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20세기 초 주얼리의 새로운 두 흐름에 대한 연구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이광선 ( Lee Kwang S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4

        이 연구는 20세기 초에 나타난 새로운 성격의 두 주얼리의 흐름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두 흐름의 주얼리는 코코 샤넬을 선두로 등장한 코스튬주얼리와 작가를 중심으로 제작된 아트주얼리라 할 수 있다. 이 두 주얼리는 시작부터 지향한 목적에 있어 뚜렷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현대 주얼리의 다양화의 시작점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에 대한 연구방법으로는 1장에서는 이 당시의 시대적인 상황에 대해 살펴보고 2장에서는 코스튬주얼리의 발생 배경 및 의미와 대표적인 디자이너에 대해 알아본다. 3장에서는 아트주얼리의 탄생배경과 특징 그리고 대표적인 작가에 대해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이 두 주얼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코스튬주얼리와 아트주얼리는 모두 시대적 변화와 함께 전통의 권위나 신분에 대한 거부로 나타났다는 점에서는 공통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두 주얼리의 차이로 첫째는 코스튬주얼리는 패션디자이너와 주얼리회사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유행과 치장을 위한 수단으로 대중성과 상업성을 추구한 데 반해 아트주얼리는 새롭고 다양한 표현 양식을 시도하며 작가 개인의 미감을 보여주기 위한 예술의 매체였다는 점이다. 둘째는 재료에 있어 두 주얼리 모두 다양한 새로운 재료를 사용하였으나 코스튬주얼리에는 그러한 재료를 비교적 값싼 가격과 대량생산의 용이성 때문에 사용한 반면 개인 작가들은 경제적 가치보다는 그들의 심미적, 조형적 표현의 매체로서 재료의 물성과 미학적인 조형성에 가치를 두고 이들 재료들을 선택하였다는 점이다. 이렇게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고 전개 된 새로운 두 주얼리의 흐름이 하나는 현대의 상업적인 코스튬주얼리로 또 다른 흐름인 작가들에 의해 주도된 주얼리는 아트주얼리로 오늘날까지 그 맥을 이어오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flows of two jewels, each of which has distinguished feature and first appea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One of these two flows of jewelry is costume jewelry and the other is art jewelry which was centered on the artist. These two jewelry had distinct differences in their pursuits from the beginning and, significantly, this is the starting point for the diversification of contemporary jewelry. As for the research process, Chapter 1 deals with the situation at that time, and Chapter 2 examines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e costume jewelry along with representative designers. Chapter 3, deals with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art jewelry and its representative artists. Finally, the conclusion analyz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jewelry. Both costume jewelry and art jewelry have a common ground in that both flows have emerged as a reaction to the authority or status of tradition and evolved with the times. Still, they are distinguished in two aspects; first, costume jewelry was a tool for fashion and decoration, led by fashion designers and jewelry companies, pursuing popularity and commerciality while artist jewelry as a medium of art to show, exploring various and new styles and the personal aesthetics of the artist’s. The second is the different purposes of using various materials, even though both pieces of jewelry used various new materials such as synthetic resin and glasses. In costume jewelry, such materials were used because of their relatively low price and ease of mass production. Artist’s jewelry chose these materials based on the value of material properties and aesthetic formation as a medium of aesthetic and artistic expression rather than economic value. The two jewelry, which evolved with different directionality from the beginning, has continued developing to the present day into commercial costume jewelry and art jewelry as art.

