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공계 대학생의 전공 및 진로에 대한 인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유영의 ( Yoo Yung-eui ),장윤호 ( Jang Yun-ho ) 한국융합과학회 2023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2 No.1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이공계 대학생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전공 및 진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성별과 학년에 따른 지원방안을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Statistic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이공계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전공 및 진로에 대한 인식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공계 대학생의 학년에 따른 전공 및 진로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따라서 이공계대학생을 위한 전공 및 진로에 대한 지원은 성별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이 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지원은 이공계열의 젠더갈등을 완화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STEM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eir majors and careers based on gender and academic year. It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ailored support strategies based on gender and academic year. Method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survey was conduct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as well as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5 software.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STEM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ir gender, have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their majors and careers than female students. Second, perceptions of majors and careers based on academic year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Therefore, support for STEM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eir majors and careers should be tailored, taking gender into consideration. Such support is expected to play a role in mitigating gender-related conflicts in STEM fields.

      • KCI등재

        어머니 문지기역할과 아버지 양육참여 및 양육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유영의(Yoo, Yung-Eui),양선희(Yang, Su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가 인식하는 어머니의 문지기역할과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구조모형의 적합성과 직 · 간접적인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충남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의 만 3~5세 아버지 2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대한 통계적 검증은 SPSS 21.0과 AMO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 Cronbach’s α, 상관관계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어머니의 문지기역할이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거쳐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가 인식한 어머니의 문지기역할은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매개로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가 자녀의 양육에 대한 공동의 책임을 가지고 건강한 양육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suitability of the structural model and its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on the maternal gatekeeping, the father involvement, and parenting stres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254 fathers whose children are aged 3 to 5 years.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SPSS 21.0 and AMOS 25.0 programs were used,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α,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study model in which maternal gatekeeping affects parenting stress through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was found to be appropriate.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 mother’s role as a gatekeeper recognized by a father had an effect on fathers’ parenting stress through the medium of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This study suggested to draw implications for parents to have shared parental responsibility and perform healthy parenting.

      • KCI등재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사회과학 지식’ 영역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유영의(Yoo, Yung-Eui),이진희(Lee, Jin-Hee),김종훈(Kim, Jong-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들이 사회교육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사회과학 지식’ 영역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사 31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하여 ‘사회과학 지식’ 영역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보리치(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사회과학 지식 영역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둘째, 사회과학 지식 영역에 대한 목표, 내용, 교수방법, 평가의 각 항목별로 보았을 때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내용들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들은 유아사회교육의 한 영역으로 사회과학 지식 분야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서는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 실행에 있어서는 그렇지 않음을 알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유치원 교사들의 사회과학 지식 영역에 대한 인식 제 고와 사회과학 지식 영역의 교육수행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teachers demands for ‘social science knowledge’ education,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data, utilizing questionnaires about social scientific knowledge education with 313 kindergarten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tilizing Borich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social scientific knowledge education perceived by the teachers. second, the contents to be considered in the goal, content,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of the social science knowledge domain were extracted. Through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eachers are high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social science knowledge field as an area of early childhood social education, but they are not in actual practi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suppor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the social science knowledge domain and support the education of the social science knowledge domain.

