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사 맞춤형 욕실 패키지 디자인 개발

        이돈일 ( Lee¸ Donil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6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펜데믹으로 인한 경기 침체와 부동산 정책의 강화로 인하여 건설시장의 침체는 지속되고 있고 재개발, 재건축의 실행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신축보다는 리모델링 시장이 신규 유망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리모델링의 트렌드를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인테리어로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으며 그중 욕실에 대한 디자인이 중요해 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해지는 소비자의 욕구에 충족할 수 있는 타깃별 욕실 패키지를 디자인하여 경제적 이점과 새로운 트렌드에 맞는 욕실공간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먼저 시장분석을 진행하여 패키지를 구성 시 고려해야 할 국내 욕실 시장의 주요 트렌드는 분석하고 경쟁사조사를 통하여 국내경쟁사의 트렌드에 따른 국내 경쟁사는 어떠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해외사례 조사를 통해 해외 경쟁사는 어떻게 패키지를 차별적으로 구성하는가에 대한 선진사례를 조사한다. 다음으로 차 후 진행되어야 할 패키지의 방향성은 어떻게 정의되어야 하는가를 정의하고 대상분석과 디자인전략 수립을 통해 타깃을 설정하여 니즈를 분석하고 이를 통한 패키지 구성 및 디자인 방향성을 정립하여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결과) 소비자의 욕실 구매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요인들 중, 디자인 및 제품 구성에 차이를 줄 수 있는 연령, 가구 소득, 라이프스타일 등을 구분기준으로 설정하여 조사한 결과 고객 군은 욕실 수요자 특성, 소비력 및 고객군 크기에 따라 7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 Comprehensive Deployment with Premium ”을 콘셉트로 하여 패키지디자인의 차별성을 확보하고 명확하게 구분된 가치를 소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패키지를 구성하여 변화하는 욕실에 대한 인식과 라이프스타일이 패키지에 녹아들도록 디자인을 추구했다. (결론) 디자인 제안은 라인별 3종 패키지를 구성하여 7타겟의 욕구를 충족하고자 했다. 먼저 고가형 패키지 라인은 기존 고가 제품의 기능을 바탕으로 프리미엄 이미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분위기와 세부 제품들을 구현했고 다음으로 중가형 라인은 차별화된 라인업으로 B2C 시장 내 경쟁력을 강화하여 진화하는 욕실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이해도를 패키지에 충분히 녹여 세심한 배려와 감수성을 전달하였다. 마지막으로 저가형라인 은 패키지별 명확한 컨셉 정의와 일관된 CMFP 적용으로 다양성을 확보하고, 통일성 있는 패키지 제품 구성으로 다양화하여 고객의 저변을 확대하고자 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recent recession in the construction market due to the recent economic downturn caused by the pendemic and the reinforcement of real estate policies, and the implementation of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is uncertain, the remodeling marke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promising market rather than new construction. As for the trend of remodeling, there is a strong tendency to pursue interiors that fit the lifestyle, and among them, bathroom design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bathroom space that meets the economic advantage and new trend by designing a bathroom package for each target that can meet the diverse needs of consumers.(Method) First, market analysis is conducted to analyze major trends in the domestic bathroom market to be considered when constructing a package, and through Competitor Analysis, the direction of domestic competitors according to the domestic competitors trend is investigated. Investigate best practices for discriminatory composition. Next, we define how the direction of the package to be proceeded in the future should be defined, analyze the needs by setting a target through Target Analysis & Design Strategy, and propose a design by establishing the package composition and design direction through this. (Results) Among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bathroom purchases, age, household income, lifestyle, etc., which can make a difference in design and product composition, were set as classification criteria.As a result, the customer group was the characteristics of bathroom consumers, consumption power, and size of the customer group. It can be seen that it is divided into 7 types according to. Through this,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Deployment with Premium” is used to secure the differentiation of package design, and the package is configured so that consumers can recognize clearly differentiated values, and the design is designed so that the awareness of changing bathrooms and lifestyle are incorporated into the package. (Conclusions) The design proposal was to satisfy the needs of 7 targets by configuring 3 types of packages for each line. First, the high-priced package line implemented the atmosphere and detailed products that maximize the premium image based on the functions of the existing high-priced products, and next, the mid-priced line was a differentiated lineup,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in the B2C market, and consumers' perception of the evolving bathroom. The understanding of the lifestyle and lifestyle was sufficiently dissolved in the package to convey careful consideration and sensitivity. Lastly, the low-cost line secured diversity through clear concept definition for each package and consistent CMFP application, and sought to expand the customer base by diversifying into a uniform package product composition.

