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의 과거 행위에 대한 책임을 포괄하는 새로운 책임 윤리의 이론적 토대 정립 -한스 요나스를 중심으로-

        이민혁 ( Lee Min-hyuck ) 한국환경철학회 2020 환경철학 Vol.0 No.30

        이 논문은 요나스의 책임 윤리가 지니는 한계를 분석하고, 그의 『물질·정신·창조』에 나타난 전체의 목적론을 통해 새로운 책임 윤리의 이론적 틀을 모색하려는 시도이다. 요나스의 책임 윤리는 실천 윤리의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많은 시사점을 준다. 하지만 요나스의 책임 윤리는 이미 상당히 진행된 생태계 파괴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과거 행위에 대한 책임을 포괄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는다. 새로운 책임 윤리의 이론적 토대인 전체의 목적론은 인간의 생태계에 대한 책임을 정당화하는 데 유용하고, 과거 인간의 행위에 대한 책임을 포괄하는 이론적 틀이 될 수 있다.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limitations of Jonas's responsibility ethics and to seek a theoretical framework of new responsibility ethics through the teleology of whole in his “Matter, Mind, and Creation”. Jonas’s responsibility ethics has many implicatio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practical ethics. But Jonas's responsibility ethics has a limit that does not cover the responsibility for past human behavior. The teleology of whole,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new responsibility ethics, can be useful in justifying humans’ responsibility for ecosystems and can be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encompasses the responsibility for human behavior in the past.

      • KCI등재

        탐욕 알고리즘 기반 다중 출구 대피경로 할당

        이민혁(Lee, Min Hyuck),남현우(Nam, Hyun Woo),전철민(Jun, Chul Mi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6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4 No.1

        재난 발생 시, 실내 공간에서의 신속한 대피를 위해 총 대피시간 최소화를 목적으로 일부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총 대피시간이 최소화되는 최적 대피경로를 산출하는데 오랜 연산시간이 소요되어 실제 재난 상황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짧은 연산시간으로 총 대피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대피경로 할당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피경로 할당 알고리즘은 다수의 출구가 존재하는 건물에서 대규모 인원 대피 시, 각 출구에 적절하게 대피인원을 할당하여 출구들의 교통 정체 상황을 균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총 대피시간을 단축시키는 알고리즘이다. 각 출구에 대피인원을 할당하는 방법은 그래프 이론을 기반으로 탐욕 알고리즘의 접근방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알고리즘의 검증을 위해 cellular automata 기반 대피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실제 건물과 유사한 구조에서 다양한 인원분포를 적용한 뒤 실험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최단거리 출구 대피보다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을 때 총 대피시간이 감소되었고 대형 건물 구조에서도 짧은 연산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Some studies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minimizing total clearance time for rapid evacuation from the indoor spaces when disaster occurs. Most studies took a long time to calculate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that derived minimum evacuation time. For this reason, this study proposes an evacuation route assignment algorithm that can shorten the total clearance time in a short operational time. When lots of exits are in the building, this algorithm can shorten the total clearance time by assigning the appropriate pedestrian traffic volume to each exit and balances each exit-load. The graph theory and greedy algorithm were utilized to assign pedestrian traffic volume to each exit in this study. To verify this algorithm, study used a cellular automata-based evacuation simulator and experimented various occupants distribution in a building structure. As a result, the total clearance time is reduced by using this algorithm, compared to the case of evacuating occupants to the exit within shortest distanc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operation takes a short time In a large building structure.

      • KCI등재

        상대적 시간거리 기반 대중교통 접근성

        이민혁(Lee, Min Hyuck),전인우(Jeon, In Woo),전철민(Jun, Chul Mi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9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7 No.5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 시간거리 기반 대중교통 접근성 지표를 제안한다. 특정 경로의 상대적 시간거리란, 동일한 거리 급간에 속한 모든 경로의 평균 이동시간 대비, 해당 경로의 이동시간이 갖는 편차를 의미한다. 임의의 한 지역의 대중교통 접근성은, 해당 지역을 기점으로 하는 모든 경로의 상대적 시간거리를 합산하여 산출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대중교통체계에 대한 시간거리 접근성을 분석하며, 이를 위해 버스, 지하철, 환승 등을 포함한 약 1억 2천 건의 all-to-all 대중교통 최소 이동시간 경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지표는 절대적인 이동시간 대신 노선의 이동성을 고려하기 때문에, 도시 중심부는 기존 연구사례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지만, 일부 외곽지역에서도 높은 접근성이 나타나는 연구결과를 보였다. In this study, we propose a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index based on relative time-distance. The relative time-distance of a specific path means the deviation of travel time of that path for the average travel time of all paths belonging to the same distance class. The accessibility of one area is calculated by summing the relative time-distances of all the paths departing from that area. We computed approximately 120 million all-to-all paths including bus, urban railway, and transfer to analyze the time-distance accessibility of public transport in Seoul city. Since the index based on relative time-distance considers the mobility instead of absolute travel time, the results of the city center were similar to previous studies, but also showed high accessibility in some outskirt areas.

