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말 방목 강도가 제주조릿대(Sasa quelpaertenis Nakai) 식생과 말의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우제훈,박남건,김남영,신상민,신문철,유지현,황원욱,양병철,김현철,Woo, Jae-Hoon,Park, Nam Geon,Kim, Nam-Young,Shin, Sang-Min,Shin, Moon-Cheol,Yoo, Ji-Hyun,Hwang, Won-uk,Yang, Byung-Chul,Kim, Hyun-Cheol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9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9 No.4

        본 연구는 말 방목 강도가 제주조릿대 식생과 말의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실험은 제주지역 고도 550m에서 수행되었으며, 제주조릿대 군락지 2,700㎡에서 말을 각각 1.0AU(500kg), 1.5AU(750kg), 2.0AU(1,000kg)를 일주일간 방목한 후, 말 방목에 따른 제주조릿대의 생육특성 및 주변식생 변화 및 말의 생리적 특성 변화 그리고 수목 피해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방목 강도에 따른 제주조릿대 줄기수의 변화는 방목 전 45.7개/㎡에서 방목 5개월 후에는 1.0AU, 1.5AU, 2.0AU 시험구에서 각각 41.0개/㎡, 32.3개/㎡, 23.3개/㎡개로 약 10%, 29%, 49%가 감소하여서 2.0AU 방목지가 다른 시험구와 줄기수가 역의 상관(r=-0.902, P<0.01)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방목 12개월 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또한 말 방목에 따른 생물량 감소에서는 1.0~2.0AU 모든 시험구에서 방목 후 5개월, 12개월의 생중량 및 건중량이 방목전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또한 다양도 지수는 1.0AU 시험구 1.64, 1.5AU 시험구 1.76, 2.0AU 시험구 1.96로 말 방목 후 종다양도 지수가 증가되었고 방목 강도와 하층식생의 종다양도 지수는 정의 상관(r=0.773, P<0.01)을 보여, 방목 강도가 하층식생의 종다양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방목된 말의 체중 및 생리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 방목된 모든 시험축이 체중이 감소하여 1.0AU 시험구, 1.5AU 시험구, 2.0AU 시험구에서 각각 95kg, 102kg, 128kg의 체중이 감소하여 제주조릿대 군락지에 말을 방목할 때 말의 건강을 위해 추가적인 사료 급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 외 말의 방목 전·후 간 수치와 면역 수치는 모두 정상 범위 내에 있었으며 처리에 따른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 수목의 23.8%가 피해목이 발생하였고 1.5AU 시험구에 피해목과 고사목이 비율이 각각 23.3%, 5.74%로 가장 높았고 1.0AU 시험구 14.8%, 8.6%, 2.0AU 시험구 10.4%, 8.6%순으로 분석되어 먹이 부족에 따른 유의성이 없었다(p>0.05). 결론적으로 제주조릿대 군락지에 말 방목을 실시한 결과, 방목 후 1년차까지 제주조릿대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2.0AU의 방목이 제주조릿대의 줄기수 감소 및 종다양성 증가 측면에서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말의 체중 감소와 관목 피해를 고려할 때 말의 건강과 관목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목 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horse grazing intensity on the vegetation of the S. quelpaertensis, and the physiological changes of the hors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community of the S. quelpaertensis (altitude of 550m) with the grazing intensity of 1.0AU(500kg), 1.5AU(750kg) and 2.0AU(1,000kg) at 30m × 30m for one week, and the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S. quelpaertensis, the changes of the vegetation, the damages on trees and the changes in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orses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horse grazing. As the results, the 2.0AU grazing land showed that the culm number had the inverse correlation (r=-0.902, P<0.01) to the other lands and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lower-level vegetation showed the correlation (r=0.773, P<0.01) as increasing the grazing intensity.