      • KCI등재

        공간디자인의 환대특성에 관한 연구 -공공기관의 대면서비스 공간 중심으로 -

        이돈일 ( Lee¸ Donil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6

        (연구배경 및 목적) 글로벌 펜데믹의 발현과 4차 산업혁명은 급격하게 대면 방식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비대면 방식이 일상이 되어가고 있지만 현실에서 대면 접촉은 실체적 체험을 통한 소통과 경험을 더 강하게 인지하게 하며 대면 후 감정적인 인식이 호감으로 기억되기 위해서는 상호간의 환대가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공공기관의 대면서비스 공간 중심으로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 중 방문하는 자와 맞이하는 자의 소통구조에 집중하고 특히 맞이하는 자의 환대에 대한 구조를 어빙고프먼의 이론을 통해 구체화 하고 공간에서의 환대의 의미를 구조화하여 대면상황에서의 특성을 도출함으로 공간에서 개선되어야 할 환대특성 제시하고자한다. (연구방법)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환대의 철학적 개념을 살펴보고 어빙고프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서비스 공간에서의 환대의 구조를 조사한다. 다음으로 이론적 고찰의 시사점과 선행연구의 비교 분석을 통해 공간에서의 환대특성 유형화하고 특성 유형에 따른 요소를 분류하여 FGI(표적집단면접법)을 통한 세부요소 추출한다. 검증을 위하여 SPSS Ver. 22.0을 분석도구로 사용하고 각 항목의 빈도, 평균, 표준편차, 분산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사용하고 최종 항목을 확정하기 위해 척도의 신뢰도(Cronbach's α)와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특성과 요소를 기준으로 상호작용에 대한 접점을 분석하고 다중적인 상호작용 메트릭스를 구조화 하여 모든 이용자가 환대 받을 수 있는 서비스공간의 다중적인 환대서비스 특성을 도출하였다. (결과) 환대서비스의 특성 검정결과 사람, 공간, 프로그램의 체계로 분류하였으며 사람의 관점에서의 특성으로 대응성, 신뢰성, 공감성, 친절성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공간적 분류에서 접근성, 쾌적성, 커뮤니케이션, 편의성을 도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특성으로 신속성, 편리성, 정확성, 형평성을 특징하여 이에 적합한 세부항목 도출을 하여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제공되는 서비스의 공간의 환대특성 중 친절성, 커뮤니케이션, 신속성이 평가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결론) 이용자는 서비스 이용 후 홀대를 받았다고 느끼는 경우 직접 대면한 서비스 제공자에게 적의를 형성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다른 요인에서 기인한 부분이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런 이유로 환대의 실현을 위해서는 통합적인 프레임에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특히 친절성, 커뮤니케이션, 신속성이 우선적으로 해결된다면 이용자의 서비스평가를 응대에서 환대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of Study) The emergence of a global pandemic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rapidly changing the way of meeting. Although non-face-to-face contact is becoming a daily routine, face-to-face contact makes people more strongly aware of communication and experiences through real experiences, and for emotional perceptions to be remembered as favorable after meeting, mutual hospitality is fundamentally necessary.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present hospitality characteristics to be improved in space by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in a face-to-face situation based on the face-to-face service space of public offices by focusing on the communication structure of a visitor and a host among various social interactions, embodying the structure of host hospitality through Erving Goffman's theory, and structuring the meaning of hospitality in space. (Methodology) First,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hospitality is examined through theoretical review, and the structure of hospitality in the service space is examined based on the Erving Goffman's social interaction. Next, the detailed elements are extracted through the FGI (Focus Group Interview) analysis by categorizing the hospitality characteristics in space and classifying the eleme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type from the implications of theoretical review and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analysis on previous studies. For verification, SPSS Ver. 22.0 was used as an analysis tool,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find out the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variance of each item,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Cronbach's α)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final items. Finally, based on the derived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this study analyzed the contact point of the interaction between a provider and a user, and structured a multiple interaction matrix to derive multiple service characteristics of hospitality in a service space. (Results) As a result of the service characteristics of hospitality examination, it was classified into human, space, program systems, and responsiveness, reliability, empathy, and kindness were derived as characteristics from the human classification. Next, accessibility, comfort, communication, and expediency were derived from the spatial classification, and promptness, convenience, accuracy and fairness were derived from the program classification, from which appropriate detailed items were derived to conduct an analytic study. Among the service characteristics of hospitality provided in space, the evaluation of kindness, communication, and promptness was the lowest. (Conclusions) If the user felt that he received hospitality from the service, hostility was formed toward the service provider whom the user encountered in person, however, in reality, there were other attributable elements. For that reason, services must be provided in an integrated frame to realize the hospitality service. In particular, if kindness, communication, and promptness are addressed first, it will be a way to change the service evaluation of the user from response to hospitality.

