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 영유아 지원서비스가 어린이집 충족률에 미치는 영향

        유재언 ( Yoo Jaeeo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4

        본 연구는 시군구의 영유아 지원서비스 및 어린이집 일반특성에 따라 어린이집 충족률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시군구 영유아 지원서비스는 2013년의 시군구별 통계지표를 사용하여 어린이집, 유치원, 문화기반시설 공급정도와 양육수당예산을 변수로 만들었다. 어린이집 일반특성은 어린이집정보공시포털의 2014년 1월 어린이집일람현황 자료를 활용하여 정원, 운영기간, 취약ㆍ특수보육 아동 비율, 공급주체 유형, 지원 여부, 위탁운영 여부, 평가인증 여부, 보육아동 연령대, 특수 보육 실시여부를 변수로 만들었다. 시군구 영유아 지원서비스와 어린이집 일반특성이 어린이집 충족률에 미치는 영향을 다층모형으로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공급정도, 양육수당예산은 어린이집 충족률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유치원과 문화기반시설은 어린이집 충족률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다층모형에 포함된 모든 어린이집 일반특성들이 어린이집 충족률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영유아가정의 어린이집 이용이 개별 어린이집 일반특성과 더불어 지역사회의 다양한 지원서비스 수준에 의해서도 달라진다는걸 시사한다. 그러므로 시군구 지자체가 적정 보육 수급을 판단하고 어린이집 인가제한을 할 때는 시군구 평균 어린이집 충족률 외에도 어린이집, 유치원, 문화기반시설 공급 정도 및 양육수당예산을 동시에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hildcare services of community on the utilization ratio of daycare centers. Data for present study were drawn from multiple sources. The information of 43,909 daycare centers were drawn from the i-sarang Childcare Information Portal site (http://info.childcare.go.kr/) in January 2014. Community level indicators were drawn from the local statistics of 230 Si, Gun, and Gu in 2013. Childcare services of community were the number of daycare centers per every 100 children aged 0 to 4 years, the number of kindergarten per every 100 children aged 0 to 4 years, annual budget of home care allowance per every 100 children aged 0 to 4 years, the number of cultural facilities per every 100 children aged 0 to 4 years. Multi-level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utilization ratio of daycare centers by childcare services of community and characteristics of daycare cente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utilization ratio of daycare center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number of daycare centers per every 100 children aged 0 to 4 years and annual budget of home care allowance per every 100 children aged 0 to 4 years. In contrast, the utilization ratio of daycare center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kindergarten per every 100 children aged 0 to 4 year and the number of cultural facilities per every 100 children aged 0 to 4 years.

      • KCI등재

        지역사회 장기요양서비스 공급에 따른 장기요양시설 충족률

        유재언 ( Yoo Jaeeo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1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의 일반특성과 지역사회의 장기요양서비스 공급정도에 따라 장기요양시설의 충족률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의 2014년 12월 5~6일자 현황 자료를 이용하여 229개 시군구에 소재한 장기요양시설 4,839개소를 대상으로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장기요양시설 일반특성 중에서 평가등급과 소재지는 정원 대비 현원으로 계산한 충족률과 정원 대비 현원과 대기인원의 합으로 계산한 충족률 모두에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그에 비해서 정원수 규모와 단기보호 실시 여부는 정원 대비 현원으로 계산한 충족률에만 유의한 요인이었고, 주야간보호 실시 여부는 정원 대비 현원과 대기인원의 합으로 계산한 충족률에만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장기요양서비스 공급수준을 국지적 모란지수로 보정하여 정원 대비 현원과 대기인원의 합으로 계산된 충족률과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1~3등급판정인원 천 명당 장기요양시설수가 많을수록 개별 장기요양시설의 충족률이 높아졌다. 반면, 1~3등급판정인원 천 명당 재가요양기관수가 많을수록 개별 장기요양시설 충족률은 낮아졌다. 그 밖에 65세 이상 인구 천 명당 재가요양기관수가 늘어날수록 현원과 대기인원의 합으로 계산된 충족률은 낮아졌다. 하지만 지역사회의 장기요양서비스 공급정도에 따라서 정원 대비 현원만으로 계산한 충족률은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term care services in community and a registration ratio of nursing homes. Data for the present study were drawn from two sources to conduct Multi-level analysis. Census data of long-term care services of each community in 2013 were drawn from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f 4,839 nursing homes were drawn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database in December 2014. The main results of Multi-level analysis address that a registration ratio of nursing homes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number of long-term care facilities per every 1,000 older adult whose long-term care grade was 1st to 3th (LISA). In contrast, a registration ratio of nursing home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supply of home-visit care centers.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nursing home were also relevant to a registration ratio. In particular, a registration ratio was closely related to the maximum capacity of beds, the evaluation grade by NHIS, the city size, the day and night care service, and the short-term care service. Those results also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to maintain supply and demand balance of long-term care services by community.

