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효행담(孝行談)에 나타난 부모의 역할과 공감(共感)의 문제

        이강엽 ( Lee Kang-yeop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4 국제어문 Vol.63 No.-

        이 논문은 효행담이 부모와 자식 간의 윤리를 문제 삼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부모의 역할을 중심으로 부모자식 간의 관계 및 부모와 자식간의 공감 문제에 대해 살폈다. 첫째, 효행담의 기본틀과 부모자식 관계를 살핀 결과, 효행담에는 효행의 장애가 일상을 뛰어넘는 특별한 것이거나, 장애 극복에서 비상한 행위가 수반되거나, 효생의 보답이 신이하거니 보통 이상으로 행해지는 특성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부모와 자식의 관계를 살필 때, 문제상황에 대한 인식과 책임, 공감의 깊이 등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았다. 둘째, 효행담에 나타난 부모의 역할을 그 참여도와 긍정적 역할 수행 여부에 따라 세 유형으로 나누어 그 차이를 짚어보았다. `무심한 방관자`로 드러나는 이야기에서는 부모가 등장하기는 하지만 능동적인 역할을 보이지 않는 유형으로, 이런 이야기에서는 자식의 일방적 노력이나 희생에 의해 문제를 해결해나가면서, 자식이 부모에게 압도되는 상황이 연출된다. `희생의 요구자`로 드러나는 이야기에서는 부모가 자식의 특별한 희생이나 목숨 등을 요구한다. 부모가 자신의 존립을 위해서라면 어떠한 희생도 감수해야 한다는 확고한 신념과 그 신념을 잃지 않는 것이 가정을 지켜내는 길이라는 판단이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 `상생의 조력자`로 드러나는 이야기에서는 부모가 자식의 아픔을 공감하거나, 해결책을 찾아내는 데 적극적으로 나선다. 부모가 자식의 아픔을 함께 아파하면서 자식이 나아갈 수 있게 힘을 보태주는 이야기이다. 셋째, 공감의 층위와 의미에 대해 살폈는데, 인물과 인물, 화자와 청중, 작품과 독자의 세 층위였다. 인물과 인물 층위에서는 부모의 자식에 대한 공감이 문제였다. 아무 공감 없이 무심하게 지나가는 이야기에서, 어려움에 대해 함께 아파하는 이야기, 나아가 문제 해결의 단초를 제공하는 이야기들이 있다. 화자와 청중의 공감 또한 문제인데, 인물과 인물의 공감도가 높을수록 화자와 청중의 공감도도 높으며,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화자의 부연설명으로 공감도를 높여나가는 경향이 발견된다. This paper looked into the problem of empathy between parents` children and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ith focus on parents` role by observing that filial piety makes an issue of the ethic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First,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basic frame of the filial behavior story and the relations between parents` children, some characteristics were found that barriers to filial behavior is something special that goes beyond the daily routine; extraordinary behavior is accompanying in tiding over barriers; or reward for filial behavior is marvellous or is made more than average. Looking into the rela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ccording to such characteristics, this paper learned that perception of, responsibility for, and depth of empathy with problem situations could vary. Second, this paper tried to address the difference by dividing parental roles shown in filial piety stories by dividing them into three types. In the story in which parents are revealed to be thoughtless bystander, parents appear but don`t show an active role, and in such a story, developed is the situation where children are overwhelmed by parents while solving problems by children`s unilateral effort or sacrifice. In the story in which parents are revealed to be a `demander of children`s sacrifice`, parents demand children`s special sacrifice or life, etc. It seems that such a type of parents might judge that the right path to defend their family lies in their firm belief that children have to suffer whatever sacrifices for their parents` existence and in not losing such a belief. In the story in which parents are revealed to be an assistant for co-existence, parents sympathize with children`s pain or aggressively find a solution to a problem In other words, parents give strength in order for their children to make headway with their life while sharing children`s pain. Third, this paper looked into the layer & meaning of empathy, and there are three layers in empathy; the layer of characters , layer of a speaker and audience, and layer of a work and reader. In the layer of characters, parents` empathy with children was found to be a problem. In the story in which parents pass by without any empathy, there are episodes of sharing pain in relation to hardships, and further, an episode of providing the beginning of solution to a problems. The empathy between a speaker and audience is a problem as well, in which the higher the empathy leve between characters, the empathy level of a speaker and audience is getting higher; if not the case, discovered is the tendency to raise the empathy level through a narrator`s addition explanation.

