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소설의 디아스포라 연구 - 『마음이 사는 집』, 『농담이 사는 집』, 『나는 브라질로 간다』를 중심으로-

        윤현진 ( Yun Hyeon-jin ) 한민족어문학회 2018 韓民族語文學 Vol.0 No.80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출판된 청소년소설 『마음이 사는 집』, 『농담이 사는 집』, 『나는 브라질로 간다』 작품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의식과 청소년 디아스포라 인의 고뇌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인류학적으로 볼 때, 인류는 누구나 청소년기를 거쳐 가는 잠재적 디아스포라 의식을 가진 존재다.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은 복합적이고 모호하다. 청소년의 불완전한 ‘나’의 정체성은 어느 곳에도 속하지 못한 채 경계에 서 있는 디아스포라 의식과 일치된다. 세상에 내던져진 존재, ‘나는 누구인가.’란 질문을 끊임없이 되풀이하는 디아스포라의 혼란과 분열을 우리는 청소년기라는 진화의 과정 속에서 비슷하게나마 경험하게 된다. 이에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의식과 청소년 디아스포라 인의 고뇌를 살펴보는 것은 인류의 경계인이자, 중간자인 청소년의 모호성을 이해함과 동시에 다채로운 색깔을 가지고 있는 인간 본연의 존엄을 존중하고자 하는 인류애로 이어지는 확장의 의미를 갖는다.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의식은 ‘불완전’의 아름다움이다. 청소년소설에서 ‘불안’은 참된 자기, 본래의 자아를 찾을 수 있는 상황으로 만드는 성장의 장치로 작용한다. 청소년의 디아스포라적 경험은 불완전한 존재의 ‘나’를 아름다운 ‘나’로 성장시킨다. 역설적으로 청소년소설에서 디아스포라의 흔들림은 문학적 장치가 되어 아름다움으로 승화된다. 그것은 인종과 민족, 어떤 곳에도 소속되지 않고, 이념에 편향되지 않는 경계인이 가질 수 있는 인류애로 연결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청소년 디아스포라 인의 존재는 ‘이중 경계인’으로서 고뇌를 안고 있다. 민족 정체성과 자아 정체성을 동시에 고민하게 되는 청소년 디아스포라 인은 자기발견의 결과와 타협과 자아각성을 하며, 통과제의 즉 존재론적 위치의 변화를 겪게 됨과 동시에 이민자의 정체성을 통해 타자성에 대한 고뇌를 드러낸다. 청소년 디아스포라 인의 존재와 고뇌를 이해하는 것은 단순히 한 개인을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 문화, 국가, 인종 등의 사회 문제로 확장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itual of Diaspora and the anguish of juvenile diaspora in the following novels published since the 2000s, 『A house where hearts live』, 『the house where jokes live』, 『I go to Brazil』. Anthropologically, mankind has a potential diasporan consciousness that goes through adolescence. The identity of the diaspora is complex and ambiguous. The incomplete 'I' identity of the juvenile is consistent with the diasporic ritual of standing at the border without belonging anywhere. In the growth within adolescence, we experience similar confusion and disruption of the diaspora, which is constantly repeating the question of who is thrown into the world, WhoamI? Tounderstand the diasporicritual sand the a gonies of the adolescent diasporas in juvenile novels is to understand the ambiguity of juvenile, the boundaries of mankind, and the meaning of expansion that leads to humanity in order to respect the dignity of human beings with colorful colors. The diasporic ritual in juvenile novels is the beauty of 'imperfection'. In an adolescent novel, 'anxiety' acts as a device of growth that makes it possible to find one’s true and original self. The diaspora experience of adolescence grows the 'I' of the imperfect existence into a beautiful 'I'. Paradoxically, the youthfulness of diaspora in the juvenile novels becomes a literary device and sublimes to beauty. It is linked to the humanity of race and race, the boundaries that do not belong anywhere, and which are not biased toward ideology. In reality, however, the existence of the juvenile diaspora is suffering as a 'double border'. The juvenile diaspora, who is troubled with both national identity and self-identity, is forced to experience self-discovery, compromise, and self-awakening. and pass the proposal to be born again as another person, Reveal the agony of otherness through the identity of the other. Under standing the existence and agony of the juvenile of diaspora can be extended beyond simply understanding one individual to include larger social issues such as culture, the nation, and race.

