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섬진강 하구역의 동물플랑크톤 군집구조와 요각류 생산력 연구

        윤석현,오광석,정미희,Youn, Seok-Hyun,Oh, Ghang-Sok,Chung, Mi-Hee 해양환경안전학회 201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6 No.4

        이 연구는 성전강 하구역의 계절별 동풍플랑크톤 분포 특성과 주요 요각류 우점종의 생산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9년 5월부터 2010년 2월까지 계절별로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경사를 고려한 10개 정점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군집은 총 31개 분류군으로 구성되었으며, 계절별 평균 출현 개체수는 $4,151\;ind.{\cdot}m^{-3}$이다. 평수기 조사수역의 동물플랑크톤은 연안성 동물플랑크톤이 주로 출현하였으나, 풍수기에는 기수성 동물플랑크톤의 출현이 하구역 중 상류에서 집중되었다. 현장실험을 통해 얻어진 Acartia spp.와 Paracalanus parvus s.l.의 성장률은 수온과 염분 변화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점 요각류를 대상으로 계산된 섬진강 하구역의 연간 요각류 생산력은 $3.49\;g\;C{\cdot}m^{-2}{\cdot}yr^{-1}$로 비교적 높은 생산력을 보였으며, 이처럼 섬진강 하구역의 동물플랑크톤 생산력이 높은 것은 높은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바탕으로 다양한 염분 범위에 따른 연안종과 기수종의 다량 출현 때문으로 판단된다.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copepod production in Seomjin River estuary were investigated at 10 stations along the salinity gradients from May 2009 to February 2010. Total zooplankton taxa were identified to be 31 in the study area and seasonal average abundance of zooplankton was $4,151\;ind.{\cdot}m^{-3}$ during the study period. Zooplankton community was mainly composed of coastal species in dry season. However, brackish species dominated in upper or middle part of this estuary in flood seas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growth rates of Acartia spp. and Paracalanus parvus s.l. measured from field experiments were regulated by the variations of H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The annual copepod production estimated by dominant copepod species was $3.49\;g\;C{\cdot}m^{-2}yr^{-1}$, and the relatively high production value could be explained by the high phytoplankton standing stocks and the mass occurrence of coastal and brackish species with relation to various salinity gradients in Seomjin River estuary.

      • KCI등재

        염색폐수 처리를 위한 하이브리드 플라즈마 특성연구

        윤석현(Seok-Hyun Youn),박재윤(Jae-Youn Park),김상돈(Sang-Don Kim),정장근(Jang-Gun Jung)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8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2 No.8

        본 논문은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한 수중플라즈마 토치는 상당한 전력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측면과 에너지효율면에서 뛰어난 결과를 나타내었다. 수중에서 일어나는 스트리머방전과 아크방전 현상을 면밀히 조사하여 비교하였고, 또한 염색페수를 플라즈마로 처리하였을 시의 색도제거율과 용존오존, 과산화수소와의 상관관계를 알기위해 표본화하고 분석하였다. 이에 플라즈마토치에는 선택적인 산화반응이 다소 있긴 하지만 플라즈마화학반응에 의한 H₂O₂와 O₃의 성장이 아크방전 보다 스트리머방전시 더 효과적으로 촉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스트리머방전이 아크플라즈마 토치에 비해 더 효율적인 플라즈마 화학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므로, 수처리에 있어서 스트리머플라즈마토치가 더 적합하였다. Water treatment study employing plasma is thoroughly examined in the following paper. The research using water plasma torch showed superior results in terms of economical and energy efficiency due to the substantial reduction of electric power. A comparison of streamer and arc discharge phenomena taken place in water was put under close scrutiny. Dyeing wastewater exposed to the plasma treatment was sampled and analyzed for relative dissolved ozone concentration, hydrogen peroxide, as well as the color removal efficiency. It was found that streamer discharges is more effective than arc discharge in growth of H₂O₂ and O₃ by plasma chemical constituents, though plasma torch had small oxidation reagents selectivity. Thus, streamer discharges, due to the efficient plasma-chemical reactions environment, proved to be more efficient compare to the thermal arc plasma loading.