      • KCI등재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인식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유영의(Yoo, Yung Eui),이성주(Lee, Seong Joo),장은정(Jang, Eun Jung),양선희(Yang, Sun Hee)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이 미디어 및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하여 갖고 있는 인식을 개념도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1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브레인스토밍과 진술문 구조화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으로 37개의 최종 진술문이 생성되었으며, 다차원 척도분석을 통해 ‘미디어 선별 능력-미디어 활용 능력’, ‘유아 대상 미디어 활용-미디어에 대한 태도’의 2개 차원으로 나누었다. 또한 군집분석을 통해 진술문을 ‘미디어 기본 활용 능력’, ‘미디어에 대한 해석과 적응’, ‘유아를 위한 미디어 활용’, ‘새로운 미디어에 대한 태도’, ‘미디어 특성에 대한 이해’,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미디어 활용 윤리’ 등 7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37개의 진술문에 대한 연구 참여자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상위 10개의 진술문에서는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으며, 하위 10개의 진술문에서는 ‘동영상 촬영 및 편집 능력’이 가장 낮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구성 요인 확인 및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개발 연구 등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on media literacy using the conceptual map analysis method. For this purpose, brainstorming and statement structure was conducted by 14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research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37 final statements were generated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media literacy. It was divided into two dimensions by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the ability to select media - the ability to use media’ and ‘media use for young children - attitude toward media’. Also,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the statements were classified into 7 clusters. There were ‘basic media literacy’, ‘interpretation and adaptation to media’, ‘media use for young children’, ‘attitude toward new media’, ‘understanding media characteristics’, and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a use and media usage ethic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 of study participants for 37 statements, ‘critical understanding of media’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in the top 10 statements, and ‘video shooting and editing ability’ in the bottom 10 statements showed the lowest impor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helpful as basic research data for identifying the constituent factors of media literacy and examining media literacy competency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아동문학 관련 연구동향 분석

        유영의(Yoo, Yung-eui),장윤호(Jang, Yun-ho)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1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아동문학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아동문학 관련 학위논문과 학술지의 연구동향이 어떠한지 파악하기 위해 파이썬을 활용한 웹크롤링을 통해‘아동문학’을 주제어로 2020년 5월 11일부터 2020년 5월 15일까지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2000년 이후 자료 5,490건을 데이터 클리닝하여 사용하였다. 데이터 분석 방법으로는 넷마이너(NetMiner)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를 분석하고 데이터를 시각화 하기 위해 워드클라우드와 관계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석결과, 학위논문에서 사용된 키워드 빈도는 문학, 아동, 동화, 교육, 초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학술지는 문학, 아동, 동화, 교육, 동시의 순서로 나타났다. 키워드 중심성 분석에서는 학위논문의 경우는,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에서 문학, 동화, 교육, 아동, 영어의 순으로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고 고유벡터중심성은 문학, 아동, 교육, 치료, 영어 순으로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학술지의 키워드 중심성을 파악한 결과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은 문학, 아동, 동화, 교육, 어린이 순으로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고 고유벡터중심성은 문학, 아동, 교육, 청소년, 한국의 순서, 매개중심성은 문학, 아동, 동화, 교육, 문화의 순서로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아동문학관련 연구동향은 빈도수가 높은 문학, 아동, 동화, 교육이라는 주제어와 함께 치료, 영어, 청소년, 문화 등 중심성 높은 주제어들이 다양한 조합을 이루어 연구되어 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related to children s literature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data was collected from 5,490 academic papers and journals related to children s literature from May 11, 2020 to May 15, 2020 through web crawling using Python. For data analysis, NetMiner4 was used to analyze the word frequency. Word-cloud and relational network were performed to visualize the data.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keywords in the thesis papers were found to be literature, children, fairy tales, education, and elementary in a descending frequency order. For academic journals, the keywords were literature, children, fairy tales, education, and children’s poem in a descending frequency order. Keyword centrality analysis revealed that the thesis papers showed high connection-, proximity-, and mediation-centrality around the keywords of literature, fairy tales, education, children, and English, while showing high eigenvector-centrality around the words of literature, children, education, treatment, and English. Academic journals revealed high connection and proximity-centrality around the keywords of literature, children, fairy tales, education, and children, showing high eigenvector centrality around the words of literature, children, education, adolecentes, and Korea, and presenting high mediation-centrality around the words of literature, children, education, and culture. The results show that children s literature research trends generally have a focus on literature, children, fairy tales, and education; additional focus is given to other centralized keywords such as treatment, English, and culture.

