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Metachronous Lynch Syndrome I

        이상인(Sang In Lee),문성수(Sung Soo Moon),변상준(Sang Jun Byun),배무현(Mu Hyun Bae),김종훈(Jong Hun Kim),정미혜(Mi Hae Jung),나산균(San Kyun Nah),조성(Sung Lak Cho) 대한소화기학회 199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25 No.4

        Lynch syndrome I is rare hereditary disease characterized by appearance, early in life, of multiple and primary cancer in the colon and rectum. This syndnome appears to be inherited in autosomal dominant f ashion with lack of antecedent polyposis. Individual with Lynch syndrome .I has a high risk of second carcinoma either synchronous or metachronous. So, it is noted that careful follow up as well as early diagnosis and managernnit is very important. We reported a case of metachronous Lynch Syndrome I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중증 주산기 가사 환아에서 시행한 초기 뇌파 검사의 임상적 의의

        이종욱,최원정,김천수,이상락,김준식,Lee, Jong Uk,Choi, Won Joung,Kim, Chun Soo,Lee, Sang Lak,Kim, Jun Si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8

        목 적 : 주산기 가사 환아는 뇌손상 정도에 따라 다양한 임상경과와 예후를 나타낸다. 이에 초기 뇌파의 소견이 저산소성 뇌증 환아의 임상경과와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9년 7월부터 2002년 6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소아과 신생아 중환자실에 1분 Apgar 점수 3점이하의 중증 주산기 가사소견으로 입원했던 만삭아를 생후 3일 이내에 시행한 초기 뇌파검사 소견으로 미세 변화군(정상, 국소성 극파 혹은 서파)과 전반적 이상군(다형성 극파, 돌발-억제파(burst-suppression), 전반적 저전위파)으로 나누어서 각 군간 입원시 혈액 검사소견(암모니아, 요산, 젖산, pH), 임상소견(입원기간, 산전 모성 위험인자 유무, 경련유무 및 지속기간, 기계적 환기 필요여부, 경구수유 시작시기), 예후(사망 혹은 발달장애 유무) 등을 비교하여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총 25명 중 미세 변화군은 15명, 전반적 이상군은 10명이었으며 양군 모두 외부 출생아가 70% 이상으로 많았다. 두 군간 성별, 평균 재태 기간, 출생 체중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미세 변화군에 비해 전반적 이상군에서 산전 모성 위험인자 내재(20.0% vs 60.0%), 평균 경련 지속기간(1.5일 vs 5.5일), 기계적 환기가 필요한 경우(20.0% vs 60.0%) 및 경구수유 시작시기(3.2일 vs 9.9일)가 의미있게 늦었으나 경련 동반율(66.7% vs 100.0%)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망 혹은 발달장애를 동반한 나쁜 예후로의 진행은 미세 변화군 중 13.3%에 비해 전반적 이상군 중 60.0%로 의의있게 많았다(P<0.05). 결 론 : 주산기 가사에 노출된 환아들의 초기 뇌파검사 소견에서 다형성 극파나 돌발-억제파, 전반적 저전위파 등의 전반적 이상이 있는 경우 나쁜 임상 경과와 예후를 보여서, 주산기 가사 환아들의 예후를 예견하는데 지표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Purpose : Perinatal asphyxia occurring in newborn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acute mortality and chronic neurological disability in survivors. We hav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electroencephalography(EEG) findings and clinical course and neurologic outcome in severe asphyxiated neonates. Methods : Between the period of July 1999 and June 2002, 25 neonates who were diagnosed with severe perinatal asphyxia(1-minute Apgar score of ${\leq}3$ and initial pH is less than 7.2) at NICU in Dongsan Medical Center were enrolled. An EEG was recorded and analyzed within three days of life and divided into two groups - group 1(normal or focal change on EEG) and group 2(generalized abnormal EEG). Between the two groups, clinical courses and neurologic outcomes were compared. Results : Fifteen infants(60%) were group 1 and ten infants(40%) were group 2(polyspikes, burst-suppression, generalized low voltage). Associated maternal disease, days of hospitalization, need for ventilator support, delay of oral feeding and convulsion duration are significantly higher and longer in group 2. Also, poor neurologic outcome(expire, developmental dela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2(60%) than group 1(13.3%). Conclusion : Thus, the early neonatal EEG in asphyxiated newborn can be a predictable diagnostic tool in assessment of neurologic outcome.

