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에서 DHEA 보충 요법의 허와 실

        이덕철(Duk-Chul Le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5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6 No.2

        DHEA는 부신 피질에서 생성되며 혈액 내 가장 많은 스테로이드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뚜렷한 감소를 보인다. 많은 동물 실험에서 DHEA는 당뇨병, 비만, 동맥경화, 면역기능 조절 등 노화 관련 질환 및 신체 변화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에서 혈중 DHEA 농도는 만성질환들과 관련이 있고 일부 질환의 정도와도 연관성이 있어 건강상태를 나타내주는 비특이적 지표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혈중 DHEA 농도가 저하된 일부 노인에서 DHEA 보충 요법이 노화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 등에 좋은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기대가 있었다. 실제로 사람을 대상으로 한 DHEA 보충 요법의 연구들 중 일부에서 기분과 건강감, 인지와 기억력, 성기능, 심혈관계 효과, 면역기능, 근력과 체 성분, 골 대사 등에서 좋은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의 대상의 수가 비교적 작고 단기간이며 또한 상반된 결과를 보고하는 일부 연구도 있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혈중 DHEA 농도가 낮은 노인에서 DHEA 보충요법의 필요성 여부는 보충요법 후 기대되는 건강상의 이득과 위험에 대한 장기간의 객관적인 연구들이 선행된 후 결정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일개 의과대학생의 말기 환자 치료 결정에 대한 태도

        오승민,조완제,김종구,이혜리,이덕철,심재용,Oh, Seung-Min,Cho, Wan-Je,Kim, Jong-Koo,Lee, Hye-Ree,Lee, Duk-Chul,Shim, Jae-Yo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8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1 No.3

        목적: 말기 암 환자의 증가, 노년인구의 증가, 연명치료기술의 발달 등으로 완치될 수 없는 질환을 가진 말기 환자에 대한 치료 결정(End of life decision making)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의료진의 태도나 환자 및 보호자의 인식은 낮은 상태에 있고 이로 인해서 말기 환자에게 말기진정과 같은 결정이 필요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 시행에 많은 제약이 있으며 때로는 잘못된 시행으로 윤리적으로 어긋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의과대학 교육과정을 통하여 말기 환자 치료 결정에 대한 올바른 태도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미래 의료계의 주역이 될 의과대학생들이 말기진정을 포함하여 능동적 안락사, 의사조력자살, 연명치료 유보 및 중단 등 말기 환자 치료결정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7년 6월 25일부터 6월 29일 사이에 1개 의과대학 본과 1, 2학년 학생과 임상 실습중인 3학년 학생 총 388명을 대상으로 능동적 안락사, 의사조력자살, 연명치료 유보 및 중단, 말기 진정 등 말기 환자 치료결정에 대한 태도와 인구사회학적 자료를 설문 조사하였다. 응답이 완료된 267명을 대상으로 말기 환자 치료결정에 대한 태도와 각 인자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일개 의과대학생 267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 조사에서 능동적 안락사, 의사조력자살, 연명치료의 유보 및 중단, 말기 진정의 시행에 찬성하는 비율은 각각 37.1%, 21.7%, 58.4%, 60.3%, 41.6%였다. 이 비율은 각 항목의 윤리적 타당성에 대한 설문 결과와 유사하였다. 1학년보다는 3학년에서 능동적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은 더 반대하였고, 연명치료 유보 및 중단, 말기 진정에 대해서는 더 찬성하였다. 종교 활동 시간이 많을수록 각 항목에 대한 찬성이 적었으며 교육 경험 유무, 특히 임상실습경험이 있는 3학년 학생에서 말기 진정에 더 많이 찬성하였다. 연령, 임종 환자 경험 유무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결론: 말기 환자 치료 결정의 구체적 임상 행위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태도에 이전 연구에서처럼 종교 또는 교육이 말기 환자 치료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임상실습을 통한 교육경험이 태도 변화에 중요하였다. Purpose: Sooner of later, end-of-life care decision-making will unfold and be settled during the professional lives of medical students. However, there is prevalent ambiguity and uncertainty between the palliative treatment and euthanasia. We conducted this survey to investigate attitudes of medical students towards end-of-life making decisions, and to find out which factors primarily influenced the attitudes. Methods: A study was conducted among medical students at one university, the Republic of Korea. A written questionnaire was sent to all the 1st, 2nd, and 3rd-year medical students. It presented 5 statements on end-of-life decision-making. Students were asked whether they agreed or disagreed with each statement. Results: The response rate was 74.4%, and 26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Percentages of agreement with each statements on Voluntary active euthanasia (VAE), Physician assisted suicide (PAS), Withholding life-sustaining management, Withdrawing life-sustaining management, and Terminal sedation (TS) was 37.1%, 21.7%, 58.4%, 60.3%, and 41.6%, respectively. The grade of students, religious activity, and educational experience were determinant factors. Agreement on each statements was higher in the low religious activity group than in the high religious activity group. Agreement on TS was higher among 3rd year students during their clerkship than among 1st and 2nd year students. Age of students and the experience of dying-people care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Conclusion: In end-of-life decision-making, religious and educational factors influenced medical students' attitudes. Especially, the experience of education during clerkship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ttitude. Proper teaching on end-of-life decisions should further be considered during medical students' clerkship.

