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체육 관련 TV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오아라(Ah Ra Oh),이제홍(Je Hong Lee),엄진종(Jin Jong Eom) 한국사회체육학회 2011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46

        This research was studied about how teenagers` attitude are changed after watching adapted physical education TV documentary programs regarding developmental disorders and physical disorders. To study differences of each group, matching to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desig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 whole attitude difference regarding people with disabled according to class participants,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group that watched physical disorders sports TV documentary programs. Second, in emotion for people with disable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group of developmental physical TV documentary programs. Third, the thought regarding people with disabled had differences from both groups of developmental disorders and physical disorders TV documentary programss. Fourth,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regarding attitude for people with disabled in group of physical disorder sports TV documentary programs.

      • KCI등재

        장애인스포츠 이미지 척도의 요인구조 재평가 및 장애편견과의 관계: 지체장애와 지적장애를 중심으로

        오아라 ( Ah-ra Oh ),서은철 ( Eun-chul Seo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7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5 No.3

        이 연구는 장애인스포츠 이미지 척도가 장애유형별로 적용했을 때, 요인구조가 동일한지 재평가 하고 장애인스포츠 이미지와 장애편견과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584명 대상으로 지체장애스포츠 이미지와 지적장애스포츠 이미지, 장애편견을 측정하였다. 척도의 요인구조를 평가하기 위하여, 평행선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장애유형별 스포츠이미지와 장애편견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측정모형으로 관계를 추정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 및 지적장애 대상 스포츠이미지의 평행선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장애인스포츠 이미지의 5요인모형은 4요인모형으로 수정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체장애스포츠이미지와 지적장애스포츠 이미지 모두에서 매력, 활동유희성을 지각할수록 장애편견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소함을 지각할수록 장애편견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evaluate the factor structure when the disability sports image scale was applied for each type of disability,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sports image and disability prejudice. For this purpose, 584 subjects were measured for physical disability sports image, intellectual disability sports image, and disability prejudice. In order to evaluat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parallel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ability sport image and disability prejudice was estimated by the measurement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the PA and EFA results of the sports image of the physical disability and intellectual disability, the 5 factor model of the physical disabilities `s sports image suggested in the previous study should be revised to the 4 factor model. Second, disability prejudice decreased with the perception of attraction and playfulness in both physical and intellectual disability sports image. Also, the more the perceived unfamiliarity, the more the disability prejudice was increased.

      • KCI등재

        생활체육참여 장애인의 기본적 심리욕구가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오아라 ( Ah Ra Oh ),김상두 ( Sang Doo Kim ),조창옥 ( Chang Ok Cho ),구교만 ( Kyo Man Koo ) 한국특수체육학회 200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장애인들이 신체활동을 통하여 자기결정요소인 기본적 심리 욕구의 어떠한 하위 요인이 심리적 웰빙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5개 지역에 소재한 생활체육 참여 장애인 219명 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의 내용은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기본적 심리욕구, 심리적 웰빙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Ver. 13.0 Window Program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각 분석에서 통계적인 유의수준은 α=.05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수집 자료의 타당도와 신뢰도의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Cronbach`s α값을 사용하였고, 생활체육 참여 장애인의 기본적 심리욕구와 심리적 웰빙의 다차원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변인간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를 실시하였고 기본적 심리욕구가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의 가설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적 심리욕구의 자율성 요인과 유능성 요인이 심리적 웰빙의 즐거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본적 심리욕구의 자율성 요인과 유능성 요인이 심리적 웰빙의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본적 심리욕구의 자율성 요인이 심리적 웰빙의 자아실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본적 심리욕구의 유능성 요인과 자율성 요인이 심리적 웰빙의 몰입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psychological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mpacted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articipants were 219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ies in 5 local areas. The questionnaire included demography information and the questions were related to psychological need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Ver. 13.0 Window Program (α=.05), the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ession analysis in this study. First, the study concluded that autonomy and competence in psychological needs had influence on happiness i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study concluded that autonomy and competence in psychological needs had influence on compete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autonomy in psychological needs impacted on self-actualization in psychological well-being. Lastly, the study concluded that autonomy and competence in psychological needs had influence on flow in psychological well-being.

