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누가 북한 관련 가짜뉴스에 취약한가?

        유지영 ( Lyu Jiyoung ),윤광일 ( Yoon Kwang-il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1 국방연구 Vol.64 No.4

        이 연구는 대표성 있는 표본 조사 자료를 활용한 통계 분석을 통해서, 북한 관련 가짜뉴스에 취약하게 할 가능성이 큰 보수 정치이념 성향과 그 심리적 기반인 이데올로기 성향의 영향을 추정하고자 했다. 첫째, 예측과는 달리 정치이념 성향에 따른 북한 관련 가짜뉴스 식별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이데올로기 성향 중에서는 우익권위주의와 사회지배지향이 강할수록 가짜뉴스 식별수준이 떨어졌다. 그러나 체제정당화 동기의 효과는 드러나지 않있다. 셋째, 여성이 남성보다 가짜뉴스에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연령과 학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대북포용정책 계승 정당으로 알려진 더불어민주당 정당 지지는 가짜뉴스 식별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북 및 통일, 안보 정책 선호가 한국 특유의 이념 차원을 구성하고 있는 현실에서 서구와는 달리 정치이념 성향에 따라 가짜뉴스에 대한 취약함이 다르지 않게 나타난 것은 정치이념에 따른 극화가 일상화되고 현실에서도 참 정보와 객관적 증거에 입각한 진영 간 소통과 토론 그리고 합의가 가능할 것이라는 기대를 밝게 한다.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identify motivational factors that lead individuals vulnerable to fake news on North Korea,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data. The study found that as opposed to previous studies using Western samples, self-placed, symbolic ideology did not affect fake news discernment. Right wing authoritarianism (RWA) and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SDO) seemed to hamper the ability to discern the fake news while system justification did not. The study observed that women were more vulnerable to the fake news. And the younger or the less educated, the more vulnerable to the fake news. Supporting the ruling liberal party,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the party of Sunshine policy, seemed to increase the discern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urrent symbolic ideological polarization does not lead to difference in the fake news discernment. That would facilitate informed discussion based on facts among political opponents.