      • KCI등재

        고혈압 환자에서 C반응단백과 상완-발목 맥파 속도의 관계

        이지원(Ji-Won Lee),김상환(Sang-Hwan Kim),임지애(Jee-Aee Im),이덕철(Duk-Chul Le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4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5 No.4

        Background: C-reactive protein (CRP) levels predict outcome in hypertensive patients with atherosclerosis. Arterial stiffness also independently predicts all-cause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and may be involved in process of atherosclero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baPWV), a marker of arterial stiffness, and inflammation. Methods: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baPWV) and ankle-brachial index (ABI) were assessed in 63 individuals. Age, gender, smoking, pulse pressure, body mass index (BMI) ,fasting blood glucose, lipid parameters, CRP, lipoprotein (a) were measure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en baPWV and parameters. Results: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baPWV)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age (r=0.497; P<0.001), pulse pressure (r=0.454; P=0.001), high density lipoprotein (r=0.286; P=0.023), and CRP (r=0.288; P=0.022). In multiple regression models, after adjustment for age, gender, BMI, heart rate, pulse pressure, high density lipoprotein, and hypertension medication, baPWV was independently correlated with CRP (adjusted R²=0.417, P=0.034). Conclusion: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had a significant relation with levels of CRP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suggesting that inflammation may be involved in arterial stiffening. 연구배경: C반응단백(C-reactive protein, CRP)은 고혈압 환자에서 대 혈관의 죽상경화를 예견할 수 있는 염증 지표이며, 동맥의 경직도(arterial stiffness) 또한 독립적으로 심혈관질환의 사망률을 예측할 수 있으며 대 혈관의 죽상경화에 관여하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 침습적인 방법인 상완-발목 맥파 속도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baPWV)측정으로 알아본 동맥의 경직도와 염증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고혈압이 있는 63명의 발목-상완 혈압지수(ankle-brachial index, ABI)와 상완-발목 맥파 속도를 측정하였다. 나이, 성별, 흡연, 맥압, 체질량 지수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공복 혈당, 혈 중 지질 검사, C반응단백, lipoprotein (a)을 검사하였으며, 상완-발목 맥파 속도와의 상관성을 피어슨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상완-발목 맥파 속도는 나이(r=0.497; P<0.001), 맥압(r=0.454; P=0.001), 고밀도 콜레스테롤(r=0.286; P=0.023), C반응단백(r=0.288; P=0.022)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 심박동수, 맥압, 고밀도 콜레스테롤, 고혈압 약제 복용 여부에 대해 보정한 후 다중회귀분석 결과 C반응단백과 상완-발목 맥파 속도는 독립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adjusted R2=0.417, P=0.034). 결론: 고혈압 환자에서 상완-발목 맥파 속도와 염증 지표인 C반응단백은 연관이 있으며, 이는 염증과 동맥의 경직도와의 관련성을 의미한다.