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죽잎으로 부터 추출한 항산화물질의 특성

        유미영,박성희,강용모,양지영,Yoo Mi-Young,Park Sung-Hee,Kang Young-Mo,Yang Ji-Young 한국생명과학회 2005 생명과학회지 Vol.15 No.5

        국내산 산죽잎을 methanol로 추출하여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여러 방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안정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산죽잎 메탄올 추출물은 0.1 mg/l에서 0.8mg/ml의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활성이 증가하였다. 산죽잎 메탄올추출물은 DPPH radical 소거능에 대한 $IC_{50}$ 값은 $583{\mu}g/ml$, SOD 유사활성능에 대한 $IC_{50}$값은 $800{\mu}g/ml$, hydrogen peroxide 소거능에 대한 $IC_{50}$값은 $38{\mug}/ml$이 었으며 대조구로 사용한 BHT의 각각 의 $IC_{50}$값은 $271{\mu}g/ml,{\;}680{\mu}g/ml,{\;}30{\mu}g/ml$이었다. 산죽잎 메탄올추출물의 자동산화 억제능은 상기 농도 범위에서 $55\∼6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산죽잎 메탄올추출물의 pH 안정성은 pH 6에서 안정하였으나 산성이나 알카리성으로 갈수록 pH 안정성은 떨어졌다. 산죽잎 메탄올추출물의 열안정성은 $0^{\circ}C$에서 $120^{\circ}C$의 온도범위에서 $80\%$ 이상의 항산화능을 유지하였다. For usage of natural antioxidants, sanjook (Sasa boreails var. chiisanensis) leaves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and investigated about its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stability. It showed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the leaves of sanjook depend on their concentration within range of 0.1 to 0.8 mg/ml. The methanol extracts from the leaves of sanjook represented $583{\mu}g/ml$ for $IC_{50}$ of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800{\mu}g/ml$for $IC_{50}$ of SOD-like activity and $38{\mu}g/ml$for $IC_{50}$ of $H_{2} O_{2}$ scavenging ability, while BHT, as a compared substance, was $271{\mu}g/ml$ for $IC_{50}$ of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680{\mu}g/ml$ for $IC_{50}$ of SOD-like activity and $30{\mu}g/ml$ for $IC_{50}$ of $H_{2} O_{2}$ scavenging ability, respectively. The anti-au-toxidation effect for methanol extracts from the leaves of sajook was $55\∼60\%$ within range of 0.1 to 0.8 mg/ml. The pH stability on methanol extracts from the leaves of sanjook was most stable at pH 6. The more acid or akali it became, the more unstable it turned. The thermostability on methanol extracts from the leaves of sanjook remained above $80\%$ of their DPPH activity at range of $0^{\circ}C{\;}to{\;}120^{\circ}$.

      • SCOPUSKCI등재

        배즙을 첨가한 전통고추장의 숙성과정 중 품질특성

        유미영(Mi-Young Yoo),정권혁(Kwon-Hyug Jung),양지영(Ji-Young Y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8