      • KCI등재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의 자살현상 분석

        이정은(Jungeun Lee),유지영(Jiyoung Lyu)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자살현상을 알아보고, 자살예방대책의 사회현상 반영여부 및 적절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8년까지 8개 중앙지에서 자살을 키워드로 9,142개의 뉴스기사 제목을 수집하였고, 명사를 중심으로 단어를 추출하여 데이터 정제를 거쳐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기간은 1, 2차 자살예방대책을 기준으로 4개의 구간으로 나누었고, 상위 50개의 빈출 주제어와 CONCOR분석을 통해 각 구간의 자살현상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1구간(2000~2003년)은 6개의 군집(군, 인터넷 환경, 경제적 문제, 비관, 학교, 비리), 2구간(2004~2008)은 8개의 군집(사회고위층, 학교, 경제적 문제, 자살시도, 가정문제, 사회적 문제, 군, 책임), 3구간(2009~2013)은 6개 군집(학교, 가정문제, 자살시도, 직업별, 군, 조사), 4구간(2014~2018)은 8개 군집(군, 자살보험금, 가정문제, 자살시도, 직업별, 업무스트레스, 연예인, 비리)이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우리 사회의 자살현상의 특징을 알아보았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2차에 걸쳐 실시된 자살예방대책의 적절성 여부를 논의하였다. Using news big data analysis,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suicide phenomena in Korean society, and to evaluate whether suicide prevention policies reflect social phenomena appropriately. For this purpose, 9,142 news titles with suicide as the keyword were collected from eight central newspapers between 2000 to 2018. Nouns were extracted, and data was refined for network analysis. The total period was divided into 4 periods based on the 1st and 2nd suicide prevention polic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uicide phenomena in each period were identified through the top 50 frequent main words and the clusters. As a result, period 1 (2000~2003) with 6 clusters (military, internet environment, economic problems, pessimism, school, corruption), period 2 (2004~2008) with 8 clusters (high social class, school, economic problems, suicide attempts, family issues, social problems, military, responsibilities), period 3 (2009~2013) with 6 clusters (school, family issues, suicide attempts, occupation, military, investigation), and period 4 (2014~2018) with 8 clusters (military, suicide insurance money, family issues, suicide attempts, occupation, job stress, celebrity, corruption) were identified. Study results suggested the characteristics of suicide phenomena in our society. Further, the appropriateness of the implementation of suicide prevention policies was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기 아버지와 사별이 성장과정과 성인기 삶에 미치는 영향 : van-Manen의 체험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김경희(Kyunghee Kim),유지영(Jiyoung Lyu),임선영(Sunyoung 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4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아버지의 죽음은 청소년기 성장과정은 물론이고 성인기의 삶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청소년기에 경험한 아버지의 죽음을 청소년기와 성인기를 포함하여 삶의 전체 과정에서 조망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번 연구는 청소년기에 아버지와 사별한 성인의 경험에 드러난 아버지 죽음의 의미와 본질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청소년기에 아버지와 사별한 성인 9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밴 매넌의 체험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분석한 결과, 청소년기에 아버지의 죽음을 겪은 성인의 경험은 247개의 개별주제, 45개의 드러난 주제, 20개의 본질적 주제로 나타났다. 이렇게 도출된 경험을 밴 매넌이 실존적 탐구의 길잡이로 제시했던 4개의 근본적 실존체(시간성, 몸성, 관계성, 공간성) 차원에서 재배열하였고, 연구결과를 통해 개별적이면서 공통적인 아버지 사별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아버지의 죽음으로 인한 어른아이 현상, 무죄한 죄인이라는 인식과 스스로 떠맡은 과도한 책임, 침묵의 배려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Experiencing father’s death in adolescence may have an impact on not only growing process but also the life as an adult. Therefore, it would be meaningful to look into the impact of father’s death in adolescence across the entire life cycle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essence of father’s death which were revealed through experience of as an adult whose father passed away during his/her adolesc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nine participants, experiencing father’s death during adolescence.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van-Manen′s method for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and 247 individual themes, 45 revealed themes, and 20 essential themes were drawn. The findings were rearranged into four fundamental existentials of lived body, lived space, lived time, and lived human relation. The meaning and essence that was personal and common at the same time were revealed from each participant’s experience. As key findings, it was discussed on being adultized children, recognizing them as innocent sinners and excessive responsibility, and consideration of silence.

      • KCI등재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군에 대한 메타분석

        이정은(Lee, Jung-eun),유지영(Lyu, Jiyoung)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3

        본 연구는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메타분석을 통하여 종합하여 제시하며, 이를 바탕으로 자살생각 단계에서부터 자살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자살예방프로그램 개발과 상담적 접근 방법을 모색하는데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대상 자료는 2001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선행연구들 중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노인의 자살생각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연구물 총 97편으로 하였다.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개인변인군,가족변인군, 사회변인군으로 나누고 각각의 체계 안에서 자살생각의 유발요인과 억제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총 30개의 변인중 개인변인군에서 19개의 하위변인이 추출되었고 유발요인에서는 우울, 짐스러움, 스트레스가, 억제요인에서는 정신건강이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변인군에서는 5개의 하위변인이 추 출되었고, 유발요인 중 동거인 없음이 중간 효과크기를, 억제변인 중 가족결속은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사회변인군에서는 6개의 하위변인이 추출되었으며, 유발변인은 노인차별, 사회고립, 부정적 사회관계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고, 억제변인은 사회관계, 사회지지, 사회환경, 사회활동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Elderly suicide is a major public health issue in South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current knowledge about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with specific focus on risk and preventive factors.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Korean academic peer-reviewed journals published since 2001. A total of 97 articles were selected that met the research criteria (e.g., original study findings and key words of suicidal ideation, suicidal thought, and suicide). Three domains were identified and used for further analysis: individual, family, and society. Results showed that among individual factors, depression and burden or stress increased the risk of suicidal ideation, while better mental health reduced the risk of suicidal ideation. Among family factors, living alone was a risk factor for suicidal ideation, while family cohesion was a preventive factor for suicidal ideation. Among social factors, elderly discrimination, social isolation, and negative relationships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while social support, social environment, and social activities were significant preventive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The results suggest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suicide prevention programs and counseling approaches to address suicidal ideation. For example, depression and stress can be reduced by MBSR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where meditation is used as a coping strategy. In addition, counseling programs specifically focused on improving family and social relations should be implemented. Government should continuously support for these programs to prevent suicide among older Koreans.