      • KCI등재

        농후사료 급여 횟수가 제주산마(제주마×더러브렛)의 체중과 산통에 미치는 영향

        우제훈,손준규,양병철,김남영,신상민,신문철,유지현,박남건,Woo, Jae-Hoon,Son, Jun-Kyu,Yang, Byung-Chul,Kim, Nam-Young,Shin, Sang-Min,Shin, Moon-Cheol,Yoo, Ji-Hyun,Park, Nam Geo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농후사료의 급여 횟수에 따른 제주산마의 체중 변화 및 산통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공시축으로 36개월 내외의 제주산마를 공시하였으며, 농후사료를 체중의 2.5%로 2회, 3회, 4회로 급여한 후 체중 변화 및 생리적 변화와 혈액 특성을 조사하였다. 총 증체량은 농후사료 일일 2회 급여구에서 55.80kg, 3회 급여구에서 54.40kg, 4회 급여구에서 63.00kg을 나타내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일당 증체량은 농후사료 일일 2회, 3회, 4회 급여구에서 각각 0.69kg, 0.67kg, 0.78kg을 나타내어 일일 2, 3회 급여구보다 4회 급여구에서 일일 증체량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모든 처리구에서 직장 온도는 정상 범위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 분 pH는 정상 범위보다 낮았으나 12주차에 모든 처리구에서 6.0보다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높은 직장 온도와 낮은 분 pH를 보였지만 산통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품종에 따른 차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산통 지표로 알려진 피브리노겐과 질병 발생의 지표로 알려진 백혈구는 정상 범위 내에 있었고 시험 기간 동안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결론적으로 제주산마에게 일반적인 농후사료 급여량보다 높은 양인 체중의 2.5%의 농후사료를 급여할 경우, 여러 번에 나누어 주는 것이 산통 발생 방지 및 소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가정했으나 급여 횟수에 따른 증체량, 혈액, 생리적 특성의 차이는 나타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제주산마에게 체중의 2.5% 농후사료를 12주간 2회, 3회, 4회 급여하는 것에 따른 생산성 및 산통 발생에 차이가 없어 노동력의 투입을 감안했을 때 2회로 나누어 주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centrate feeding frequency on weight change and the colic of Jeju cross-bred horses. Around thirty-six old Jeju cross-bred hors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were investigated by feeding the concentrate feed at 2.5% of their body weight 2 times, 3 times, or 4 times daily. Although the total weight gain and daily weight gain for the different feeding frequencies were higher with feeding concentrates 4 times daily compared with the other treatment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p>0.05). Rectal temperatures were above the normal range in weeks 11 to 12,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p>0.05). Fecal pH was below the normal range in weeks 1 to 12, but there were no colic symptoms with any of the treatment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p>0.05). When feeding concentrate feed at 2.5% of body weight, it was assumed that trying to feed it several times per day would help to prevent colic;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weight gain, blood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feeding times.

      • KCI등재

        사양환경이 제주산마(제주마×더러브렛)의 생리적 특성과 생산성 및 등심근 특성에 미치는 영향

        우제훈,손준규,양병철,김남영,신상민,신문철,유지현,박남건,Woo, Jae-Hoon,Son, Jun-Kyu,Yang, Byung-Chul,Kim, Nam-Young,Shin, Sang-Min,Shin, Moon-Cheol,Yoo, Ji-Hyun,Park, Nam Geo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8 No.4

        본 실험은 제주산마의 개별 사양과 군집 사양이 생산성, 생리적 특성 그리고 말고기 등심근 부위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시험축은 44개월 이상의 제주산마 16두를 공시하였으며, 처리구는 개별 사양 8두, 군집 사양 8두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농후사료는 체중의 2.5%를 1일 4회에 나누어 급여하였으며 조사료와 물은 무제한 급여하였다. 총 농후사료 섭취량은 개별 사양은 1,358.49kg 군집 사양은 1,309.34kg이었다. 농후사료 일일 평균 섭취량은 개별 사양, 군집 사양에서 각각 16.56kg, 15.96kg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총 증체량은 개별 사양 시 66.00kg이었고 군집 사양 시 53.37kg이었으며, 일일 증체량은 개별 사양과 군집 사양에서 각각 0.79kg 0.64kg이었다. 개별 사양이 군집 사양보다 총 증체량과 일일 증체량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말의 생리적 이상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인 직장온도는 개별 사양이 군집 사양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지만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p>0.05). 장내 pH는 개별 사양과 군집 사양 처리구 모두에서 정상 범위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12주차에는 군집 사양에서 개별 사양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냈지만(p<0.05), 산통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등심근 내 일반 성분에서 단백질과 조회분은 처리구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p>0.05) 지방 함량은 개별 사양에서 7.83%, 군집 사양에서 5.65%를 나타내어 개별 사양 시 등심근 내 지방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이를 통해 개별 사양이 군집 사양보다 비육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 등심근의 관능 특성과 육색 특성은 처리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말의 개별 사양 시 산통 지표로 알려진 장내 pH 수치가 군집 사양보다 정상 수치에 가깝고 등심근 내 지방 함량도 개별 사양이 우수하게 나타나 제주산마 비육시 개별 사양 형태로 농후사료 2.5%의 급여하는 것이 제주산마의 비육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vidual management and group management of Jeju cross-bred horses on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productiv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loin muscle of the horse meat. Sixteen herds of Jeju cross-bred horses older than 44 months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subject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herds into eight herds for individual management and another eight herds for group management. Herds were fed with concentrated feed of 2.5% of the body weight for four times a day and roughage and water were fed ad libitum. In the 12th week, the intestinal p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with group management than with individual management (p<0.05). However, no symptoms of colic were observed. With regard to the general composition of the loin muscle, fat content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7.83% with individual management and 5.65% with group management (p<0.05), indicating that individual management is more effective than group management in terms of fattening. In conclusion, feeding a concentrated feed at a level of 2.5% of body weight with individual management during fattening of Jeju cross-bred horses could be utilized as a fattening method.