      • KCI등재

        실리콘을 소재로 한 장신구 연구

        이광선 ( Kwang Su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6

        지난 세기 50년대 이후 장신구계에 등장한 현대 장신구의 특징 중의 하나는 장신구가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그때까지 부각되지 않던 소재의 관점은 이제 장신구디자인에서 전면에 나타나고 장신구는 이 관점에서 만들어졌으며. 그 결과 새로운 장신구들이 만들어진다. 실리콘은 그런 소재 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는 실리콘이 어떤 속성으로 인해 현대 장신구의 신소재로 이용되는지, 지금까지 어떤 실리콘 장신구들이 만들어졌는지, 마지막으로 지금까지의 실리콘 장신구와는 다른, 실리콘의 조형 가능성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했다. 20세기 초에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실리콘은 무한한 조형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신체에 유해하지 않고 원하는 칼라를 낼 수 있다. 무엇보다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다. 이런 속성들에 의해서 실리콘은 이미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리콘이 장신구계에서 소재로 사용된 시점은 그다지 오래되지 않았으며 그런 까닭에 거의 모든 실리콘 장신구들은 단순히 자연이나 문화에 존재하는 사물들을 복제하는 식으로 만들어졌다. 따라서 이것들은 장신구의 좋은 미적 질을 보여주지 못한다. 이런 한계는 극복될 수 있는데, 그렇기 위해서는 왜 실리콘이 사용되어야만 하는지에 대한 물음을 고려해서 심미적 컨셉을 발전시켜야만 한다. 이에 대한 예로 신체와의 관계성을 주제로 삼은 실리콘 장신구를 분석해서 실리콘의 물성을 극대화하면서 다른 소재와의 결합을 통해 실리콘이 가진 소재적 한계성을 넘어서 수공예적 기술과 조형적 컨셉 그리고 심미성을 보여주는 실리콘 장신구의 또 다른 조형가능성을 제시했다. One of some features of modern jewelry that has come into the jewelry scene since 1950sisthat it started to use more materials. Therefore, the aspect of the material that had been neglected until that time, was moved in the foreground of the jewelry design and the jewelry was considered from this aspect and produced. Thus, new forms of jewerly began to be made. Silicon is one of such material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e what features it has, what made it used as a material of modern jewelry, which silicon jewels have now been produced, and which design options from silicon for jewelry there can be. Silicon, which was produced artificially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has unlimited design possibilities, has no harm to human body, can be colored as many. Above all, it is cheap. Thanks to these properties, it already finds its enormous uses in various sectors of society. However, it is not until recently that it has been used in the jewelry scene as material, and most of the silicon-jewelry was designed simply to imitate things both in nature and in culture, resulting in unvaried products. In fact, it has unlimited design possibilities and this deficiency in design can be overcome soon. For a lot of artists will develop aesthetic concepts in due consideration of why silicone must be used. If jewelry is to be made from silicone, it has to show both aesthetic design concepts and manual skills of jewelry artist. To make this clear, here is a silicone jewelry analyzed, which takes the vari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the jewelry as aesthetic concept. This analysis shows a new silicone jewelry that exceeds through the combination with the metal the material limit of silicon and simultaneously makes the materiality of silicone clear. This is aresult from the cooperation of craft technique, design concept and aesthetics.

      • KCI등재

        커스텀주얼리에 대한 연구 -정의와 기능을 중심으로-

        이광선 ( Kwang Su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2

        커스텀주얼리는 오늘날 주얼리 중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고 가장 많이 착용되는 주얼리이다. 커스텀주얼리의 이런 중요도에 비추어봤을 때 정작 커스텀주얼리가 무엇이냐는 물음에 대한 답은 명확하게 주어져 있지 않다. 이 연구의 목적은 커스텀주얼리의 정체성과 다른 주얼리와 차별성을 역사적인 맥락의 분석을 통해서 그리고 주얼리의 여러 범주를 통해 규명해 보려는 시도이다. 역사적인 발전과정에서 보면 주얼리는 본래 장식의 기능뿐만 아니라 특정한 주술적 기능을 수행하거나 특정 계급의 권력이나 부유함을 드러내주어 복종이나 존경심을 불러일으킨 도구로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이같은 주얼리의 사회적 기능은 19세기이후 부차적인 것으로 간주되고 주얼리는 아름다움의 관점에서만 생산되었었다. 이때부터 귀금속과 보석만이 아니라, 아름다운 효과를 불러일으키는 모든 것이 주얼리의 재료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런 상황에서 1차 세계대전의 여파로 남성의 인구가 줄어 여성의 본격적인 사회진출이 시작되자, 이들의 의상을 장식하는 저렴한 주얼리가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되고 이것이 커스텀주얼리였다. 이 커스텀주얼리는 경제적 이윤추구의 목적을 위해 생산되고, 그 재료는 경제적인 관점에서 가격이 저렴하지만 아름다운 효과를 내는 모든 것이다. 생산방식은 제품을 디자인하는 디자이너와 실제로 생산하는 생산자가 나뉘는 독특한 형태를 취하며, 기능의 측면에서 보면 아트주얼리(Art Jewerly)나 파인주얼리(Fein Jewerly)와는 달리 신체나 의상의 아름다운 장식만을 위한 것이다. 주얼리 형태의 범주에서 볼 때 커스텀주얼리는 모든 조형적 가능성이 열려있는 아트주얼리와 고가의 재료를 과시하는 형태적 제한성을 지닌 파인주얼리 사이에 위치해 있다. 그러면서도 그것은 가능한 한 대중적인 아름다운 형태의 디자인을 보여주면서도 수요를 창출하기 위한 형태의 혁신, 즉 새로운 유행의 창출을 위한 압력에 놓여있다. 이 모든 면에서 볼 때 커스텀주얼리는 아트주얼리, 파인 주얼리와는 또 다른, 동등한 종류의 주얼리이다. Despite the importance of Costume Jewelry there is almost no clear definition about its identity. For that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identity of Costume Jewelry and its difference from Art Jewelry and Fine Jewelry, on the one hand by analyzing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Costume Jewelry appeared for the first time, and on the other hand by analyzing the categories of the jewelry itself, namely purpose, material, mode of operation, function and form. Historically, jewelry fulfilled not only the function of the beautiful adornment, but also certain religious function. In addition, it represented the power and wealth of the wearer. This social function of jewelry has disappeared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fter World War I during which women started to commit themselves to professional work places and became aware of the fashion, a new and unusual kind of jewelry began to appear, which could be produced en masse cheap at the factory for many female consumers. That was the birth of the Costume Jewelry. Costume Jewelry is produced mainly for the commercial purpose. Therefore, in order to be sold in large quantity, materials must be such that they are as inexpensive as possible and can be worked nevertheless beautiful. In the modes of operation of Costume Jewelry, designers and workers are usually separate, whereas in Art Jewelry and Fine Jewelry, a goldsmith masters all processes of producing. The function of Costume Jewelry, which is different from those of Art Jewelry and Fine Jewelry, is purely to decorate the body and the dress beautifully. So it needs to look generally beautiful to most people, and at the same time, it needs to be innovative enough to attract new customers all the time. Considering all these aspects mentioned so far, Costume Jewelry is not fake jewelry, but should be considered one kind of jewelry pari passu to Art Jewelry and Fine Jewelr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장래 한국에서의 신생아 집중관리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역사적 전망

