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중시기 영상자료를 이용한 을숙도 습지 지역의 정성적 변화분석

        이재원 ( Jae One Lee ),김용석 ( Yong Suk Kim ),위광재 ( Gwang Jae We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0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 을숙도 지역에 대하여 지난 30년간의 다중시기 영상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지형변화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자료 획득을 위하여 현지조사 및 지상기준점 측량을 실시하였고, 영상정보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영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취득된 영상은 고정밀 스캔과정과 기하보정을 거쳐 정사 모자이크 영상으로 제작하였으며, 시기별 총 9단계로 구분하여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을숙도 지역의 환경적 지형변화는 1980년 중후반 대규모 건설공사로 인하여 많은 변화가 생겼음을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났다. 그리고 1990년대 후반에 들어서는 무분별한 경작지들을 정리하고 인공생태 습지 복원을 시작하였으며, 2000년대에는 대규모 교량 공사로 인한 지형의 변화가 생겼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인한 이 지역의 지형적, 환경적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collected some multi-image information of Nakdong River Estuary Eulsukdo area in last 30 years, which are used as the basis information in running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opography relief`s deformation. First, to obtain the data, this research carried out a field survey and GCP measurement, then classified and collected the image information by analog and digital image. The acquired images which have passed a high-precise scan process and geometric correction is manufactured by Ortho Mosaic image, then divided them into 9 sections time period classification before we run a qualitative analysis. In late of 1980`s there are many changes of environmental topography deformation of the Eulsukdo area which caused by large scale building constructions, appeared to be known through this research. And then in late of 1990`s, we organized the wild cultivated lands, started the wetland restoration of the artificial ecology, in 2000`s we are able to know the existence of topograph relief change which caused by big scale of bridge construction. Hereafter, in this quick process of the environmental and topographical change of this area caused by the 4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experiment are expected to be something applicable as important basic data.

      • KCI등재

        산림지역의 항공기 탑재 하이퍼스펙트럴 영상에 대한 식생-Endmember와 식생지수의 상관 분석

        김태우 ( Tae Woo Kim ),위광재 ( Gwang Jae We ),서용철 ( Yong Cheol Suh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2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5 No.3

        작물과 산림을 포함한 식생에 대한 순1차 생산(net primary production, NPP)와 총1차 생산 (gross primary production, GPP)은 바이오매스와 식생의 탄소저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원격탐사를 이용해 바이오매스를 추정하는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바이오매스는 광합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인 클로로필(엽록소)의 총 함유량으로 추정할 수 있는데, 클로로필을 추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식생지수들이 개발되었다. 식생지수들은 개발에 사용된 식생의 종류와 원격탐사 데이터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가지고 있다. 하이퍼스펙트럴 영상은 다중분광 영상에 비하여 세분화된 각 파장대마다 물질에 따른 반사 및 흡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기존의 식생지수를 그대로 사용하기에 무리가 따른다. 본 연구는 항공기 탑재 하이퍼스펙트럴 영상을 이용하여 산림에 대한 바이오매스 추정을 위한 매개변수로 활용되는 적합한 식생지수는 무엇인지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하이퍼스펙트럴 영상의 밴드 특성을 고려하여 다수의 식생지수 산출식 중 9개를 선정하고, SMA(spectral mixture analysis)를 통하여 대상지역의 산림을 대표하는 3개의 endmember를 추출하였다. 9개의 식생지수와 추출된 endmembers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상관분석 결과는 산림이 분포된 지역에서 Pearson 상관계수는 MTVI1과 TVI가 0.877의 상관 계수를 가졌으며, 식생이 적고 토양의 분포가 확연한 지역에서는 MCARI가 0.9061로 매우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MTVI1과 TVI이 0.757의 동일한 상관계수를 가지며 식생에 대한 3개의 endmember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net biomass accumulation (or net primary production, NPP) and gross primary production (GPP) have closely related with carbon accumulations (or carbon exchange) in vegetation. There are many approaches to estimate biomass using remote sensing techniques. The vegetation indices (VIs) can be a methodology to estimate biomass which assumes total chlorophyll contents. Various VIs were characterized with difference development conditions as vegetation species, input datasets. The hyperspectral data have also different spatial/spectral resolutions for aerial surveying. Additionally they need particular spectral bands selection difficulty to calculate the V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rrelations with airborne hyperspectral data (compact airborne spectrographic imager, CASI) and spectral unmixing model (or spectral mixture analysis, SMA) to characterize vegetation indices in forest area. The spectral mixture analysis was used to model the spectral purity of each pixel as an endmember. The endmembers are the fraction components derived from hyperspectral data through the SMA. In this study, we choose three endmembers represented vegetation pixels in the hyperspectral data. These endmembers were compared with 9 VIs by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show MTVI1 and TVI have same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0.877, The MCARI, especially has very high relationship with vegetation endmembers as 0.9061 at less vegetation and soil distributed site. The MTVI1 and TVI have high correlations with the vegetation endmembers as 0.757 in whole test sites.