      • KCI등재

        브랜드 통합 공간 디자인에 관한 기초연구 - 국내·외 ICT매장을 중심으로 -

        이돈일 ( Lee Donil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6 No.-

        최근의 다양한 요인들로 인하여 경기 불황은 더욱더 장기화 되어가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기업들은 고도화된 판매 전략을 통하여 매출 증대에 노력하고 있지만, 기업들이 각기 생산하는 유·무형의 상품들과 마케팅들은 시장에 이미 넘쳐 나고 있고 이러한 환경에서 개별 기업의 시장 확장은 여러 가지 형태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결과는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판매 공간에서 공간, 서비스, 브랜드 디자인은 갈수록 진화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트렌드와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디자인 전략을 수립하여 구매자의 감성에 접근하려 하지만 그 차별성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단일 유통 브랜드로 많은 매장수를 보유하고 있는 ICT 매장 환경 연구를 통해 브랜드 공간 구성의 큰 축인 공간, 서비스, 브랜드 디자인 요소와 관계성들을 고찰 분석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통합 공간 디자인 요소를 추출하여 국내ㆍ외의 ICT 매장 브랜드 공간 사례에 적용시켜 종합 분석을 하였다. 브랜드 공간에서 느끼는 소비자 반응 조사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통합공간디자인의 요소를 검증한 결과, 국외 브랜드는 국내 브랜드에 비해 통합 공간 디자인의 요소가 높게 나타났으며 국내 브랜드의 경우 고객과의 소통을 위해 브랜드 이미지를 확고히 하고자 하는 노력은 있었으나, 일관성 있게 모든 매체에 표현하지 못하여 소비자 감정 창출에 있어서 깊은 유대감을 형성 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Due to various factors, the recent recession has become more protracted. Companies are trying to increase revenues through sophisticated sales strategy, but their tangible, intangible products and marketings are overflowing in the current market and the outcome is minimal despite various attempts to expand private enterprise. Space, service, brand design are developing steadily in selling space, and efforts to satisfy customer`s trend and needs by establishing new design strategies show limitations. This study considered and analyzed the factors and relationship among space, service, brand design through studying store environment of ICT stores of the single-distribution brands that holds many stores. This study was done by extracting the spatial design elements and applying it to the general store brands in the domestic and oversees ICT stores. Analysis of consumer`s feelings at the ambience of the brand store showed that international brands incorporated more elements of space design than domestic brands. In the case of local brands,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to improve brand image was not evident consistently in all media and no deep bond formation was shown.

      • KCI등재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을 위한 협업플랫폼 개발 연구

        이소이 ( Lee Solee ),이돈일 ( Lee Donil ),이은영 ( Lee Eun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상업공간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디자인적 요소가 요구되고 이와 관련된 전문 회사들의 협력을 토대로 디자인 프로젝트가진행된다. 그러나 공간디자인은 프로세스와 프레임 워크적인 연구는 부족하고 전문적인 연구가 미흡하다. 본 연구는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을 위한 실행 차원에서의 디자인 개발 도구로 상업공간 디자인의 활성화를 위한 특성 요인 구축과 프로세스 활용으로 한정한다. 실무자들은 상업공간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와 상업공간 디자인 경영전략 구축에 통합적으로관리, 소통하며 공유할 수 있도록 활성화 되어 져야 한다. 연구의 목적은 시대적 요구를 받아들여 최근 상업적 공간들의대표적인 디자인경영 전략을 ‘협업 플랫폼’으로 새로운 활로를 모색한다. (연구방법) 상업공간 디자인의 전략적 목표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디자인 프로세스 과정의 개념은 가치 있는 수단이다.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과정으로 소비자와 기업, 디자이너 외 다양한 통합적 소통 프로세스 과정을 설정하고 상업공간의 디자인 전략 과정에 있어 개념, 요소, 절차가 무엇인지 명확한 요인을 도출하여 활용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분석의 틀을 개발하여 실행 체계 검증을 위해 분포도와 빈도를 분석한다.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 기준으로 분석하여 객관적인 가치를 도출하며, 상업공간 디자인이 진행될 때 사용될 수 있는 로드맵을 제시한다. (결과) 상업공간 디자인에서 협업플랫폼은 디자인 전략이 진행될 때 적절하고 합리적으로 진행이 이루어지게 되며 각 진행단계에 따라 공간디자인 세부요소의 우선순위와 중요도에 따라 상황, 시간, 장소에 맞게 플랫폼 세부요소를 선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해관계자 중심의 시각에서 프로세스진행 순서와 디자인 요소에 대해 파악하여 협업적 플랫폼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주체자 관계 간에 따라 마케팅 플랫폼 구성요소에서 어떤 것들을 강조하여 진행해야 하는 지, 혹은 중복되는 작업에 대한 기준 부재를 해결, 적합한 인력구성에 대해 역량을 파악 할 수 있다. (결론)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은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정립되지 못하였고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되며 학제적 접근이 요구되는 디자인 컨설팅 연구이다. 협업플랫폼 프레임 개발로 다양한 상업공간디자인 전략 구축에 일조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의 이론적 기초를 정립하고, 효과와 가치를 증명함으로 상업공간 디자인의 본질적 가치뿐만 아니라, 기업의 미래 사회에서 추구 될 새로운 공간디자인 가치를 구체화 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상업공간의 디자인 협업플랫폼 전략은 기업에게 새로운 시장 개척과 무형의 자산을 선도할 수 있도록 하고, 방법론을 구축하여 필수적 요소들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commercial space design (CSD) development process, it is difficult to find specific operational cases that can be managed by design, design, and marketing departments. Losses and conflicts occur frequently due to such work and work vacancy. In addition, process and framework research is insufficient, as is specialized research. This study is a design development tool at the execution level for a CSD strategy and is limited to the establishment of characteristics and process utilization for the activation of CSD. Practitioners can integrate, manage, communicate, and share the CSD development process and strategy 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new way to pursue the needs of the times and of recent commercial spaces with a design management strategy as a “collaboration platform.” It was significant to create a space business model that fits the paradigm shift in the platform to establish a CSD strategy process, and derive the elements necessary for a simple CSD for a collaboration platform to present practical application guidelines. (Method) As a process to create new value, various integrated communication processes other than consumers, companies, and designers are set, and clear factors of concepts, elements, and procedures in the design strategy process of commercial spaces are deduced to study application plans. We develop an analysis framework and analyze the distribution and frequency to verify the execution system. We further analyze the CSD strategy standards to derive objective values and present a roadmap that can be used when CSD progresses. (Results) The study’s purpose is to create a spatial business model for the paradigm change through the platform to establish the CSD strategy process and derive the factors necessary for CSD through the collaboration platform. (Conclusions) The expected effects of the framework based on the collaboration platform for the CSD strategy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① Establishment process of detailed design elements through integrated thinking and communication among stakeholders. ② Shortening the time of overall design development and reducing costs by making decisions through decision-making. ③ Time sharing and communication through real-time feedback by sharing collaboration platform tools among stakeholders. ④ Establishment of a corporate identity and identity of space, progressive distribution, and selection of detailed elements of space design. ⑤ Improving the brand and company’s image according to the matching target images of actual spaces to be installed in the future as well as spaces to be designed as per consumer needs (in other words, detailed development of an open type collaboration platform that can support user participation).