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하는 노인에서 동맥경직도와 인슐린저항성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지원(Ji Won Lee),임지애(Jee Aee Im),박기덕(Ki Deok Park),이혜리(Hye Ree Lee),심재용(Jae Yong Shim),이덕철(Duk Chul Le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8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9 No.2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impact of arterial stiffness and insulin resistance on cognitive funct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Methods and Results: Cognitive function and arterial stiffness were assessed by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and measurement of the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baPWV), respectively. The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was calculated for each subject. The cross-sectional association of the MMSE score, baPWV and HOMA-IR was studied in 172 subjects (87 men, 85 women). The baPWV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impaired MMSE group (MMSE score <26, n=97) than in the normal MMSE group (MMSE score >or=26, n=75) (1843.97±456.55 vs 1727.48±363.96 cm/s, P <0.05).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OMA-IR and baPWV level were independently an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MMSE score. Conclusion: In elderly people, arterial stiffness and insulin resistance are strong predictor of cognitive function independent of age, sex, amount of education and traditional cardiovascular risk factors. Our findings suggest that measures of insulin resistance and arterial stiffness, such as baPWV, may be used as a clinical marker for predicting cognitive decline in older individuals. 연구배경: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들에서 인지기능과 동맥경직도 및 인슐린 저항성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스스로 거동이 가능하고 연구에 동의하는 65세 이상의 남녀 172명(남자: 87명, 여자: 85명)를 대상으로 고전적인 심혈관 위험인자와 생활습관,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 상완발목맥파속도(baPWV)를 측정하였다. 인슐린저항성은 HOMA-IR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결과: MMSE의 중위수에 따라 정상인지기능군(MMSE score>or=26, n=75)과 인지기능저하군(MMSE score<26, n=97)으로 나누었을 때 인지기능저하군에서 baPWV 값이 유의하게 높았다(1843.97±456.55 vs 1727.48±363.96 cm/s, P<0.05). 성별, 연령,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흡연력, 음주력, 교육정도를 통제하고 인지기능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심혈관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인슐린저항성을 나타내는 HOMA-IR과 baPWV만이 독립적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에서 동맥경직도와 인슐린 저항성은 인지기능과 독립적인 관련성이 있었으며, 이는 동맥경직도와 인슐린 저상성이 조기의 인지기능 저하를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임상적인 지표로 사용되어질 가능성을 의미한다.

      • KCI등재

        말기암환자의 영적 안녕과 통증, 불안 및 우울과의 연관성: 예비 연구

        이용주,김철민,인요한,이덕철,서상연,서아람,안홍엽,Lee, Yong Joo,Kim, Chul-Min,Linton, John A.,Lee, Duk Chul,Suh, Sang-Yeon,Seo, Ah-Ram,Ahn, Hong-Yup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3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6 No.3

