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개혁신학에서 본 진화 창조론

        우병훈(Woo, Byung Hoon) 개혁신학회 2017 개혁논총 Vol.41 No.-

        This essay attempts to demonstrate that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cannot be harmonized with evolutionary creationism found in Dr. Jong-Hak Woo’s book, An Atheist Journalist Inquires of a Christian Scientist. The imagined interlocutor “Dr. Han Byeol,” the representer of Dr. Jong-Hak Woo’s ideas, argues for an evolutionary creationism, but his ideas cause many serious problems in theological issues as well as in logical consistency. First, the interlocutor argues that God created the world and human beings through the Big Bang and evolution. He, however, does not prove this but just presupposes it. Second, his theism is similar to deism in his scientific observation of nature and is close to pantheism in his interpretation of its results. Third, the interlocutor’s ideas clash with the Reformed doctrines of revelation, Scripture, Adam, the image of God, original sin, death, atonement, and Christ. In sum, the evolutionary creationism of the interlocutor is severely inconsistent with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 KCI등재

        슐라이어마허의 계시론에 대한 바빙크와 바르트의 반응

        우병훈 ( Byung Hoon Woo ) 한국개혁신학회 2015 한국개혁신학 Vol.48 No.-

        헤르만 바빙크와 칼 바르트 모두 슐라이어마허의 계시론이 가진 주관주의적 경향이 가진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바르트는 슐라이어마허가 계시의 근거를 주관적 인식과 신앙의 경험에 둠으로써 계시의 객관적 특성을 무시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이러한 주관주의의 위험성을 피하기 위해서 바르트는 계시의 근거를 하나님의 말씀의 삼중적 형태에 두었다. 그에게 하나님의 말씀은 하나님이 주도권을 지닌 활동주의적이며 역동적인 방식으로 이뤄지는 드러냄의 사건이었다. 그러나 바르트 계시론이 가지는 바로 그런 특성에서 신자 주관의 역할이 너무 약화되어 버린다. 한편, 바빙크는 계시론이 가지는 객관과 주관의 문제를 철저하게 인식하면서도, 바르트와는 다르게 슐라이어마허의 계시론을 자신의 고유한 방식에 따라 전유하면서 그를 극복하고자 한다. 바빙크는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신학 작업의 객관적 기준으로 삼았으며, 교회를 기독교적 인식과 경험에 있어 중요한 형식으로서 인정하고 있다. 이처럼 바빙크는 슐라이어마허의 계시론이 가지는 장점을 취하되 단점을 자신의 교회론으로 극복함으로써 그것이 가진 주관주의의 위험성 역시 탈피하고자 한다. 비록 바빙크와 바르트 모두 슐라이어마허의 계시론이 가지는 단점을 극복하고자 했지만, 바빙크의 교회론적 계시론이 바르트의 활동주의적 계시 이해보다는 좀 더 효과적으로 그것을 극복하고 있다. Both Herman Bavinck and Karl Barth sensed the open question caused by the subjectivistic tendency of Schleiermacher’s doctrine of revelation. Barth argues that Schleiermacher ignores the objective feature of revelation by orienting the basis of revelation to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of the faith. To evade this subjectivism, he tries to put the foundation of revelation on the three forms of the Word of God, which are unveiled in an actualistic and dynamic way. By contrast, Bavinck, deeply concerned with the problem of objectivism and subjectivism in the doctrine of revelation, employs Schleiermacher s doctrine of revelation in his own way, and regards the Bible as the objective standard for their theological work. Bavinck also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 church, which forms the Christian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Although both Bavinck and Barth attempt to overcome the weakness of Schleiermacher’s doctrine of revelation, Bavinck’s ecclesiological doctrine of revelation overcomes it more effectively than Barth’s actualistic understanding of revelation.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의 공공신학에 대한 두 현대 이론 분석: 한나 아렌트와 진 엘슈테인의 대표적 연구서에 나타난 『신국론』 해석을 중심으로

        우병훈(Byung Hoon Woo)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0 갱신과 부흥 Vol.25 No.-