      • KCI등재

        고전문학에 나타난 ‘가난’의 유형과 형상

        이강엽 ( Lee Kang-yeop ) 배달말학회 2019 배달말 Vol.64 No.-

        본 논문은 고전문학에 나타난 가난을 유형화하고 그 문학적 형상에 대해 살폈다. 고전문학의 가난은 단순한 경제적 빈곤 이외에 벼슬이 없는 상태 등을 드러내는 경우도 있으며, 안빈낙도 의식처럼 가난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기도 하는 등 가난에 대한 인식과 반응이 다르다. 첫째, 가난의 유형은 크게 자발성과 경제 행위에 따라 네 갈래로 구분된다. 첫째 ‘자발-근로 가난’ 유형으로 흔히 ‘청빈(淸貧)’으로 논의되는 가난이다. 둘째, ‘자발-비(非)근로 가난’ 유형으로 안빈낙도를 표방하는 식자층에서 많이 발생한다. 셋째, ‘비(非)자발-근로 가난’ 유형으로 열심히 일을 해도 곤궁한 ‘망빈(忙貧)’이다. 넷째, ‘비(非)자발-비(非)근로 가난’ 유형으로 일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적빈(赤貧)’이다. 둘째, 위의 네 유형에 따라 가난의 문학적 형상화 과정을 살폈다. 청빈(淸貧) 유형은 개인적 염결(廉潔)에 초점이 두어지지만, 공공선(公共善)까지 확장하는 내용으로까지 나아간다. 안빈(安貧) 유형은 가난의 주원인을 시속에 부합하지 못하는 자신의 특성에서 찾아 내면화하는 경우와, 시류가 순탄치 못해서 어쩔 수 없이 밀려난 외적 요인에 집중하는 경우로 갈린다. 망빈(忙貧) 유형에서는 원망의 대상이 비교적 분명한 가운데, 원망에 머물지 않고 치산(治産) 또는 치부(致富) 쪽으로 방향을 틀면 가난이 곧 부(富) 혹은 윤리의 문제와 직결되기도 한다. 적빈(赤貧) 유형은 가난을 통탄하는 것이 주조이지만, 윤리적인 올바름을 견지하면 외부의 도움이나 행운에 의해 문제가 해결된다는 식의 전개나, 가난의 아픔을 희화화하여 해학으로 극복해내려 하기도 한다. This paper typifies poverty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examines its literary shape. The povert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reveals the state of being out of politics other than simple economic poverty, and the perception and reaction to poverty are different, such as accepting poverty positively like the ‘being content amid poverty and taking pleasure in acting in an honest way’ consciousness. First, the types of poverty are large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spontaneity and economic activity. First, it is a type of ‘spontaneous - working poverty’ that is often referred to as ‘pious poverty’. Secondly, it occurs in many kinds of schlolars who express ‘being content amid poverty and taking pleasure in acting in an honest way’ as ‘spontaneous - non - labor poverty’ type. Thirdly, it is a ‘working poverty’ that is hard to work hard with ‘non - spontaneous - working poor’ type. Fourth, it is ‘absolute poverty’, which can not even be expected to work as ‘non - spontaneous - non - working poor’ type. Second, I examined the process of literary shaping of poverty according to the above four types. Although the pious poverty type focuses on personal sanctity, it extends to the extension of the public good. The type of taking pleasure in acting in an honest way is divided into cases of internalizing the main person of poverty from his own characteristics that can not match with the mood and concentrating on extrinsic factors which are inevitably pushed out due to the improperness of the pace. The working poverty is directly related to wealth or ethical issues if the direction of the government is toward Increasing propertythe without staying in the grudge while the object of the resentment is relatively clear. The type of absolute poverty is the casting of poverty, but if the ethical correctness is maintained, the problem can be solved by external help or fortune, or the poverty suffering may be overcome by humor.