      • KCI등재후보

        열성경련의 지속시간과 경련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연구

        홍승아(Seung Ah Hong),김성훈(Sung Hoon Kim),이상락(Sang Lak Lee),김준식(Joon Sik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02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0 No.1

        목적:근래에는 열성경련과 저나트륨혈증의 연관성에 관한 많은 연구와 성인에서 오래 지속되는 비열성경련에서 말초혈액의 백혈구가 증가되는 것이 보고되어, 열성경련에서 경련 지속시간 및 경련횟수와 말초혈액의 백혈구 증가증 및 저나트륨혈증의 연관성을 연구함으로써 말초혈액의 백혈수 증가와 저나트륨혈증이 복합열성경련을 예측 인자가 될 수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1999년 4월부터 2001년 3월까지 열성경련으로 동산의료원 소아과에 입원하였던 223명을 대상으로 경련 지속시간 15분 미만과 15분 이상군, 하루 1회의 경련과 2회 이상의 경련을 가진 군, 초발경련과 누적 경련 횟수가 2회 이상이었던 군으로 나누어 내원 당시의 체온, 말초혈액 백혈구수, 혈소판수, 혈청 나트륨과 뇌척수액 소견을 t-test, Chi-square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1)전체 대상 환아 263명 중 남아가 137명(61%), 여아가 86명(39%)을 차지했으며, 계절적 분포는 겨울에 83명(37.2%)으로 다른 계절보다 많았다. 2)경련 지속시간을 15분과 30분을 기준으로 나누어 혈청 나트륨치와 말초혈액의 백혈구수치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하루동안 열성경련이 1회 발생군과 2회이상 발생군 그리고 단독 발생군과 다발 발생군을 비교했을 때 혈청 나트륨치와 말초혈액의 백혈구수치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열성경련의 초발연령을 생후 9개월을 기준으로 나누어 비교했을 떄 뇌척수액의 단백은 9개월 미만군은 76.3 mmg/dL이고 9개월이상군은 28 mmg/dL로 9개월 미만군에서 의미있게 증가되었다(P<0.003). 5)경련 형태를 전신성인 경우와 국소성인 경우, 그리고 단순 열성경련군과 복합 열성경련군을 비교 했을 때 혈청 나트륨치와 말초혈액 백혈구수치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성인의 장기간의 발작이 말초 백혈구 수의 증가와 연관이 된다는 보고와는 달리, 경련 지속시간에 따른 말초 백혈구 수뿐만 아니라 혈청 나트륨의 변화도 관찰할 수 없었으며, 말초혈액 백혈구 수와 혈청 나트륨이 복합열성경련을 예측하는 인자가 될 수 없었고, 말초 백혈구 수는 열성경련의 원인질환을 밝히는데에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We studied the correlation of duration and frequency of febrile convulsion with peripheral leukocytosis and hyponatremia and identified whether peripheral leukocytosis and hyponatremia to be prognostic factors. METHODS: Two hundred sixty three children who admitted to Pediatric Department of Dongsan Medical Center for febrile convulsion from April, 1999 to March, 2001 were studied. We grouped patient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convulsion, daily frequency and total frequency. Body temperature on admission, leukocytes count, platelet count, serum Na level and CSF findings were analysed among the groups. RESULTS: Febrile convulsions occurred more ofthe in males(61%) than females(31%) and most frequently occured in winter(37.2%).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serum sodium concentration and peripheral WBC count among groups according to seizure duration.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seizure frequency. The protein concentrations of CSF were high in children who developed seizures before 9 months of age(P<0.003).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groups according to seizure types. CONCLUSION: When we compared each group, we could not find any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 We concluded that peripheral leukocytosis and serum Na level are not predicting factors but they are helpful to find etiology of fever.

      • KCI등재후보

        소아 간질 분류에 따른 자기 공명 영상의 유용성 비교

        박샛별(Set-Byul Park),박우생(Woo-Sang Park),황진복(Jin-Bok Hwang),이상락(Sang-Lak Lee),김준식(Joon-Sik Kim),김흥식 (Heung-Sik Kim),이희정(Hee-Jung Lee) 대한소아신경학회 2003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1 No.2