        목적: 말기암환자의 영성은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영역이지만 아직 이에 대한 연구자료가 부족하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해 있는 말기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영적 안녕과 통증, 불안 및 우울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방법: 서울소재 일개 대학병원에 입원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자와 연구간호사가 연구에 동의한 50명의 환자에게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배부하는 방법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영적 안녕지수의 측정은 Functional Assessment of Chronic-Illness Therapy-Spirituality (FACIT-Sp)의 영적 상태 12문항을 이용하였으며 병원 우울불안지수는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통증지수의 측정은 BPI-K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earmans' rank test, T-test, univariate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영적 안녕은 평균 통증 강도(r=-0.283, P<0.05), 불안 하부척도(HADS-A)(r=-0.613, P<0.05), 우울 하부척도(HADS-D)(r=-0.526, P<0.05)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보정한 뒤에도 영적 안녕은 종교유무(OR=9.193, 95% CI=4.158~14.229, P<0.001)와 불안하부척도(OR=-1.03, 95% CI=-1.657~-0.403, P=0.002)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말기암환자의 영적 안녕감은 통증, 우울, 불안 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종교가 있고 우울지수가 낮은 경우 영적 안녕감의 증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추후 전향적 연구를 통한 영적 말기암환자의 영적 중재 및 영적 지지에 대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Spirituality is an important domain and is related wi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in terminal cancer pati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atients' spirituality is associated with their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as it has been explored by few studies. Methods: In this cross sectional study, 50 patients in the palliative ward of a tertiary hospital were interviewed. Spiritual well-being, depression, anxiety and pain is measured by Functional Assessment of Chronic-Illness Therapy-Spirituality (FACIT-Sp),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Brief Pain Inventory (BPI-K). The correlations between patients' spiritual well-being and anxiety, depression and pain were analysed. The associ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age, gender, palliative performance scale (PPS), religion, mean pain intensity, anxiety, depression were assessed by univariate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Results: Spiritual well-be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mean pain intensity (r=-0.283, P<0.05), anxiety (r=-0.613, P<0.05) and depression (r=-0.526, P<0.05). In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spiritual well-being showed negative association with anxiety (OR=-1.03, 95% CI=-1.657~-0.403, P=0.002) and positive association with the existence of religion (OR=9.193, 95% CI=4.158~14.229, P<0.001). Conclusion: In this study, patients' anxiety and existence of relig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piritual well-being after adjusting age, gender, PPS, mean pain intensity, depression. Prospective studies are warranted.

      • KCI등재

        걸음걸이 속도와 인지기능의 연관성

        김춘옥(Choon-Ok Kim),이지원(Ji-Won Lee),임지애(Jee-Aee Im),강희철(Hee-Chul Kang),이승범(Seung-Bum Lee),서상훈(Sang-Hun Suh),이덕철(Duk-Chul Le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8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9 No.4

        연구배경: 치매에 대한 조기 증상으로 걸음걸이 속도가 인지기능 저하와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들이 있지만 아직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치매의 선행증상 중 하나인 걸음걸이 속도와 인지기능간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거동 및 일상생활이 가능한 60세 이상의 노인들 중 인지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병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연구대상에서 제외시켜 총 126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기본 문진과 혈액검사 및 우울은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인지기능은 KMMS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걸음걸이 속도는 6 m의 직선거리를 걸을 때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m/s로 계산하였다. 결과: 대상자를 정상 인지기능군(KMMSE score>24, n=107)과 인지기능 저하군(KMMSE≤24, n=19)으로 나누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인지기능 저하군에서 걸음걸이 속도가 정상군에 비해 느리게 나타났다(P=0.620). 인지기능과 걸음걸이 속도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r=0.204, P=0.022) 다른 혼란변수를 통제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걸음걸이 속도만이 KMMSE와 독립적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β=0.207, P=0.021). 결론: 다른 혼란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걸음걸이 속도만이 인지기능과 독립적인 연관성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즉, 걸음걸이 속도가 느릴수록 인지기능 저하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There is some evidence that gait abnormality precedes the diagnosis of dementia but it is not clarified that gait speed is associated with cognitive function in healthy elderly. Methods: A total of 126 community dwelling healthy old people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We measured blood pressure, weight and height, as well as drug history and behavioral habits.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were used for the assessment of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Usual gait speed (m/s) over 6 m was measured.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gait speed between normal (KMMSE score>24) and cognitive impaired group (KMMSE score≤24), divided by MMSE score. However, i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gait speed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KMMSE score (r=0.204, P=0.022). After adjustment of confounders, gait speed contributed independently to KMMSE score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β=0.207, P=0.021). Conclusion: Gait speed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cognitive function. That is, slow gait speed could predict cognitive dysfunction.