      • KCI등재

        제주지역 말 방목체계에서 동계사료작물의 말 기호성 및 생산성

        박남건,우제훈,유지현,신상민,박형수,황원욱,Park, Nam Geon,Woo, Jae Hoon,Yoo, Ji hyun,Shin, Sang-Min,Park, Hyung Soo,Hwang, Won-Uk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2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40 No.2

        본 연구는 일년생 사료작물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귀리, 호밀을 파종하여 말방목 체계하에서 생육특성, 생산성 및 방목지에서의 말의 기호성 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일년생 사료 작물은 10월 30일에 파종하였으며 말 방목은 이듬해 3월 17일에 시작하였다. 1차 예취시 건물수량은 호밀이 4,600kg/ha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귀리에 비해 높은 수량을 나타내었다(p<0.05). 2차와 3차 예취시 건물수량은 사료작물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 않았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수량이 높아져 총 건물수량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10,941kg/ha으로 호밀 12,593kg/ha와 귀리 9,424kg/ha와 비슷하였다. 사료작물별 채식시간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귀리와 호밀에 비해서 월등히 높았다(p<0.05). 1차 방목과 2차 방목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채식시간은 각각 853.2초, 989.4초였으며, 귀리는 147.6초 73.0초 그리고 호밀은 89.4초, 33.18초였다. 각 사료작물별 채식률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귀리와 호밀에 비해 1차와 2차 방목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채식률은 1차에서 60.0%, 2차에서 82.8%였으며, 평균 채식률은 71.4%를 보였다. 일년생 사료작물의 1번초의 수량은 호밀이 가장 높았지만, 작물의 재생능력과 총 생산성, 말의 기호성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월등히 우수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제주지역에서 말을 방목하기 위한 동계사료작물의 재배 이용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inter annual forage crops for yield, and horse palatability under horse grazing during the fall and spring in Jeju. The winter annual forage crops such as Italian ryegrass(IRG), rye, and oat were planted in randomized block design in October 30. The horse grazing was initiated on March 17 of the following year. At the first cutting, the dry matter yield of rye was the highest with 4,600 kg/ha compared to the IRG and oat (p<0.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yield of winter annual forage crops after the second and third harvests. The total dry matter yield showed rye 12,593 kg/ha, IRG 10,941 kg/ha, and oat 9,424 kg/ha respectively. The horse intake duration of the IR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at and rye (p<0.05). In the first grazing and the second grazing, the intake duration of the IRG was 853.2 seconds and 989.4 seconds, respectively, with oat at 147.6 seconds, and 73.0 seconds, and rye at 89.4 seconds, and 33.18 seconds. The intake duration of IRG was longer than that of oat and rye (p<0.05). The intake rate of the IRG was 60.0% in the first and 82.8% in the second, and the average intake rate was 71.4%. When considering the maintenance of pastures and the palatability of horses, the IRG is the most suitable forage crop in winter annual forage crops in Jeju.

      • KCI등재

        오차드그라스 신품종 '럭키원 2호'의 생육특성과 수량성

        지희정,우제훈,이성태,황태영,김기용,이상훈,이기원,Ji, Hee Chung,Woo, Jae Hoon,Lee, Song Tea,Hwang, Tae Young,Kim, Ki Yong,Lee, Sang Hun,Lee, Ki Wo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2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40 No.1

