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코크스 제조 부산물 Dust Carbon의 농업적 활용

        이도진 ( Do-jin Lee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3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4 No.3

        코크스 제조공정중 냉각시 산업부산물로 발생하는 dust carbon의 농업적 활용에 대해 검토하였다. Dust carbon은 pH 7.7로서 중성에 가까웠으며, 전기전도도는 2.24 dS/m, 유효인산 및 총질소 함량은 각각 52.9 mg/kg와 0.77 mg/kg, 유기물함량은 285 g/kg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양이온치환용량은 7.2 cmol<sup>+</sup>/kg으로서 상토의 52.1 cmol<sup>+</sup>/kg에 비해 낮았으며, Cr, Pb, Cd, As, Hg 등의 중금속함량은 일반 토양 수준이었다. 인공상토에 dust carbon을 혼합한 조건 중 고추, 토마토, 오이의 생육은 상토/dust carbon (90/10, v/v) 비율에서 가장 양호하여, 지상부, 지하부의 건물중이 인공상토 조건에 비해 높았으며 뿌리 발달이 양호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고추, 토마토 모두 dust carbon을 혼합한 조건에서 높게 나타나 고추는 상토/dust carbon(70/30, v/v)에서, 토마토는 상토/dust carbon(90/10, v/v)에서 가장 높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possibility of dust carbon as the agricultural material for crop plug seedlings. Dust carbon was produced during cokes refrigeration at POSCO, Gwangyang, Jeonnam. The pH of dust carbon was 7.7 mg/kg and electro conductivity (EC) was about 2.0 dS/m.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was 7.2 cmol<sup>+</sup>/kg, 28.5 g/kg organic matter, phosphorus and total nitrogen content was 52.9 mg/kg, 0.77 %, respectively. Contents of heavy metal in the dust carbon were lower than that of natural soil, dust carbon can be recycle safely in the agricultural material. Although dust carbon mixtures did not affect on early stage of rice growth, plant height and leaf area of 15 days after sowing hot pepper and tomato increased when it was mixed with 10 %(v/v). These result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of dust carbon for artificial substrates of hot pepper and tomato plug seedlings.

      • KCI등재

        온도변화에 의한 외래잡초 둥근잎유홍초의 제초제 약효 차이

        이도진(Do Jin Lee),박현화(Hyun Hwa Park),국용인(Yong In Kuk) 한국잡초학회 2021 Weed & Turfgrass Science Vol.10 No.2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온도상승에 의한 주요 토양 및 경엽처리제 제조제의 외래 잡초 둥근잎유홍초에 대한 약효반응을 평가하여 추후 기후변화에 따른 방제기술을 개발하는데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토양처리제 제초제 처리시 생장상의 온도(25, 30, 35℃)가 증가할수록 둥근잎유홍초 방제가 높은 경향이었다. 토양처리제 alachlor 처리에 의한 둥근잎유홍초는 생장상의 온도조건에 상관없이 거의 방제되지 않았다. 그러나 ethalfluralin, metolachlor 및 linuron 처리에 의한 둥근잎유홍초 방제가는 생장상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경엽처리제 glyphosate-isopropylamine 처리에 의한 둥근잎유홍초는 생장상의 온도조건에 상관없이 방제가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bentazone, glufosinate-ammonium 및 mecoprop 처리에 의한 둥근잎유홍초 방제가는 생장상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특히, bentazone, glufosinate-ammonium 및 mecoprop 표준량 처리의 경우 둥근잎유홍초는 30℃와 35℃ 생장상 조건하에서 100% 방제 되었다. 토양처리제 ethalfluralin, metolachlor, alachlor 및 linuron 처리에 의한 둥근잎유홍초 방제가는 실험기간의 평균온도(24, 26, 28℃)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경엽 처리 제초제 경우 평균온도 24℃와 26℃의 온실 조건 간에 둥근잎유홍초 방제가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실험기간의 평균온도 28℃의 온실조건하에서 경엽처리제 모든 제초제에서 24℃와 26℃의 온실조건에 비해 둥근잎유홍초 방제가 높았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수반되는 온도상승에 따른 새로운 잡초방제 기술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egree to which changes in temperature affect the efficacy of herbicides when applied to the exotic weed Quamoclit coccinea Moench using both soil and foliar application. Through studies like this, we hope to learn which weed control techniques will be most effective in the future as climate change continues to impact agriculture. Control value of Quamoclit coccinea Moench were highest in studies using growth chambers with high, constant temperatures (25, 30, and 35℃). Generally, as growth chamber temperatures increased, so did control rates as was observed in studies using soil applications of herbicides ethalfluralin, metolachlor and linuron. In studies using foliar application herbicides bentazone, glufosinate-ammonium and mecoprop also had increased control values as growth chamber temperatures increased. However, herbicide alachlor (soil application) and herbicide glyphosate-isopropylamine (foliar application) were not effective regardless of temperature conditions. Overall, the highest control value (100%) of Quamoclit coccinea Moench resulted from studies using bentazone, glufosinate-ammonium and mecoprop at each recommended dosage in growth chambers at 30℃ and 35℃. In greenhouse conditions where temperatures fluctuated but were measured as average daily temperatures, increases to greenhouse temperatures resulted in increases in control rates. This was especially true in studies using soil applications of herbicides ethalfluralin, metolachlor, alachlor and linuron with average greenhouse temperatures of 24, 26, and 28℃. In the case of foliar application herbicides in greenhouse conditions, average temperatures of 24℃ and 26℃ produced the same control value of Quamoclit coccinea Moench whereas control values by all foliar application herbicides at an average temperature of 28℃ were significantly higher. Overall, herbicide efficacy of Quamoclit coccinea Moench increased as temperatures in both the growth chamber and greenhouse increased.