      • KCI등재

        2009-2010년 8월 완도근해 해역의 해양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모니터링

        조은섭,윤석현,Cho, Eun-Seob,Youn, Seok-Hyun 해양환경안전학회 201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완도근해 해역을 대상으로 2009년 8월 중순경과 2010년 8월 하순경에 대한 수온과 염분 분포 특성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을 통하여 한국의 남서해역에 대한 기초 모니터링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9년 8월 중순경의 자료를 보면 대부분의 정점에서 균일한 수온과 염분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 7월부터 시작된 긴 장마와 일조량 부족으로 판단되다. 그러나 2010년 8월 하순경에는 수온과 염분의 성층화 현상이 나타났다. 성층화의 주요인으로는 8월 중순경부터 시작된 집중적인 일조량으로 인하여 발달된 것으로 추정된다. 저층의 경우 $20^{\circ}C$ 이하를 보여 표층과 큰 수온차를 보여주고 있으며 강진만과 고금도를 중심으로 한 해역과는 수온분포 차이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 고금도 근해에서 유입되는 외양수의 영향이 강진만까지 확대되지 못하고 직접적인 연안수의 영향으로 수온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투명도도 강진만과 고금도 근해해역과는 차이가 약 2배 이상 차이를 보여 수괴가 다소 상이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용존산소와 포화도는 조사일수에 관계없이 저층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2009년 8월 중순경의 강진만은 규조류가 우점한 반면에 고금도 근해해역에는 $Gonyaulax$ $polygramma$ 종이 월등히 높은 세포밀도를 보여 2009년 8월 남해안에서 발생한 $G.$ $polygramma$ 적조가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2010년 8월 하순경에는 규조류로 점유되는 관계로 본 해역은 높은 부유물질에 관계없이 규조류가 월등히 높은 밀도를 보이는 원인으로 와편모조류의 급성장에는 적합하지 못한 해역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가 발생된 기록을 가지고 있지만 본 종이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해역으로 좋지 못한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본 해역에서 출현된 규조류는 조개류의 주요 먹이원으로 작용될 뿐만 아니라 기초생태계를 형성하는데 주요한 인자로 작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determined to analysis marine environmental and phytoplankton monitoring in Wando coastal waters in August during the period of 2009-2010 and provided the basic environmental data against Southwest Sea of Korea. In August, 2009, the distribution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showed an unique characteristics for all of stations, which was associated with a long duration of rainfall after July, 2009 and a lack of sunshine. In the lower of August, 2010, the stratification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as shown, which was caused by an intensive sunshine after the middle of August, 2010. Gangjin Bay and Gogeundo waters showed a highly different water temperature and transparency. It is thought that two regions have a distinct water mass and characteristics. In dissolved oxygen and oxygen saturation were higher according to higher water depth regardless of stations. In August, 2009, different dominant species occurred that Gangjin Bay showed a higher cell density of diatom, but Gonyaulax polygramm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ominant species in Gogeundo waters. It is associated with the introduction red tide water of G. polygramma occurring to southern coastal water in August, 2009. In August, 2010, diatom was extremely higher cell density compared with that of dinoflagellate that regarded as adaptive microrganism against higher quantity of suspended solid in Wando waters. Although Wando has a record of Cochlodinium red tide, this species may be difficult to grow and persist. Dominant species, diatom, play an important role in food organism for shellfish and forming a ecological lineage.