        전국에서 수집된 생태형 오차드 그라스 계통들 중 생육특성 및 내재해성이 우수한 계통을 선발하여 육성된 5계통을 집단 교배(polycross)하여 생산된 합성계통을 '합성37호'라 하였다. 이 계통을 2012년 천안에서 생산력 검정시험을 수행하였고,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 동안 지역적응성 검정시험을 천안, 평창, 진주 및 제주 등 4지역에서 생육특성 및 수량성을 조사하였다. 2017년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심의회에서 생육특성과 수량성이 우수한 '합성 37호'를 신품종 '럭키원 2호'로 명명하였다. '럭키원 2호'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럭키원 2호'의 월동전 초형은 중간형이며, 엽은 녹색이고, 출수기에 지엽 길이는 포트맥 보다 약간 길며, 상부 절간장은 매우 길고 (60.2cm), 풍엽성이 양호하였다. 출수기는 5월 5일로 조생종 품종으로 표준품종인 포트맥 보다 1일이 늦으며, 출수기에 초장은 95 cm로서 포트맥 보다 3 cm 짧았다. 내습성은 '럭키원 2호'가 포트맥에 비하여 비교적 강하였으며, 녹병은 럭키원 2호가 포트맥 보다 약간 강한 편 이었다. '럭키원 2호'의 ha당 건물수량은 15,980 kg으로 포트맥 보다 9 % 많았고, 특히 평창지역에서 증수하였다. '럭키원 2호'의 건물 소화율은 포트맥에 비해 높았으며 조단백질이 10 %로 약간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럭키원 2호'는 다수성인 조생종 계통으로, 습해 및 내병성에 비교적 강하고, 특히 건물수량이 높은 품종으로 산지생태 축산용 초지 조성 및 조사료 생산을 목적으로 재배 시에 유리한 품종으로 사려된다. 'Luckyone 2ho' is a new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cultivar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e of Animal Science (NIAS) in 2017. To develope the new variety of orchardgrass, 5 superior clones were selected and polycrossed for seed production. The agronomic growth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vity of 'Luckyone 2ho' were examined at Cheonan from 2012 to 2014, and regional trials were conducted in Cheonan, Pheonchang, Jinju and Jeju from 2015 to 2017, respectively. 'Luckyone 2ho' showed medium type growth habit in fall, and medium in length of flag leaf and very long upper internode. Plant height of 'Luckyone 2ho' was 3 cm less than that of standard cultivar, 'Potomac' and heading date was 1 days later than 5th May compared to standard cultivar, 'Potomac'. Characteristics such as waterlogging and disease resistance of 'Luckyone 2ho' were stronger or better than those of standard cultivar, 'Potomac', Especially, dry matter yield of 'Luckyone 2ho'(15,980 kg/ha) increased 9 % compared to that of standard cultivar, 'Potomac'(14,702 kg/ha). Nutritive values were appeared to be similar in both varieties except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IVDMD) and crude protein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 KCI등재

        제주지역 오차드그라스 및 톨 페스큐 혼파초지의 비축시기별 사초 생산성 및 사료가치 변화

        채현석,김남영,우제훈,백광수,이왕식,김시현,황경준,박설화,박남건,Chae, Hyun Seok,Kim, Nam Young,Woo, Jae Hoon,Back, Kwang Soo,Lee, Wang Shik,Kim, Si Hyun,Hwang, Kyung Jun,Park, Seol Hwa,Park, Nam Gu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5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는 오차드그라스와 톨 페스큐 혼파초지에서 비축 시기별(8월 1일, 15일, 30일) 으로 처리하여 11월 중순경(11.10~11.12)에 수확할 때 목초의 비축시기에 따른 생산량과 목초의 사료 가치 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목초 비축시기에 따른 오차드그라스와 톨 페스큐 혼파초지(동량 혼파초지)의 건물수량은 8월하순구가 2,983.0 kg/ha으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목초의 비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목초의 생산량도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이 인정되지는 않았다. 조사료의 조단백질은 16.5~18.16%으로 목초 비축시기별로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NDF와 TDN는 비축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성이 인정되지는 않았다. 반면에 ADF 비율은 목초 비축시기가 감소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유의성이 인정되지는 않았다. 무기물의 변화는 비축기간이 증가할수록 P, Ca, Mg, Na, Zn이 증가하였고 반면에 Mn, Cu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8월 초순부터 초지를 비축할 경우 고온으로 인한 생육 위축으로 목초의 수량증가는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제주도에서 가을철에 활용하기 위한 초지를 비축할 경우에는 8월 하순 이후에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stockpiled periods on the nutritive value and productivity of mixed orchardgrass tall-fescue pasture (MOTP).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t Jeju (island), South Korea, from Sep. 2012 to Nov. 2012. The DM yield of the MOTP had the highest in treatment in late August (2,983 kg/ha). The DM yields of sward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by shortening the stockpiled period. The CP of the MOTP was 16.5% to 18.16%, and there did not appear to be a consistent trend in accordance with the duration of the stockpiled periods. The NDF and TDN content of the MOTP increased with the delay of the stockpiled periods, bu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hort- and long-stockpile periods; however, the ADF content of the MOTP decreased with shortened stockpile periods, but again,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periods. In addition, P, Ca, Mg, Na, and Zn of MOTP increased by delaying the stockpile period, but Mn and Cu of MOTP decreased.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yield of MOTP was not increased by the atrophy of the growth of MOTP due to high temperatures in case where the MOTP was stockpiled from the beginning of August. The stockpile period of MOTP should therefore be started at the end of August to yield a stockpile of MOTP in the autumn.