        한나 아렌트와 진 엘슈테인은 여러 면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작품들을 바탕으로 정치이론을 전개했다. 아렌트와 엘슈테인의 아우구스티누스 정치신학 해석을 “고백주의”라고 부를 수 있다. 이 입장은 인간의 한계를 주목하지만 그것을 정치로 모두 다 환원하거나 맡겨버리지 않고 인간의 존재 구조와 내면적 덕성을 소중하게 여긴다. 하이데거와는 달리 아렌트는 인간의 죽음뿐 아니라 “탄생성”도 주목한다. 그녀는 이것을 인간 실존의 “이중적 전방”이라고 부른다. 엘슈테인은 인간의 죄성을 강조한다. 엘슈테인이 제시하는 정치한계주의도 역시 죄에 대한 그녀의 견해에 근거한다. 인간의 고유한 특징이 되는 언어는 상황을 악화시킬 때가 많으며, 특히 남성과 여성의 공적 관계에서 그러하다. 하지만 엘슈테인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언어론에서는 자유의 계기가 주어진다고 본다. 그녀는 또한 가정이 사회를 구성하는 분자로서 더 큰 공동체의 정의와 평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아렌트와 엘슈테인의 『신국론』 이해에서 중요한 것은 카리타스에 대한 그들의 설명이다. 아렌트는 모든 인간이 공유하는 공통의 역사는 이웃사랑의 고유한 자리를 확보해 준다고 주장한다. 엘슈테인에 따르면, 우정은 가족, 친구, 동료 시민, 국가사이에서 인간들을 더욱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작용을 한다. 아렌트와 마찬가지로 엘슈테인도 역시 보편성을 가진 정치 윤리의 기초를 아우구스티누스의 아담론에서부터 도출한다. 그녀는 모든 인간이 아담에게서 기원했다는 단일기원설에 근거하여 “진정한 평화의 존재론”을 제시한다. 전체적으로 보자면, 아렌트보다 엘슈테인이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을 더 잘 이해하고 적용하고 있다고 결론짓게 된다. Hannah Arendt and Jean Elshtain developed political theories based on Augustine’s works in many ways. Arendt’s and Elshtain’s interpretation of Augustine’s political theology can be called “confessionalism.” This point of view focuses on the limit of humanity without reducing or entrusting it to politics alone and emphasizes the existential structure and internal virtues of individuals. Unlike Heidegger, Arendt pays attention not only to death but also to the “natality” of human beings. These two factors are what she calls the “twofold before” of human existence. Elshtain places stress on the sinfulness of humanity. The political limitism of Elshtain is also based on her view of sin. The language that is unique to humans often makes things worse―especially in the public relations of men and women. Elshtain, however, finds a “liberatory moment” in Augustine’s theory of language. She also argues that the family as the particula of society can contribute to the justice and peace of a larger community. What is vital in Arendt’s and Elshtain’s understanding of The City of God is their explanation of caritas. Arendt insists that the common history shared by all human beings secures a unique place for the love of neighbors. According to Elshtain’s theory, friendship serves to connect humans more closely among family, friends, fellow citizens, and the state. Like Arendt, Elshtain derives a universal political ethic from Augustine’s doctrine of Adam. Elshtain proposes the “real ontology of peace” based on the fact that all human beings are descended from Adam. Overall, it is concluded that Elshtain better understands and applies Augustine’s City of God than Arendt does.

      • KCI등재

        드롭점프 시 섭동과 단안 차폐에 따라 신체에 미치는 영향

        우병훈(Woo, Byung-Hoon) 한국체육과학회 2014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insight into the kinematics and kinetics of drop jump movement with perturbation and monocular occlusion condition. Sixteen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ge: 20.8±0.6 yrs, height: 174.2±4.9cm, weight: 68.8±7.9kg). The study method adopted 3D analysis with six cameras and ground reaction force with two force-pla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angular displacement of hip joint, LD and PVG were the more flexed in monocular condition. In angular displacement of knee joint, LD and PVG were the more flexed in voluntary drop jump, and MKF was the more flexed in binocular condition. In angular displacement of ankle joint, LD and PVG were the more dosiflexed in monocular condition and was the more dosiflexed in right ankle joint. In trunk tilt, LD and PVG were the more forward flexed in voluntary drop jump. In Fx, LD, PVG, and MKF were more bigger lateral force in binocular condition. In Fy, LD was more bigger backward force in right foot. In Fz, LD was more bigger vertical force in right foot and PVG was more bigger vertical force in binocular condition.