      • KCI등재

        한국 현대 청소년시의 ‘타자성’ 연구 ― 2000년대 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

        윤현진 ( Yun¸ Hyeon-ji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83

        이 논문은 2000년대 이후 한국 현대 청소년시에서 ‘타자성’의 탐색을 통해 청소년의 타자 수용의 자세와 그들 삶의 행방을 발견하고자 한다. 한국 현대 청소년시가 문예사적 흐름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담론화하기 시작한 움직임 속에 주목할 만한 동향은 바로 ‘타자성’이다. 청소년시에서 ‘타자성’을 찾는 것은 자아의 나르시시즘을 점멸하고, 그 ‘존재론 넘어’를 보는 일이다. 더불어 타인의 타자성을 동일화하는 기존 체제를 거부하면서, 청소년 혹은 시적 화자 혹은 창작의 주체가 청소년시 안에서 타자와의 진정한 관계적 만남으로 나아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청소년시에서 불특정한 시적 화자는 타자와 어떤 실재(實在)에 도달하고 있는가, 그 도달의 의미는 끝은 무엇을 지향하는지 탐색한 결과, 분투의 과정 속 청소년에게서 ‘타자’를 보고자 했던 한국 현대 청소년시는 감정적 고립에 취약한 청소년과 그 주변의 모습을 환기(喚起)하고 있다. 한국 현대 청소년시에서 타자의 발견과 이해의 자리매김은 새로운 주체성과 다문화 시대에 요구되는 공동체의 가치를 논의하고 있으며 이는 청소년시의 ‘깊이’에 관한 문제이기도 하였다. 한국 현대 청소년시의 영역은 아직 불완전하며 개척해가야 할 미지의 세계이다. 그 미묘함의 세계에서 새로운 시대의 서정 미학의 탄생을 기대한다면, 그들의 ‘타자성’을 끝없이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is thesis seeks to discover the attitude of adolescents to accept the other and the whereabouts of their lives through the search for ‘otherness’ in contemporary Korean juvenile poetry after the 2000s. The notable trend of the modern Korean juvenile poetry movement to actively accept and discourse the flow of literature and history is ‘otherness’. Searching for “otherness” in adolescent poetry is to flash the narcissism of the self and see “beyond ontology”. In addition, while rejecting the existing system that equalizes the otherness of others, it was examined whether the youth, the poetic speaker, and the creative subject are moving toward a true relational encounter with others. In adolescent poems, an unspecified poetic narrator is trying to see ‘the other' in the youth in the process of struggling as a result of exploring what reality is reaching the other and what the end is aiming for. contemporary Korean juvenile poetry arouse youth who are vulnerable to emotional isolation and their surroundings. In contemporary Korean juvenile poetry, the discovery and positioning of others is discussing the new subjectivity and the value of community required in the multicultural era, which is also a matter of the “depth” of juvenile poetry. The realm of contemporary Korean juvenile poetry is still incomplete and is an unknown world to be pioneered. If we expect the birth of a new era of lyrical aesthetics in the subtle world, we need to endlessly seek their “otherness”.