      • KCI등재

        대기온도와 CO₂ 농도 증가에 따른 우점잡초 깨풀의 제초제 약효 및 콩 약해 변화§

        이효진(Hyo-Jin Lee),박현화(Hyun-Hwa Park),김예건(Ye-Geon Kim),이도진(Do-Jin Lee),국용인(Yong-In Kuk) 한국작물학회 2023 한국작물학회지 Vol.6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에 따른 이산화탄소와 온도의변화에 따른 콩밭 우점잡초 깨풀의 생장과 주요 4종의 경엽처리 제초제와 4종의 토양처리 제초제에 대한 약효와 콩의 약해를 평가하여 잡초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생장상과 온실상 조건하에서 온도가 증가할수록 깨풀의 초장및 생체중은 증가하였다.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Fv/Fm, ETR, 초장, 엽면적 및 지상부 생체중은 400 ppm보다 800 ppm에서 더 높았다. 깨풀에 대한 경엽처리제 glufosinate 약효의 경우 생장상 조건의 20°C 및 25°C보다 30°C에서 온실상조건의 21°C 및 25°C보다 29°C에서 감소하였다. 반대로mecoprop의 경우 생장상 조건의 30°C에 비해 20°C에서 온실상 조건의 29°C에 비해 21°C에서 약효가 감소하였다. 경엽처리제 glyphosate의 경우 온실상 조건하에서는 25°C와29°C에 비해 21°C에서 약효가 감소하였다. Bentazone을 생장상 조건하에서 1/2량 처리하였을 때 25°C와 30°C에 비해 20°C에서 약효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온실상 조건하에서는 21°C와 25°C에 비해 29°C에서 약효가 감소하였다. 깨풀에 대한 토양처리제 경우 생장상과 온실상 조건하에서metolachlor와 ethalfluraline의 약효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조건하에서 약효가 높았다. 그러나 linuron의 경우는 생장상과 온실상의 온도에 상관없이 약효차이가 없었다. Alachlor 의 경우 온실상 조건하에서 19°C와 23°C에 비해 27°C에서약효가 감소하였다. 경엽처리 제초제 4종을 표준량으로 깨풀에 처리하였을 때 이산화탄소농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깨풀에 glyphosate 1/4량 처리하였을 때 이산화탄소농도가 400 ppm보다 800 ppm일 때 약효는 감소하였다. 반대로 bentazone를 1/4량 처리하였을 때 이산화탄소 농도가400 ppm보다 800 ppm일 때 약효는 증가하였다. Glufosinate 은 처리약량에 상관없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토양처리 제초제 ethalfluralin을 1/4량 처리하였을 때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800 ppm일 때 약효가더 높았다. 그 외의 제초제의 경우 이산화탄소 농도와 상관없이 깨풀의 약효에는 차이가 없었다. 콩에 토양처리 제초제를 표준량과 표준량의 2배량을 처리하였을 때 온도와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약해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온도와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에 기인하여 일부 제초제에 대한 잡초 약효 차이가 있어 기후변화에 의한 새로운잡초 관리 방법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weed management systems under varying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and temperatures by evaluating the growth of Acalypha australis and observing the efficacy of four foliar and four soil herbicides, as well as measuring phytotoxicity in soybean crops treated with these herbicides. In both growth chamber and greenhouse conditions, plant height and shoot fresh weight of Acalypha australis increased as temperature increased. The variable to maximum fluorescence ratio (Fv/Fm), relative electron transport rate (ETR), plant height, leaf area, and shoot fresh weight of Acalypha australis were higher at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of 800 ppm than at 400 ppm. The efficacy of a foliar herbicide, glufosinate, on Acalypha australis was lower at 30°C than at 20°C and 25°C in the growth chamber condition and was also lower at 29°C than at 21°C and 25°C in greenhouse conditions. In contrast, mecoprop efficacy on Acalypha australis was lower at 20°C and 25°C than at 30°C in growth chamber conditions and lower at 21°C and 25°C than at 29°C in greenhouse conditions. Glyphosate efficacy was lower at 21°C than at 25°C and 29°C under greenhouse conditions. With soil herbicides, metolachlor and ethalfluraline, efficacies were higher at relatively high temperatures under both growth chamber and greenhouse conditions. However, in the case of linuron, the difference in efficacy was not observed under varying temperatures in both growth chamber and greenhouse conditions. When ¼ of the recommended glyphosate rates were applied to Acalypha australis, efficacy was lower under 800 ppm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than under 400 ppm. In contrast, when ¼ of the recommended rate of bentazone was applied to Acalypha australis, efficacy was higher under 800 ppm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than under 400 ppm. Despite application rates, glufosinate efficacy differed insignificantly under different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When applied at ¼ of the recommended rate, the efficacy of ethalfuralin was higher under 800 ppm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than under 400 ppm. However, efficacies of other herbicides were not different despite varying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Soybean phytotoxicity in crops treated with the recommended rate and twice the recommended rate of soil herbicid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egardless of temperature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Overall, weed efficacy of some herbicides decreased in response to different temperatures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Therefore, new weed management methods are required to ensure high rates of weed control in conditions affected by climate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