      • KCI등재

        노인의 객관적 체형과 주관적 체형인식 간의 불일치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용채은 ( Chae Eun Yong ),유지영 ( Jiyoung Lyu ) 대한보건협회 2020 대한보건연구 Vol.4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의 객관적 체형과 주관적 체형인식 간의 불일치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전체와 성별을 구분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37,293명을 대상으로 한다. 종속변수인 자살생각은 단일문항(1=예, 0=아니오)으로 측정, 객관적 체형과 주관적 체형인식 간의 불일치는 총 7개 그룹(1=저체중-마른인식, 2=저체중-보통/비만인식, 3=정상체중-마른인식, 4=정상체중-보통인식(Reference), 5=정상체중-비만인식, 6=비만체중-마른/보통인식, 7=비만체중-비만인식)으로 분류 후,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노인을 대상으로 한 결과, 정상체중-보통인식 군 보다 정상체중-비만인식 군의 자살생각이 더 높았다. 둘째, 여성 노인은 정상체중-마른인식 군과 정상체중-비만인식 군에서 정상체중-보통인식 군보다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드러난 반면, 남성 노인에게서는 체형 불일치와 자살생각의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 객관적 체형과 주관적 체형인식 간의 불일치는 자살생각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함이 드러났으며 노인 자살예방 대책 마련 시 성별에 따른 효과적인 개입방안 구축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body shape discordance and suicidal ideation among individuals aged 65 and older in South Korea, and to explore whether it is different by gender. Method: Using a national data from the 2017 Community Health Survey, 37,293 participants aged 65 and olde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as having a suicidal ideation or not. With body mass index (BMI) and subjective body image perception measures, the body shape discordance was categorized into seven groups.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with ‘IBM SPSS Statistics v21’ package. Result: Distribution of body shape discordance differed by gender. Even Korean older women were in normal weight category, discordance in their subjective body image perception made them have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older men,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body shape discordance and suicidal ideation. Conclusion: Body shape discordance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suicide prevention interventions for older Koreans. Also individualized suicide prevention plans should be implemented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s.