      • KCI등재

        권역응급 의료환경개선을 위한 의료 서비스 디자인 -영남대학교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중심으로-

        이애리 ( Lee Aerhee ),노권찬 ( Roh Kwonchan ),이돈일 ( Lee Donil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의 응급의료 환경은 1960년대 이후 본격적인 근대병원이 지어지기 시작하였고, 1980년대 공공의 개념인 국가적 지원으로 응급환자 후송을 시작하였다. 1990년대에는 다양한 인재를 겪으면서 1994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었고 이는 현대 응급의료체계구축의 시발점이 되었다. 이후 2000년대 들어서면서 응급의료체계는 선진국과 비견할 수준에 도래했지만, 응급환자를 치료해야 하는 응급실에서는 서비스 불만족과 시스템적 소통 갈등으로 또 다른 서비스 사각지대가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진국에서는 의료 서비스 디자인을 도입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시작했고, 우리나라의 종합병원에서도 서서히 외국 사례를 바탕으로 의료 서비스 디자인을 접목하여 응급의료센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의료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의 적용을 통해 응급실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여 의료환경 개선 및 의료 서비스 질을 높이는 디자인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응급의료센터와 의료 서비스 디자인의 문헌 및 논문을 바탕으로 권역 응급 의료센터의 개념과 현황을 이해하고, 의료 서비스 디자인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국내외 응급시설의 의료 서비스 디자인 적용사례를 조사하여 응급시설에 필요한 요소와 제공되어야 하는 의료 서비스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남대병원 응급시설의 문제점과 방향을 도출하여 의료 서비스 디자인을 적용한 사례를 정리하였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 국내외 우수사례에서 의료 서비스 디자인의 적용을 의료 서비스 중 치료서비스를 중점으로 의료정보전달과 병원 환경, 서비스를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영남대병원의 응급시설에 의료정보전달, 병원 환경 그리고 서비스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한 후 이 세 가지를 중점으로 해결방안을 도출하여 의료 서비스 디자인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결론) 권역응급의료센터는 많은 환자가 방문하는 만큼 다양한 사람들이 공존하면서 의료진과 환자, 보호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매우 중요하다. 증가하는 폭력과 폭언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시설과 인력의 측면을 넘어 의료 서비스 디자인적 접근이 중요함을 확인했다. 의료 서비스 디자인을 통해 여러 응급의료법 위반의 문제가 점차 줄어들고 있지만, 이는 국내 몇몇 종합병원 이상의 응급시설에 불과하기에, 앞으로 많은 종합병원과 중소병원에서도 도입하여 많은 성공 사례들이 나오길 기대한다. 또한, 이로 인해 의료진의 진료업무 효율성이 증가하길 기대하며 환자와 보호자의 불안감과 현재 응급시설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이 해결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Korean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started with modern hospitals since the 1960's and urgent patient transfer began with national support, a public concept in the 1980's. The Act on Emergency Medicine was enacted in 1994 with various human disasters in the 1990's, mak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modern emergency medicine system establishment. Since then, in the 2000's, emergency medicine system became the level available for being compared with the developed countries and yet, there are other blanks such as violations and homicides against medical staffs in emergency room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developed countries started to solve these problems by introduction of medical service design and in Korea, general hospitals make an effort to solve emergency medical centers by applying medical service designs based on the foreign cases.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designs for improving medical environments and medical service quality by solving various problems in emergency room through medical service design process. (Method) For research methods, based on literature and articles of emergency medical centers and medical service designs, the conceptions and the current status of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are understood and necessity and importance of medical service design are figured out. By investigating the cases of medical service designs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and the medical services to be applied as well as the factors required for emergency facilities are analyzed, and then, based on them, the problems and directions of emergency facilities of Yeungnam University Medical Center are drawn and the cases of medical service designs are summarized. (Results) For the results, focusing on curing services on medical ones with medical service design in domestic and overseas cases, with medical service design, the analysis was made by applying medical information delivery, hospital environment and service, and the problems in Yeongnam University Medical Center's emergency facilities according to three were figured out and the solutions were drawn for developing and applying medical design service. (Conclusions)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are visited by lots of patients and there are various people, with very impotance of communications among medical staffs, patients, and carers. To solve increasing violence and hate speeches, beyond simple perspectives of facilities and labors, the importance of medical service design was confirmed. Even though various problems from violation of emergency medicine laws are decreasing through medical service designs, it is just limited in the domestic university hospitals' emergency facilities. Therefore, there should be successful cases in other hospitals and clinics. Efficiency of work of medical staffs should be increased and various problems in the current emergency facilities including anxiety of patients and carers should be solved.