      • KCI등재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의 과학교육과정의 구성 및 내용의 연계성 분석

        유영의 ( Yung Eui Yoo ),김은정 ( Eun Jung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13년부터 적용되고 있는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의 국가교육과정을 대상으로 과학교육과정의 구성과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연계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의 과학교육과정의 구성은 내용영역과 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제시에서 3-5세 유치원의 자연탐구영역은 초등학교 1-2학년군의 슬기로운 생활과 3-4학년군, 5-6학년군, 7-9학년군의 과학과 교육과정과는 다른 구성형태를 하고 있었다. 슬기로운 생활과 과학과 교육과정은 내용별 성취기준과 탐구방법이 학년군마다 구체적이고 균형감있게 제시되어 있는 것에 비교하여 유치원의 자연탐구영역은 내용에 따른 세부내용만 제시되어 있을 뿐 성취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았고, 탐구방법은 과학적 탐구하기의 세부내용과 직접 관련되어 있지 않았다. 둘째,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의 과학교육과정의 내용 분포는 자연탐구영역과 과학과 교육과정은 물리, 화학, 생명공학, 지구과학이 균형감 있게 분포된 것에 비교하여 슬기로운 생활은 생명공학과 지구공학에만 분포되어 있었고, 공학은 7-9학년군의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의 과학교육과정 내용의 연계 형태는 물리와 화학, 생명과학과 지구과학에서 자연탐구영역에서는 확대와 반복이 많았고, 초등학교 3-4학년군과 5-6학년군 간에는 확대가 많았으며 5-6학년군과 7-9학년군 간에는 모든 내용이 확대의 연계 형태를 하고 있었다. 반면에 5세 자연탐구영역과 초등학교 1-2학년군 슬기로운 생활 간의 내용의 연계 형태는 소멸, 역행, 격차가 많이 나타나 연계가 안되어 있었고, 초등학교 1-2학년군의 슬기로운 생활과 3-4학년군의 과학과 교육과정 간 내용의 연계 형태에서도 격차가 많이 나타나 연계가 안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추후 과학교육과정의 개정을 위한 구체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제안을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tinuity and sequence in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curriculums for kindergart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education curriculums for kindergart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differ in their presentations of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while the Nature Inquiry section for 3 to 5 year-olds in kindergarten differs from the Wise Life and Science Education. Second, there are balanced distributions of the contents in the science education curriculums for kindergart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These distributions are to be found in the Nature Inquiry section for kindergarten ages 3-5, and the contents for grades 3-4, 5-6, and 7-9 which are comprised of physics, chemistry, biological engineering, and earth science. Third, in addition, there are extensions and repetitions in the continuity and sequence of the curriculums for kindergart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in the contents of physics, chemistry, biological engineering, and earth science, as well, the nature inquiry section for the kindergarten ages 3-5 also has such extensions and repetitions. Extensions are also found between grade groups 3-4 and 5-6, while grade groups 5-6 and 7-9 exhibit continuity type of extensions in all their contents. However, there is no content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ge 5 and the elementary school grades 1-2. Instead, a virtual disappearance of key concepts, and retrogression create gaps. Large gaps are also found in the science education curriculums between elementary school grades 1-2 in Wise Life and grades 3-4 in science education, thus creating a break in content continuity.

      • KCI등재

        미술영역과 관련한 누리과정과 초등 1학년 통합교과의 연계성 분석

        유영의(Yoo, Yung-eui),권혜진(Kwon, Hye-jin),장영신(Jang, Young-si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4 No.4