      • KCI등재

        2011-2012년 낙동강 하구 및 연안역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정미희,윤석현,Chung, Mi Hee,Youn, Seok-Hyun 한국해양학회 2013 바다 Vol.18 No.4

        상류지역의 보 건설과 준설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던 2011년 1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낙동강, 하구 및 연안역에 걸쳐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양상을 이해하고자 14개 정점에서 총 12회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시기동안 낙동강 유역의 월 누적 강수량은 0~502mm 이었다. 강유역은 표 저층 모두에서 해수의 영향이 없었고, 하구역 정점에서는 0.1~34.8 psu의 범위로 강우의 영향으로 염분 변동폭이 컸으며, 연안역에서는 홍수기인 7-8월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정점에서 30 psu이상의 염분 특성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은 총 402종이 분류 동정되었으며 강유역에서는 178종, 하구 및 연안역에서는 331종이 출현하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강유역, 하구역, 연안역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2011년에 비해 2012년에 높게 나타났다. 출현빈도와 우점률 측면에서 전체 조사 수역의 상위 20종은 Stephanodiscus spp., Aulacoseira granulata, Aulacoseira var. angustissima, Pseudo-nitzschia spp.의 순었으며, 중요 분류군은 규조류인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별 각각의 정점에서 가장 우점비율이 높았던 종은 2011년(13종)에 비해 2012년(10종)에 다소 단순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종다양성지수는 조사 연도별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강 및 하구에 비해 연안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도에 의한 군집분석을 이용해 식물플랑크톤의 군집변화를 살펴보면 2011년은 조사시기에 따라 다양한 군집구조가 나타난 반면 2012년은 군집구조의 변화가 크지 않고 단순화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2011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아진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단순화된 우점종의 수 및 군집구조 등은 낙동강 유역의 급격한 환경변화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했던 낙동강-하구-연안의 영양염 분포, 담수유출 및 범위의 변화 등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을 포함한 생물군집의 통합적 분석이 함께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o understand the changing patterns in phytoplankton communities, we conducted 12 surveys along the Nakdong River, its estuary, and adjacent coastal areas between January 2011 and October 2012 (during the period of barrage construction and sediment dredging). Monthly precipitation ranged from 0 to 502 mm during the survey period, and salinity ranged between 0.1 psu and 0.3 psu in the Nakdong River, regardless of the depth, indicating no seawater influence, while salinity showed large seasonal fluctuations in the estuarine and coastal station, ranging from 0.1 psu to 34.8 psu. A total of 402 phytoplankton species were identified, 178 species from the river and 331 species from the estuary and coastal areas. Phytoplankton standing crop increased in 2012 compared to that in 2011, and was found to be highest in the river, followed by the estuary and coastal areas. Among the top 20 species in frequency of occurrence and dominance, Stephanodiscus spp., Aulacoseira granulata, and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and Pseudo-nitzschia spp. were important species along the river-estuary-coastal areas. Diatoms were the major taxonomic group inhabiting the Nakdong river-estuary-coastal areas. A comparison of seasonal dominant phytoplankton species revealed a slight decrease over the years, from 13 species in 2011 to 10 species in 2012.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diversity of phytoplankton species between the two survey years, although lightly greater diversity was observed in the coastal areas than in the river and estuary. Cluster analysis with community composition data revealed that the community structure varied significantly in 2011 depending on the time of survey, while in 2012, it hardly showed any variation and was simpler. An increase in the phytoplankton standing crop, fewer dominant species, and simpler community structure in 2012 compared to those in 2011 are probably due to the rapid environmental changes along the Nakdong River. To investigate these ecological relationships,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studies focusing on integrated analyses of biocenosis, including phytoplankton with respect to the changes in nutrient distribution, variation of freshwater discharge, and effect area of freshwater in the Nakdong estuary and adjacent coastal areas.

      • KCI등재

        해파리 대량발생의 연구동향

        정미희,윤석현,윤원득,Chung, Mi-Hee,Youn, Seok-Hyun,Yoon, Won-Duk 한국해양학회 2012 바다 Vol.17 No.1