      • KCI등재

        『삼국유사』 「興法」ㆍ「塔像」篇의 脫神話化전략

        이강엽(Lee Kang-yeop) 한국어문학회 2010 語文學 Vol.0 No.110

        This article explores strategies of demythologization exhibited in Heungbeop (興法; raising Buddhism(佛法)) and 「Tapsang (塔像; a stupa and a statue of the Buddha)」 in 〈Samgukyusa〉. First of all, this paper examined the reasons of mythologization and found the following three. One is the matter of the amount of information, and if a person has a little information, he may absolutize a certain fact and show overconfidence in it. Next, the fear resulted from the mortality of men leads to mythologization for the desire to overcome it easily. Lastly, if a person desperately wants to defeat his opponent in a competition, a victory for one side is approved excessively and he gets mythologized. Like this, once ‘ignorance, terror, or conflict’ triggers mythologization, efforts to get over the three lead to demythologization. Next,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the aspects of demythologization shown in 〈Samgukyusa〉, there were three methods employed: correction of the ignorance, overcoming of the terror, and intervention in the conflict. First, correction of the ignorance was performed by choosing reasonable data. In the case of 〈Sundojoryeo (順道肇麗; Sundo was the first who transmitted Buddhism to Goguryeo)〉, for instance, among historical books or Seungjeon (僧傳; a monk’s turning point), it selects the former as opposing the latter seemingly contributing to raising divinity to enhance reasonability. Second, overcoming of the terror was conducted in the direction to be cautious about superstition. For examp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eomchok and King Beopheung, 〈Samgukyusa〉 chose to describe them equally instead of adopting mythologization of Yeomchok. Third, intervention in the conflict was realized by driving to the co-winning of the two in the competition. Though character pairs like Misi/Jinja or Nohilbudeuk/Daldalbakbak display front and rear or superiority and inferiority, they all reach to the same goal eventually. Taking such description, it narrows the gap between the two.

