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개인정보 보호 교육 효과 연구: 부모-자녀교육의 효과를 중심으로

        염정윤(Yum, Jung-Yoon),정세훈(Jeong, Se-Hoon)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6 No.2

        본 연구에서는 보호 동기 이론을 기반으로 만 14세 미만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개인정보 보호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해당 연령대가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특징이 동시에 나타나는 과도기적 시기임에 주목하여 (1) 또래끼리 진행되는 일반적인 교육 효과 및 (2) 부모(부 또는 모)와 함께하는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 학생 104명을 3개 집단(교육 안함 vs. 자녀만 교육 vs. 부모와 교육)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와 함께 교육을 받은 집단이 교육을 받지 않은 집단과 자녀만 교육을 받은 집단에 비해 위협 평가와 대처 평가, 그리고 보호 행동을 증가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호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과 관련된 대처 평가의 경우 부모와 함께 교육을 받을 때에만 증가하였다. 또한 매개 모형의 검증을 통해 보호 행동을 증가시키는 교육의 효과가 위협 평가와 대처 평가를 매개하여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공적인 개인정보 보호 교육을 위해 부모 연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부모의 적극적인 참여를 장려해야 할 것이라는 교육적⋅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Based on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 of privacy protection intervention targeting early teenagers. Focusing on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is age group, we compared the effect of (1) general intervention with peers and (2) parent-mediated intervention. For this purpose, 104 students (fourth to eighth grad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no intervention vs. peer intervention vs. parent-mediated interven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in the parent-mediated intervention showed the highest level of threat appraisal, coping appraisal and protection behavior. Specifically, coping appraisal which is a belief that one can protect his/her privacy increased only in the parent-mediated intervention group. Also, the intervention effect increasing protection behavior was mediated by both threat and coping appraisal.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literacy education and policy, such that parent-mediated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encouraged.

      • KCI등재
      • KCI등재

        메시지 측면성에 따른 정보원의 설득 효과 연구 설득의도의 매개과정을 중심으로

        염정윤 ( Jung Yoon Yum ),정세훈 ( Se Hoon Jeong ) 한국PR학회 2014 PR연구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urce type (3rd person vs. corporation)and message sidedness (one-sided vs. two-sided) incorporate PR communication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persuasion intent based upon Persuasion Knowledge Model.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eraction, which has not been much tested, between source type and message sidedness. The result showed that source type hassignificant effect on message persuasiveness and the effect process was mediated by persuasion intent. The interaction between source type and message sidedness was also significant on the mediation process (i.e. moderated mediation), but not on dependent variables directly. When the spokesperson is a 3rd person two-sided message was more persuasive through lowering persuasion intent. On the contrary, one-sided message was more persuasive when the spokesperson is a corporate itself.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in terms of issue and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a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 대상 스마트폰 중독 예방교육 효과

        염정윤(Jung-Yoon Yum),최수정(Soojung Choi),정민혜(Minhey Chung),최인호(Inho Choi),정세훈(Se-Hoon Jeo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 동기 이론을 활용하여 초등학생 대상 스마트폰 중독예방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6학년 어린이 96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의 주효과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교육이 위협 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스마트폰 이용 시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 고이용군(고위험군)의 경우 교육이 위협 평가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나타난 반면, 스마트폰 저이용군(저위험군)의 경우 교육이 위협 평가를 감소시켰다. 또한 위협 평가와 대처 평가가 스마트폰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대처 평가는 바람직한 이용 의도와 정적 관계가 존재하였으나 위협 평가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마트폰 중독 예방 교육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어린이들의 대처 평가를 증가시킬 수 있는 교육 내용이 포함되어 진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중독 예방 교육의 한계를 보여주면서 동시에 향후 교육 시행에 중요한 함의를 제공한다. Based on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education on children. We recruited 96 elementary students in 5th and 6th grad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ain effects of education were not observed, but the moderating effects of smartphone use were significant. Specifically, education increased threat appraisal among the high use (high risk) group, whereas education decreased threat appraisal among the low use (low risk) group. In addition, coping appraisal resulted in more positive behavioral intentions (reduce smartphone use), whereas threat appraisal did not affect behavioral inten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education should focus on coping appraisal.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국내 댓글 효과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