        기후변화, 수산자원 남획, 연안 간척 및 방조제 건설 등으로 인한 해양환경 변화는 해파리의 잦은 출현과 대량발생을 유발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해양생태계 파괴, 수산업붕괴, 행락객 해파리 쏘임사고 발생 등 국가적 규모의 사회경제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해파리로 인한 피해를 경험한 다수의 국가들은 해파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마련하는데 많은 투자를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해파리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해파리 대량발생을 막기 위한 생리 생태 연구와 해파리 구제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유럽 연합은 해파리 대량발생의 원인과 조절, 통합관리를 위한 연구를 수행중이며, 미국은 한 부처를 지정하여 수산자원 보전 및 보호를 목적으로 해파리를 관리하고 있다. 일본은 부처 및 연구기관의 지정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었으며, 특히 해파리 이동과 대량발생 예측에 관하여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외 연구방향을 비교하여 1) 통합연구시스템의 설치와 관리방안 마련, 2) 해파리에 대한 접근방식의 개선, 3) 적극적인 교육과 정보의 제공이라는 세 가지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해파리뿐만 아니라 기타 유해해양생물의 정책적 대처 방안에도 기본적으로 필요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The frequency and abundance of jellyfish, presumably related with climate change, fisheries overexploitation, marine pollution including land reclamation and dyke construction, are increasing worldwide. This feature has attracted interest and concerns from general public and public officials, and government is seeking how the damages could be prevented or reduced down. Korean government, having recent huge blooms of jellyfish, engaged in reducing and/or countermeasuring jellyfish damages. Korean research themes include ecology and physiology of blooming jellyfish species, understanding of the blooming mechanism, and focus on the eradication of blooming jellyfish, without governmental integrative management plan. EU is undertaking scientific projects focused on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and control of jellyfish blooms, and establishment of an integrative management. In USA, government has established the code on jellyfish management for conserving and protecting the fish and shellfish resources and one of its department is specially assigned to monitor jellyfish appearance, undertake research, and prepare management plan. Japan also assigned a department and research institute for jellyfish research. Their main interest is to predict jellyfish drifting and mass bloom. Compared to Korea, USA, EU and Japan emphasize integrative management that includes ecological understanding, public education and outreaches, communication and control, if possible, of jellyfish blooms, based on scientific data. We suggest then, 1) establishment of an integrative scientific system consisting of policy and scientific experts to prepare inter-ministrial integrative management plan to effectively combat jellyfish blooms and to maximize the scientific result; 2) concept change from harmful to exploitable marine animal in policy making and research; and 3) active education and information service for people. We expect that these suggestions can be useful for jellyfish management and policy making on another harmful marine organisms.

      • KCI등재

        Zostera속 해초에 부착하는 규조류의 부착 특성과 해초 종별 군집 변화

        정미희,윤석현,윤원득,Chung, Mi-Hee,Youn, Seok-Hyun,Yoon, Won-Duk 한국해양학회 2010 바다 Vol.15 No.4

        부착규조류는 초기 부착 생물로서 부착 천이과정에서 부착성 박테리아 층 위 해초 잎 표면 맨 아래 층에 부착함으로써 잎 표면의 미세 지형을 결정하고 다른 부착 생물에게 알맞은 부착환경을 제공해 주는 중요 생물로 부착 기질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는 부착 생물 생태 연구에 기초적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부착규조류가 해초에 부착 서식하는 형태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1) 해초 잎 세포에 평행하게 또는 세포 변형을 통한 부착 2) 해초 잎 끝부분에 주로 밀집하여 서식 3) 잎의 끝에서 2차 부착 규조류인 줄기를 이용한 규조류보다 1차 부착규조류인 타원형의 규조류 밀집 지역이 많은 것이었다. 또한, 해초의 종별 규조류의 부착 군집 변화를 살펴보면 우선 길이와 너비의 차이가 많으나 세포의 모양이나 크기가 비슷한 Z. marina와 Z. japonica는 규조류의 출현종수, 현존량, 우점종의 차이가 컸던 반면 길이와 너비는 비슷하나 세포의 모양과 크기가 다른 Z. marina와 Z. caespitosa의 경우에는 규조류의 출현종수, 현존량, 우점종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초의 미세지형이 될 수 있는 세포의 모양보다 해초의 길이와 너비 등 외형의 차이가 부착규조류 군집 변화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Epiphytic diatoms are very important organisms in the seagrass ecosystem because their colonization on leaves increases microtopography and provides attachment sites that make the leaves more hospitable for other epiphytes. Epiphytic diatoms were attached to the leaves in the following 3 manners: (1) parallel to the cells of the seagrass leaf or by molding the shape of the diatom along the cell shape of the leaf; (2) with increasing diatom density toward the leaf tip; (3) Cocconeis species as attaching species than the Naviculoid species as the second attaching species on the leaf tip. In addition, the epiphytic diatom communities on Zostera marina leaves differed from those on the Zostera japonica leaves, but were very similar to the epiphytic communities on Zostera caespitosa leave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epiphytic community on seagrass leaves varied according to the leaf shape such as leaf length and width, but the leaf cell shape or size did not influence the dynamics of the diatom communities.