      • KCI등재

        『三國遺事』「孝善」篇의 어머니像을 통해서 본 孝의 의미

        이강엽(Lee, Kang-yeop) 우리말글학회 2014 우리말 글 Vol.63 No.-

        이 논문은 母性이라는 관점에서 『三國遺事』「孝善」편 孝의 의미에 대해 다루었다. 첫째, 母性이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모신(The Great Mother)’은 생명뿐 아니라 죽음을 부여하는 이중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 이는 다시 ‘성장/성숙’이라는 틀 안에서 설명됨직한데, 어머니가 자식이 제대로 ‘성장’하여 어머니의 품을 떠날 수 있도록 해준다면, 그러한 베풂이 바로 어머니의 ‘성숙’을 보증하는 표식이 될 것이다. 둘째, 『三國遺事』?「孝善」편의 작품들 가운데 母性이 문제가 되는 네 작품 <眞定師孝善雙美>, <大城孝二世父母>, <孫順埋兒>, <貧女養母>의 편차에 대해 탐구했다. 우선, 네 작품 모두 ‘효성→효행의 장애→장애의 극복→보상’이라는 일정한 틀이 유지되지만 구체적인 장애의 종류나 극복 방법, 보상의 내용 등이 달랐고, 특히 불교적 속성 때문에 여느 효행담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개별 작품에서 孝의 실천 방법과 어머니의 역할에 대해 살핀 결과, 먼저, 장애 극복을 주도하는 인물이 어머니인가 자식인가, 혹은 어머니와 자식이 합심하여 행하는가 자식의 단독 행위인가에 따라 <眞定>, <大城>, <貧女>, <孫順>의 순서를 보였다. 다음으로, 장애를 극복하는 방식의 합리성에 따라 <眞定>과 <大城>, <貧女>, <孫順>의 순서를 보였다. 끝으로, 장애를 극복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自力에 있는가 他力에 있는가에 따라 <眞定>, <大城>, <孫順>과 <貧女>의 순서를 보였다. 셋째, 孝와 善의 관계에 대해 살폈다. <孫順>과 <貧女>는 어머니의 자식에 대한 慈愛가 표면화되지 않는 가운데 그저 어머니를 편안히 봉양하게 되는 것에 주안점이 두어졌지만, <大城>은 자식의 뜻을 헤아리고 윤회전생을 통해 스스로의 잘못을 깨치는 悔過를 통해 수행으로 나아가며, <眞定>은 주저하는 자식을 강하게 이끌어 출가수행하게 한 결과 불교 전적의 완성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어머니까지 성취를 이루게 한다. <孫順>의 주인공이 어머니의 봉양에 급급하여 이상적인 相生에 못 미치는 문제가 발생했다면, <大城>과 <眞定>은 자식의 성장을 도움으로써 자신도 성숙하게 되는 共同善을 이루는 과정이 잘 드러난다. This thesis treats the tales in “Filial Piety and Good Deeds” in Samkookyusa from the perspective of motherhood. First, I have examined the image of motherhood. ‘The Great Mother’ is duplicitous, giving not only life but also death. And it is explained in the framework of ‘growth/maturity’. If a mother sees to it that her child ‘grows’ well and starts an independent life, such provision would serve as a sign that guarantees the maturity of the mother. Second, I have studied differences among ‘Buddhist Monk Jinjeong’s Filial Piety and Good Deeds Are Beautiful’, ‘Kim Dae-seong Fulfills His Filial Piety for Two Generations of Parents’, ‘Sohn Sun Buries His Son’, and ‘A Poor Woman Takes Care of Her Mother’, the four pieces treating motherhood of all the titles included in “Filial Piety and Good Deeds” of Samkookyusa. To begin with, all of the four pieces partake of the clear framework: ‘filial piety → obstacles to fulfillment of filial piety → overcoming obstacles → compensation’. Yet, they differ in specific type of obstacle, ways to overcome them, and specifics of compensation, with especially their Buddhist characteristics registering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ypical tales of filial piety fulfilled. I have surveyed the four titles for the ways to fulfill filial piety and the role of a mother. First of all, in examining the tales, I have questioned whether it is the mother or the child that leads the overcoming of obstacles or whether it is a concerted act of the mother and the child or the child’s independent act. And the tales have come in the order of ‘Jinjeong’, ‘Daeseong’, ‘Poor Woman’, and ‘Sohn Sun’. Next, with regard to the ways to overcome obstacles and rationality, the tales have come in the order of ‘Jinjeong’, ‘Daeseong’, ‘Poor Woman’, and ‘Sohn Sun’. Lastly, when the tales are examined to see whether the decisive factor in overcoming obstacles is a person’s own ability or some other power, they have come in the order of ‘Jinjeong’, ‘Daeseong’, ‘Sohn Sun’, and ‘Poor Woman’. Third, I have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filial piety and good deeds. ‘Sohn Sun’ and ‘Poor Woman’ in which the mother’s affection for the child is not visibly treated, has their focus on providing comfortable care for the mother. Whereas, ‘Daeseong’ shows how a child’s intention is correctly understood and how a character progresses to attainment through repentance of errors, which consists in realizing one’s errors through metempsychosis in the eternal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And ‘Jinjeong’ begins by pursuing the path toward the Buddhist priesthood and practice of asceticism and practices salvation of humankind through joining the Buddist priesthood until at last he ensures the mother’s achievement. While the main character of ‘Sohn Sun’ overly focuses on taking care of his mother and thereby fails to achieve coexistence, ‘Daeseong’ and ‘Jinjeong’ convincingly demonstrates how one achieves maturity by helping the child’s growth.

      • KCI등재

        성(聖)과 속(俗)의 경계(境界),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신발 한 짝"