      • KCI등재

        어린이집 정원충족률에 따른 폐쇄위험과 수급조절 방안

        유재언 ( Yoo Jaeeo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어린이집 폐쇄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고 어린이집 수급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2년 1월 말 설치·운영되던 대한민국 전체 어린이집 40,006개소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2012년 3월부터 2015년 2월까지의 월별 폐쇄 현황을 살펴보았고, 정원충족률에 따른 폐쇄위험률을 Cox 이산형비례 위험모형으로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2012년 1월말 설치·운영되던 어린이집 중에서 총 1,202개소(월 평균 33.4개소)가 이후 3년 동안 폐쇄되었고, 어린이집 폐쇄는 전국적으로 발생하였다. 월평균 폐쇄 어린이집수는 2013년 3월을 기점으로 2013년 2월까지에 비해 늘었지만, 학기말, 연말, 학년말과 같은 특정 시점에 집중되지 않고 월별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2012년 1월 전체 대한민국 어린이집 평균 정원충족률은 83.5%였고, 지난 3년 사이에 폐쇄된 어린이집들의 2012년 1월 당시 평균 정원충족률은 68.5%였다. 설립유형, 위탁운영 여부, 평가인증 여부, 정부로부터 인건비를 지원받는지 여부, 지역규모, 영유아 반 구성, 운영기간, 정원의 어린이집 일반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정원충족률에 따른 폐쇄위험률을 Cox 이산형비례위험모형으로 계산한 결과, 정원충족률이 1% 높아질수록 폐쇄 위험률은 0.5% 낮아졌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문에서는 어린이집 수급균형을 유지하고, 영유아 및 영유아가정, 어린이집 종사자가 폐쇄로 인한 피해를 최소한으로 받도록 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cent changes and current conditions in the supply and demand of childcare centers in South Korea. The research subjects were 40,006 childcare centers in South Korea in January 2012. The information of all childcare centers in January 2012 and monthly closure from March 2012 to February 2015 wa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of Childcare Centers in South Korea. The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 addresses that 1,202 childcare centers has closed over the past three years. The number of monthly closures is almost steady, even though it increased after March 2013. In addition, childcare center closures have occurred throughout the country. Mean enrollment rate of all childcare centers in January 2012 was 83.5%, whereas mean enrollment rate of closed childcare centers in January 2012 was 68.5%. Thus, I examined the impact of enrollment rate in January 2012 on childcare center closure until February 2015 by examining the Cox discrete time event history model.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showed that closure hazard ratio increased by 0.5% as the enrollment rate decreased by 1%.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need to regulate the supply and demand balance of childcare centers and to reduce the impact childcare center closures on young children,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and daycare teache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장기요양기관의 상호명에 따른 정원충족률의 차이와 변동

        유재언 ( Yoo Jaeeo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保健社會硏究 Vol.36 No.4

        상호명은 이용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지만, 장기요양기관이용자의 선택이 상호명에 의해서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 빅데이터의 일종인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데이터베이스 시설급여제공 장기요양기관 4,846개소 자료를 활용하여 2014년과 2015년 장기요양기관 상호명에 따른 정원충족률 차이(연구문제 1)과 상호명 변경에 따른 (연구문제 2) 정원충족률변동이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2014년과 2015년두 시점에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두 번째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성향점수매칭 후 이중차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장기요양기관 정원충족률은 상호명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지만, 2014년에 비해 2015년 들어서 그 차이가 줄어들었다. 아울러 상호명을 변경한 장기요양기관은 상호명을 변경하지 않는 장기요양기관에 비해 1년 사이에 정원충족률이 약 5~6%p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장기요양기관 평가제도와 정보공개제도를 보완하여 이용자에게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주권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논의를 하였다. Older adult consumers with long-term care needs choose long-term care facilities (LTCFs) by searching for LTCFs` information, but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LTCFs` enrollments and their brand name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LTCFs` enrollments differed from their brand names in South Korea in 2014 (Time 1: T1) and 2015 (Time 2: T2). Data for the present study included information on 4,846 LTCFs that was extracted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databa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LTCFs` enrollments varied from their brand names at T1 rather than at T2. In addition,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difference-in-difference analyses revealed that the enrollment difference (T2-T1) of LTCFs in which changed their brand names was lower than those of LTCFs not changed their brand names.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although the LTCFs` brand name influenced consumer`s choice, the impact of brand name on the enrollment decreased over the one year.

