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 해석과 메시지 지향성이 가치 주장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귀옥(Guiohk Lee),박조원(Jowon Park),최명일(Myung-Il Choi) 한국경영과학회 2014 經營 科學 Vol.31 No.4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elf-construal and message orientation on value advocacy advertising. An experiment of college student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toward advocacy advertisements and the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showed that people wit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dvocacy advertisements than people with independent self-construal.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elf-construal and message orientation on the value advocacy advertisements were not found significant. However, it was found that even people with independent self-construal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dvocacy advertisement with others-orientation messages than the advertisement with self-orientation messages in value advocacy advertising. Based on the finding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value advocacy advertis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SNS 이용 동기가 SNS 중독에 미치는 영향

        이귀옥(Lee, Guiohk),박조원(Park, Jowo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0 No.3

        이 연구는 SNS의 주 이용자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SNS 이용 동기를 파악하고, 이러한 이용 동기가 이용자들의 성별, 이용 시간, 우울감과 함께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용 동기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 자기표현, 일상 탈출, 정보 추구, 관계 유지, 자존감 추구, 오락 추구의 6개 동기가 추출되었고, 자기표현 동기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자기표현, 일상 탈출, 정보 추구, 오락 추구 동기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우울 집단에서 일상 탈출 동기가 더 높게 나타나 성별, 우울 수준별 SNS 이용 동기의 차이가 유의미했다. 또한 위계적 회귀 분석을 통해 성(性)과 SNS 이용 시간, 우울 및 SNS 이용 동기가 SNS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성과 이용 시간, 우울의 유의미한 영향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SNS 이용 동기가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일상 탈출, 오락 추구, 자기표현 동기가 높으면 SNS 중독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SNS use motivations of college students and the influence of the motivations on the SNS addiction. Gender, time spent on SNS and depression were put into the analysis as control variables. The factor analysis identified six use motivations, self-expression, escapism, information seeking, social interaction, self-esteem, and entertainment. The motivation for self expression was the most powerful in the SNS uses of college students. T-test and ANOVA test revealed the differences of use motivations according to the gender and level of depression. Regression analysis showed gender, time spent on SNS, depression, and use motivations predicted the addiction. Use motivation, especially escapism, was identified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addition.

      • KCI등재

        중국의 학술문헌을 통해 본 중국한류 15년

        이귀옥(Guiohk Lee),손승혜(Seunghye Sohn),강필임(Pilyim Kang)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1 No.1

        본 연구는 한류의 핵심수용국인 중국에서 한류에 대한 관심이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점검하기 위하여 2000년에서 2014년까지 발표된 한류 관련 학술문헌의 시기별, 학문분야별 양과 연구주제를 분석하였다. 한류확산기, 한류저항기, 신한류기로 시기를 구분하여 지난 15년 동안 중국내 한류관련 연구의 변화를 점검한 결과, 중국내 한류는 시기별 관점의 변화를 반영하면서 양과 연구주제에서 변화를 보였다. 양적으로는 2000년부터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다가, 중국한류의 정체기인 2000년대 중반에 학술연구의 양이 오히려 급증했다. 학술연구 분야로는 ‘철학과 인문과학’과 ‘경제와 관리과학’분야가 한류연구의 두 축을 이루고 있었다. 학술문헌의 키워드에 대한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류확산기인 2000년대 초반에는 한류현상 자체와 한국영화, 드라마 등의 키워드들을 중심으로 상호연결되어 있었다. 한류저항기에는 한류를 주도한 문화산업 관련 키워드들이 언어네트워크 중심에 위치하였다. 신한류기에는 한국브랜드, 패션산업, 한국음악 같은 키워드들이 핵심단어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특정 수용국내에서 한류는 고정되지 않고 수용국가의 경제, 문화적 변화와 상호작용하면서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f academic discourse on Hallyu (Korean Wave) in China, the largest consumer of Korean Wave, from 2000 to 2014. For this purpose, academic literature on Korean Wave was collected from cnki.net, a Chinese academic database. The amount and topics of Hallyu-related studies in China reflected the changes in the perspectives to Hallyu from 2000 to 2014. ‘Philosophy & Humanities’ and ‘Economics & Management’ were identified as the two main fields where Hallyu was actively studied. Also, a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the keywords in the literature revealed that during the diffusion period of 2000-2004, the Hallyu-related studies were connected to a few research keywords such as ‘Hallyu,’ ‘Korean,’ and ‘Korean drama.’ The research keywords were rapidly expanded to various topics including the keywords ‘culturanl products’ and ‘cultural industry’ during the antipathy periods of 2005-2009. In the new Hallyu period of 2010 to 2014, the main keywords were changed to ‘brand,’ ‘Korean company,’ and ‘K-pop.’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강한 남자’에서 ‘아름다운 남자’로