      • SCOPUSKCI등재
      • 합성지오이드모델을 이용한 수직기준면 변환

        이동하(Lee, Dong Ha),위광재(We, Gwang Jae),정태준(Jung, Tae Jun),염민교(Youm, Min Kyo),윤홍식(Yun, Hong Sik) 한국측량학회 2012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육상과 해상 수직기준체계에 적합된 합성지오이드모델 간의 편차를 이용하여 TBM과 BM의 표고 성과를 대상지역 내에서 균질하고, 정확하게 변환함으로써 이원화된 국가수직기준 체계를 효율적으로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본 과업의 가장 핵심적인 사항은 육상과 해상 수직기준체계 기준의 합성지오이드모델을 정확하게 결정하고, 그 후 이를 통해 두 합성지오이드모델 간의 편차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이다. 정밀한 합성지오이드모델의 개발을 위해 육상 및 해상 기준의 표고 성과가 함께 고시되어 있는 약 70점의 TBM에 대해 두 성과 간 차이를 비교?분석하였으며, 최소 4시간 이상의 정밀 GPS 관측을 수행하여 지역 및 인천 평균해수면 기준의 기하학적 지오이드고를 계산하였다. 또한, 기하학적 지오이드고와 중력지오이드모델의 적합 시 타원체고 관측오차가 기하학적 지오이드고에 전파되어 합성지오이드모델의 정확도를 저하시키지 않도록, GAMIT/GLOBK 정밀해석 S/W를 이용하여 각 TBM에 대한 타원체고를 정밀하게 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종적으로 개발된 육상과 해상 기준의 합성지오이드모델을 이용하여 모델 간 편차를 결정하였으며, 이를 도서지역에 설치된 약 20점 TBM 성과에 적용하여 지역적 평균해수면 기준의 표고 성과를 인천만 평균해수면 기준의 표고 성과로 변환하였다. 이를 통해 합성지오이드모델을 이용한 수직기준체계 변환방법의 정확도와 활용성을 평가하고, 육상과 해상 수직기준체계 변환 시 오차범위와 국가 수직기준체계 일원화를 위한 합성지오이드모델 이용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paper intends to present a measure to effectively integrate the current dual national vertical datums of land and sea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precise gravimetric geoid model and the use of the hybrid geoid model of land and sea.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vertical datum surface conversion modeling that is presented in this paper is the determination of an accurate hybrid geoid model. The deviations between models were determined using the hybrid geoid model for land and sea. The accuracy was about 3 cm when these deviations were used for the conversion of mean sea level and the conversion of vertical datum surfac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a precise gravimetric geoid model using marine gravity data would allow us to determine the height of the mean sea surface by using a hybrid geoid model that has been fitted to TBM and a surface hybrid geoid model that has been fitted to the BM. It is expected that this coul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GPS/Leveling metho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minimize confusion due to disagreement of height information when they ar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surface and marine national spatial data, and also minimize the economic and time losses in the development of the coastal area and the marine disaster prevention. Especially in the marine area, using a geoid model based on the invariable ellipsoidal surface instead of the mean sea level that changes over time and space will allow us to easily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local mean sea levels.

      • KCI등재

        차연산과 분광미분을 이용한 항공 초분광영상의 식생지수 산출 적절밴드 선택

        김태우 ( Tae Woo Kim ),위광재 ( Gwang Jae We ),서용철 ( Yong Cheol Suh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6 No.4

        최근 초분광영상의 활용 연구사례와 다양한 분광지수들의 개발과 평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식생원격탐사 분야에서는 식생의 스트레스와 활력에 대한 지표로 식생지수가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NIR과 red 파장대의 두 개 혹은 이상의 분광밴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항공 초분광영상은 좁고 연속적인 수많은 밴드를 가지기 때문에 식생지수를 위한 밴드선택에 혼돈을 야기할 수 있다. 만약 식생지수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밴드와 항공기를 이용해 취득한 센서의 밴드정보와 동일하지 않다면, 탐지 대상의 광학특성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적절한 밴드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IR과 red 파장영역에 속하는 4개의 후보밴드를 선택하고 이들의 조합으로 계산된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와 MSRI(modified simple ratio index)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식생지수들에 대해서 각 지수들의 변이를 살펴보기 위해 변화탐지 기법의 차연산(image differencing)을 이용하였다. 또한 보다 직접적인 분석을 위해서 분광미분(spectral derivative)을 통하여 임상도로 구분되는 식생의 종류별 분광특성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밴드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로 후보밴드들 중에서 red #3(680.2㎚)와 NIR#2(801.7㎚)가 수림에 영향을 적게 받고 밴드의 변동이 적은 적절한 밴드로 선택할 수 있었다. Recently the various applications and spectral indices development of airborne hyperspectral imagery(A-HSI) has been increased. Especially the vegetation indices (VIs) were used to verify stress and vigor of vegetation. The VIs needs two or more spectral bands selectively to calculate as NIR(near infrared) and red wavelength. The A-HIS has specific band characteristics as narrow, continues and many. The A-HIS has narrow, continues and many specific band characteristics. That could be make it confuse which of bands could be explained for appropriate vegetation characteristics. If the A-HIS bands is not the same the wavelength with VIs`development band setting, then it need a selection adequate for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arget vegetation. Therefore we set 4 substitute bands for NIR and red wavelength respectively and calculated two VIs combined with substitute bands such as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nd MSRI(modified simple ratio index). To consider the variation of each VIs, we adapted the image differencing method of change detection technique. Also, we used spectral derivative to identify appropriate bands for spectr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forest cover type map. The result of adequate bands for two VIs selected red #3 as 680.2nm and NIR #2 as 801.7nm. This wavelength was good for any forest type in low vari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