      • KCI등재
      • KCI등재

        ‘담화공동체’로서의 글쓰기 교육 효과 연구 : 대학 비교과 글쓰기 소모임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윤현진(Yun, Hyeon-Ji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비교과 글쓰기 소모임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통해 ‘담화공동체’로서의 글쓰기 교육 효과를 살펴보고, 대학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목적과 목표를 제안하는 데 있는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첫째, 비교과 글쓰기 소모임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의 304편의 글을 분석대상으로 삼았으며, 대학 글쓰기 교육 효과 입증을 위한 연구 결과물에는 테마별, 글의 수준 및 학습자의 프로그램 참여도를 고려하여 간추려 제시하였다. 둘째, 온라인 댓글에 적힌 동료 및 교수자의 조언 내용을 분석하여 비교과 글쓰기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도를 유도하고 온라인 글 공유가 구성원에 대한 이해와 관계로 나아가는지 살펴보았다. 셋째,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을 통해 대학 글쓰기가 지향해야 하는 새로운 목적과 목표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비교과 글쓰기 소모임 프로그램의 사례 및 댓글, 설문지 분석을 통해 대학에서 인간 지성의 해방, 담화공동체의 중요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대학에서 비교과 글쓰기 소모임 프로그램은 글쓰기 교육이 읽기와 쓰기의 상호작용을 통해 나눔과 협력의 힘을 키울 수 있다는 점이다. 대학이라는 지식 공동체 안에서 학문을 한다는 것은, 결국 지식의 이해, 수용, 적용이 적절히 이루어져야 하고 나아가 지식을 올바른 방향으로 활용하게 하는 것이다. 둘째, 이러한 글쓰기 교육 방안이 거시적인 측면에서 대학 교양교육 교과내용을 구성하는 데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으며, 글쓰기센터에서 글쓰기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 데도 일정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본다. 셋째, 비교과 글쓰기 소모임 프로그램과 교육 방법은 최근 평생학습이 강조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지역의 평생학습관이나 도서관, 구청 등의 글쓰기 강좌에서도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writing education as a “discourse community” through comparison and case studies of writing small group programs, and to suggest new goals and goals for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Method: First, 304 articles of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mparison and writing small group program were analyzed as the object of analysis, and the study result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were briefly presented in consideration of each theme, the level of writing, and the learner s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Second, by analyzing the advice of peers and teachers written in online comments, a comparative writing program guides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and online article sharing was further linked to their understanding. Third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for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we considered the new goals and objectives that university writing should aim for. Results: Through the case study, comments and questionnaire analysis of the small group program for comparative writing,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liberation of human intelligence and the importance of the discourse community in universities. Conclusion: The comparative writing small group program in college is that writing education can foster the power of sharing and cooperation through reading and writing interactions. Researching in a knowledge community called a university means that knowledge will be properly understood, accepted, and applied, and that knowledge will be used in the right direction. Second, such a writing education plan can present a direction for constructing the liberal arts subject content of a university from a macroscopic point of view, and even when developing a writing program model at a writing center, Hope we can provide suggestions. Third,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lifelong learning is emphasized, the comparison and writing consumption program and education method can be practically used in writing courses in local lifelong learning centers, libraries, and ward offices.

      • KCI등재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국적과 전공의 조절효과

        악명,윤현진,박상문,Yue, Ming,Yun, Hyeon-Jin,Park, Sangmoon 한국벤처창업학회 2014 벤처창업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창업의도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Ajzen의 계획된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개인의 태도, 주관적 규범 그리고 인지된 행동의 통제가 창업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국적과 전공 특성에 따라 계획된 행동이론의 영향요인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창업의도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해서 한국과 중국의 컴퓨터공학과와 경영학과 총 359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창업에 대한 개인의 태도와 인지된 행동의 통제는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주관적 규범은 유의한 영향을 미지지 않았다. 둘째, 계획된 행동이론의 영향요인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국가와 전공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개인의 태도는 국가와 전공에 무관하게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규범은 양 국가 모두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컴퓨터공학과 학생에게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인지된 행동의 통제는 한국 대학생과 경영학과 학생에게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창업의도에 대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ased on the TPB, we compare the on the effects of TPB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with nationality and maj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China. For empirical analysis, we collected total 359 survey data from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omputer Science and Business area both in Korea and China. Empirical results show that personal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except subjective norms,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se relationships have differ according to nationality and majors. China students have shown positive effect of personal attitude, without significants relationship with perceived behavior control. For students majoring in Computer Science have shown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ersonal attitude and subjective norms, differing from those majoring in Business with personal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variable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entrepreneurial intention resear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