      • KCI등재

        표고 400m 제주 중산간 지역에서 혼합조합별 초지 생산성 및 식생구성

        채현석,김남영,우제훈,신문철,손준규,성필남,이왕식,김시현,황경준,김영진,박남건,Chae, Hyun Seok,Kim, Nam Young,Woo, Jae Hoon,Shin, Moon Cheol,Son, Jun Kyu,Seong, Pil Nam,Lee, Wang Shik,Kim, Si Hyun,Hwang, Kyung Jun,Kim, Young Jin,Park,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7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ool (C1) and warm season grasses (C2) in pastures mixed with C1 and C2 at an altitude of 400 m in Jeju island to establishing pasture suitable for grazing horses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pastures mixed with tall and short type grasses on the intake characteristics of horses. C1 used in this study was Kentucky bluegrass, redtop (short type grass) and tall type grasses were orchardgrass and tall fescue, respectively. Treatmen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four groups and the short type grass used in pastures mixed with C1 and C2 was mainly bermudagrass. Four treatment groups were follow as; Treatment 1 (bermudagrass + Kentucky bluegrass + redtop) 2) Treatment 2 (bermudagrass + tall fescue + orchardgrass) 3) Treatment 3 (Kentucky bluegrass + redtop) 4) Treatment 4 (tall fescue + orchardgrass). Bermudagrass was a little winter killing and inhibition of plant growth at an altitude of 400 m. Plant heights in pastures mixed with C1 and C2 were grown better than that in pastures mixed with C1. Especially, plant height in Treatment 4 was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Dry matter yield was in the following order: Treatment 4> Treatment 3> Treatment 2> Treatment 1. Dry matter yield in pastures mixed with C1 increased as compared with pastures mixed with C1 and C2. Dry matter yield in Treatment 3 was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In the first investigation regarding vegetation distribution, bermudagrass ratios among grasses in Treatment 1 and Treatment 2 were 11.7 and 13.3%, respectively. The growth of bermudagrass in winter was low due to the cold damage. However the growth of Kentucky bluegrass, redtop, tall fescue and orchardgrass was good. In the second investigation, bermudagrass ratios among grasses in Treatment 1 and Treatment 2 were 5.0 and 11.7%, respectively. Growth of forage in the second investigation was poor as compared to the first investigation. nutritive values(crude protein content, neutral detergent fiber content, acid detergent fiber content, digestibility) were good in pastures mixed with C1 Especially, nutritive values in pastures mixed with tall was higher than those of pastures mixed short grasses. P content among minerals in Treatment 1 was higher than other groups. However, the content of Ca, Mg and Mn were lower. The contents of Ca, K, Mg, Na, Cu, Zn and Fe in Treatment 2 were higher. However, the contents of K, Mg, Na, Cu, Zn and Fe in Treatment 3 were lower. Therefore, we suggest that cool season grasses with short grasses were sowed to establishing pasture suitable for grazing horses at an altitude of 400 m in Jeju island.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표고 400 m에서 말 방목용으로 적합한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를 활용하여 북방형과 남방형 목초를 혼합하거나 북방형 목초 만을 파종하였고 또한 말의 방목 시 섭취 특성을 고려하여 북방형 목초는 상번초와 하번초로 구별하여 처리를 나누었다. 북방형 목초는 하번초인 캔터기블루그라스(Kentucky bluegrass)와 레드톱(redtop), 상번초인 오차드그라스(orchard grass), 톨페스큐(tall fescue)를 공시하였다. 남방형 및 북방형 혼합 형태에서 처리 1은 하번초 위주로 구성하여 버뮤다그라스에 캔터키부루그라스+레드톱을 혼합하였고, 처리 2는 버뮤다그라스에 상번초인 톨페스큐+오차드그라스를 혼합하였다. 북방형 목초 만으로 혼합한 형태인 처리 3은 하번초 위주인 캔터키부루그라스+레드톱을 혼합하였고 처리 4는 상번초인 톨페스큐와 오차드그라스를 혼합하였다. 제주지역의 표고 400 m에서는 남방형 목초인 버뮤다그라스가 한해 피해를 입어 생육이 저조하였다. 초장은 평균적으로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 혼합구 보다는 북방형 목초 만혼합한 처리구에서 더 크게 자랐으며 특히 상번초인 톨페스큐+오차드그라스를 혼합한 처리구에서 가장 크게 성장하였다. 건물 수량은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 혼합구 보다는 북방형 목초구에서 더 많은 수량을 나타내었고 특히 하번초인 켄터기블루그라스+레드톱 혼합 처리구가 가장 높은 수량은 나타내었다. 식생분포에서는 1차 조사의 경우 처리 1과 처리 2에서 버뮤다그라스가 11.7%, 13.3%으로 저조한 생육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겨울철 버뮤다그라스가 한해 피해를 받아 생육이 저조하였고 반면에 켄터키블루그라스, 레드톱, 톨페스큐, 오차드그라스의 생육은 양호 하였다. 2차 조사에서는 처리 1과 처리 2에서 버뮤다그라스가 5.0%, 11.7%으로 1차 조사 때 보다 더욱 생육이 위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과 NDF, ADF의 소화율에서는 남방형 및 북방형 목초를 혼합한 처리구에서 더 우수한 목초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상번초 보다는 하번초 혼합 처리구에서 좋은 값을 나타 내었다. 무기물에서는 남방형 목초인 버뮤다그라스와 북방형 하번초가 혼합한 처리 1의 경우는 P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Ca, Mg, Mn 함량이 낮게 나타났으며, 남방형 목초와 북방형 상번초인 처리 2는 Ca, K, Mg, Na, Cu, Zn, Fe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북방형 하번초로 구성된 처리 3은 K, Mg, Na, Cu, Zn, Fe의 함량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제주지역 표고 400 m에서 말 방목에 적합한 방법은 남방형 목초는 겨울철 한해 피해로 생육이 저조하여 북방형 하번초위주로 혼합하여 파종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KCI등재