        고추장의 품질향상을 위해 배즙의 농도를 달리하여 첨가하고 30℃에서 2개월간 숙성시키면서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숙성이 진행되는 동안 배즙첨가 고추장의 수분함량은 배즙을 9% 첨가한 고추장을 제외하고는 증가하였으며 조단백질함량은 감소하였다. 배즙첨가 고추장의 총당함량은 숙성기간동안 변화가 없었으나 환원당함량은 숙성초기부터 급격히 증가하였다. 숙성 중 배즙첨가 고추장의 pH는 감소하였으며 산도는 증가하였다. 배즙첨가 고추장의 아미노태질소함량의 변화는 숙성 45일부터 급격히 증가하였다. 숙성 2개월에서 배즙첨가 고추장의 효모수는 2.2~2.9×10³ CFU/g으로 다소 증가하였고, 세균수는 2.1~2.9×10^7 CFU/g으로 변화는 없었다. 배즙첨가 고추장의 색도는 숙성 중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a값이 다소 감소하였다. 고추장의 맛, 색깔, 향기, 전반적인 기호도로 보아 배즙을 6% 첨가하여 제조한 고추장이 유의적으로 좋게 나타났다. In order to improve quali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pear juice was added to kochujang, and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pear-added kochujang were investigated for 2 months of fermentation at 30℃. Moisture contents of pear-added kochujangs increased except of 9% pear-added kochujang and crude protein contents of them decreased as the fermentation proceeded. Total sugar contents of pear-added kochujangs did not change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and reducing sugar contents of them increased remarkably from early stage of fermentation. The pH of pear-added kochujangs decreased and titratable acidity of them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Amino-nitrogen contents of pear-added kochujangs increased remarkably after 45 days of fermentation. Viable cells counts of yeasts in pear-added kochujangs increased to 2.2~2.9×10³CFU/g, and bacterial cell counts were in relatively constant range of 2.1~2.9×10^7 CFU/g at the late stage of fermentation. Color of pear-added kochujangs had no difference and ‘a’ value decreased slightly during fermentation.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6% pear added kochujang were more acceptable than others.

      • KCI등재

        허브추출물의 항균 작용

        유미영(Mi-Young Yoo),정윤주(Yoon-Ju Jung),양지영(Ji-Young Y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8

        아로마테라피에도 널리 이용되는 라벤더, 패츌리, 로즈마리, 유칼립투스 등의 허브를 이용하여 식품의 천연보존제로서의 항균활성의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프랑스산 로즈마리추출물의 경우 C. albicans ATCC 10231에 대한 MIC는 29.1 ㎎/mL로 나타났으며 B. subtilis ATCC 6613과 E. coli ATCC 25922에 대한 MIC는 14.5 ㎎/mL로 나타났다. 프랑스산 로즈마리와 미국산 라벤더의 추출물은 40에서 121℃ 범위에서 열 안정성을 나타냈으며 pH 안정성 실험에서는 중성에 좋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액체 배양시 프랑스산 로즈마리와 미국산 라벤더의 추출액을 첨가하여 피검균의 생육억제 실험을 행한 결과 액체배지 20 mL에 대해 2.9 ㎎의 허브추출물를 첨가한 경우에 생육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four herb extracts from lavender, patchouli, rosemary and eucalyptus possibly used as food preservatives.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France rosemary extracts was 29.1 ㎎/mL against C. albicans ATCC 10231 and 14.5 ㎎/mL against B. subtilis ATCC 6613 and E. coli ATCC 25922. Both of France rosemary and American lavender herbal extracts were thermally stable between 40℃ and 121℃ and were stable at only neutral pH. Microbial growth was repressed by adding 2.9 ㎎ of a commercial herbal extracts in 20 mL liquid medium with France rosemary extracts and American lavender extracts.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발효과정에서 생성되는 발효유제품의 안식향산 함량 수준 평가

        임상동,박미선,김기성,유미영,Lim, Sang-Dong,Park, Mi-Sun,Kim, Kee-Sung,Yoo, Mi-Young 한국축산식품학회 2013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3 No.5