      • KCI등재

        정상인 보행에서 무릎관절의 유도된 강직에 따른 신체 보상 특성

        우병훈 ( Byung Hoon Woo ) 한국운동역학회 2013 한국운동역학회지 Vol.23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investigated physical compensation for gait on induced knee stiffness in normal subjects. Ten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ge: 26.0±6.3 yrs, height: 175.5±5.3 cm, weight: 69.1±6.1 kg). The study method adopted 3D analysis with five cameras and ground reaction force with two force-plate. Induced knee stiffness level were classified as gait pattern on ROM of knee(free level, 30° restriction level, fix lev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angular displacement of hip joint, left hip joint was the more extended in mid-stance on induced right knee stiffness. In angular displacement of knee joint, there was no physical compensation on induced right knee stiffness, but free knee level gait was more flexed in swing phase of right knee joint. In angular displacement of ankle joint, right ankle joint was the more dorsiflexed on induced right knee stiffness, and 30° restriction level and fix level gait were less plantarflexed in TO2. In trunk tilt, free and 30° restriction level gait was more backward tilt on induced right knee stiffness. In ROM of each joint, right knee joint was more larger and trunk tilt was more lower on induced right knee stiffness. In GRF, Fx was more bigger lateral force in free and 30° restriction level gait, and was more bigger medial force in fix level gait. Fy was more bigger propulsion force in free level gait, and was was more bigger braking force in 30° restriction level gait. Left braking force in 30° restriction level gait was more bigger. Fz was no significant.

      • 바실리우스의 『성렬론』에 나타난 "우시아(ousia)"와 "휘포스타시스(hypostasis)"의 개념

        우병훈 ( Byung Hoon Woo ) 백석대학교 기독교철학연구소 2006 기독교철학연구 Vol.5 No.-

        바실리우스는 신학역사상 처음으로 `우시아(ousia)`와 `휘포스타시스(hypostasis)`의 개념을 분명하게 정립하고 그 관계를 논한 교부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바실리우스의 「성령론(De `Spiritu Sancto)」에 나타난 `우시아`와 `휘포스타시스`의 개념을 고찰하고, 삼위일체론 역사에 있어 바실리우스의 공헌을 파악하는 데 있다. 「성령론」에 나타난 `우시아`와 `휘포스타시스`라는 단어와 관련 어휘들을 찾아서 구문론적, 의미론적, 화용론적으로 고찰한 결과, `우시아`가 `본성`으로, `휘포스타시스`가 `위격`으로 주로 사용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물론 바실리우스 역시 아타나시우스처럼 `우시아`와 `휘포스타시스`를 `존재`라는 개념으로 동일하게 생각하기도 했었다. 그러나 바실리우스는 그 개념들을 더 발전시켜 `우시아`와 `휘포스타시스`를 서로 구분하며, 각각에 대해 명확한 개념을 부여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 `우시아`는 주로 추상적이고 존재론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단일한 본성적 개체를 뜻하며, `휘포스타시스`는 다른 대상과의 관계에서 봤을 때 구별되는 객관성을 지난 개체를 강조할 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우시아`는 하나님의 존재나 본질적 독자성을 뜻한 반면에, `휘포스타시스`는 하나님의 특별한 방식의 존재를 나타내거나, 각 위격의 존재 방식을 나타내는 것이다. 바실리우스의 가장 큰 공헌은 `우시아`와 `휘포스타시스`의 관계를 설명하려고 시도하는 점에 있다. 바실리우스는 하나의 신성이 삼위에 대해 가지는 관계가 하나의 보편개념이 개별화되어 현실적으로 드러나는 것에 비유하여 설명했다. 즉 바실리우스에게 있어 삼위 하나님의 각 위격의 개념은 보편적 신적 본성과 특수한 성질의 결합이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는 일신론과 삼신론의 위험을 피하고, 우리에게 좀 더 분명한 삼위일체론을 전수해 주고 있다. Basil the Great established the concept of `ousia` and `hypostasis` and took into account their relationship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theology. This paper deals with these concepts in his work De Spiritu Sancto and researches his contribution in the history of Trinitarian doctrines. All the words of `ousia` and `hypostasis` and all the references to these two technical terms are examined in a syntactic, semantic, and syntagmatic approach. These terms hadno concrete meaning before Basil the Great. Athanasius, for example, thought that `ousia` is `hypostasis` and they all mean "Being itself." However, Basil the Great defined `ousia` as "essence(=physis)" and `hypostasis` as "person" in a clearer way. He used a metaphor of the general and particular relationship to explain these two concepts. `Ousia` means a single and abstract unit, of which the individuality is disclosed by means of internal analysis. In the sense of `hypostasis` the emphasis lay not on content, but on externally concrete independence and the relation to other objects. For Basil the Great, `ousia` means the existence or essence or substantial entity of God, whereas `hypostasis` signifies the existence in a particular mode, the manner of being of each of the Persons. Basil the Great tri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of `ousia` and `hypostasis` and that is his greatest achievement. He explained this relationship in a metaphor in which one general essence is revealed with an individualized property. For him, each divine Person is a union of general divine essence and particular characteristics. In this way, Basil the Great escaped the danger of unitarianism and tritheism and firmly taught us the doctrine of Trin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공공신학 교육을 위한 교본으로서 웨스트민스터 대교리문답