      • KCI등재

        지역 사회에 거주하는 건강한 노인 여성에서 한 계절에 측정한 비타민 D (25-hydroxyvitamin D) 및 DHEA-S와 우울증과의 상관 관계

        김현미(Hyun Mee Kim),이지연(Jee Yon Lee),정지연(Ji Youn Chung),이덕철(Duk Chul Le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0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1 No.4

        연구배경: 우울증은 노년기 삶의 질과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와 관련된 요인을 찾기 위한 연구는 중요하다. 기존 선행연구에서 비타민 D 결핍이 우울장애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있었으나 현재까지도 비타민 D와 우울장애와의 관련성은 논란이 있었다. 또한 부신피질에서 가장 많이 생성되는 호르몬인 DHEA-S는 성인에서 정서와 건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외견상 건강한 노인 여성에서 25-hydroxyvitamin D 및 DHEA-S와 우울증사이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행 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연세 노화 연구(Yonsei Aging Stdy, YAS)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YAS는 우울증, 인지기능, 신체기능에 미치는 인자를 밝히기 위해 시행되었다. 60세 이상 노인 여성 136명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혈액은 2008년 10월과 11월에 거쳐 채취되었다. 우울증세는 Geriatric depression scale-15 (GDS-15)를 사용하여 자가 보고되었으며 GDS-15 score 7점 이상을 우울증으로 정의하였다. 인지기능은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를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그 외 혈액검사로 지질표지자. 공복혈당, 인슐린, 코르티졸, C 반응단백, 페리친, DHEA-S, 25-(OH) vitamin D 농도를 측정하였고 신체기능 지수(gait speed, chairs stand test, tandem standing test)를 측정하였다. 또한 고혈압 당뇨병 등의 과거 병력과 음주, 운동, 흡연 등의 건강생활 습관을 조사하였다. 결과: 비타민 D 부족(25-hydroxy vitamin D <20 ng/mL)의 유병률은 전체 연구대상자의 46.3%였다. 우울증군에서의 25-hydorxy vitamin D 및 DHEA-S의 평균 혈중농도는 각각 18.5±7.1 ng/mL, 53.0±32.0 μg/dL로 정상 군에서의 평균값 22.0±8.1 ng/mL 및, 44.6±32.5 μg/dL에 비해 낮았다(25-hydroxy vitamin D; P<0.02, DHEA-s; P=0.12). GDS-15 점수와 피어슨 상관분석에서 25-(OH) vitamin D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0.26, P<0.005)를 보였으며, 신체기능 지수(r=−0.22, P<0.01), DHEA-S (−0.20, P<0.05)도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 선형 회귀분석상 혼란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25(OH) vitamin D, DHEA-S, 신체기능 지수, 흡연력 등은 우울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25-(OH) 비타민 D 농도가 30 ng/mL 이상인 경우 혼란변수를 통제 후 우울증의 비교위험도가 0.27(P<0.05)이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외견상 건강한 노인 여성에서 25-hydroxy vitamin D 및 DHEA-S의 혈중농도는 우울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임을 시사한다. Background: Even some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vitamin D deficiency may contribute to depressive disorder,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deficiency and depression has been controversial. Furthermore, only few studies have done in general population. Dehydroepiandrosterone-sulfate (DHEA-S) is most abundant steroid hormone secreted by adrenal cortex, known to have diverse role in human including stabilizing mood.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25-hydroxyvitmin D and DHEA-S and depression in community dwelling apparently healthy women.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s a part of the Yonsei Aging Study (YAS). YAS was designed as a survey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performance in community dwelling old people in Korea. A total of 136 women aged older than 60 years. Blood sample is obtained in October and November in 2008. Depressive symptoms are assessed by self-reported by Geriatric depression scale-15 (GDS-15). Depressive disorder is defined as a GDS-15 score of 7 or higher. Cognitive abilities were assessed using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Additionally,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DHEA-S and 25-(OH) vitamin D level and physical performance index (by gait speed, chair stand test, and tandem standing test) were measured. Results: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was vitamin D deficiency is 46.3% in this study population. Mean values of 25(OH) vitamin D and DHEA-S (18.47±7.10 ng/mL, 52.98±31.96 μg/dL respectively) in women with depression were lower than those in normal women (22.01±8.09 ng/mL, 44.58±32.54 μg/dL respectively; P<0.02, P=0.12 respectively). The prevalence of vitamin deficiency (25-hydroxy vitamin D <10 ng/mL) and vitamin insufficiency (25-hydroxy vitamin D <20 ng/mL) were 6.62% and 46.32% respectively. Correlation analysis showed GDS scores associated with 25-(OH) vitamin D level (r=−0.26, P<0.005), physical performance index (r=−0.22, P<0.01), and DHEA-S level (−0.20, P<0.05). Women with history of diabetes mellitus and current smoking habit had a higher prevalence of depression in statistical significance.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25(OH) vitamin D level w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depression after adjustment for confounding variable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25-hydroxy vitamin D and DHEA-S levels are th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apparently healthy community-dwelling older women.