      • KCI등재

        지역사회 계속 거주(Aging in place)를 위한 근린공원 개선 방안 연구

        김민주 ( Kim Minju ),이돈일 ( Lee Donil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사람은 누구나 살던 곳에서 지속해서 살아가고 싶어 하는 경향을 가진다. 살던 곳이란 집을 더불어 생활 공간 내에 있는 공원, 산책로 등 외부 공간도 포함한다. 우리나라는 2022년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전체 인구의 17.5%이다. 고령화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가 논의되고 있지만, 노인에 대한 뚜렷한 공공 가이드라인은 부족한 실정이다. 지속해서 심화되고 있는 고령화에 따라 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그들의 삶의 터전을 유지하며 고령 친화적으로 설계된 옥외 환경 개선을 비롯한 공원부지 확충이 필요하다. 공원의 분류를 상세히 나누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만, 고령화 시대를 맞이한 지금 노인을 위한 노인 공원 관련 지침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노인 공원에 대한 세부 사항 제시하고, 노인들의 옥외 환경을 개선하는데 기여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살던 곳에서 살아가기를 원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진행하며 새로운 공원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보다 기존 근린 공원을 대상으로 하여 고령 친화 공원의 요소를 추가 하고자 한다. 노년기에 노인들의 행위 및 요구를 파악하고 불편함 없이 즐길 수 있는 공원의 가이드 라인을 제공 하고자 한다. 본 연구 방법은 기존 노인 공원을 분석하여 공통 요소 및 특성을 도출하여 결론을 제시한다. (결과) 노인 공원 가이드라인의 분석 결과 공통점은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지형적 측면에서 접근성을 극대화하고, 교통약자를 배려하여 통행에 불편함이 없도록 계단 외 경사로를 설치하는 것이다. 둘째, 시민들의 안전을 위하여 적절한 조명을 활용해 야간 활용도 및 안전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셋째, 공중화장실의 진입로와 출입구는 사용하기 편리하고, 쉽게 찾을 수 있는 곳에 위치해야 한다. 넷째, 노인들의 거동에 불편함이 없도록 도와야한다. 가이드라인 분석을 통해 9가지 공통 특성과 8가지 공통 요소를 도출하였다. (결론) 심화 되어가는 고령화 시대에 따른 기술 발전과 연구가 발전하고 있지만, 야외공간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없다는 한계를 발견하였다. 현재 노인들은 본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노년을 더욱 건강하게 보내고 싶어하는 의지가 강하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심화하고 있는 고령화에 따라 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고령 친화적으로 설계된 옥외 환경 개선을 비롯하여 공원 부지 확충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근린공원을 노인들이 안전하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세부 사항을 제시하여 근린공원의 이용도가 높아지는 것을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Everyone has a tendency to want to continue living where they live. The places where people live includes outside spaces such as parks and trails, along with the house. In Korea, 17.5% of the total population is aged 65 years or older as of 2022. Although various issues regarding aging have been discussed, clear public guidelines for older adults are lacking. Given the ever-increasing aging population,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ir living bas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expand park sites, including improving the outdoor environment designed to be friendly to the elderly. Although the existing guidelines classify parks in detail, there are no guidelines for senior parks in the aging era.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tend to present details about parks for the elderly an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outdoor environment for the elderly.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elderly people who want to continue living in their current residence. Rather than suggesting guidelines for new parks, we want to add elements of elderly friendly parks to existing neighborhood parks. It is hoped that these guidelines for parks will help people understand the actions and needs of the elderly and allow them to enjoy their old age without inconvenience. This research arrives at its conclusions by analyzing existing elderly parks and deriving common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of elderly park guidelines, four common points were found. First, these guidelines aim to maximize accessibility in terms of topography and install ramps outside the stairs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traffic, considering easier access for the disadvantaged. Second, to ensure the safety of citizens, appropriate lighting should be used to increase night utilization and safety. Third, the access roads and entrances of public toilets should be located in places that are convenient and easy to access. Fourth, it is necessary to help older adults avoid inconveniences in their movements. Through our analysis, we identified nine common characteristics and eight-fold common elements. (Conclusions) Although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research are developing according to the aging era, there are no clear guidelines for outdoor spaces. Currently, the elderly are more interested in their health and have a strong willingness to spend their older age healthier. Therefore, with the ever-increasing aging popula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park sites, including the improvement of the outdoor environment to be more elderly-friendly.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neighborhood parks will increase by presenting details that can help elderly people use them safely and comfortably.