        제주지역 표고 200 m에서 혼합조합별 초지 생산성 및 식생구성

        채현석,김남영,우제훈,박설화,손준규,백광수,이왕식,김시현,황경준,김영진,박남건,Chae, Hyun Seok,Kim, Nam Young,Woo, Jae Hoon,Park, Seol Hwa,Son, Jun Kyu,Back, Kwang Soo,Lee, Wang Shik,Kim, Si Hyun,Hwang, Kyung Jun,Kim, Young Jin,Park, 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6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6 No.4

        본 연구는 말 방목용으로 적합한 남방형 및 북방형목초를 선발하기 위하여 북방형과 남방형목초를 혼합하거나 북방형목초만을 파종하였고 또한 말의 목초 섭취 특성을 고려하여 북방형목초는 상번초와 하번초로 구별하여 처리를 나누었다. 북방형목초는 하번초인 캔터기블루그라스(Kentucky bluegrass)와 레드톱(redtop), 상번초인 오차드그라스(orchard grass), 톨 페스큐 (tall fescue)를 공시하였다. 남방형목초로는 하번초인 버뮤다그라스를 공시하였다. 남방형 및 북방형 혼합 파종으로 처리 1에서는 하번초위로 구성하여 버뮤다그라스에 캔터키부루그라스 + 레드톱을 혼파하였고, 처리 2는 버뮤다그라스에 상번초인 톨 페스큐+ 오차드그라스를 혼파하였다. 처리 3은 하번초 위주의 북방형목초 캔터키부루그라스+ 레드톱을 혼합 파종하였다. 처리 4는 상번초인톨 페스큐와 오차드그라스를 혼합 파종하였다. 표고 200 m에서는 한해와 도복 피해는 없었다. 초장은 평균적으로는 처리 1이 53.9 cm, 처리 2가 58.2 cm, 처리 3이 57.5 cm, 처리 4가 78.1 cm으로 남방형 및 북방형목초 혼합구 보다는 북방형목초구에서 초장이 더 컸으며 특히 북방형목초 중상번초로 구성된 처리 4의 초장이 가장 컸다. 건물 수량은 처리 1이 12,412 kg, 처리 2가 12,077 kg, 처리 3이 14,884 kg, 처리 4가 16,496 kg으로 남방형 및 북방형목초 혼합구보다는 북방형목초구에서 더 높은 수량을 나타내었고 특히 상번초인 처리 4가 가장 많았다. 식생분포는 1차 조사에서 는 처리 1과 처리 2에서 버뮤다그라스가 70%, 66.7%으로 버뮤다그라스가 우점이 되어 켄터키 블루그라스, 레드톱, 톨 페스큐, 오차드그라스의 생육이 전체적으로 저조하였다. 2차 조사에서는 처리 1에서 버뮤다그라스가 80.0%으로 버뮤다그라스 우점 현상이 더욱 심하여졌다. 조단백질과, NDF, ADF, TDN을 고려했을 때 켄터키블루그라스와 레드톱이 들어간 처리구가 사료가치가 우수하였고 톨 페스큐와 오차드그라스가 들어간 처리구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난방형목초인 버뮤다그라스를 혼합하였을 때는 중간 정도의 성적을 나타내었다. 이상을 종합해볼 때 말 방목에 적합한 방법은 남방형목초와 북방형목초를 혼파하였을 때는 남방형목초가 우점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북방형목초의 생육을 방해하므로 남방형 및 북방형목초의 혼파를 피하고 서로 포장을 분리해서 한쪽은 남방형목초를 파종하고 다른쪽은 북방형목초를 파종해서 말을 윤환방목 시키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ool ($C_1$) and warm season grasses ($C_2$) in pastures mixed with $C_1$ and $C_2$ suitable for grazing horses and effect of pastures mixed with tall and short grasses on the intake characteristics of horses. $C_1$ used in this study was Kentucky bluegrass, Redtop (short type grass) and tall type grasses were orchardgrass and tall fescue, respectively. The short type grass used as $C_2$ was Bermudagrass. This study had the following four treatment groups: 1) Treatment 1 (Bermudagrass + Kentucky bluegrass + Redtop) 2) Treatment 2 (Bermudagrass + tall fescue + orchardgrass) 3) Treatment 3 (Kentucky bluegrass + Redtop) 4) Treatment 4 (tall fescue + orchardgrass). There was no winterkilling or lodging problem at an altitude of 200 m. Plant heights in mixed pasture of Treatment 1, 2, 3, and 4 were 53.9, 58.2, 57.5, and 78.1 cm, respectively. Plant height was the highest in Treatment 4. Dry matter yield was in the following order : Treatment 4 > Treatment 3 > Treatment 2 > Treatment 1. In the first investigation regarding vegetation distribution, Bermudagrass ratios among grasses in Treatment 1 and Treatment 2 were 70% and 66.7%, respectively. Overall, other grasses showed poor growth. In the second investigation of vegetation distribution, Bermudagrass ratios among grasses in Treatment 1 and Treatment 2 were 80% and 60.7%, respectively. Crude protein content, neutral detergent fiber content, acid detergent fiber content, digestibility value, and nutritive values were the lowest in Treatment 4, followed by those in Treatment 1, Treatment 2 and Treatment 3.