      • KCI등재

        청소년기에 아버지가 살해당한 성인여성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경희(Kyunghee Kim),유지영(Jiyoung Lyu)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4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 아버지가 살해당한 성인여성의 삶의 이야기를 내러티브 탐구방법, 특히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시한 3차원 내러티브 공간 탐구로 접근하여 살펴보았다. 자료는 연구참여자와 일대일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수집했으며,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타의에 의해 하늘이 무너지자, 자신도 무너져 내림’, ‘대들보가 없어진 자리에 서까래로서의 고통’, ‘소공녀에서 천덕꾸러기 신데렐라로 추락’, ‘보호와 구속의 이중구조 집성촌(集姓村)’, ‘문중(門中)의 자녀로서 전통적 가치관의 학습’, ‘현대판 열녀를 만들기 위한 남성들의 접근 차단과 어머니에 대한 양가감정’, ‘고통의 보편성을 깨달은 가람(伽藍)’, ‘삶의 보상으로써 남편과 시선의 권력에 노출된 층층시하의 시집살이’, ‘가족의 그늘이 된 나무가 고목으로 퇴색되어감’, ‘꽉 조인 삶의 나사 풀기’, ‘폐허의 복원’이라는 11개의 의미주제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건강한 애도, 자기만의 애도 의례 구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life of an adult woman who experienced murder of her farther in adolescence, using a three-dimensional space narrative inquiry framework suggested by Clandinin and Connelly(2000).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y participant. According to the data, 11 subjects were identified: ‘her own self collapses as the sky falls ’, ‘having pain as a rafter to substitute where the beam is gone’, ‘falling from a little princess to an outcast like Cinderella’, ‘Jipseongchon as a dual structure of protection and restraint’, ‘learning traditional values as a child of the family’, ‘blocking other men’s access to mother and ambivalent feelings towards mother’, ‘realizing the universality of pain’, ‘having a husband as a reward for life and marriage life exposed to the power of gaze’, ‘the tree fading from a family shelter into an old tree’, ‘unscrewing a tight life’ and ‘restoring a destroyed house’. Based on these findings, discussion was made on healthy mourning and constructing morning ritual of one’s own.

      • KCI등재

        의료조직의 윤리경영과 긍정심리자본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이근환 ( Keun Hwan Lee ),유지영 ( Jiyoung Lyu ),장영철 ( Young Chul Chang ),신영전 ( Young-jeon Shin ) 한국보건행정학회 2016 보건행정학회지 Vol.26 No.3

        Background: In this study, state-owned medical institutes, industrial accident hospitals, veteran hospitals, and private medical clinics including 16 university medical institut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to examine the causality of ethical managemen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ethods: The study analyzed 1,056 valid questionnaires to which a total of 1,325 nurses, medical technicians, doctors, and administrative staff in 34 healthcare organizations answered over two months from June to August 2015. The study also utiliz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a ‘hierarchical linear model’ to conduct the analysis. Results: It was first found that ethical leadership, ethical management systems, and organizational ethics values, which are the three factors of ethical managemen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behavior. These are the three factors of employe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ethical management, ethical leadership, ethical management systems, and organizational ethics value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r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resented an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thical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employees.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nsisting of self-efficacy, hope, resilience, and optimism was confirmed in the healthcare organizations. Fourth, in relations among ethical management variables, ethical leadership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ethical management systems, which had significant impacts on organizational ethics values, which had significant impacts on ethical leadership.

      • 서울시 관내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의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효과

        강원남(Kang, Won Nam),유지영(Lyu, Jiyoung)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2019 한림고령사회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서울시 관내 노인복지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 중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중심으로 한 단회기 교육이 관련 지식, 죽음태도, 죽음불안 및 삶의 의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은 서울시 관내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노인들을 실험집단 30명과 통제집단 24명으로 나누어 사전 검사 실시 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주 1회, 회기당 90분, 총 3회기에 걸쳐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였으며 교육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교육 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4주 후 다시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죽음준비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실험집단과 동일하게 사후, 추후 검사만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죽음준비교육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내용들을 중심으로 단기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관련된 지식과 죽음태도, 죽음불안, 삶의 의미에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으며, 통제집단과 비교했을 때도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다. 이와 같은 교육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해 참여자들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고, 죽음에 대한 태도에 일부 영향을 줄 수 있으나,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에 영향을 주는데는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중심으로 한 단회기 교육이 노인의 관련 지식 및 죽음불안, 죽음태도,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볼 수 있었으며, 죽음준비교육 진행 시 고려해야 할 구성별, 내용별, 회기별 적절성과 향후 죽음준비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short-term death education focused on Advanced Directives and Hospice Palliative Care on the related knowledge, Attitude about Death,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of the elderly in the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mong the elderly over 60 years of age in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uch as 30 subjec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4 subjects for the control group. All participants had pre-tests before the education. Three sessions of 90-minute Death Education were conducted once a week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after the education. In order to confirm the continuity of the educational effect, the follow-up tests were performed after 4 weeks.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death education, but they had the same post-tests and follow-up test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related knowledge, Attitude about Death,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when Death Education focusing on Advanced Directives and Hospice Palliative Care was conducted in a short-term. The education can provide participants with relevant information about Advanced Directives and Hospice Palliative Care, and may have some impact on their attitudes toward death. However, the impacts on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may be limite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a short-term education centered on Advanced Directives and Hospice Palliative Care on the related knowledge, Death Anxiety, Attitude about Death, Meaning of Life of the elderly was examin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composition, content, and the number of sessions for the appropriate Death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정신적 웰빙이 노인의 자살위험에 미치는 영향