        이광선 ( Kwang Sun Lee ),최중환 ( Jung Hwan Choi ),( Lawrence M. Gartner ),윤종구 ( Chong Ku Yun ) 대한주산의학회 1990 Perinatology Vol.1 No.1

        선진국에서는 신생아 집중관리가 사회적 요구와 기술적 능력의 합치에 의해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이에 저자등은 문헌고찰을 통하여 신생아 및 영아 사망률을 중심으로 신생아 집중관리의 발달 과정을 알아 보았고, 국내 및 국외의 통계 자료를 기초로 하여 장래 한국에서의 신생아 집중관리의 필요성을 사회, 경제적, 인구학적 측면에서 조사·분석하고 의료시설 및 인력, 의료숫가를 고려한 지역화 계획등을 세워 봄으로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한국은 현재 대다수의 국민이 신생아의 생존과 치료의 향상을 요구하는 사회·경제적 단계에 있으며, 이미 신생아 집중관리를 할 수 있는 의학적인 지식을 갖고 있으므로 향후 5년내에 빠르게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기간 동안에 의료요원의 훈련, 적합한 시설의 건설등이 꼭 이루어져야 하며, 전국적인 지역화가 요구되는 단계에 있으므로, 의료요원은 합리적 계획과 조직으로 높은 수준의 신생아 집중관리에 대한 준비를 해야 한다. 현싯점에서는 신생아 집중관리에 대한 비용-잇점(cost-benefit)분석이 명확히 되어 있지 않지만 신생아 집중관리의 질이 향상됨으로써 한국의 산모와 신생아, 그리고 나아가서 전 국민에게 혜택을 주게되고, 또한 신경학적인 후유증을 줄임으로써 인간으로서의 고통을 줄일 수 있고, 삶의 질을 향상 시킴으로써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다고 전망한다. In the developed countries, neonatal intensive care evolved as social demand was met by technical capability. It is our· prediction that Korea is entering that stage in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where the public will demand improved neonatal survival and outcome. Since much of the scientific basis for perinatal intensive care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Korea could rapidly enter into perinatal intensive care. Within the next five years, the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the objective of the training of staffs and constructions of suitable facilities should be accomplished. It apperars that Korea is at the juncture where it should prepare to meet the demand for obstetric and neonatal intensive care with regionalization to occur nationwide within a decade. It will come slowly, as it has in other developed nations, however. The medical profession should be ready to meet this need with a rational planning, organization, and most importantly, expectations for high standards of care. Although the cost-benefit analysis for this service may not be apparent at this time, a cascade effect of improved quality of medical care will eventually bring a far reaching benefit not only to mothers and children but also to the whole population. Efficiency in the reproductive process and reduction in poor neurobehavioral outcome will lessen human suffering, enhance the quality of life, and decrease economic waste.