      • MPNet: 특정 객체의 배경분리 및 위치 파악을 위한 Mask Positioning Network

        박종찬(Jong-Chan Park),강대성(Dae-Seong Ka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20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0 No.10

        딥러닝 이미지 분석기술이 발전하여 제조업을 포함한 산업 전 영역에서 발전하고 있다. 공장에서 생산한 부품을 분류하고 검사하는데 복잡한 환경에서 사람이 작업하기 힘들기 때문에 분류 및 검사 기술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MRCNN(Mask Region based Convlolutional Neural Network)을 적용하여 특정 객체의 예측한 마스크를 만들고 특정 객체 이외의 배경을 제거한 뒤에 코너점 검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특정 객체의 위치 파악, 분류를 좀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코너 점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입력되는 영상으로부터 특정 데이터셋으로 학습된 MRCNN으로 특정 객체의 마스크를 검출하여 배경 분리한다. 그리고 배경 분리된 특정 객체의 엣지를 추출하고 미분 연산자로 잡음 없이 코너점을 검출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복잡한 환경에서 특정 객체의 위치 파악 및 분류할 때 우수한 검출 성능을 확인했다. Deep learning image analysis technology is developing in all areas of industry including manufacturing. Improvements in classification and inspection techniques are needed because it is difficult for people to work in complex environments to classify and inspect factory-produced par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corner point detection that can be applied with MRCNN(Mask Region-ba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o create a predicted mask of a particular object, remove background other than a specific object. Then it applies the corner point detection algorithm to identify the location of a specific object to carry out the classification process more efficiently. Detect and isolate the mask of a specific object from the image. The image examines through the MRCNN that is trained by a specific dataset. It then extracts the edge of a specific object separated from the background and detects the corner point with a differential operator without noise. The proposed method identified good detection performance when locating and classifying specific objects in complex environments.

      • KCI등재

        장애인의 생활환경과 운동행동변화과정의 관계

        오아라 ( Ah Ra Oh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4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운동행동 변화단계 에 환경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장애인을 운동행동 참여단계별로 각 100명씩 총 500명을 목적표집 하였다. 설문조사는 일반적 특성, 생활환경, 운동행동 변화단계, 운동행동 변화과정을 묻는 문항으로 총 28문항을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교차분석, 독립-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분류에 따른 운동행동 변화단계에서는 지체장애는 계획 전 단계, 시각장애는 준비단계, 청각장애는 행동 단계, 지적장애는 계획단계, 정서장애와 뇌병변은 유지단계, 기타장애는 계획 전 단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환경에 따른 운동행동 변화단계 차이에서는 지인 영역에서 지인이 있는 집단에서는 유지단계, 지인이 없는 집단에서는 계획 전단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자 영역에서는 전문지도자와 일반지도자에 도움을 받는 집단은 유지단계, 지도자가 없는 경우에는 계획 전 단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 영역에서는 전용시설을 이용하는 집단은 유지단계, 통합시설을 이용하는 집단은 계획 전 단계, 근린 시설을 이용하는 집단은 준비단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영역에서는 장애인스포츠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집단에서는 유지단계, 통합스포츠 참여 집단은 계획단계,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고 혼자 운동하는 집단은 준비단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수단 영역에서는 도보로 운동하는 장소에 가는 집단은 준비단계, 자가용으로 이동하는 집단은 행동단계, 대중교통과 셔틀버스를 이용하는 집단은 유지단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영역에서는 부모의 영향을 받는 집단은 계획단계, 형제의 영향을 받는 집단과 가족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집단은 유지단계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지원기관 영역에서는 복지관에게 지원을 받은 집단은 준비단계, 종목별체육회에서 지원을 받은 집단에서는 유지단계, 시·도체육회에서 지원을 받은 집단은 행동단계, 지원기관에서 지원을 받지 못한 집단에서는 계획 전 단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환경에 따른 운동행동 변화과정차이 분석에서는 지인의 유무, 지도자 유형, 시설 유형, 프로그램유형, 이동수단 유형, 가족 유형, 지원기관 유형 모두는 운동행동 변화과정 하위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따른 운동행동 변화과정의 관계에서는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운동행동 변화과정의 모든 하위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o the environmental effects on Stages of Change in Exercise Behavior. Throughout all the physical activity stage, 500 people with a disability in total were divided in each 100 by purposive sampling.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28 questions with general characteristic, Life Environment, Stages of Change in Exercise Behavior and Exercise Behavior process of change. The followings we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below. First of all, In each type of disability in the change stage, precontemplation was the biggest part within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 other type of disability. preparation was the biggest part within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nd the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has action as the biggest part. In intellectual disability, contemplation was the biggest part and emotional disability & brain lesions have maintenance as the biggest part. In the change process of physical activity by life environment, the group having acquaintance showed maintenance with the biggest distribution and the group that did not have acquaintance showed precontemplation with the biggest distribution. In the instructor segment, the group having aids from both professional instructor & ordinary instructor had maintenance and the group, on the other hand, that did not have aids from the instructor had precontemplation. In the facility, the group using exclusive facility had maintenance in the biggest part, the group using inclusive facility had preparation in the biggest part and the group using community facility had preparation in the biggest part. In the programme, the group participating in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me for people with a disability had maintenance in the biggest part, the group participating in the inclusive physical activity programme with people without a disability had contemplation in the biggest part, and the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me had preparation in the biggest part, In the transportation, the group using walks to the place of the physical activity had preparation in the biggest part, the group using vehicles to the place of the physical activity had action in the biggest part, and the group using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to the place of the physical activity had maintenance in the biggest part. In the family, the group effected by the family had contemplation in the biggest part, the group effected by the siblings had maintenance in the biggest part, and the group that was not effected by family had maintenance in the biggest part. In the supporting organization, the group supported by the community relief had preparation in the biggest part, the group supported by the sports federations had maintenance in the biggest part, the group supported by the local sports community had action in the biggest part and the group that was not supported by any organization had precontemplation in the biggest part. In third as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Exercise Behavior process of change by life environment of Exercise Behavior process of change. The last, Exercise Behavior process of change was effected by all the subordinate factors of Exercise Behavior process of change in the relation of Exercise Behavior process of change by the Stages of Change in Exercise Behavior.