        Purpose : The correct classification of seizure is necessary for appropriate evaluation and treatment. Recent development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can provide critical data for classifying epilepsy. But there is limited information about its diagnostic efficacy and current use in the initial evaluation of pediatric epilepsy. So we studied the diagnostic efficacy of MRI in pediatric seizure and analyzed whether MRI could be an appropriate screening procedure. Methods : EEG and MRI of 236 children with seizure admitted at Keimyu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7 to June 2002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Patients were classified by clinical information: neonatal, generalized and partial seizure groups. We comparatively analyzed EEG findings and MRI findings in each group. Results : According to the MRI findings, the rate of abnormalities of the neonatal seizure group was 50%, 31% in the generalized seizure group and 41% in the partial seizure group. Correlation between the abnormalities of EEG and MRI findings was identified in partial the seizure group(P<0.05). Conclusion : We concluded that MRI is an essential diagnostic tool when a neonatal or partial seizure is investigated. And it will be also useful for some patients with generalized seizure who are suspected of partial seizure. MRI 병변과 뇌파 검사 및 발작 유형에 따른 연관성에 관한 분석을 통해 발작 유형에 따른 MRI검사의 효율성을 알아보고 이러한 연구 결과에 의해 간질 환아에서 MRI 필요성을 검증하고자 1997년 1월에서 2002년 6월까지 5년 6개월간 계명대학교 동산 의료원 소아과에 내원 및 입원 치료한 소아 간질 환아 중에서 뇌파 검사와 MRI 검사를 함께 시행하였던 환아 236명을 대상으로 신생아 발작군과 전신 발작군, 국소 발작군으로 나누어 분석 하였다. 대상 환아 중 뇌파 소견에서 이상이 있었던 경우는 60%, MRI 이상 소견이 있었던 경우는 39%이었고 각 발작 그룹별 뇌파 소견의 양성률은 신생아 발작(75%), 전신 발작(65%), 부분 발작(55%)의 순이었고 MRI 양성률은 신생아 발작(50%), 부분 발작(41%), 전신 발작(31%)의 순이었다. 뇌파에 이상이 있으면서 MRI 이상 소견을 보였던 경우는 신생아 발작(50%), 전신 발작(35%), 부분 발작(32%)의 순이었고 통계학적 의의는 부분 발작군에서만 관찰되었다. 전신성 발작파를 보인 28명 중 9명(21%)에서 MRI 이상 소견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소아 간질 환아에서는 간잘 발작양상과 뇌파 검사만으로는 정확하고 적절한 간질발작의 분류가 부족하여 신생아 발작과 부분 발작에서는 MRI 검사를 기본적으로 시행하고 전신 발작 환아에서도 뇌파 검사상 특징적인 전신적 발작파가 보이지 않는 경우와 부분 발작이 의심되는 경우 적극적으로 MRI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질환의 정확한 분류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팬데믹 상황에서의 물리보안 통제요소 도출

        이상학(Lee, Sang-Hak),채정석(Chae, Jeong-Seok),이주(Lee, Ju-Lak) 한국경호경비학회 2020 시큐리티연구 Vol.- No.65

        글로벌 팬데믹 사태를 겪으며 전 세계는 다시 한번 ‘전염병’을 높은 수준의 위협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방역은 본래 환경안전의 범위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으며, 보안은 이에 대한 지원적 업무만을 담당해왔다. 그러나 이제는 물리보안시스템(PPS)의 적용을 통한 팬데믹 대응사례도 늘어나고 있는 만큼 물리보안의 팬데믹 대응에 대한 범위확장과 새로운 접근이 고려되어야 하는 때이다. 이 연구에서는 물리보안 통제요소를 주제로 팬데믹이라는 특정 상황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물리보안 통제요소를 구성하였으며,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통제요소의 도출을 위해 문헌조사와 ‘델파이 기법(Delphi Method)’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는 물리보안 통제요소를 구분하는 건축 구조적 요소, 전자적 시스템 요소, 인적 요소 아래, 12개의 중분류, 28개의 소분류로 구성되는 팬데믹 상황에서의 물리보안 통제요 소를 도출하고, 이를 제시하였다. The global pandemics have once again led the world to recognize epidemic as a high-level threat. Disinfection measures were originally dealt with in the scope of environmental safety in general, and security has only been in charge of supporting tasks, but now, as the number of pandemic response cas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physical security systems is increasing, it is time to consider expanding the scope and various approaches to countering the pandemic of physical security. In this study, physical security controls that should be considered under certain circumstances, called pandemics, were constructed under the subject of physical security controls, which have been rarely addressed so far, and conclusions were drawn using literature research and Delphi method to derive objective and specific control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of high practical value by deriving and presenting physical security controls in pandemics, consisting of architectural structural, electronic, and human factors that distinguish physical security controls, 12 divisions and 28 subdivisions. It would also b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by presenting traditional physical security controls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