      • KCI등재

        혈중 인슐린 양 인자-1 (Insulin-like Growth Factor-1)과 상완-발목 맥파 속도(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의 관련성

        한아름(Ah-Reum Han),김정하(Jung-Ha Kim),이덕철(Duk-Chul Le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5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6 No.4

        연구배경: 성장 호르몬과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은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여 노인이 되면 성장 호르몬과 IGF-1이 상대적 결핍에 이른다. 과거 연구들은 이러한 somatopause가 심질환 발생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에서 혈중 IGF-1 농도와 동맥경직도를 대변하는 상완-발목 맥파 속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서울시내 모 종합 병원 검진센터를 내원한 건강한 성인 306명을 대상으로 상완-발목 맥파 속도를 측정하고, 신체 계측 및 혈액 검사를 시행하였다. 남녀 간의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상완-발목 맥파 속도와 다른 변수들을 상관 분석하고, 상완-발목 맥파 속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에 대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대상군은 남자가 84명, 여자가 222명으로 평균연령은 남성 51.9±8.1세, 여성 55.2±6.3세였다. 허리-엉덩이 둘레비, 이완기 혈압, IGF-1, 호모시스테인, 페리틴이 남성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고, 총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은 여성에서 높았다. 상완-발목 맥파 속도는 남성에서 연령,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호모시스테인, C-반응성 단백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IGF-1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223, P=0.042). 여성에서는 연령, 체질량 지수, 공복 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호모시스테인, 허리-엉덩이 둘레 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단계적 회귀분석시, 남성에서는 수축기 혈압, IGF-1, 총콜레스테롤, 호모시스테인이 상완-발목 맥파속도의 예측 인자로 나타났고, 여성에서는 연령, 수축기 혈압, 공복혈당이 유의한 예측인자였다. 결론: 남성에서 IGF-1이 감소할수록 상완-발목 맥파 속도가 증가하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IGF-1이 낮은 경우 동맥 경직도가 증가하고 심혈관 질환 발생이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Background: The activity of the growth hormone(GH)-IGF axis declines in midlife, leading to relative GH and IGF-1 deficiency. This fall in serum GH and IGF-1 levels has been termed the somatopause. Several results have suggested that the decline in IGF-1 may play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baPWV) is a good marker of arterial stiffnes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er IGF-1 concentraions are associated with baPWV. Methods: 306 participants (M:F=84:222) underwent baPWV,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laboratory procedures. The association between IGF-1 and baPWV was examined. Results: At baseline, waist to hip ratio, diastolic blood pressure, IGF-1, homocysteine, ferritin were higer in men and tota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were higer in women. In men, baPWV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homocysteine, CRP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IGF-1 (r=-0.223, P=0.042). On regression analysis, baPWV is associated systolic blood pressure, IGF-1, total cholesterol and homocysteine in men. Age, systolic blood pressure and fasting glucose are predictor of baPWV in women. Conclusion: IGF-1 concentrations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baPWV in men. This suggestes that low IGF-1 is associated with arterial stiffness and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 KCI등재후보