      • KCI등재

        장애유형별 스포츠 이미지 분석

        오아라(Oh, Ah-Ra),김경숙(Kim, Kyung-Sook),구교만(Koo, Kyo-Man) 한국사회체육학회 2014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5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orts images by ptyes of disability which the public perceives, and establish a proper reputation on the disabled through spotsr for the disabled. Objects of the study were 201 and open questionnaire was conducted. Contents of the questions included single response that describes the image of ‘sports for the disabled’ in psychological adjecvtei s, and 12 questions to describe the image that occurs after seeing the photos of sports by different disabilyit types, using psychological adject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rst classification on the image of sports for the disabled, ‘proud’ showed up most frequently, and second classification showed poistive image the most. Second, in the first classification on the image of sports for the visual impairmenst, ‘surprised’ showed up most frequently, and second classification showed positive image the most. Third, in the first classification on the image of sports for the spiral cord injury, ‘joy’ showed up most frequently, and sceond classification showed positive image the most. Forth, in the first classification on the image of sports for the amputation, ‘surprised’ showed up most frequently, and second classification showed positive image the most. Fifth, in the first classification on the image of sports for the cerebral palsy , ‘surprised’ showed up most frequently, and second classification showed negative image the most. Sixth, in the first classification on the image of sports for the intellectual disability, ‘beautiful’ showed up most frequently, and second classification showed positive image the most. Finally, in the first classification on the image of sports for the deafness, ‘proud’ showed up most frequently, and second classification showed positive image the most.

      • KCI등재

        장애인스포츠의 브랜드화: 아이덴티티, 포지셔닝, 마케팅 믹스의 개발 및 활용

        오아라 ( Ah-ra Oh ),서은철 ( Eun-chul Seo ),신원상 ( Won-sang Shi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7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대중들에게 장애인스포츠의 본질과 장애인스포츠가 스포츠분야의 한 영역으로 매력적인 스포츠라는 것을 알리기 위하여 장애인스포츠를 브랜드화 하는 과정인 아이덴티티, 포지셔닝, 마케팅 믹스를 어떻게 개발하고 활용해야할 지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문가 30인을 대상으로 장애인스포츠 아이덴티티, 포지셔닝, 마케팅 믹스를 중심으로 계층분석과 전문가면담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스포츠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문화를 중심으로 통합의 개념과 스포츠의 한 영역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개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스포츠 브랜드 포지셔닝은 수용자 중심에 초점을 맞추어 장애인스포츠를 소비하면서 얻는 가치를 포지셔닝 해야하며 그 가치는 사회통합임을 강조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스포츠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효율적으로 포지셔닝하기 위하여 마케팅 믹스의 유형 중 광고를 선택하되 상대적으로 적은 예산으로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는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rand the disability sports and make the public interested in the disability sports. Furthermore, it aims at raising and revitalizing the value of disability sports through support at national and social level. To accomplish this goal, a hierarchical analysis and expert interview of 30 experts has been conducted focusing on sports positioning, identity, and marketing mix for the disability sports. The branding strategy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is as follows. First, the identity of disability sports brand is`culture`, whereas the essence of disability sports is its value of social integration and disability sports brand as a category of sports. Second, brand positioning for pars sport should be centered towards the consumer and should also emphasise the values obtained from engaging in disability sports. It has also been shown that emphasising such values as a means for social integration serve to be the most effective. Third, in order to inform the public about the brand of disability sports, it is the most important to advertise through promotional advertisement, which is a component of the marketing mix. It is the most effective to advertise disability sports through popular media such as sns.