        이정은(Lee, Jung-eun),유지영(Lyu, Jiyoung) 지역사회학회 2018 지역사회학 Vol.19 No.1

        선행연구를 통해 노인의 자살과 관련하여 다양한 보호요인이 밝혀졌다. 정신적 웰빙은 노인의 자살생각을 줄일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 밝혀졌지만, 그 개념은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에 보다 더 세부적인 개념 분석을 통해 노인의 자살생각에 정신적 웰빙의 어떠한 영역이 보호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적 웰빙의 하위요인에 따른 노인의 자살위험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설문에 모두 응답하고 결측자료가 없는 2,004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정신적 웰빙(K-MHC-SF) 척도는 정서적 웰빙, 사회적 웰빙, 심리적 웰빙의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분류하였고, 자살위험은 자살행동 가능성(SBQ-R) 4문항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정서적 웰빙은 자살위험과 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웰빙이나 심리적 웰빙은 자살위험과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정신적 웰빙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웰빙이 노인의 자살위험에 영향을 미치 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정서적 웰빙은 개인의 정서와 기분에 대한 평가를 반영하므로 개인이나 사회의 기능에 대한 평가에 비해 좀 더 일시적인 기분상태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의 정서적 기분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개입 프로그램을 활용함으로써 지역사회 노인의 자살위험을 낮추는데 기여할 필요가 있다 Studies have shown that there are many protective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among older adults. Mental well-being is one of the protective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but this concept is too broad. More detailed aspects of mental well-being should be explored in order to explain protectiveness for suicidal ide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of mental well-being and suicidal risk among individuals aged 65 and older. The study sample was drawn from a community-based survey conducted in South Korea including 2,004 older adults. Three domains of mental well-being were measur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Mental Health Continuum-Short Form (K-MHC-SF) individually: emotional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well-being. Suicidal risk was measured with four items of the Suicidal Behaviors Questionnaire-Revised (SBQ-R). Adjusted for confounding variables,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motional well-being was a protective factor for suicidal risk, but other domains of mental well-being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uicidal risk.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motional well-being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suicidal risk. Since emotional well-being reflects a more temporary feeling of individual s own emotions and moods than an evaluation of one s own function or society, it may be easier to be intervened than other domains. Making good use of intervention programs aimed for individual s emotional well-being may improve personal happiness as well as lower the suicidal risk among older adults living in the community.

      • KCI등재

        아동기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년기 삶의 질

        이수인(Lee Soo In),유지영(Lyu Jiyou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8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childhood socioeconomic status (SES), adulthood SES, and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aged 65 and over. We used the 2014 Korean Welfare Panel Study (KOWEPS), and a total of 4,044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 showed that childhood SES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Adulthood SES was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SES and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was partially mediated by adulthood SES. Findings suggest that policy implication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should be designed throughout the life cours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본 연구에서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아동기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년기 삶의 질의 관계를 현재 사회경제적 지위를 매개로 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9차년도의 65세 이상 노인 총 4,044명의 대상자를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사회경제적 지위는 노년기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노년기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 사회경제적 지위는 아동기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년기 삶의 질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년기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개입에 있어 전 생애단계별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