        본 연구는 발효과정 중 생성되는 발효유제품의 안식향산을 조사함으로써 축산식품관리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의 축산물 시험법 중 전처리 방법인 Sep-Pak을 이용한 분석방법과 자동증류장치를 이용한 분석방법 중 1개를 택일하기 위하여 유제품의 회수율을 측정한 결과 커다란 차이가 없음에 따라 전처리 시간이 짧은 Sep-Pak을 이용한 분석방법을 선정하였다. Sep-Pak법의 유효성 검증으로 안식향산의 검량선은 $R^2$ = 0.999로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냈으며, 검출한계는 0.058 mg/kg, 정량한계는 0.176 mg/kg을 보였다. 완제품에서 검출된 발효유를 대상으로 공정 단계별로 안식향산을 분석한 결과 스타터를 첨가한 이후 단계에서 2.28-10.48 mg/kg 수준이었고 첨가제(시럽)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시중 유통 중인 발효유는 0-16.5 mg/kg으로 나타났다. 치즈의 경우 카멤베르 치즈는 커드형성 후, 가공치즈는 원료치즈에서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시중 유통 중인 자연치즈는 0-4.2 mg/kg, 가공치즈는 0-20.8 mg/kg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원료, 제조과정 중 및 완제품 전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자연유래 안식향산을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tilize the results as a basic data of benzoic acids in animal products that didn't mention in the quality standard of National Veterinary Research and Quarantine Service (NVRQS) to solve the conflict of international trade and administration. Set-Pak method listed in the quality standard of NVRQS, faster than auto distillation methods with same recovery selected as a pre treatment for the determination of benzoic acid. The regression curve of benzoic acid with Sep-Pak method was linear with the $R^2$ value of 0.999 and the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tation (LOQ) was 0.058 mg/kg and 0.176 mg/kg, respectively. The benzoic acid in the fermented milk was detected after the fermentation stage by addition of starter culture with the level of 2.28~10.48 mg/kg and 0~16.5 mg/kg in the commercial fermented milk products without detection by the addition of syrup. In case of cheese products, the benzoic acids level was influenced by the curd formation (Camembert cheese) and the quality of natural cheese (processed cheese), by the way, the benzoic acid level of commercial natural cheese was 0~4.2 mg/kg, processed cheese was 0~20.8 mg/kg, respectively. Based on this result, it may be possible to utilize as a basic data for the systematic control the level of natural benzoic acids in raw material, processing and final products of animal origin.

      • KCI등재

        갈참나무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효과

        윤재원(Jae-Won Yoon),유미영(Mi-Young Yoo),최재호(Jae-Ho Choi),이명구(Myoung-Ku Lee),오덕환(Deog-Hwan 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6

        본 연구는 여러종류의 병원성 식중독 미생물에 대하여 갈참나무의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에 대한 생육저해 효과를 규명하여 천연항균소재로서의 응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갈참나무 잎, 수피, 목질부의 에탄올 추출물은 모두 그람 음성균과 양성균에서 모두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람양성과 음성균 4종에 대한 갈참나무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생육저해효과는 식중독균 종류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L. monocytogenes와 S. Typhimurium균이 B. cereus와 E. coli O157:H7균에 비하여 더 강한 생육억제를 보였으며 갈참나무 부위중 잎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균력을 보였고, 수피와 목질부는 거의 유사하거나 수피 에탄올 추출물이 약간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갈참나무잎 에탄올 추출물은 B. cereus는 500 ㎍/mL, L. monocytogenes 및 E. coli O157:H7는 1,000 ㎍/mL 농도에서 24시간동안 생육을 완전히 저해하였으나 S. Typhimurium은 생육을 완전히 억제하는데 2,000 ㎍/mL 농도가 필요하였다. 한편, 갈참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극성이 다른 용매로 순차 분획한 분획물의 병원성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토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이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나, 클로포름, 헥산 및 물층에서는 전혀 항균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hibi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leaf, bark and xylem of Quercus aliena Blume and, consecutively, of organic solvent subfractions against food borne pathogens. The ethanol extracts of leaf, bark and xylem of Quercus aliena Blume were shown to have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Typhimurium were more resistant to ethanol extracts of the Quercus aliena Blume tissues compared with Bacillus cereu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The ethanol extract of Quercus aliena Blume leaf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ood borne pathogens, followed by those of xylem and bark. The ethanol extract treatment (500~1,000 ㎍/mL) of Quercus aliena Blume leaf completely reduced the growth of B. cereus and L. monocytogenes within 24 hour whereas 2,000 ㎍/mL of ethanol extract was needed for complete growth inhibition of E. coli O157:H7 and S. Typhimurium. Among organic solvent subfractions obtained from the ethanol extract of leaf, bark and xylem of Quercus aliena Blume,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but no antimicrobial activity was observed in chloroform, hexane and water fra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