      • KCI등재

        장소마케팅을 통한 폐 역사공간의 분석 및 활용방안

        도연희 ( Do Yeonhee ),이은영 ( Lee Eunyoung ),이돈일 ( Lee Donil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산업화와 도시화를 경험한 전 세계는 탈산업화를 지나 정보화 시대, 4차 산업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지금 그에 따른 교통수단 또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도시의 성장 및 발전과 함께 철도 산업 또한 새롭게 개량되고 있다. 그로 인해 대부분의 사용되지 않는 역사들은 방치되거나 버려지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산업시대의 큰 의미를 지니고 있는 폐 역사를 새로운 역할과 목적으로 활성화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소재의 폐 역사를 중심으로 장소마케팅이 적용된 사례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지역 상생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개념과 사례분석 및 연구로 나누어 2장에서는 폐 역사의 개념 및 원인과 장소마케팅의 개념 및 사례를 알아보고 3장에서는 폐 역사의 사례를 장소마케팅으로 활용한 특징을 알아보고 분석하며 4장에서는 폐 역사의 활성화를 위해 장소마케팅을 통한 분석으로 얻어진 특성을 중심으로 결론을 도출한다. (결과) 장소 마케팅 요소 활용 현황에 따른 사례분석 결과 각각의 폐 역사는 다양한 마케팅의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못하고 한가지의 마케팅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어 각각의 폐 역사 마케팅의 부족함을 드러냈다. 다양한 마케팅 방향이 고려되고, 새로운 활용 방안이 제시될 때 폐 역사들은 ‘폐 역사’로서의 역사·문화적 가치가 보존되고 또한 해당 공간만의 새로운 장소성이 재발견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의 대상인 폐 역사는 단일 건물의 존재를 넘어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주변 환경 및 지역의 특성과 깊은 연관이 있다. 그로 인해 폐 역사는 기본 인식의 변화 및 새로운 방법을 모색되어야 하는데, 그 지역의 관련된 역사, 문화, 생활환경을 바탕으로 보존, 유지 되어야 하며, 개발과 보존 사이에서 고유한 입지조건에 토대로 다양한 시도를 해야 한다. 또한, 각각의 입지조건에 적합한 재활용 방안을 제시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공간적, 기능적 가치와 더불어 정서적 가치가 반영되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지역의 정체성의 강화 및 지역 가치의 재발견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경제적/문화적 차원에서 지역과 함께 발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폐 역사는 지역과 연계된 재생 공간으로 탄생해야 하며 지역 안에서 관리, 운영함과 동시에 다른 관광산업과 함께 유기적인 관계가 필요하다. 많은 기관들과 지자체들은 폐 역사의 활성화를 위하여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역사적 문화적 가치 인식의 부재로 인해 일차원적인 사업 개발로 폐 역사의 부정적 인식이 커져가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들은 폐 역사를 장소마케팅을 중심으로 활성화시키는데 있어서 유용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미를 두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world has experienced period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t has passed de-industrialization and is entering the information age and the fourth industrial age. Therefore modes of transportation are also rapidly changing. With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ity, the railroad industry is also being transformed and improved to meet modern needs. As a result, most of the stations that are no longer used are neglected. We intend to revitalize abandoned stations. They have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based in the historical industrial era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cases where place marketing has been applied and suggest ways to utilize local coexistence to create win win cooperation. (Method) Concept is divided into analysis and research. The concept and cause of abandoned stations and the concept and case of place marketing are examined in Chapter 2. Discovery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using the case of abandoned stations as a place marketing is examined in Chapter 3. Conclusions are drawn focusing on the revitalization plans through analysis and utilizing place marketing in Chapter 4. (Results)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place marketing elements, the revitalization of abandoned stations did not conform to a homogeneous plan. When various marketing directions are considered and new utilization measures are proposed, the cultural value as an abandoned station become apparent and their unique value can be rediscovered. (Conclusions) The abandoned stations hav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beyond the existence of a single building. This is integral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s a result, abandoned stations become treasured based on the history, culture, and living environment of the region. Between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various attempts should be made to promote preservation and revitalization based on the location. Historical and sentimental values must be reflected as an adjunct to practical spatial and functional use. Based on this, local identity must be strengthened and local values must be rediscovered in conjunction with the broader plans of the region at the economic/cultural level. To this end, the abandoned station must be created as a regeneration space managed and operated within the region while establishing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other tourism entities. It is necessary as well, to propose a recycling plan suitable for each location. Many institutions and local governments are looking for creative ways to revitalize abandoned stations. It is acknowledged that there is a negative perception regarding abandoned stations due to a one-dimensional business development model. However, the methodology and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cognition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these abandoned stations suggest a useful direction for revitalization centered on place marketing history.