      • KCI등재

        동해 남부 연안 해역에서 냉수대 발생이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영향

        김아람,윤석현,정미희,윤상철,문창호,Kim, A-Ram,Youn, Seok-Hyun,Chung, Mi-Hee,Yoon, Sang-Chol,Moon, Chang-Ho 한국해양학회 2014 바다 Vol.19 No.4

        냉수대 발생 전 후의 해양 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 및 크기를 파악을 위해 여름철 빈번하게 냉수대가 발생되는 동해 남부 해역(울산 정자~부산 일광) 18개 정점에서 2013년 5월부터 8월까지 냉수대 발생 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를 조사하였다. 냉수대는 7월과 8월에 연안 정점(A1, B1, C1)에서 발생하였고, 표층에서 저온 고염의 특성을 보였다. 이 시기에 영양염은 수온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DIP, r=-0.218, p<0.01; DIN, r=-0.306, p<0.01; silicate, r=-0.274, p<0.01)를 보여, 찬 해수가 분포하는 표층에 영양염이 풍부함을 알 수 있었다.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총 186종이었고, 현존량은 5월(C1, $726{\times}10^3cells\;L^{-1}$)과 7월(A1, $539{\times}10^3cells\;L^{-1}$)에 높았다. 또한, 연안 정점에서 총 chl. a 와 소형플랑크톤 chl. a ($>20{\mu}m$)의 농도가 냉수대 발생 시기인 7, 8월에 뚜렷하게 증가한 반면, 수온약층이 형성된 6월에는 현저하게 낮았다. 6월의 우점종은 Pseudo-nitzschia spp.이었고, 그 세포 크기는 $309{\mu}m^3$로 다른 시기의 식물플랑크톤의 1/10 수준에 머무는 작은 크기였다. 이러한 결과는 7월과 8월에 총 chl. a의 증가와 식물플랑크톤의 크기 증가가 냉수대 발생 시에 표층으로 공급된 영양염의 영향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해양 환경 특성과 식물플랑크톤 출현양상은 연안 정점에서 뚜렷하게 보였고, 외측 정점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동해 남부 해역에서 냉수대가 발생하면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증가와 더불어 비교적 크기가 큰 식물플랑크톤의 출현 빈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하계에도 불구하고 동해 남부 연안 해역에서 냉수대 발생에 따른 영양염 공급은 식물플랑크톤 군집조성과 현존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understand environment condition and phytoplankton community before and after coastal upwelling, the influences of upwelling events on phytoplankton community were studied at 18 stations located the Southern part of East Sea, Korea from May to August 2013. The surface water masses showed low temperature and high salinity due to upwelling events at coastal stations (A1, B1, C1). Correlation between temperature and nutrients (DIP, r=-0.218, p<0.01; DIN, r=-0.306, p<0.01; silicate, r=-0.274, p<0.01) was significantly negative. This result could be explained that nutrients were supplied to surface water by the upwelling of bottom water. Phytoplankton communities were composed of 186 species. Phytoplankton abundance were relatively high in May (C1, $726{\times}10^3cells\;L^{-1}$) and July (A1, $539{\times}10^3cells\;L^{-1}$). Total chlorophyll a and micro-size fraction ($>20{\mu}m$) increased at coastal stations in July and August, while phytoplankton abundance and total chl. a was much low in June. Dominant species in June was Pseudo-nitzschia spp. of which the cell size was $309{\mu}m^3$. Cell size of Pseudo-nitzschia spp. was smaller than dominant species in other period. Therefore, the increase in total chloro-phyll a and the size of phytoplankton was resulted in the sufficient supply of nutrients. In contrast, these tendencies were not observed at outside stat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oastal upwelling was an important influencing factor to determine the species composition and standing stock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Southern part of East Sea, Korea.