        우병훈(Woo, Byung Hoon) 개혁신학회 2016 개혁논총 Vol.39 No.-

        참된 신자의 신앙고백은 개인적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공적 영역에서도 드러나야 한다. 그러나 한국 개신교의 주류를 이루는 장로교는 성경적이며 일관성 있는 공공신학적 교본을 갖지 못한 상태이다. 그 결과 성도의 공적 삶에 대한 책임성을 느끼면서도 그것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대부 분이다. 본 논문은 웨스트민스터 대교리문답이 성도의 공공신학적 삶을 위한 매우 훌륭한 교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대교리문답은 공공신학의 목적, 방법론, 내용 등에 대한 많은 함의들을 제공해 준다. 대교리문답이 가르치는 공공신학의 목적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이웃 사랑의 실천이다. 대교리문답이 가르치는 공공신학의 방법론은 성경을 토대로 하되 본성의 빛을 참조하는 것이며, 세상의 죄를 지적하는 것이며, 공동체적으로 협력하여 공적 참여를 진행하는 것이며, 종말의 빛 아래에서 겸손하게 행동하는 것이 다. 특별히 대교리문답의 십계명 해설 부분에서 공공신학적 의제들을 다양하게 발견할 수 있다. 대교리문답은 성인 신자들의 교육을 위해 작성되었으므로 십계명의 각 계명들을 성인 신자의 공적 생활을 위해 매우 자세하게 기록해 놓았기 때문이다. 이처럼 교회는 대교리문답을 공공신학을 위한 교본으로 삼아 가르침으로써, 이 사회 속에서 기독교인들이 보다 윤리적으로 살아가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faith of true Christians should be confessed not only in their personal life but also in their public life. However,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which are the majority of the Protestant group in Korea, do not have a biblical or consistent manual for public theology. They do not know clearly, as a result, how to teach the believer for public life, although they are responsible for it. This essay attempts to show that the Westminster Larger Catechism can be an excellent manual for the public life of the believer. The Larger Catechism provides many implications for the purpose, methodology, and agendas of public theology. According to it, the purpose of public theology is the practice of love of neighbors for the glory of God. The methodology of public theology has to do with four points: (1) its foundation should be the Scriptures, although it can refer to the light of nature; (2) its praxis is related to the disclosure of the sinfulness of this world; (3) it should be done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church members; and (4) it makes the believer more humble in light of the eschaton that the Lord alone can fulfill. The Larger Catechism’s explanation of the Ten Commandments offers various practical agendas for public theology since it was made for the education of adult believers. Thus, the church can help believers live a more ethical life by teaching them the Westminster Larger Catechism as a manual for public theology.

      • KCI등재

        보행 시 여성노인의 자세안정성과 지면형태가 하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우병훈 ( Byung Hoon Woo ),박양선 ( Yang Sun Park ) 한국운동역학회 2015 한국운동역학회지 Vol.25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lower limb muscle activity on postural stability and ground type in elderly women subjects· Method : Forty two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high group - age: 74·29±4·13 yr, height: 152·44±5·54 cm, weight: 57·43±6·16 kg, BMI:24·77±2·99, low group - age: 77·67±5·16 yr, height: 151·40±3·93 cm, weight: 60·92±6·40 kg, BMI: 26·59±2·57)· Wireless EMG with eight channels wasused· Ground types were classified as flat and cushion· Results : In the double-support phase, left and right rectus femoris, left biceps femoris, left and right tibialis anterior, and left gastrocnemius did not show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ural stability according to ground type· However right biceps femoris and gastrocnemius showed higher muscle activity inthe elderly women group with lower postural stability· In the single-support phase, left and right rectus femoris, right biceps femoris, and left and righttibialis anterior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ural stability according to ground type· In addition, left biceps femoris had higher muscleactivity in the elderly women group with lower postural stability· Left gastrocnemius had higher muscle activity in the elderly women group with higherpostural stability and right gastrocnemius had higher muscle activity in the elderly women group on cushion ground· Conclusion : In a dynamic postural stability and cushion ground, biceps femoris and gastrocnemius muscle activity were high· As a result, biceps femorisand gastrocnemius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on cushion ground could be beneficial in the prevention of fal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