      • KCI등재

        공공디자인 관점에서 가로경관 개선사업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구미시 문화로 디자인거리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

        김영훈 ( Younghoon Kim ),이돈일 ( Donil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공공디자인을 통한 도시 경쟁력 강화 및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데 힘쓰고 있다. 특히 1995년 민선지방차지시대가 출범하면서 도시간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정주여건 개선 및 쾌적한 도시경관 확보를 위해 다양한 공공디자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디자인거리 조성사업과 같이 한도시의 대표적 가로공간에 대한 통합 디자인 사업은 시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이루며 또한 많이 예산이 투입되고 있어 사업종료 이후 이에 대한 효과에 지방자치단체 입장에서는 민감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구미시에서 시행 완료한 문화로 디자인거리 조성사업의 경제적, 사회적 효용가치를 추정함으로써, 최근 문제점이 되고 있는 공공디자인 사업의 실효성에 대한 논란에 대한 근거기준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의 범위는 구미역사거리에서 금오산네거리까지의 문화로 560m 구간으로 국한하였으며, 조사대상은 문화로를 이용하는 일반 시민과 문화로에 면한 점포에서 상업활동을 하는 상인 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2장에서 선행연구 검토와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고, 3장에서는 본연구의 대상지에 대한 현황과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4장에서는 이러한 데이터를 가지고 종합적인 분석의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5장에서는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를 서술하였다. 특히 설문조사의 분석항목을 설정하여 연구자 주관에 의해 사업 수행시 중요하게 고려된 요소를 항목으로 추출한 후 이용자 및 상인 공통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두 집단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각 주체들이 느끼는 문화로 디자인거리 조성사업에 대한 만족수준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설문지 구성은 각 항목의 만족수준을 묻는 리커르트(Liketr) 척도로 이루어졌으며, 본 설문을 통해 얻어진 원 자료는 통계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가로공간 만족요인을 설명하는 인자를 추출하여 각 인자별 중요도와 만족도를 산출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는 대상지역의 가로를 구성하는 물리적 변인뿐만 아니라, 가로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비 물리적인 변인들도 포함하는 이 연구의 포괄적인 접근방법은 공공디자인 개선사업 중 특히 가로환경개선사업을 통한 개선 대상이 되고 있는 물리적 시설물과 가로경관 요소에 장소적 특성 및 환경 심리적 요소도 가로 전체 만족도의 주요한 변인으로 보고 있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인 공공디자인사업에 대한 평가는 이 요소들이 전체 만족도에 차지하는 비중을 함께 고려할 때 보다 정확하게 판단 할 수 있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Local government has been striving to enhance the value of competitiveness through public design in the city. In particular, since the launching of the local self-government age in 1995, each local government promotes various public design projects for improving residential homes and urban landscapes. Distance during formation projects, such as limits on designs of street space for an integrated business design that closely relate to the lives of citizens, requires a large budget. The project after the end of this, but is sensitive, municipal governments forced to the effects of response. (Method) As a result, this study in design culture and street construction in Gumi-si shows economic and social utility are used to estimate values affected by recent problems. The purpose of public design is to draw the basis for criteria us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a project. Geumosan crossroads in the street to the history of Europe and America is the range of specific studies to 560 m section to scrutiny, using ordinary citizens and the munhwaro. A merchant who conducted business among the commercial activity is immune from stores in munhwaro. This study develops as follows: part two contains advanced research, reviews, and theoretical research. Part three presents a study on the status of sites used in this research and analysis. Part four introduces date collected and offer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sults, along with implications of this study. Part five discusses limitations of this study. In particular, the analysis of survey items by setting the researchers, project implementation, by the charge of important factors taken into account a common questionnaire after extraction as users and merchants. To form. The survey for the two groups each design with a culture players feel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distance for analysis. This configuration is ask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each item on the questionnaire for the rikeoreuteu (liketr), as a way to measure survey data, according to the original data,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present study included physical variables that make up the street of the regions to be studies. The comprehensive approach to public improvement projects, particularly street design improvement projects, is subject to improvement through the physical facilities and at Streetscape - Focused on the elements characteristics in place. Psychological factors and conditions see as a variabl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main street. (Conclusions) The aim of this project was to provide an assessment of public design projects and determine more precisely when to consider satisfaction within the realm of all factors together.