        이강엽 ( Kang Yeop Lee ) 한국고전문학회 2013 古典文學硏究 Vol.43 No.-

        이 글은 성(聖)과 속(俗)의 경계(境界)라는 관점에서, 『삼국유사(三國遺事)』의 몇몇 설화에 등장하는 ‘신발 한 짝’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이는 그간 신발을 신발 주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수단으로 인식해오던 한계를 넘어 주제적인 국면까지의 해명을 시도한 것이다. 첫째, ‘신발 한 짝’의 신화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신발 한 짝이 이른바 ‘신데렐라형(型)’ 이야기에서 한쪽 신발은 이쪽 세계에 한쪽 신발은 저쪽 세계에 둠으로써 그 주인이 양쪽에 걸쳐진 존재를 표상하며, 우리 불교설화에서는 ‘관음’이라는 상징을 통해 아래로는 중생을 구제하고 위로는 부처의 깨침을 추구하는 중간자적 존재로 드러날 때 신발 한 짝이나 버선 한 짝 같은 식의 상징물이 사용되었다. 둘째, 『삼국유사』에서 신발 한 짝이 나오는 자료를 살폈다. ?탑상(塔像)?편의 <남백월이성노힐부득달달박박(南白月二聖努?夫得??朴朴)>, <낙산이대성관음정취조신(洛山二大聖觀音正趣調信)>, ?의해(義解)? 편의 <이혜동진(二惠同塵)>, ?감통(感通)?편의 <욱면비염불서승(郁面婢念佛西昇)> 등 네 자료에 드러나는데, 이들은 모두 신발 한 짝으로 두 세계에 걸쳐있는 인물, 혹은 이 세계에서 저 세계로 이동하는 인물의 특성을 드러내준다는 공통점을 지니지만 각 작품의 구체적인 양상은 다르다. <남백월이성노힐부득달달박박(南白月二聖努?夫得??朴朴)>은 신발이 옮겨간 방향이 신라에서 중국이 되게 함으로써 신라를 불법 전파의 성지(聖地)로 귀결시킨다. <낙산이대성관음정취조신(洛山二大聖觀音正趣調信)>에서는 신발 한 짝은 진세(塵世)에 둔 채 나머지 신발한 짝을 끌고 정토(淨土)에 좌정(坐定)하는 서사를 통해 관음이 진세(塵世)와 정토(淨土)에 걸쳐있는 존재임을 드러낸다. 또, <이혜동진(二惠同塵)>은 신발 한 짝은 동쪽 언덕에 남긴 채 다른 한 짝은 서방으로 가는 모습을 그려서 화광동진(和光同塵)을 극적으로 구현해낸다. <욱면비염불서승(郁面婢念佛西昇)>은 신발을 떨구고 육신마저 떨어낸 후 완벽한 해탈을 이루는 서사로 귀결되었다. 신발이 한 짝으로만 제 기능을 할 수 없는 것처럼, 나머지 한쪽과의 통합을 갈구하면서 양자 사이의 불균등을 해소하여 위아래 구분 없이 평등한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 이런 이야기들의 핵심 주제이다. 신발 한 짝이 등장하는 설화는 곧 성(聖)과 속(俗), 미각(未覺)과 각(覺), 윤회(輪廻)와 해탈(解脫)의 경계에서 그 둘이 어떻게 중개되며 궁극적으로 하나로 통합되는지 밝혀내는 서사인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meaning of ``a shoe`` of the Samkookyusa with respect of the boundary between the Sacred and Profane. Firstly, I examine the mythological meaning of ``a shoe.`` The shoe like the one in Cinderella story represents its owner`s existence involved in both worlds. In our Buddhism fables, when she saves the world and, at the same time, pursues the enlightenment of Buddha, such shoe has been used as a symbol of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and thus it represents the mediator between ordinary people and Buddha. Secondly, I examined four chapters of the Samkookyusa where such shoe is described: <Two Saints of Nambeckwolsan, Nohilbudeuk and Daldalbakbak> and <Kwanem and Jeongchui, two saints of Naksan and Choshin> of the section ``Topsang`` and <Hyesook and Hyegong live together in secular society> of the section ``Uihae`` and <Wookmyeon, a female servant, goes up the heaven> of the section ``Kamtong.`` The shoe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 person either being involved in both worlds or moving from this world to that world. In the story of <Two Saints of Nambeckwolsan, Nohilbudeuk and Daldalbakbak>, such shoe moves from Silla to China, which makes Silla as a sacred place of propagation of Buddhism. In the story of <Kwanem and Jeongchui, two saints of Naksan and Choshin>, the character leaves one of his shoes in secular world but, wearing the other one of his shoes, he walks up to the heaven and settles there, which indicates he is a sort of mediator between the heaven and the world. In addition, <Hyesook and Hyegong live together in secular society> describes a story where, leaving one of his shoes in the eastern hill, the character takes the other shoe until he arrives at the heaven, which achieves dramatic realization of integrating the Sacred and Profane. <Wookmyeon, a female servant, goes up the heaven> is a story about a woman who reaches complete nirvana by taking off her shoes and even her body. The main theme of these stories is that we should long for the integration and thus return to the world of equality by resolving inequality between one and its counterpart just as a shoe cannot serve its function without the other shoe.