      • KCI등재

        낙동강 하구역에서 2013-2015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분포 특성

        유만호,윤석현,박경우,김아람,윤상철,서영상,Yoo, Man-Ho,Youn, Seok-Hyun,Park, Kyung-Woo,Kim, A-Ram,Yoon, Sang-Chol,Suh, Young-Sang 해양환경안전학회 2016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2 No.6

        낙동강 상류지역 건설사업 이후, 식물플랑크톤의 시 공간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3년 2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낙동강 하구둑에서 가덕도 동편에 이르는 수역에서 격월로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을 조사하였다. 환경요인은 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 하부수역 및 계절적 차이가 나타났다. 상부수역은 돌말류, 녹조류, 남조류가 하부수역보다 높았고, 특히 담수돌말류와 남조류가 우점하였다. 반면 하부수역은 와편모류가 주로 출현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상부수역은 Stephanodiscus spp., Asterionellopsis formosa, Microcystis spp.가 주로 담수방류에 의한 인위적인 유입과 관련성이 나타났다. 우점종과 상관관계가 나타난 환경요인은 수온, 풍속, DIP, DIN 등으로 나타났다. 하부수역에서 상위종으로 출현한 와편모류는 대부분 영양염류 및 바람과 상관성이 나타났다. 특히 하부수역에서 Prorocentrum donghaiense은 DIN, 풍속, 강풍발생 일수와 음의 상관성이 나타났고, 하계시기에 집중적으로 출현한다. 유사도와 PCA분석에서도 상부수역은 시기적인 구분이 뚜렷하지 않은 반면 하부수역에서는 계절적인 차이가 발생하였다. 하부수역은 2014년 일부시기를 제외하고, 크게 와편모류가 증가하는 6-8월과 돌말류가 우점하는 10-4월로 구분되었다. 이는 지리적 특성에 의한 담수 방류의 영향범위 차이가 담수종과 영양염류의 유입을 변화시켜 식물플랑크톤 군집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after barrage construction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this study investigated relevant environmental parameters and phytoplankton status based on bi-monthly samples collected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itself from February 2013 to December 2015. Environmental parameter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ross these years but did vary between zones and season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upper zone was dominated by fresh-water diatoms, green algae, and blue-green algae, whereas the lower zone was mostly dominated by dinoflagellates. The presence of Stephanodiscus spp., Asterionellopsis formosa, and Microcystis spp. in the upper zone was related to the inflow of freshwater discharge by artificial control of dyke gates. The dominant phytoplankton species in this zone were dependent on temperature, wind speed, DIP, and DIN, while those in the lower zone were mostly dependent on nutrients and wind speed. In addition, at the lower zone,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rorocentrum donghaiense, DIN, and wind speed, with its abundance being higher during the summer than other seasons. Analysis of temporal variations did not indicat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pper zone but did reveal variations among seasons at the lower zone. Except in 2014, the lower zone could be divided into periods dominated by diatoms (October-April) and dinoflagellates (June-Augu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were influenced by changes in the inflow of freshwater species and nutrients given the difference in the range affected by freshwater discharge.

