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교실’과 ‘바깥놀이터’에 대한 유아교사의 은유분석

        연희정(Hee jong Yeon),김은주(Eun ju Kim),송주은(Joo eun S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7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교육공간 중 하나인 ‘교실’과 ‘바깥놀이터’에 대 한 유아교사들의 사고유형을 은유분석을 통해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 해 부산, 경남지역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5년 3월 15일부 터 3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체계적 은유분석을 바탕으로 범 주화한 후 수치화하였다. 연구결과, ‘교실’은 또 하나의 집과 같은 공간, 배움과 성장 이 있는 공간, 작은 사회의 모습을 닮은 공간, 다양한 놀이영역을 가진 멀티체험공 간, 아이들이 있어 아름다운 공간, 불안함이 존재하는 닫힌 공간, 즐거움이 가득한 어울림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바깥놀이터’는 자유와 해방의 공간, 불안이 숨 겨진 위험한 공간, 누구에게나 최고의 즐거움을 주는 공간, 살아있는 배움의 공간, 다른 느낌 같은 공간, 함께 해서 좋은 공간으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가 바라보는 교실과 바깥놀이터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으 며,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내외 공간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 유아교 사의 실내외 공간 활용 역량을 강화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houghts pattern of infant teachers with respect to indoor and outdoor space of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through the metaphor analysis method. For this purpose, 203 of infant teachers were selected from Busan and Gyeongnam area and Data was collected from Mar. 15 to 30, 2015. The collected data was categorized and quantified through systematic metaphor analysis. As a result of study, investigating the thoughts pattern of infant teachers for educational space with the classroom and outdoor playground perspective, in case of classroom it was categorized into 7 cases 1)such as a space like second home, 2)a space with learning and growth, 3)a space that resembles a small society, 4)a multi-experience space that has various amusement territory, 5)a beautiful space due to children, 6)a closed space that anxiety exists, 7)a space with affirmative energy. And it was categorized into 6 cases, in case of outdoor playground, 1)such as a space of freedom and liberation, 2)a dangerous space that anxiety was hided, 3)a space with the best pleasure 4)space with living learn, 5)such as a different like same, 6)a space for getting along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undamental reference for investigating the direction in space configuration of indoor and outdoor at infant education institutes and for strengthening the space utilization capability of infant teachers.

      • KCI등재

        은유분석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동성애에 대한 사고유형 분석

        이연선 ( Youn Sun Lee ),연희정 ( Hee Jong Yeon ),김태경 ( Tae Kyung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동성애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으며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탐구해 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교육을 수행할 예비유아교사들의 동성애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은 성(gender)을 포함하여 문화의 개념을 다양하고 포괄적으로 접근하면서 한국사회가 시민교육과 다문화교육으로 나아가는데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지역 3,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에비유아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4년 10월 7일부터 24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177명의 설문지를 최종 연구자료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동성애에 대해 예비유아교사들은 은둔자, 사회적 소외자, 독특한 개성을 가진 자, 자유로운 개척자, 평범한 일반인, 타고난 자, 같은 성을 사랑하는 자, 혐오스러운 자, 이해불가한 자로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다문화교육이 사회적 편견과 고정관념을 해체하는 데서 시작한다고 볼 때, 동성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부정적 인식의 원인을 다각도에서 분석하고 다문화교육의 차원에서 동성애 개념을 새롭게 마련하는 것이 절실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s aims to examine how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 homosexuality, and the rationale behind that. This study, examining the perception of homosexuality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carrying out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society, was carried out has been made an attempt based on the thought that it would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Korean society to step forward to civic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a diverse and comprehensive approach on the concept of culture including gender. For this study,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1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tudy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at three or four-year colleges in Busan and Gyeongnam area from 7th Oct 2014 to 24th Oct, and selected 177 questionnaires as final research data. The research showed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homosexuals as hermits, a socially alienated class, persons of unique individuality, pioneers of freedom, ordinary persons, gifted persons, homosexual lovers, disgusting persons, and inexplicable persons. With a view-point that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would begin with abreak-up of social prejudices and stereotypes, it is considered to be absolutely necessary to analyze the reasons for the negative perceptions of homosexuality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various angles and to newly set up a concept of homosexuality on groun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놀이 중심 교육과정 전환’ 에 따른 예비유아교사교육에서의 세 가지 쟁점 연구

        이연선(Lee Youn-Sun),연희정(Yeon Hee-J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통해 강조되는 놀이 중심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이 예비유아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세 가지 쟁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연구물, 최신 이론, 현대적인 프로젝트들, 국제 교육과정 등의 문서를 심도 깊게 고찰하였으며, 세 가지 주요 쟁점인 교육과정 재구성,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 놀이와 배움을 토대로 예비유아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 다. 첫째, 교육과정에 대한 자기 성찰과 문제의식, 현장과의 파트너쉽을 통한 유아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에 대한 실제적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바이 다. 둘째, 교사의 행위주체성(agency)을 중심으로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의 역할이 정립되어야 할 필요성과 교사 교육자에게 실험적(experimentation) 교수를 제안하였다. 더불어 놀이하며 배우는 유능한 유아에 대한 깊이있는 이해와 존중, 놀이를 통한 배움의 과정과 내적 현상에 귀 기울일 수 있는 교사의 페다고지 실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예비유아교사교육이 변화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d on three important points related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right after ‘play-based curriculum change’ in 2019. We got clear ideas from reading recent theories and literatures including sever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papers, recent theories about play and learning, and play-based learning projec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 attempted to explain three important ideas which can transform the current discours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First, we suggest that pre-service teachers have real experience of collective curriculum-making with children through self-reflection, critical awareness, and partnership with kindergartens. Secondly, teacher educators need to consider their teaching as experimentation and process so that teachers’ pedagogical role focused on agency could be revitalized. Finally, we expect the transformation and diversifi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for teachers to respect children who are capable, competent and active and listen to their intra-active learning through pl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