      • KCI등재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설화의 해석과 교육

        이강엽(Lee, Kang-yeop) 우리말글학회 2017 우리말 글 Vol.75 No.-

        이 논문은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의 올바른 해석을 통해 교육적 효과를 높이려는 목적으로 씌어졌다. 첫째,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의 근원이 되는 『삼국유사』와 그리스·로마신화를 살폈다. 경문왕 이야기는 복잡한 등위 과정과, 뱀과의 동침, 당나귀 귀의 변고, 화랑들의 노래 등을 통해 통치 방식을 깨치는 과정이다. 미다스왕 이야기는 왕이 선행에 대한 답례로 황금손을 갖게 되지만 그로 인해 불행이 찾아오고, 자연으로 돌아가 아폴로와 판의 음악 대결에서 판의 음악이 낫다고 평하면서 당나귀 귀의 수모를 겪는다. 둘째, 아동물에서의 재화(再話) 양상에 대해 살폈다. 우선,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에서는 당나귀 귀를 백성들의 이야기를 잘 듣는 능력으로 해석하였다. 이런 양상은 교과서 밖의 아동물에서도 확인되는 바, 비밀 누설의 죄를 뒤집어쓰고 궁지에 몰린 약자 측에서 권력자의 선의를 유도해내는 기지를 발휘함으로써 문제를 풀어낸다. 셋째, 이야기의 해석과 교육에 관해 살폈다. 먼저, 이야기 전체를 정합적으로 다룬 작품이 많지 않아 개작자의 의도대로 자의적으로 읽힐 소지가 크다. 다음으로, 문제해결의 주체로 나서는 사람이 임금으로 설정되어 본의에서 벗어나며, 재화 과정에서 디테일을 놓치는 경향이 짙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mprove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appropriately interpreting “The King"s Ears are Donkey Ears“ First, the Samkuk Yusa and the Greek and Roman Mythology, the origin of “The King"s Ears are Donkey Ears", are exhibited. The story of King Gyeong-mun shows how the king learns to govern throughout a complicated accession process, a night with a snake, trouble with the donkey’s ears, and a song of ”Hwarang“s. In the story of King Midas, everything he touches turns into gold in return for good deeds, but he goes back to nature as that golden touch only brings him misfortunes. Back in nature, at a music competition, King Midas favors Pan’s music over Apollo’s, and the furious god Apollo gives him a pair of donkey ears. Second, the aspects of rewriting children"s books are analyzed. In textbooks, the donkey ears are interpreted as the ability of carefully listening to the people. This aspect is also confirmed outside the textbooks, and problems are solved by taking a tact of inducing the good faith of the superior, in the perspective of the inferior who is in trouble of revealing a secret. Third, the interpretation and the education of the story are studied. First of all, since there are not many works of the whole coherent story, the story is likely to be read according to the authorial intent. Next, in that the problem-solver is set to the king, it is off the original purpose. Finally, in the process of rewriting, it tends to miss out the finer details of the narration.