        본 연구는 미술영역과 관련하여 5세 누리과정과 초등 1학년 통합교과의 미술교육목표와 교육내용, 교수방법 측면에서 연계성을 분석함으로 예술경험영역에 있어서 유아단계에서 초등 1학년 전이 시보다 효율적인 연계를 위한 기초 자료와 방 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미술영역과 관련하여 5세 누리과정과 초등 1학년 통합교과에서의 미술교육목표는 부분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영역과 관련하여 5세 누리과정과 초등 1학년 통합교과의 교육내용은부분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술영역과 관련하여 5세 누리과정과 초등 1학년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의 교수방법 즉, 동기유발방법, 미술표현재료, 미술표현기법을 살펴본 결과 5세 누리과정과 초등 1학년 통합교과에서 모두 다양한 동기유발방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공통적으로 높은 수준의 목표와 다양한 질문하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활동에서 사용된 평면ㆍ입체미술재료를 살펴본 결과 공통적으로 종이류와 그리기가 가능한 재료, 드로잉이나 채색이 가능한 재료 사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술활동에서 사용된 미술표현기법을 살펴본 결과 5세 누리과정과 초등 1학년 통합교과 모두 그리기, 만들기와 꾸미기 활동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suggest basic data and direction for an effective curricular relationship of art experience zone when transferring from kindergarten to elementary school by analyzing aspects such as goals of art education, the contents, and methods used by teachers.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s. First the goals of art education of 5-year-old Nuri curriculum related to the art area and the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of first grade elementary school were partly connected. Second, the education contents of 5-year-old Nuri curriculum related to the art area and the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of first grade elementary school were partly connected. third, after examining the methods of art education such as motivation methods, materials of artistic expression, and techniques of artistic expression in the ‘art experience area’ of 5-year-old Nuri curriculum and the ‘joyful life’ of the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of first grade elementary school, it was found that both curriculums used various motivation methods and commonly had high level goals as well as usage of various questions. Examining two-dimension and three-dimension art materials used in art activities showed that paper or other materials to draw on, and materials to draw or paint with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in both curriculums. Lastly, after examining the techniques of artistic expression used in art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activities such as drawing, making, and decorating were the most common activities in both 5-year-old Nuri curriculum and the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of first grade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아동학대의 심각성과 신고에 대한 인식이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영의(Yoo, Yung-Eui),이진희(Lee, Jin-Hee),임진형(Lim, Jin-Hyoung)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아동학대의 심각성과 신고의 효과성, 신고 저해요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러한 인식이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보육교사 32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의 아동학대 신고의도 여부는 72.9%가 '신고하겠다', 27.1%는 '신고하지 않겠다'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인식하는 아동학대의 심각성과 신고의 효과성, 신고 저해요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신고 저해요인에 대한 인식에서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인식하는 아동학대의 심각성과 신고의 효과성, 신고 저해요인에 대한 인식이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신고 저해요인에 대한 인식이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보육교사들의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로서의 역할과 아동학대 신고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nfluences on reporting intentions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erms of three factors: recognition of the seriousness of child abuse, effectiveness of reporting, and recognition of the obstruction factors. Data a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or 325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72.9% were willing to report child abuse whereas the rest 27.1% would not. The study also finds tha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age in the recognition of the obstruction factor of reporting. It is also shown that recognition of the obstruction factor, quite unlike the seriousness of child abuse and the effectiveness of reporting, i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reporting intentions. The paper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s obligatory reporters and reporting behavior on child abuse.

      • KCI등재

        현직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요구도 분석 -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을 중심으로