      • KCI등재

        하계 한반도 해역(동해, 서해, 남해 및 동중국해)의 하위영양단계 먹이망 구조 :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활용

        민준오,이창화,윤석현,Min, Jun-Oh,Lee, Chang-Hwa,Youn, Seok-Hyun 해양환경안전학회 202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6 No.5

        본 연구는 2019년 8월 한반도 주변해역(동해, 서해, 남해, 동중국해)에서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기법을 활용하여 하위영양 단계에서의 먹이망 구조를 파악하였다. 입자성 유기물(POM)의 δ<sup>13</sup>C 범위는 -26.18 ~ 20.61 ‰, δ<sup>15</sup>N 범위는 5.36 ~ 15.20 ‰의 넓은 범위를 보였다. POM과 각 생물별 개체군 사이의 δ<sup>13</sup>C 분별작용의 결과는 대부분 micro-POM을 섭식하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나 해역 간 차이를 보였다. 각 생물별 영양단계는 chaetognaths (3.40±0.61)가 가장 높은 영양단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동위원소 혼합모델을 적용한 결과에서 chaetognaths의 먹이원으로 copepods (13 ~ 48 %)와 euphausiids (20 ~ 51 %)가 가장 높은 기여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각 해역별 먹이원의 제한적 공급 및 다양성의 차이가 먹이망 구조 및 각 생물별 동위원소 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Food web structures in the lower trophic levels of the s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were investigated in August 2019 using stable isotopes. There were variable ratios of the carbon (-26.18 ~ -20.61 ‰) and nitrogen stable (5.36 ~ 15.20 ‰) isotopes in the particulate organic matter (POM). Most of the organisms ingested micro-POM as a major food source, but this varied spatially. The chaetognaths (3.40 ± 0.61) occupied the highest trophic level. The isotope mixing model showed that the proportions (13 ~ 51 %) of some organisms (i.e., copepods and euphausiids) reflected the relative contributions as major food sources for chaetognaths at each site.

      • KCI등재

        2013년 하계 국내 연안에서 출현하는 Alexandrium 속 와편모류의 종 다양성

        김재성,박경우,윤석현,임월애,유영두,성경아,이원호,KIM, JAE SEONG,PARK, KYUNG WOO,YOUN, SEOK HYUN,LIM, WEOL AE,YOO, YEONG DU,SEONG, KEYONG AH,YIH, WON HO 한국해양학회 2016 바다 Vol.21 No.4

        We investigated the occurrence of the dinoflagellate genus Alexandrium in the nineteen Korean coastal sites from July to October 2013. Alexandrium-like planktonic cells were microscopically observed only in four out of the 19 sampling sites. From the samples containing Alexandrium-like cells 22 clonal cultures of Alexandrium species were established by single cell or single chain isolation method. Taxonomic identity of the 4 different strains ascertained by the robust analyses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genetic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to be A. catenella, A. affine, A. fraterculus and an unidentified Alexandrium sp. for which strain WEB-Alex-01 was assigned. It was ascertained that in spite of hot summer diverse Alexandrium species attaining up to four were distributed in the study area, in contrast with the long empirical recognition that the emergence of Alexandrium species is restricted to cooler seasons like spring or autumn in Korean coastal waters. Morphology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Alexandrium sp. strain WEB-Alex-01 are different from any other previously reported Alexandrium species from Korean seas, which implies that further studies on taxonomic, physiological, ecological and toxicological properties of the newly recorded Alexandrium species are needed. 국내 연안에서 하계에 출현하는 Alexandrium 속 와편모류의 종 다양성 연구를 위해, 2013년 7월부터 10월까지 19개 정점에서 해수 시료를 채취하였고, 이 가운데 4개 지역에서 Alexandrium 속의 와편모류가 확인되었다. 해당 4개 해수 시료에 단세포/단세포사 분리법을 적용하여, 총 22 종류의 Alexandrium 단종배양체를 확립하였다. 이 가운데 4종류의 Alexandrium 단종배양체에 대한 형태학 및 유전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각각 A. catenella, A. affine, A. fraterculus 및 Alexandrium sp.(strain WEB-Alex-01)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 연안에서 일반적으로 Alexandrium이 춘계 또는 추계의 중수온기에 주로 출현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와는 대조적으로, 다양한 Alexandrium 종들이 하계에도 출현함을 확인하였다. 미동정 Alexandrium sp.(strain WEB-Alex-01) 종주는 국내 최초 보고 종으로서, 이 단종배양체에 대한 분류, 생리, 생태, 독성 등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