      • KCI등재

        현우형제담(賢愚兄弟譚)의 경쟁과 삶의 균형

        이강엽 ( Lee Kang-yeop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41 No.-

        이 글은 현우형제담((賢愚兄弟譚)에 나타난 형제 경쟁의 양상과 의미에 대해 살폈다. 첫째, 현우형제담의 자료와 유형에 대해 고찰했다. `바보 형제` 유형은 한쪽 형제는 정상이지만 한쪽 형제가 몹시 어리석어서 우행(愚行)을 일삼는 이야기다. `명의 형제` 유형은 한쪽 형제가 명의이지만 어머니 병에 속수무책으로 있고 다른 형제가 나서서 약을 구하는 이야기다. `명인 형제` 유형은 널리 알려진 명인과 그보다는 못하지만 역시 똑똑한 형제가 있는데, 국난이 일어나자 명인이 아닌 다른 형제가 나서거나 명인을 도와서 문제를 풀어나가는 이야기다. 둘째, 형제경쟁의 유형별 양상에 대해 분석했다. `바보 형제` 유형은 똑똑한 형제가 시키는 대로만 하다가 바보 형제가 실패를 거듭하는 내용이 주조이나, 따라만 하는 천진함이 동정을 사서 문제를 해결한다. `명의 형제` 유형은 명의로 소문난 형제는 머리로 어머니 병을 알지만 나서지 않고, 동생은 몸으로 나서 약을 구한다. `명인 형제` 유형은 밖으로 역사적 과업을 성취한 인물은 명인이지만, 그 과업을 이룰 수 있도록 안에서 준비하고 도운 인물은 다른 형제이다. 셋째, 형제 경쟁담을 통해 삶의 균형을 찾아가는 문제에 대해 살폈다. 먼저, 경쟁은 본디 공정한 규칙에 의한 겨루기를 그 속성으로 하는데, 민담은 경쟁 이외에 우연 같은 자질에 관심을 보인다. 경쟁이 힘을 발휘할 수 없는 영역에 우연이 개입함으로써 삶의 유연성을 키워나가는 것이다. 또, 이 세유형 모두에서 형제의 자질은 상호보완적이다. `바보 형제` 유형에서는, 똑똑한 동생은 인과론적 세계관을 가지고 특별한 목적을 위해 일을 하는 반면, 바보 형은 천진하게 주어진 대로 진행하여 새로운 돌파구를 찾게 한다. `명의 형제` 유형에서는, 형은 의술에 의한 처방만을 신봉하며 동생은 효성에 의한 실천을 중시하여, 형은 쉽게 포기한 것을 동생은 끝까지 모색하여 어머니 병을 치료한다. `명인 형제` 유형에서는, 빨리 성취한 동생이 사실은 그러느라 준비가 부족했으며, 늦게 성취하는 형은 동생의 그런 부족한 점을 채워줄 수 있었다. 현우형제담은 모두 형과 동생이 표면적으로 능력의 우(優)/열(劣), 지혜의 현(賢)/우(愚)를 갖지만, 그 이면에는 품성의 열/우 등이 작동하는 것을 보인다. 결국 이 설화는 형제가 일정영역을 감당하면서 이면적으로 전도된열(優)/우(優), 우(愚)/현(賢)이 한데 합쳐짐으로써 합일과 화합을 통해 온전한 삶으로 나아가도록 촉구한다. This paper looks into the aspect and meaning of sibling rivalry manifested in wise, foolish brothers. First, this study considers the materials and types of tales about wise, foolish brothers. The “Moron Brothers” type is the tale of habitually committing follies due to one brother`s excessive stupidity, though the other brother is normal. The “Noted Doctor Brothers” type is the tale, in which one brother is at a loss for what to do about his mother`s disease though he is a noted doctor, while the other brother rolls up his sleeves to find a medicine, and finally makes it. A “Master Brothers” type is the tale, in which there lives a widely known master. He has brother who is also smart though somewhat less competent. When a national crisis breaks out, it is none other than the less competent brother who comes forward to rescue of country, or solves the crisis by helping the master brother. Second, this paper analyzes the aspects of sibling rivalry. The main structure of the “Moron Brothers” story is that a foolish brother continually fails while doing things only the instruction of a smart brother, but problems are solved by winning others` sympathy. In the “Noted Doctor Brothers” type, a son famous as a noted doctor gives up on curing his mother`s disease, even though he knows that there is another who can find medicine he has prescribed. The “Master Brothers” type sends a message that it is the master who achieves a historical task, but the character, who prepares and assists so that the task can be accomplished is his brother. Although the master who attained eminence first, and was assigned an important task, the position of the two brothers is consolidated when the other brother, who failed to rise in the world, takes charge ofpreparations for the task. Third, this paper lookes into the meaning of sibling rivalry. First, the rivalry lies in sparring based on fair rules, and in this regard, the subversiveness of a the folktales is that they make the rivalry appear to be based on concidences. Next, no matter what the type of story, the quality of the two brothers is always complementary. In the tale of the `Wise and Stupid Brothers`, an elder brother and a younger brother have superiority/inferiority in ability, and cleverness/foolishness on the surface, but the tale ends with a narrative of oneness and harmony through ultimate reeversal of the inferiority/superiority, and foolishness/cleverness as the two deal with a challenge or problem.