        이귀옥(Guiohk Lee)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2 No.-

        이 연구는 1970년대에서 1990년대까지의 시사종합지 광고에서 남성 모델이 어떤 남성 이미지로 표상되며, 어떤 표현방식을 통해 묘사하는가를 내용 분석한 것이다. 체계적인 표집을 통해 총 939개의 남성 모델을 이용하고 있는 광고가 수집되었다. 시기별로 남성 모델이 주로 등장하는 광고의 제품 범주를 보면, 1970년대에는 제약/의료 광고에, 1980년대와 90년대에는 패션 광고에 남성 모델이 주로 이용되고 있었다. 한편 이들 남성 모델이 표상하는 이미지는 전체적으로는 ‘성공한/명성있는 남자’와 ‘외모를 가꾸는 남자’의 이미지가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1970년대는 ‘신체적으로 강한 남성’의 이미지가, ‘1980년대는 성공한/명성있는 남자’의 이미지가, 1990년대 이후로는 ‘외모를 가꾸는 남자’의 이미지가 우세하여 시기별로 눈에 띄는 변화가 있었다. 또한 각각의 남성 이미지는 특정 제품범주에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아울러 남성 이미지에 따른 물리적 배경과 대인적 상호작용, 여성적 배치 등의 표현방식을 분석한 결과, 특정 남성 이미지를 구성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정형화된 표현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portrayals of male models in Korean men’s magazines from 1970s to 1990s. The focus of the study was on how masculine images of male models were changed during 30 years and how the images were constructed in magazine advertisements. Total 939 advertisements with male models were collected from major Korean men’s magazines and content-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male models were most frequently employed for pharmacy/medical product categories in 1970s and fashion product categories in 1980s and 1990s. Dominant masculine images of male models portrayed in ads had been dramatically changed during 30 years. The images ‘physically strong men’ were most frequently portrayed in 1970s but ‘successful men with reputation’ images in 1980s and ‘men caring appearance’ images in 1990s. Also, the masculine images were constructed in ads by employing interpersonal interactions with other models and feminine displays within specific physical settings.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민주화 이후 정치행위자들의 의료민영화 및 의료공공성 관련 정치적 행위 분석

        이수연 ( Suyun Lee ),손승혜 ( Seunghye Sohn ),이귀옥 ( Guiohk Lee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6 사회복지연구 Vol.47 No.1

        본 논문은 민주화 이후 정치행위자들의 의료민영화 및 의료공공성 관련 정치적 행위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3년부터 2012년까지 주요 일간신문을 활용하여 내용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민주화 이후에도 정당이 국민의 요구를 수렴하여 주도적으로 정책을 결정해 나가지 못하였으며 정당은 보수적인 성향이 강하였고 일관된 정책적 이념지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민주화 이후 공공의료 이슈에서 시민운동의 역할이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역할에 비해서는 작았다. 시민대중운동의 공공의료 발전에 대한 기여도가 대통령과 경제부처의 민영화에 대한 영향력을 상쇄할 정도는 아니었다. 셋째, 민주화 이후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 모두에서 공공의료 발전과 민영화가 함께 진행되었다. 민주화 이후 복지국가의 성격이 질적으로 변화했다고 보기 어려우나 정권별 대통령의 이념성향, 복지부의 역량, 민영화 주도 부처의 종류의 차이에 따라 복지국가 발전 정도가 달랐다. This paper analyzed experientially political conducts of the political players on privitization of healthcare service and public healthcare sercive aftrer the democratiza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democracy on the development of a welfare state. For this purpose, the contents of the major daily newspaper reports from 1993 to 2012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such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olitical parties did not drive the policy even after the democratization reflecting the demands of the people, political parties had a strong conservative stance and did not show a consistent ideological inclination in their policies. Second, even though the role of the civic movement in the public healthcare service issue became larger after the democratization, policy decisions were driven by the government in an authoritative manner. In addition, the degree of contribution by the civic movements to the development of public healthcare service did not offset the influence of the president and the finance ministry on the development of privatization. Third, both the development of public healthcare service and privatization progressed simultaneously under the Kim Dae Jung, Rho Mu Hyun and Lee Myung Bak administrations after the democratization and it is thus difficult to argue that the qualitative nature as a welfare state was changed after the democratization. However, the degree of development as a welfare state differed depending on the ideological inclination of the presidents, the capacity of the welfare ministry and the ministry that drove the privatization.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