        유영의 ( Yoo Yung-eui ),이진희 ( Lee Jin-hee ),김종훈 ( Kim Jong-ho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현직교육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하여 현직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치원 교사 306명을 대상으로 하여 현직교육에 대한 질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보리치(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현직교육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사들의 현직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교육방향과 관련해서는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한 프로그램 구성’, ‘실천적 지식과 반성적 사고확장을 도모하는 내용’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고 교육목적과 관련하여서는 ‘교사자신의 심신건강과 인성함양 도모’, ‘사회변화에 따른 유아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이해 도모’, ‘유아의 발달특성, 흥미와 요구, 개인차에 대한 이해 도모’, ‘학급의 효율적 운영 도모'의 내용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내용과 관련하여서는 ‘교사의 심신건강 혹은 인성함양과 관련된 내용’, ‘유아의 행동지도’, ‘효율적인 인간관계 및 의사소통기술’, ‘유아생활지도 방법 및 실제’, ‘학부모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교과영역별 전문지식 및 지도방법’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방법과 관련하여서는 ‘견학 및 참관’, ‘토론’, ‘사례발표’, ‘실습을 겸한 워크숍’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평가방법과 관련하여서는 ‘발표 및 토론을 통한 평가’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교사들의 요구를 반영한 현직교육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preschool teachers’ needs for in-service training, focusing on its importance and feasibility.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a questionnaires about in-service training from 306 preschool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utilizing Borich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we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and feasibility of the in-service training preschool teachers perceived. Second, concerning an approach to the training the needs for the program that ‘integrates, teachers’ opinions” and includes the contents for enhancing practical knowledge and self-reflexive thinking” were ranked the highest. Concerning the purpose of training, the needs for the contents for “promoting mental/physical health and character development ‘advancing understanding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at addresses recent societal changes and knowledge on children’s development, interests, needs, and individual differences” and effective classroom management appeared to be highly ranked. Concerning the contents of training, the needs for the content related to “teachers’ mental/physical health or character development behaviroal guidance and management”, “effective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partnerships with parents and community”- appeared to be ranked high. Regarding training format, teachers preferred a site visit and observation, discussion, case presentation, and a workshop with some field experiences. Concerning evaluation teachers preferred evaluation based on presentations/discussion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in-service teacher training that integrates preschool teachers’ needs and interest is discussed.

      • KCI등재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을 중심으로-

        최유리(Choi, Yoo-Ri),유영의(Yoo, Yung-Eui)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 인식 간차이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사 198명으로부터 질문지 자료를 수집 후 SPSS 25 프로그램을이용해 t-검증과 IPA매트리스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교육의 모든 영역에서중요도 인식이 실행도 인식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우선지원이 필요한 영역은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문학교육의 교수 방법’이었다. 둘째,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교육에 대한 세부 항목별 분석 결과 ‘한국전래동화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나 정보원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함’, ‘유아의 문학적 태도에대해 알고 있어야 함’, ‘우리나라 민족 정서 함양에 도움을 줌’, ‘유아의 발달수준에 적합한 것이어야 함’,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교육에 대한 유아의 흥미와 관심을 증진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실시함’, ‘교사는 한국 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교육을 실시한 후 관찰법을 통해 유아평가를 실시함’이 중요도와 실행도간 차이가 가장 큰 항목으로 나타났으며 우선지원이 필요한 항목은 ‘양질의 한국 전래동화 그림책 선정을위한 기준을 알고 있어야 함’, ‘언어능력 향상에 도움을 줌’, ‘우리나라 민족 정서 함양에 도움을 줌’, ‘한국전래동화를 활용한 문학교육에 대한 유아의 흥미와 관심을 증진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실시함’이었다. 이처럼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갖는 인식을 중요도와 실행도로 나누어 살펴보는 것은 전래동화와 관련하여현장의 지원 방향 설정 및 구체적 지원전략 도출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parity between perceived importance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regards to literature education using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To this end, survey data collected from 198 teachers was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5.0. The results from conducting a t-test and the importance-performance matrix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ived importance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eir perceived performance in all areas of literature education using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and the area that required prioritized support was found to be ‘Teaching methods of literature education using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achers’ literature education using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by detailed items, the following areas showed the greatest disparity between the teachers’ perceived importance and their perceived performance: ‘Being aware of methods or sources for obtaining information about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Being aware of children’s literary attitude,’ ‘Helping children develop national sentiment,’ ‘Being appropriate to the developmental level of the children,’ ‘Understanding and implementing methods of enhancing children’s interest in literature education using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and ‘Assessing children through observation methods after implementing literature education using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needed prioritized support in the following items: ‘Being aware of the criteria for selecting quality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picture books,’ ‘Helping improve language ability,’ ‘Helping develop national sentiment,’ and ‘Understanding and implementing methods of enhancing children’s interest in literature education using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