      • KCI등재

        마분 퇴비 시용 수준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생산성과 용탈수 성분에 미치는 영향

        유지현,박남건,우제훈,안희권,양병철,Yoo, Ji-Hyun,Park, Nam-Geon,Woo, Jae-Hoon,Ahn, Hee-Kwon,Yang, Byoung-Chul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2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40 No.2

        국내에서 말 사육 두수가 가장 많고 화산회토양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주도에서 마분 퇴비의 시용수준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생산성과 수질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료작물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코윈어리)를 공시하였고 용탈수 성분 분석을 위해서 간이 Lysimeter를 제작하였다. 퇴비 시용 수준에 따라 6처리하였고,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수량 등 생산성을 조사하였다. 용탈수는 7회 채취하여 NO<sub>3</sub>-N, PO<sub>4</sub>-P, Cr, Cu, Zn을 분석하였다. 마분 퇴비 시용 수준에 따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건물 수량은 화학비료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11,965±564 kg/ha), 마분 퇴비 150%, 혼용구가 그 다음으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9,043±681 kg/ha, 8,825±611 kg/ha), 마분퇴비 100%, 50%가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4,293±804 kg/ha, 2,986±739 kg/ha)(p<0.05). 용탈수의 분석항목 중 질산태 질소(NO<sub>3</sub>-N)의 경우 3차 분석까지는 전체적으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마지막 6, 7차 분석 시에는 검출되지 않았다(Fig. 2.). NO<sub>3</sub>-N는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수치적으로 마분 퇴비 150% 시용구에서 NO<sub>3</sub>-N가 가장 많은 경향이 나타났고, 화학비료구와 혼용구는 수치적으로 마분 퇴비를 시용했을 때보다 적거나 비슷한 수준을 나타났다. NO<sub>3</sub>-N를 제외한 나머지 PO<sub>4</sub>-P, Cr, Cu, Zn은 전 기간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했을 때 마분 퇴비를 시용할 때는 기비로 마분 퇴비를 질소 기준 50%수준 시비하고 이듬해 봄 추비로 화학비료를 나머지 50% 수준으로 시비하면 수량이 크게 떨어지지 않으면서 수질 오염에도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productivity of Italian ryegrass(IRG) and leaching water characteristics based on horse manure compost level in Jeju.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bout six months. Six treatments were established : non-fertilizer(NF), chemical fertilizer 100%(CF), horse manure compost 50% and chemical fertilizer 50% combination(Combination), horse manure compost with 50% of nitrogen (50%), 100% of nitrogen(100%), 150% of nitrogen(150%). The highest amount of dry matter yield of IRG was revealed in CF(11,965±564 kg/ha), and both 150% and Combination were second(p<0.05). Nitrate leaching tended to increase until the third analysis and then decreased. The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s among mean nitrate concentrat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horse manure compost with 50% of nitrogen be applied for IRG as basal fertilization and then 50% of chemical fertilizer be applied as top fertilization.