      • KCI등재

        기업휴게시설 명상공간의 디자인 특성 연구

        김주아 ( Jua Kim ),이돈일 ( Donil Lee ),황용섭 ( Yongseup H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산업사회에서의 휴식은 근무 시간과의 명확한 구분을 통해 만들어지는 개념이었고 공간의 구분 역시 이에 적합한 형태였다면, 현대 기업 환경에서의 휴식은 보다 복합적이고 자유로운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업무 중 가지게 되는 휴식의 형태 역시 단순한 육체적 재충전을 벗어나 정신적인 측면, 즉 스트레스 등에 대한 대응을 고려하는 형태로 전환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신적 대응의 구체적 형태의 하나로서 명상이라는 행위를 기업 휴게시설 측면에서 주목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업무 환경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휴게공간의 형태에 주목하고, 기업의 휴게시설에서 새롭게 요구되어지고 있는 명상공간의 디자인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첫째, 다양한 선행 연구에 대한 조사를 통해 기업 환경의 시대적 변화과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의 휴게시설이 가지는 중요한 특징들을 고찰한다. 둘째, 현대 기업의 휴게공간에서 등장하고 있는 명상공간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이러한 새로운 현상의 시대적 흐름을 파악하고 명상공간의 개념과 특징을 이해한다. 셋째, 기업 휴게공간의 명상공간에 대한 주요 사례들을 수집하여 명상공간에서 나타나는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여 주요한 경향을 파악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기업 휴게시설의 명상공간의 디자인이 가지는 개념과 의미를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 주요기업 10곳의 평균값을 분석한 결과, 공간에서 주된 요소만 구성되어 운영이 용이한 점으로 명료성이 가장 높았으며, 불필요한 기능과 불편한 요소가 배제된 배치계획으로 접근성과 편의성이 비교적 높았다. 하지만 공간이 서로 다른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공간이 제공하는 활동과 기회들이 다양하지 못해 다양성 요소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명상공간에 대해 이질적인 거부감은 없으나 시설환경에서 친근감이 느껴지기 어려웠다. 또한 유연한 환경으로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과 상호작용을 통한 공감대 형성이 어렵고, 유지관리의 측면, 다양한 요소의 통일감 부족으로 편안하지 않다는 점에서 유대감과 효율성이 낮게 나타났다. (결론) 새롭게 요구되는 명상공간에 대한 적절한 계획이 현재의 업무환경변화에 따른 휴게시설의 디자인 방향이며, 디자인 측면에서 명상공간이 가져할 조건은 효율성, 접근성, 명료성, 편의성, 다양성 측면의 물리적인 환경요소와 편안함, 균형감, 친근감, 쾌적함, 유대감의 심리적 환경요소를 반영해야 한다. 또한 지속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공간의 선택가능성과 시설환경의 색채, 공간배치, 위생적인 환경조성 및 유지관리로 지속가능한 공간이 되도록 계획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많은 기업의 근무자들이 업무와 대인관계로 인한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심적, 신체적으로 편안하고 행복감을 가져 일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이것이 기업의 생산성도 높여 그것이 다시 더 높은 수준의 복지향상이라는 결과를 가져오기를 기대해본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 concept of rest has been clarified and the division of spaces has traditionally been distinct. In the modern working environment, the concept of rest is more complex and focused on stress responses. Meditation, a form of self-awareness of one`s own thoughts and movements, has become popular within corporate facilities and areas for meditation can be seen in corporate lounges or break rooms. This study focuses on the form of resting spaces as they change the work environment, and aims to examine the design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typical meditation space. (Method)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changes in design of corporate environment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before examining common features used in lounge facilities. Second, this study hopes to clarify the concept of a meditation space, determin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spaces, and understand trends within this relatively new phenomenon. Third, this study collects specific examples of meditation spaces included in corporate lounges and other rest areas, analyzing the design characteristics used in these spaces. Finally, the author discusses findings and presents the importance of both concept and meaning in the designing of meditation spaces for corporate break rooms. (Result) Results of an internal and external analysis of ten different corporate meditation spaces shows that clarity is rated highest, due to ease of operation.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are also high, thanks to a successful layout that excluded unnecessary functions and inconveniences. However, diversity was the lowest rated, since the space was appropriate for a limited number of activities and opportunities, and thus failed to meet the needs of multiple groups. The meditation spaces studied also lacked any sense of heterogeneity, making it difficult to feel familiarity in these facility environments. Finally, fellowship and efficiency were low because it is often difficult to form a consensus through fre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causing discomfort with the lack of unity. (Conclusions) Design choices made have the potential to change the work environment if meditation spaces are thoughtfully planned. Characteristics of meditation spaces should reflect its physical elements (efficiency, accessibility, clarity, convenience, diversity), psychological considerations (comfort, balance, affection, agreement, fellowship),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se spaces should also be sustainable and considerate of various types of users. This study suggests that providing meditation spaces in corporate lounges decreases employee reports of stress, both in regards to work stressor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mproves work efficiency by providing an employee area that encourages mental and physically comfort. Further, increased efficiency is often linked to an increase in productivity, which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local economy and lead to improvements in the welfare of neighboring communities.

      • HDR 기술을 활용한 2018 러시아 월드컵 UHD방송 VOD 서비스

        하종진(Ha JongJin),이돈일(Lee DonIl),구자훈(Ku Jahoon),엄영식(Um YoungSik),박석기,송재호(Song JaeHo),장진희(Jang JinHee),전성규(Jeon SeongGyu)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8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8 No.11

        KBS를 비롯한 지상파방송 3사는 실시간 UHD방송과 VOD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가 결합된 세계 최초의 지상파 양방향 UHD 플랫폼인 Tiviva(이하 티비바) 서비스를 2017년 11월 오픈하였다. 티비바는 별도의 셋톱박스 없이 UHD TV에 직접수신 안테나와 인터넷을 연결하여 지상파 방송사의 실시간 방송 채널 외에 다양한 UHD VOD와 클립을 이용할수 있고, 스포츠와 드라마, 종편(JTBC, MBN), 영화 등 50여 개의 IP채널을 추가로 볼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후 2018년 1월에는 이용자 편리성과 자동추천 기능 등 UI/UX를 크게 개선한 티비바 2.0을 업데이트 하였고, 평창올림픽 기간에는 전 경기 실시간 스트리밍 및 올림픽특별관을 운영하였다. 2018년 6월 러시아 월드컵 기간에는 축구 경기 UHD HDR 방송 중계와 함께 티비바를 통한 HDR VOD를 최초로 서비스하여 스포츠 경기를 즐기는 또다른 즐거움을 선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 월드컵 HDR VOD 서비스를 준비하고 시행하기 위한 시스템 설계 및 진행과정, 기술 이슈 등에 대해서 기술하려고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