      • KCI등재

        장모-사위 쌍 비교를 통한 모녀분화와 장모-사위 결속도 및 관계만족도 연구

        전세송 ( Sesong Jeon ),유재언 ( Jaeeon Yoo ) 대한가정학회 2017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5 No.3

        This study compares how mother-daughter differentiation influences solidarit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between mothers-in-law and sons-in-law.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7 mothers-in-law (mean age, 59.6 years) paired with their sons-in-law (mean age, 36.9 years). Participants were given quantitative survey questionnaires on their relationship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for the soci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others-in-law and sons-in-law. Ordinary least squar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also conducted to examine the level of mother-daughter differentiation, solidarit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between mothers-in-law and sons-in-law. The results show that a higher age of the mothers-in-law results in lower relationship satisfaction between mothers-in-law and sons-in-law. Next, an increase the level of mother-daughter differentiation (which means more balance between intimacy and detachability) results in a higher overall solidarity, affectual solidarity, giving functional solidarity, and consensual solidarity between mothers-in-law and sons-in-law.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ceiving functional solidarity and normative solidarity between mothers-in-law and sons-in-law. Finally, the results show that a higher level of mother-daughter differentiation produces a higher relationship satisfaction between mothers-in-law and sons-in-law. The findings could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in Korean family dynamics. The results also have implications for providing counseling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y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in-law and sons-in-law.

      • KCI등재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가계경제 악화가 가족생활과 심리적 복지에 미친 단기종단적 영향과 조절요인

        손서희 ( Son Seohee ),성미애 ( Sung Miai ),유재언 ( Yoo Jaeeon ),이재림 ( Lee Jaerim ),장영은 ( Young Eun ),진미정 ( Chin Meejung ) 한국가족관계학회 2021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가계경제 악화가 경제생활, 가족생활, 심리적 복지, 가족 및 사회관계망 변화에 차이를 가져왔는지를 파악하고, 가계경제 악화가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을 가족 및 사회관계망 자원이 조절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2020년 5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친 온라인조사에 모두 참여한 561명(연령: 20-64세)을 연구대상으로 혼합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차조사와 2차조사 사이에 가계경제가 악화된 집단은 같은 기간 동안 행복감과 가족탄력성이 낮아졌고, 스트레스 수준은 높아졌다. 반면 가계경제가 유지되었거나 개선된 집단은 주관적 행복감이 오히려 향상되었다. 1차조사에서의 행복과 스트레스를 통제한 상태에서 2차조사 시점의 행복과 스트레스를 각각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분석 결과, 가계경제가 악화된 경우 행복감(2차조사)은 낮았고 스트레스(2차조사) 수준은 높았다. 또한 가계경제 악화와 행복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 및 친구의 지원 두 가지 모두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특히 가족탄력성은 가계경제가 행복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였다. 그러나 가계경제 악화가 스트레스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조절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가계경제 악화 여부에 따른 심리적 측면에서의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악화된 가계경제에 대한 지원과 함께 가족탄력성을 강화하는 가족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focuses on changes in family economic conditions caused by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family life, individu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lationship resources during COVID-19 depending on whether the economic conditions of the family have negatively been impacted by the pandemic or not. We also examined whether family resilience and support from friend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deterior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561 Koreans (age: 20-64) at two time points in May 2020 (W1) and November 2020 (W2). Mixture ANOVA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Results: Respondents whose family economic situation deteriorated between W1 and W2 reported a decrease in happiness and family resilience, as well as an increase in perceived stress during the same period. In contrast, those whose economic conditions remained the same or improved experienced a slight increase in happiness. The economic deterioration of the family was respectively associated with a lower level of happiness and a higher level of stress at W2 after controlling for happiness and stress at W1. Family resilience and support from friends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economy and happiness, however the moderation effect was not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decline in family economy and stress.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families with worsened economic situations tend to experience more difficulti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due to the prolonged pandemic although family resilience buffered the negative impact. Policies and family services need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and strengthen family resilience particularly for individuals and families whose economic situations have deteriorated during the crisis.