      • KCI등재

        마분 퇴비 시용 수준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조사료 생산성과 화산회토양 성분에 미치는 영향

        유지현,박남건,황원욱,우제훈,지희정,양병철,Yoo, Ji-Hyun,Park, Nam-Geon,Hwang, Won-Uk,Woo, Jae-Hoon,Ji, Hee-Chung,Yang, Byoung-Chul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21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41 No.2

        본 연구는 제주도 화산회토양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코윈어리) 재배 시 마분 퇴비의 시용 수준에 따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생산성과 토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화학비료구, 마분 퇴비·화학비료 혼용구, 질소기준 마분 퇴비 50 %, 100 %, 150 % 시용구로 총 5처리였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초장 및 건물 수량을 조사하였고, 토양은 pH, 총질소, 유효인산, 유기물 함량을 분석하였다. 마분 퇴비 시용 수준에 따른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초장은 화학비료구, 마분퇴비와 화학비료 혼용구, 마분 퇴비 150 %가 각각 147.8 cm, 144.3 cm, 147.1 cm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건물 수량은 화학비료구가 약 23,807 kg/ha로 가장 높았고 마분 퇴비 150 %, 혼용구가 각각 18,804 kg/ha, 18,455 kg/ha이었다. 그리고 마분 퇴비 100 %, 50 %가 각각 15,801 kg/ha, 14,446 kg/ha로 나타났다. 마분 퇴비를 시용한 처리구에서 건물 수량은 혼용구와 마분 퇴비 150 %가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지표면의 pH는 모든 처리구에서 시험 후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마분 퇴비 150 %가 유의적으로 pH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효 인산 함량의 경우 시험 후 지표면에서 마분 퇴비를 시용했던 처리구들이 화학비료 100 % 보다 높게 나타났고 특히 마분 퇴비 150 %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종합하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건물 수량은 마분 퇴비와 화학비료 혼용구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고 토양 성분에서도 화학비료구 대비 큰 차이가 없었으며, 특히 지표면의 유효인산 함량은 화학비료구보다 작았다. 따라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재배 시 마분 퇴비를 시용 할 때는 기비로 질소 기준 50 % 수준을 시용한 후 부족분은 화학비료로 추비해 주는 것이 적절한 건물 수량을 얻으면서도 토양 환경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horse manure compost application on Italian ryegrass (IRG) yield and volcanic ash soil characteristics. Because the number of horses in Korea is growing, the amount of horse manure is growing. Jeju island, where about 55 % of the horses live, is composed of volcanic ash soil.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bout 7 months. Sowing was conducted on October 2019. Harvesting was conducted at heading stage(2020.5.). Five treatment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horse manure compost composition. These were 100 % chemical fertilizer (CF), the combination of 50 % horse manure and 50 % chemical fertilizer (combination), horse manure with 50 % nitrogen (HM 50 %), horse manure with 100 % nitrogen (HM 100 %), and horse manure with 150 % nitrogen (HM 150 %). The plant height and dry matter yield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forage yield and the soil characteristics of pH,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ate, and organic matter were analyzed. The plant heights in the CF, combination, and HM 150 % treatments were 147.8 cm, 144.3 cm, and 147.1 cm respectively (Table 2). Dry matter yield in the CF treatment was about 23,807 kg/ha, which tended to be the highest dry matter yield. HM 150 % and the combination treatment were about 18,804 and 18,455 kg/ha, respectively, which tended to be the highest dry matter yield of the treatments amended with horse manure compost. The dry matter yield of the HM 100 % and HM 50 % treatments was about 15,801 kg/ha and 14,446 kg/ha, respectively (Table 2). The pH of the surface soil tended to increase after the experiment. The soil pH of the HM 150 %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oil pH of the other treatments. The pH was affected by the amount of horse manure compost, with a pH of 8.1. The available phosphate in the treatments in which horse manure compost was added was higher than the available phosphate in the CF treatment. And the available phosphate in the HM 150 %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available phosphate in the other treatments (p < 0.05)(Table 3). These results suggest that 50 % horse manure should be applied to IRG as the basal fertilizer and the remaining 50 % should be chemical fertilizer as the top fertilizer. This can provide the proper IRG dry matter yield with less effect on volcanic ash so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