      • KCI등재

        스마트카드 빅데이터를 이용한 대중교통 수요 추정

        이민혁(Lee, Min Hyuck),전인우(Jeon, In Woo),전철민(Jun, Chul Min) 대한공간정보학회 2020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8 No.3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카드 빅데이터를 이용한 대중교통 수요 추정 기법을 제안한다. 스마트카드 데이터에 기록된 익명의 승객들을 에이전트로 활용하여, 노선 조정 이후의 정류장 및 노선 단위 수요를 분석한다. 각 에이전트는 버스, 지하철 등의 복합수단과 500m 이내 도보 환승을 고려한 최소 통행시간 경로에 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카드 데이터에서 약 120만 명의 승객을 추출하여 실제 노선 신설 사례에 대한 수요 추정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검증 결과, 노선의 일 평균 수요 및 정류장 단위 수요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고, 1인당 약 5분 이상의 통행시간 감소가 예측되었다.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for estimating public transport demand using the smart card big data. It is an agent-based model that can analyze demand by route and station level. Each agent is assigned to the minimum travel time path considering multi-modal and transfer within 500m. The simulation of an actual route adjustment case was performed using about 1.2 million passengers extracted from the smart card data. When compared with validation data, the average daily demand of that route and the demand per station were very similar. In addition, a decrease in travel time of more than 5 minutes per passenger was predicted.

      • KCI등재
      • KCI등재

        FFM과 FDS를 이용한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

        이재영 ( Jae-young Lee ),이민혁 ( Min-hyuck Lee ),전철민 ( Chul-min Jun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8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1 No.2

        일반적으로 화재 및 대피에 대한 안전성을 진단하기 위해 화재 시뮬레이터와 대피 시뮬레이터를 독립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 방식은 화재 확산을 고려한 보행자의 움직임이 반영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높은 정확도의 안전성 진단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재 확산을 고려한 보행자의 움직임을 묘사할 수 있는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 기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뮬레이션 기법은 FDS(Fire Dynamics Simulator)의 화재 확산 데이터를 보행모델 FFM(Floor Field Model)에 반영하여, 보행자가 화재를 인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회하여 안전한 경로로 대피하는 상황을 묘사한다. 연구 범위는 FDS와 FFM 간의 데이터 연동 및 화재 확산을 고려한 FFM 개발로 구성되며, 제안한 방법론의 실험은 대피 시뮬레이터 EgresSIM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서는 화재의 유무에 따른 출구별 대피인원 변화가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출구별 대피시간 증감과 병목현상의 심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In general, fire and evacuation simulators are used independently to diagnose the safety of building. Because this method does not reflect the movement of pedestrians considering fire spread, it is difficult to expect diagnosis of safety with high accuracy.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simulation method that can describe the movement of pedestrians in the fire emergency. Our method reflects the FDS fire spread data into FFM and explains the situation in which a pedestrian recognize a fire and escapes to a safe route. This study consists of data linkage between FDS and FFM and development of improved FFM. Experiment of the proposed method is progressed using the EgresSIM.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the number of evacuees on each exit is affect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fir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vacuation time increase and the bottleneck phenomenon deepened by exit.

      • KCI등재

        스마트카드 자료를 활용한 대중교통 승객의 통행목적 추정

        전인우 ( In-woo Jeon ),이민혁 ( Min-hyuck Lee ),전철민 ( Chul-min Jun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9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2 No.1

        스마트카드 자료에는 개별 승객의 대중교통 이용기록이 저장되고, 이를 활용하면 정류장별, 시간대별 통행수요를 분석할 수 있다. 다만 스마트카드 자료에는 통행목적이 기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통근, 통학, 여가 등의 목적별 수요는 설문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지만 설문조사 자료에는 일부 표본의 통행만 기록되어 있어 전반적인 대중교통 통행수요를 추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만약 스마트카드 자료에서 통행목적을 추정할 수 있다면, 전수조사에 가까운 통행목적별 대중교통 수요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카드 자료에 기록된 승객의 O-D 통행빈도, 체류 시간, 출발 시각 등을 고려하여 통근, 통학, 귀가의 통행목적을 추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결과적으로 제시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승객 중 근로자와 대학생을 분류하였다. 제시한 방법론의 검증으로는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의 목적별 통행패턴과 본 연구를 통해 추정한 목적별 통행패턴을 비교하였다. The smart card data stores the transit usage records of individual passengers. By using this,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traffic demand by station and time. However, since the purpose of the trip is not recorded in the smart card data, the demand for each purpose such as commuting, school, and leisure is estimated based on the survey data. Since survey data includes only some samples, it is difficult to predict public transport demand for each purpose close to the complete enumeration survey. In this study, we estimates the purposes of trip for individual passengers using the smart card data corresponding to the complete enumeration survey of public transportation. We estimated trip purposes such as commute, school(university) considering frequency of O-D, duration, and departure time of a passenger. Based on this, the passengers are classified as workers and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verify our methodology, we compared the estimation results of our study with the patterns of the survey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