      • 가족의 코로나19 관련 정책 인지도, 이용 정도, 이용 만족도 및 요구도

        성미애(Miai Sung),진미정(Meejung Chin),장영은(Youngeun Chang),유재언(Jaeeon Yoo),손서희(Seohee Son) 한국가족정책학회 2021 가족정책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응 정책의 적절성과 효과성을 평가하는 기초 연구로, 만 20~64세 성인(461명)을 대상으로 2020년 5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쳐 정책에 대한 인지도, 이용 정도, 이용 만족도 및 요구도를 살펴보고자 STATA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치와 쌍체 t 값을 구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도가 높은 정책은 1차 때는 긴급재난지원금, 유연근무제, 긴급돌봄지원 등이었으며, 2차 때는 유연근무제, 통신비, 긴급돌봄지원이었다. 둘째, 이용한 정책은 1차 때는 긴급재난지원금이었으며, 2차 때는 긴급재난지원금신청이 없어지면서 정책 이용 비율이 낮아졌다. 셋째, 이용 만족도가 높은 정책은 1차 때는 아동돌봄쿠폰, 긴급재난지원금 등이었으나 2차 때는 긴급돌봄지원과 아동돌봄쿠폰 등이었다. 넷째, 정책 요구도는 1, 2차 조사에서 유사하게 일자리 공급/유지, 소득지원 등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그러나 일부 정책에서는 1, 2차 사이에 요구도가 달라졌는데, 노인돌봄, 가족상담 및 교육 요구도는 더 높아진 반면, 소득지원 및 가족여가 지원은 더 낮아졌다. 그리고 미취학자녀가 있는 가족에서 코로나19 관련 정책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이처럼 코로나19의 장기화에 따라 시간의 변화 및 가족 특성에 맞는 정책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Korean families’ response to COVID-19-related policies in terms of awareness and utilization. The adequacy of these policies is also assessed by examining satisfaction towards and demand for them. An analysis of data collected from 461 people surveyed in May and November of 2020 showed that respondents were aware of COVID-19-related policy measures in the following order: 1) emergency disaster relief fund, followed by 2) a flexible work system and 3) the urgent childcare support measure. The most utilized policy measure was the emergency disaster relief fund. Satisfaction was high in May towards the temporary cash assistance measure, and in November towards the care services measure. The policy demand for elderly care and family counseling and education increased between May and November, while the policy demand for cash assistance and family leisure support decreased. In particular, the policy demand from families with preschool children was higher than that from families with school-age children. This study suggests that COVID-19-related policy measures should accommodate the different and evolving needs of different households based on family characteristics as the pandemic progresses.

      • KCI등재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가족생활 및 가족관계의 변화와 스트레스

        진미정 ( Meejung Chin ),성미애 ( Miai Sung ),손서희 ( Seohee Son ),유재언 ( Jaeeon Yoo ),이재림 ( Jaerim Lee ),장영은 ( Young Eun Chang ) 대한가정학회 2020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8 No.3

        This study explores how the COVID-19 pandemic has changed family life and relationships as well as how these changes affect perceived stress among married men and women.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family time use, household work, child care, leisure activities, income and expenditures along with relationships between spouses and children using a sample of 627 married persons surveyed online from May 19 to 25, 202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mount of time spent on household work, child care, and family leisure have increased and that the perceived burden of household work and child care has also increased.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ime use, household work, and child care. Leisure activities have changed toward more time watching TV or online media and playing online games and less time on outdoor activities, shopping, and meeting friends. About 38% of respondents reported a reduction in household income and 22% reported an increase in household debt. The majority experienced no change in the quality of relationships with spouses and children, approximately 20% of the sample reported a positive change in relationships with spouses and children. The findings of multivariate regression indicated that change in work time, negative change in household economy, negative change in household work and negative change in relationships with spouses were associated with marital stress.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negative changes in child care and in relationships with children did not affect stress among married parents with children in elementary or secondary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