        염정윤(Jung-Yoon Yum),김류원(Ryuwon Kim),정세훈(Se-Hoon Jeo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0 언론정보연구 Vol.57 No.2

        본 연구는 댓글이 이용자에게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들에 대해 메타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47개 연구의 효과 크기를 분석한 결과, 댓글의 평균 효과 크기는 d = 0.85(95% CI [0.65, 1.06])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댓글의 효과는 다양한 조절 변인에 따라 강화 또는 약화, 심지어 소멸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기사 속 예시에 비해 기사 밖 댓글이 더 강력한 효과가 있었으며, 기사와 일치하는 댓글의 비율이 높을수록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실험 설계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댓글 노출 여부를 비교한 실험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찬성 댓글과 반대 댓글을 비교한 실험 설계에서 효과가 나타났다. 주제 및 형식 측면에서 마케팅 및 소비자 리뷰 댓글은, 정치 사회, 헬스 기사, 그리고 소셜미디어 댓글에 비해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예상과 달리 댓글의 작성자가 익명이거나 논거가 적은 경우 오히려 댓글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 표본에 비해 일반인 표본에서 댓글의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출판된 연구에서 효과의 크기가 오히려 작게 나타났다. Based on a meta-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 of user comments. An analysis of 47 studies showed that the average effect size was d = 0.85(95% CI [0.65, 1.06]). However, this effect varied by several moderators. For example, user comments following news articles had greater effects compared to those within a news article, and the distribution of user comments that were more consistent with the news message had greater effects. Studies that compared positive vs. negative user comments had stronger effects than studies that compared user comments absent vs. present. In terms of topic and format, marketing/consumer reviews had greater effects compared to user comments in political, social, and health news and social media. Contrary to expectations, user comments had greater effects when the author was anonymous or had weak arguments. The effects of user comments were smaller among non-college adults and among published studies.

      • KCI등재

        소득, 연령, 인지욕구가 뉴미디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과 연령과 인지욕구의 조절효과

        최인호(Inho Choi),염정윤(Jung-Yoon Yum),김류원(Ryuwon Kim),정세훈(Se-Hoon Jeo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5 No.2

        본 연구는 소득, 연령, 인지욕구로 인해 발생되는 디지털 격차를 확인하고, 이들 변인 사이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국 20대-60대 남녀 336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뉴미디어 콘텐츠 활용에 있어서 기능적(functional)-비판적(critical) 차원과 소비(consumption)-생산(prosumption) 차원을 모두 아우르는 능력을 가리키는 뉴미디어 리터러시(NML)의 4가지 유형(기능적 소비능력, 비판적 소비능력, 기능적 생산능력, 비판적 생산능력)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소득과 연령에 따른 디지털 격차를 살펴보았는데, 예상대로 소득이 증가하고 연령이 감소할수록 디지털 미디어 활용능력인 뉴미디어 리터러시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통적인 디지털 격차가 여전히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기존에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변인으로, 개인 심리적 동기인 인지욕구(NFC)도 뉴미디어 리터러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들 세 가지 변인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도 살펴보았는데, 소득에 대한 연령의 조절효과는 4가지 유형의 NML중 생산(prosumption) 리터러시(기능적 생산능력 및 비판적 생산능력)에서 소득이 유발하는 디지털 격차가 연령이 증가할수록 더욱 커지는 연령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소득에 대한 인지욕구의 조절효과도 기능적 소비능력을 제외한 나머지 3가지 유형의 NML(비판적 소비능력, 기능적 생산능력, 비판적 생산능력)에서 소득으로 인한 디지털 격차가 인지욕구가 증가할수록 더욱 줄어드는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연령과 인지욕구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함께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d digital divide due to income, age, and need for cognition and interactions between these factors. Based on a survey of 363 adults in their 20s to 60s, we examined new media literacies including functional-critical, consumption-prosumption of new media content. As expected, new media literacy was positively related to income and negatively related to age. In addition, need for cogni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new media literacy.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income and age on prosumption literacy, such that the positive effect of income increased by age. Also,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income and need for cognition, such that the positive effect of income reduced by need for cognition.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age and need for cognition. The implications a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국내 미디어 멀티태스킹 연구 현황