        일차의료에서 주요우울장애 선별을 위한 PHQ-2/PHQ-9 연속선별검사의 유용성

        김성래(Seong-Rai Kim),신호철(Ho-Cheol Shin),이덕철(Duk-Chul Lee),김철환(Cheol-Hwan Kim),성은주(Eun-Ju Sung),이계화(Kye-Hwa Lee),김자영(Ja-Young K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11 스트레스硏究 Vol.19 No.4

        일차의료에서 우울증을 조기에 진단하기 위해 많은 선별검사도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두 가지 설문을 이용한 연속 선별검사가 한 가지 설문을 이용하는 것보다 우울증 선별에 있어서 더 효율적인 방법이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이를 비교한 연구가 없다. 본 연구는 PHQ-2/PHQ-9 연속선별검사가 현재 일차진료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BDI 및 PHQ-2, PHQ-9 각각의 단독 시행보다 효율적인 선별도구임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0년 2월부터 6월까지 5개월 동안 일개 대학병원을 대상으로 5개월간 실시되었다. 환자들에게 PHQ-2, PHQ-9, BDI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각각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후 주치의가 면담을 통하여 DSM-IV 진단기준으로 우울증을 진단하였다. 각 설문도구들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를 측정하였고, PHQ-2/PHQ-9 연속선별검사와 다른 선별검사도구의 진단 정확도 및 소요시간을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자 201명 중 우울증 환자군을 27명(13.4%), 비우울증 환자군은 174명(86.6%)이었다. PHQ-2, PHQ-9, BDI의 Cronbach’s alpha 값은 각각 0.730, 0.863, 0.905이었다. PHQ-2/PHQ-9 연속선별검사의 진단 정확도는 87.06%로 PHQ-2 (69.2%), PHQ-9 (81.6%), BDI (72.7%)보다 높았다. 평균소요시간은 PHQ-2가 30초 미만, PHQ-9는 102.9±6.1초로 측정되었고, 따라서 PHQ-2/PHQ-9 연속선별검사가 BDI (224.17±11.9초)보다 소요되는 시간이 적었다. PHQ-2/PHQ-9 연속선별검사는 PHQ-2, PHQ-9의 단독 시행 및 BDI 보다 진단 정확도가 높고 시간이 적게 소요되므로, 일차진료에서 우울증에 대한 매우 유용한 선별검사도구이다. In Primary care, many screening tools to detect depression are used. Patient health questionnaires (PHQ)-2/PHQ-9 serial screening is reported to be more efficient than other questionnaires in primary setting in western country. Therefore, we identified the efficacy of PHQ-2/PHQ-9 serial screening in primary care setting in Korea. We compared PHQ-2/PHQ-9 serial screening with other screening tools in terms of diagnostic accuracy and time required to detect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Total 201 ambulatory pati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in a family practice center at one university hospital. Then, the subjects were interviewed by family doctors according to DSM-IV criteria. The reliability, sensitivity, specificity and the time required to finish PHQ-2/PHQ-9 serial screening were examined and compared to other screening tools (PHQ-2, PHQ-9, BDI). There were 27 patients in the MDD group and 174 in the non-MDD group. The Cronbach’s alpha of PHQ-2, PHQ-9, and BDI was 0.730, 0.863, and 0.905, respectively. The diagnostic accuracy of PHQ-2/PHQ-9 serial screening was 87.0%, which is superior to those of PHQ-2, PHQ-9, and BDI (69.2%, 81.6% and 72.6%, respectively) The estimated time required of PHQ-2/PHQ-9 serial screening, about 132.9±6.1 seconds, was less than those of BDI, about 224.17±11.9 seconds. PHQ-2/PHQ-9 serial screening had a better diagnostic accuracy and took less time than the other screening tools for depression. Therefore, PHQ-2/PHQ-9 serial screening is the most useful measure for detecting depression in primary care. (Korean J Str Res 2011;19:405∼41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