가족주의 개념을 다루는 기존 연구들을 검토해 개념의 모호성을 밝힌다. 다음으로 개념적 모호성의 핵심 원인에 한국 가족 관념에 대한 모호한 인식이 있음을 지적하고, 한국 가족 관념에 대한 대안적 모형화로서 네트워크형 가족 개념을 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국 가족주의라는 문화적 현상을 한국 사회의 사회결합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해서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가족을 독립적 집단으로 보고 그것의 고유한 기능을 찾는 것이 아니라, 개인-가족-사회의 인간 결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려는 시각에서 가족 형성의 문화에 대해 고찰하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In Korea, it is often regarded that the familism has had a greater impact on the society than in any other country in the world. There seems to be, however, no conceptual agreement concerning what characteristics it has and how it has affected Korean society. The term ‘Familism’ is sometimes used to mean oppsite implication by various studies. In this paper, we attempt to clarify the concept of familism in the Korean context, by taking previous studies into consideration dealing with the meaning and origin of the term, ‘Korean Familism’. Also, we point out that the ambiguous perception about the concept of family in Korea is a critical factor in producing such conceptual complexity and ambiguity in Familism. Finally, we propose the “Network type Family Model,” not “Group type Family Model,” as an alternative way to conceptualize the Korean Family Model. By applying this model, we provide a way to analyze the culture of Korean familism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social associations in Korean society. This is not to look at the family as a fixed unit or group and find its function, but to consider the culture of family formation from a holistic perspective of human association in various level(person-family-society).

      • KCI등재

        ‘소셜과 혁신’을 바라보는 대학생의 양가적 시선: 사회학 실습 교육 사례

        권현지 ( Kwon Hyunji ),이상직 ( Lee Sang-jic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22 한국사회 Vol.23 No.1

        이 글은 사회학 실습수업 수강생의 연구 활동을 매개로,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일을 하는 청년의 활동과 그 활동을 관찰하는 수강생의 인식을 좇는 액자 구조의 보고다. 지난 10여 년간 청년이 사회혁신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담론이 형성되면서, 정부와 기업, 관련 NGO는 ‘기업가정신’과 ‘실험성’을 강조하고 ‘사회혁신’을 목표로 내건 다양한 청년 중심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지원해 왔다. 그러나 정작 사회혁신의 주체가 되는 청년이 누구인지, 이들의 활동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려진 것은 그리 많지 않다. 이 연구는 2017년과 2018년에 서울 소재 A대학 사회학 실습수업에 참여한 사회학 (부)전공생의 눈으로 본 청년 사회혁신가 및 사회혁신 활동의 특성을 기술하고, 청년-사회혁신의 장(場) 밖에 있는 대학생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다.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강생이 관찰한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일은 활동 주체의 성격과 참여의 맥락, 실천 방식에 따라 ‘비즈니스’와 ‘활동’, 그리고 ‘운동’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둘째, 대체로 졸업을 앞둔 수강생들은 자신과 연구대상자를 서로 다른 사람들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연구를 진행한 학생들은 불확실성을 수용하고 기업가정신을 적극적으로 내면화한 혁신(사업)가의 정체성 이면에 강도 높은 불안감이 공존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청년 사회혁신 활동의 지속가능성을 소극적으로 평가했다. 나아가 수강생들은 ‘청년’을 동질 집단으로 규정하는 사회적 시각에, 청년을 ‘사회혁신’을 마땅히 이루어내어야 할 존재로 전제하는 사회적 기대에 불편한 감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This study looks into the activities of young people who are doing ‘socially meaningful work’ that are reflected by university students’ research projects on social innovation activities. Over the past decade, a discourse has been formed that emphasizes the subjectivities of the youth carrying out social innovation. The government, corporations, and relevant NGOs have been planning, facilitating and supporting various youth-centered projects that incorporate the notion of ‘entrepreneurship’ and ‘experiment’ and promote social innovation. However, less is known about what sorts of people are (or can be) actually engaged in the social innovation and what their actual activities are. The well-known success stories of a few high-profile social ventures are biased, with little reflection of reality. In addition, most analysis of social innovation experiments led by young people have been done mainly by policymakers and professional researchers from the government, corporations, and NGOs. Against this backdrop, less is documented about how young people ‘in general’ perceive the ongoing youth-centered social innovation practices.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social innovators and social innovation programs seen through the eyes of undergraduates who participated in sociology practice classes at a university in Seoul from 2017 to 2018. The main findings include: First, we classified the young peoples practices of ‘socially meaningful work’ into three categories: ‘business’, ‘activity’, and ‘move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actitioners discovered by the students, seem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context of their participation, and the nature of their activities. Second, the students tended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ose social innovators devoted to socially meaningful work in various ways. Third, the students also tended to evaluate the sustainability of the young people’s social innovation activities somewhat negatively. They found that intense anxiety coexisted behind the innovative entrepreneurs who accepted uncertainty in their activities and actively internalized their entrepreneurial identity.

      • KCI등재

        열 보조 자기기록용 서스펜션의 PSA에 대한 분석

        김기훈(Kim, Ki-Hoon),이용현(Lee, Yong-Hyun),김석환(Kim, Seok-Wan),이상직(Lee, Sang-Jic),박노철(Park, No-Cheol),박영필(Park, Young-Pil),박경수(Park, Kyoung-Su)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0 한국소음진동공학회 논문집 Vol.20 No.3

        This paper presents the analysis of pitch static attitude(PSA) in thermally assisted magnetic recording(TAMR) suspension. The TAMR suspension using an optical fiber has high stiffness such as vertical, pitch and roll. Therefore, P-torque is greatly increased by the optical fiber. Also, flying height(FH) of the slider with TAMR suspension can be largely changed by PSA.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FH by PSA of TAMR suspension. The FH is investigated using various PSA and proper PSA is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