        정세훈(Jeong, Se-Hoon),염정윤(Yum, Jung-Yoon),최인호(Choi, Inho),최수정(Choi, Soojung),정민혜(Chung, Minhey)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미디어 멀티태스킹 관련 연구 경향을 살펴본 후, 특히 국내에서 이루어진 멀티태스킹 이용 및 효과 관련 연구를 검토하고 주요 결과를 정리하였다. 멀티태스킹 이용에 관한 연구 검토 결과, (1) 인구 통계적으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연령이 낮을수록 미디어 멀티태스킹이 증가하는 경향이 존재하였고, 고소득층, 고학력층일수록 미디어 멀티태스킹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 개인 심리적 요인으로는 오락성 동기, 정보적(학습적) 동기, 습관적 동기, 관계적 동기 등과 같은 이용 동기와, 복합 시간성이나 시간 압박감 등 시간에 대한 인식이 멀티태스킹 행위를 증가시키는 주요한 설명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3) 미디어 요인의 경우 미디어 이용 시간이 증가하고 오락물이나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이용 시간이 증가할수록 멀티태스킹 이용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멀티태스킹 효과에 관한 연구 검토 결과, 예상대로 인지적 효과(예, 기억이나 이해도)는 감소하고, 태도적 효과(예, 광고 태도와 만족도)는 증가하며, 행동적 효과(예, 정보 검색과 구매 의도)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떠한 특성의 미디어 이용자들이 멀티태스킹을 많이 하며, 그 결과 광고 효과가 어떻게 나타날 것인가에 대한 중요한 실무적 함의를 지닌다.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research on media multitasking “uses” and “effects.” For research on uses, (1) women (vs. men), younger adults, those with higher income and education multitasked more than their counterparts, (2) entertainment, information, habit, social motives, polychronicity, resulted in greater multitasking, and (3) heavy media users and entertainment media users multitasked more than their counterparts. For research on effects, results suggest that multitasking reduced cognitive outcomes, while increased attitudinal and behavioral outcomes. The implications for advertis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a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블로그 마케팅에서 정보원의 정보 전달 방식과 후원 표시 유무의 효과

        이희정(Heejung Lee),염정윤(Jung-Yoon Yum),정세훈(Se-Hoon Jeo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1 No.3

        최근 블로그를 활용한 마케팅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파워 블로거들과 기업 간의 금전적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공정거래위원회는 2011년 `추천·보증 등에 관한 표시·광고 심사지침`을 개정하여 기업으로부터 후원을 받은 경우 이를 명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일부의 경우 후원 표시 없이 블로그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후원 표시의 유무가 블로그 메시지의 설득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고, 그 효과가 개인 블로그의 정보 전달 방식(단순 전달 vs. 적극 생산)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전달 방식과 후원 표시에 따른 주효과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두 변인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원표시가 없을 경우에는 적극생산 방식이 단순전달에 비해 더 효과적이었으나 후원표시가 있을 경우에는 전달 방식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Blog marketing has increased, and recently `PowerBloggers` have received monetary incentives for blogging positive reviews for products. The Fair Trade Commission amended the `Review/Guarantee Guidelines for Ad/Signs` in 2011 but some corporations and bloggers do not follow the guidelines.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the sponsored blogs depending on the types of information (simple transfer vs. active production) in personal blogging, and whether sponsorship is notified or not. Results showed that when sponsorship was not notified, active production was more effective than simple transfer; on the other hand, when sponsorship was notified,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