      • KCI등재

        장애아동 생활체육교실의 운영 및 체험에 관한 사례연구

        오아라 ( Ah Ra Oh ) 한국특수체육학회 200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7 No.2

        이 연구는 장애아동 생활체육교실의 운영에 대한 교사와 장애아동의 체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대학의 장애아동 생활체육교실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qualitative case study)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문서자료 수집을 통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 과정을 거쳐 영역분석(domain analysis)과 분류분석(taxonomic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과 분석과정에서 연구의 진실성 및 윤리성에 대한 지속적인 검증을 받았다. 이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 및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장애아동 생활체육교실을 통하여 교사와 학생들은 다양한 체험을 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수업을 운영하면서 생활체육의 본질을 잃지 않고 수업을 하려고 애를 쓰고 시행착오와 끊임없는 반성을 거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과의 유대감을 쌓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들의 변화를 보면서 생활체육교사로서의 보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들은 자발적인 측면에서 생활체육에 접근하고 자신이 흥미를 느끼는 분야에서는 많은 집중력을 보여주었다. 개별교사와의 유대감과 신뢰감이 깊어질수록 아동 더욱더 생활체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활동의 성공적인 경험이 아동들의 생활체육 참여의 동기부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장애아동 생활체육교실의 운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아동들에게 긍정적인 체험을 할 수 있는 수업운영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ave in-depth investigation into exercise of physical activity instructor and participants who are students with a disability through operation of community sports program, they are involved in. So that this study can have the certain result, the community sports centre periodically operated by university K was selected as the target of this study in accordance with qualitative case study. Collection of data, in-depth interview as well as observation watching were used for process of this study; then, these collected data were put into operation by using domain analysis and taxonomic analysis. At the period for collection and analysis of data, reliance and ethics of this study has been taken into a continuous insp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fter analyzed and defined are followings in below. The instructor and students with a disability had a variety of experiences through this sports centre. The instructor of this centre could feel responsible for students and tried to keep the identity of operating purpose and strengthen rapport and more close relation with students; moreover, they could feel fruitful after figuring out the changes of students` target behaviors.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as a self-activity, and showed better concentration and attention in case of their favorite parts. When they felt they have more confidence with instructor, they more positively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Successful experiences of their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during the participation in this program gave more motivation towards achievements of object. In conclusion, the positive and practical cases through the operation of this center were found and suggested towards the development of these sports programs for giving more positive experiences to students with a disability.

      • 긍정심리자본과 직무열의 및 구성원의 직무행동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오아라(Ah Ra Oh),박경규(Kyung Kyu Park) 한국경영학회 2014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8

        기업은 생존을 비롯하여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해 우수한 인적자원을 확보해야할 뿐만 아니라 이들의 열의와 몰입을 증대시켜서 이들이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혁신과 업무성과를 달성하도록 관리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를 증대시키기 위한 전략적인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바탕으로 직무열의를 유발하는 요인으로서 긍정심리자본을 살펴보았다. 또한 직무담당자의 직무열의가 이들의 직무 및 성과관련의 행동으로서 적극적 행동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는 동시에 직무열의의 선행요인인 긍정심리자본과 구성원의 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역할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기업체의 팀장과 그 팀원을 쌍(dyad)으로 선정하여 324쌍을 수집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열의의 선행요인인 긍정심리자본은 직무열의와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담당자가 보유한 개인자원으로서의 긍정심리자본은 이들의 직무열의에 정(+)의 형태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직무담당자의 직무열의는 직무 및 성과관련 행동인 적극적 행동 및 조직시민행동과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열의는 긍정심리자본과 적극적 행동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인 직무담당자 개인이 보유한 자원이 이들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구성원의 직무열의 증대를 위한 개인자원 보유수준이 높은 인재를 확보 및 관리 방안이 무엇인지 이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antecedent factor of job engagement, the effect of job engagement on proactiv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lso we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tecedent factor and job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1) personal resource(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re the antecedent factors of job engagement by identifying the factor that causes employees’ job engagement, (2) employees’ job engagement has an influence on their proactiv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3) employees’ job engagement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antecedents of job engagement and proactiv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employee and their supervisor paired(dyad) survey was perform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and the total of 648 surveys(324 Pairs) 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ersonal resource(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 the antecedent of job engagement were positively related to job engagement. , (2) employees’ job engagement were shown to b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irproactiv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3) employees’ job engagement had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antecedent factors and their proactiv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at is employees’ job engagement wa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resource(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behavior(proactiv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