      • KCI등재

        ‘항상 사용자의 이익을 대표하여 행동하는 자’의 의미와 범위

        이광선(Lee, Kwang-Sun) 한국법학원 2012 저스티스 Vol.- No.130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서는 노동조합의 개념을 설명하면서 사용자 또는 항상 그의 이익을 대표하여 행동하는 자의 참가를 허용할 경우 노동조합으로 보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고, 사용자의 개념으로 ‘사업주, 사업의 경영담당자 또는 그 사업의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동하는 자’라고 규정하고 있다(제2조 제4호 단서 가목, 제2조 제2호). 그런데 법률상 사용자로 분류되지만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동하는 자는 물론이고, 항상 그의 이익을 대표하여 행동하는 자의 대부분은 노동조합법상 근로자에 해당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노동조합에 가입할 수 없는 근로자의 범위를 확정하는 것은 이들 근로자의 노동 3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동하는 자의 정의와 범위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판례가 축적되어 있지만 항상 사용자의 이익을 대표하여 행동하는 자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기존 판례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동하는 자와 동일한 기준으로 판단하였고, 그 예가 많지 않을 뿐 아니라 기준도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대상판결은 명시적으로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동하는 자와 항상 사용자의 이익을 위하여 대표하여 행동하는 자의 개념을 구분하였을 뿐 아니라 그 판단기준도 제시하고 있어서 상당한 의미가 있는 판결이다. 즉, 대상판결은 이익대표자를 ‘근로자에 대한 인사, 급여, 징계, 감사, 노무관리 등 근로관계 결정에 직접 참여하거나 사용자의 근로관계에 대한 계획과 방침에 관한 기밀사항 업무를 취급할 권한이 있는 등과 같이 그 직무상의 의무와 책임이 조합원으로서의 의무와 책임에 직접적으로 저촉되는 위치에 있는자를 의미하므로, 이러한 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일정한 직급이나 직책 등에 의하여 일률적으로 결정되어서는 아니 된다고 하면서, 그 업무의 내용이 단순히 보조적ㆍ조언적인 것에 불과하여 그 업무의 수행과 조합원으로서의 활동 사이에 실질적인 충돌이 발생할 여지가 없는 자도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따라서 항상 사용자의 이익을 위하여 대표하여 행동하는 자에 대해서는 기존 판례와 같이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동하는 자의 판단기준인 ‘근로자의 인사, 급여, 후생, 노무관리 등 근로조건의 결정 또는 업무상의 명령이나 지휘감독을 하는 등의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로부터 일정한 권한과 책임을 부여‘받았는지 여부로 파악해서는 안 되고 대상판결에서 제시한 기준에 따라 판단을 해야 할 것이다. The concept of a trade union is defined in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pursuant to which if a person who always acts on behalf of an employer or the interests of an employer is permitted to participate in the organization, such organization is not deemed the trade union (Item A of the proviso to Article 2, Subparagraph 4 of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However, most of (ⅰ) the persons who act on behalf of the employer concerning the matters of the workers and (ⅱ) the persons who always act on behalf of the interests of the employer fall under a concept of “workers” under the Labor Union Act. Thus, to define the scope of the workers who cannot join the trade union is closely related to three labor rights of the workers. To a certain extent, there are accumulated judicial precedents regarding the definition and scope of “the persons who act on behalf of the employer concerning the matters of the workers”. However, with respect to “the persons who always act on behalf of the interests of the employer”, most of the existing judicial precedents have applied the same standards as those applicable to “the persons who act on behalf of the employer concerning the matters of the workers”. In practice, there are not many relevant cases concerning the dedinition of “the persons who always act on behalf of the interests of the employer” and the standards for determining such classification are not clear, either. The relevant ruling which is Supreme Court Decision 2008Doo13873, delivered on Sep. 8, 2011 clearly not only classifies the concept of (ⅰ) a person who acts on behalf of the employer concerning the matters of the workers and (ⅱ) a person who always acts on behalf of the interests of the employer but also presents the standards for determining such classification. Thus, it can be said that such ruling is considerab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levant ruling, a person who acts on behalf of the interests of the employer means a person who has a power to directly participate in the decision on the labor relationship such as personnel matter, salary, disciplinary action, audit, and labor management of workers or to handle confidential affairs with respect to the plans and policies of the employer with respect to the workers. In other words, the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of a person who acts on behalf of the interests of the employer directly conflict with those of a member of trade union. Thus, whether or not a worker falls under a person who acts on behalf of the interests of the employer should not be decided in a uniform way according to his/her position or title. In addition, a person who merely acts as a supporter or an advisor to the employer and whose acts have no actual chances of conflicting with the acts as a member of trade union should not be considered to be a person who acts on behalf of the interests of the employer. Therefore, whether or not a worker falls under “a person who always act on behalf of the interests of the employer”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standards presented in the relevant ruling, not based on the standards for determining those “who act on behalf of the employer concerning the matters of the workers” as seen in the existing judicial precedents (i.e., whether such worker is granted certain rights and responsibilities from the employer to make a decision on the employment conditions such as personnel matter, salary, welfare, and labor management of the workers or to give an order, to direct or to supervise related to duti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알랭 로브-그리에와 다수인물주의