      • KCI등재

        연행록(燕行錄)의 "코끼리" 기사(記事)와 박지원(朴趾源)의 「상기(象記)」

        이강엽 ( Kang Yeop Lee ) 한국한문학회 2011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8

        본 논문은 『熱河日記』 이전의 燕行錄에 실린 코끼리 관련 記事를 추적하여, 그 내용이 어떻게 변화하여 「象房」을 거쳐 「象記」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살폈다. 첫째, 연행록의 코끼리 서술은, 처음에는 그저 단순한 奇物로서의 구경거리를 소개하는 정도에서 차츰 관찰을 통해 구체적인 묘사로 나아가고, 나중에는 傳言과 탐문을 동원하여 사유의 단초를 마련하면서 형용하기 어려운 복잡한 형상을 그려내는 데까지 진척되었다. 이런 양상은 허봉의 『朝天記』, 인평대군의 『燕途紀行』, 김창업의 「燕行日記」, 홍대용의 「湛軒燕記」를 거치면서 구체적으로 확인된다. 둘째, 박지원의 「象房」은 관찰을 통해 코끼리의 외양을 상세히 묘사하고, 부족한 부분은 탐문을 통해 좀 더 깊이 있게 알아내면서 코끼리의 靈物스러움을 확인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코끼리의 양면성을 드러내는데, 특히 이전의 연행록에 비해 코끼리의 자율적으로 움직이려 들지 않으면 강제로 부릴 수 없다는 내용이 강조된다. 셋째, 박지원의 「象記」는 크게 두 단락으로, 앞 단락이 코끼리와 관련한 단편적인 이야기라면 뒤의 단락은 코끼리를 끌어다 쓴 論辨이다. 그 구성을 살피면 「象房」에서 양면성을 강조한 내용이 그대로 이어 오면서 몇 개의 에피소드를 첨가하는데, 이러한 각각의 소단락들은 뒤의 논변 단락과 정확히 대응되도록 꾸며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결국, 「象記」에 소용되는 코끼리 관련자료들은 대체로 그 이전의 연행록에서 쉽게 구할 만한 것들이며, 그것이 「象房」을 거쳐 특정한 부분이 강조되면서 하나의 주제로 집약될 기반을 마련했고, 다시 「象記」라는 걸출한 記文을 만들어낸 것이다. This paper looked at how the contents of the story changed and passed through 「sangbang」to 「sanggi」by tracing the story related the an elephant printed in yonghaengrok(i.e. records on envoys' visits to Peking) prior to 「yeolhailgi」. First, in the description of the elephant in 「yonghaengrok」, Park, Jiwon started its description at a level of introduction of simply an spectacle as a weird thing, and then gradually made a concrete portrayal through close observation and at length, went forward with a description of an indescribable complicated shape of it with the preparation of a clue to his thoughts by mobilizing a message and questioning. Such an aspect is actually identified by going through with Huh Bong's 「jocheongi」, Inpyong daegun's 「yondoilgi」, Kim, Changeop's 「yonhaengilgi」, and Hong, Daeyong's 「Damhenyongi」. Second, Park, Jiwon's 「Sangbang」identified the elephant's looks like a mystical animal thr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uter appearance of an elephant based on his observation and more in-depth grasping of the shortage of its description through questioning. In the process like this, Park, Jiwon managed to naturally expose the elephant as an intelligent animal assuming double sidedness, and particularly the content that the elephant was difficult to handle forcibly when it wouldn't try to move autonomously, was emphasized comparing to the previous 「yonhaengrok」. Third, Park, Jiwon's 「sanggi」is roughly divided into two paragraphs; its former paragraph is a fragmentary story related to the elephant while the latter paragraph is a kind of argument written by citing the elephant. To look at its composition, it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content focusing on double-sidedness of the elephant in 「sangbang」is linked to 「sanggi」as it is, with the addition of some episodes. and such sub-paragraphs were devised to accurately be responded against the latter argument paragraph. After all, the materials related to the elephant used for 「sanggi」were already easily available in previously written 「yeonhaengrok」,and Park, Jiwon laid foundation for integrating those materials into one theme with specific parts of those emphasized in his work 「sanbang」, finally creating 「sanggi」which is rated as a writing of outstanding meri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