        이광선(Lee kwang-sun)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4 프랑스문화연구 Vol.9 No.-

        Pour éclairer ce qui distingue les personnages des romans de la seconde moitié du XXe siècle de leurs prédécesseurs, nous fai sons l'hypothèse que leur spécificité tient à leur méthode de création. Bien que cette méthode soit nouvelle, son principe n'est pas une invention récente ; c'est ≪la coupure≫, qui se trouve déjà Le Banquet de Platon. Dans notre pensée ordinaire, la coupure est un acte de destruction. La voir corrnne un acte de création suppose une révolution de la pensée, une redéfinition du concept de coupure. En faisant de celle-ci un nouveau paradigme, nous pouvons comprendre ce que nous n'avons pu saisir avec la pensée dite logique, porter un nouveau regard sur le roman qui suit plus le modèle classique auquel les lecteurs étaient habitués. La coupure vient du mythe de Platon. Selon Le Banquet, aux temps rnythiquee, les hommes étaient des êtres doubles de trois sortes : homme-homme, femme-femme et homme-femme. Satisfaits d'eux-mêmes ils ne respectaient pas les dieux, et pour les punir ceux-ci les ont coupés en deux. Contrairement à ce que recherchaient les dieux en infligeant ce traitement aux hommes mythiques, la coupure n'a pas été une destruction, mais la création de nouveaux personnages. Nous avons d'abord vérifié notre hypothèse que la coupure peut devenir une méthode de création avec les personnages dans deux romans de Robbe-Grillet. Par la coupure, le personnage se multiplie et devient complexe. Dans Un regicide, Les gommes, Robbe-Grillet crée des personnages multiples par découpage et recomposition cubiste. Les personnage sont incomplets et leurs contours incertains, les figures se complètent progressivement avec les morceaux découpés du histoire. Les personnages chez Robbe-Grillet s'avèrent entourés d'une sorte de ≪vide≫, car ils sont éclatés en diverses figures éloignées les unes des autres. En développant le texte, Robbe-Grillet ≪remplit le vide≫ avec de nouveaux personnages, c'est-à-dire qu'il multiplie le personnage initial pour le compléter. Ce qui est remarquable dans les deux romans de Robbe-Grillet c'est la multplication du personnage romanesque qui s'effectue au moyen de la coupure. Nous appelons ce bouleversement dans la littérature, initié par Robbe-Grillet, ≪multi-personnalismc romanesque≫. il façonne avant tout un nouveau concept de personnage, mais ne s'y limite pas : il englobe les diverses manipulations dont le personnage et la narration sont l'objet de la part des auteurs et leurs effets. Dans le rnulti-personnalisme, le personnage ne cesse de construire sa propre image en faisant opérer la coupure interne. Comme s'il était plusieurs personnages différents, il se manifeste sans cesse sous de nouvelles figures, se fait autre. Au fils du roman, des liens s'établissent entre les différents principal. Ainsi, le multi -personnalisme se caractérise par le ≪polycentrisme du personnage≫), qui permet non seulement la multiplication des personnages, mais aussi la l'éclatement, la démultiplication du personnage lui-même. A travers le multi -personnalisme romanesque et le polycentrisme du personnage, nous arrivons au ≪personnage en devenir≫. Loin d'être donné au départ, prêt à entrer en scène, le personnage multiple est en voie de construction. Il n'est pas achevé ni fermé, mais vivant en développement, toujours en train de se constituer. Son point à la fin du roman il demeure un personnage ouvert, irréductible à une unique image fixe, comme 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