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표준 오리사 설계안에 대한 환기효율성 분석

        여욱현,조예슬,권경석,하태환,박세준,김락우,이상연,이승노,이인복,서일환,Yeo, Uk-Hyeon,Jo, Ye-Seul,Kwon, Kyeong-Seok,Ha, Tae-Hwan,Park, Se-Jun,Kim, Rack-Woo,Lee, Sang-Yeon,Lee, Seung-No,Lee, In-Bok,Seo, Il-Hwan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7 No.5

        In Korea, 69.4 % of duck farms had utilized conventional plastic greenhouses. In this facilities, there are difficulties in controlling indoor environments for raising duck. High rearing density in duct farms also made the environmental control difficult resulting in getting more stressed making their immune system weaker. Therefore, a facility is needed to having structurally enough solidity and high efficiency on the environmental control. So, new design plans of duck house have recently been conducted by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in Korea. As a study in advance to establish standar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was used to estimate the aerodynamic problems according to the designs by means of overall and regional ventilation efficiencie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racer gas decay (TGD) method was used to calculate ventilation rate according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duck houses including installation of indoor circulation fan. The results showed that natural ventilation rate was averagely 164 % higher than typically designed ventilation rate, 1 AER ($min^{-1}$). Meanwhile, mechanically ventilated duck houses made 81.2 % of summer ventilation rate requirement.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new duck house considering more structural safety as well as higher efficiency of environmental control.

      • 작물을 고려한 BES 모델 설계와 이를 위한 기공저항 측정

        여욱현 ( Uk-hyeon Yeo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온실 내부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생산성은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온실 내외부 미기상 환경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특히, 우리나라는 계절적인 특성상 냉난방을 위한 에너지 비용이 많이 투입되고 있다. FTA 협정이후 세계시장과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이용에 대한 효율화가 필요하다. 효과적인 시스템의 현장 적용을 위해서는 이에 대한 정량적인 효율 분석 및 검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TRNSYS, Energy plus 등을 포함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고 있다. 얇은 피복으로 구성되어 있는 온실의 경우에는 외부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실시간 외부 기상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동적시뮬레이션 기법 (Building energy simulation, BES)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모델 및 에너지 평가가 필요하다. 특히, 온실의 BES 시뮬레이션 모델 설계를 위해서는 작물로부터 발생 또는 흡수되는 열교환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공저항 특성을 포함한 작물을 고려하여 온실 내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특히, 작물 유무에 따른 에너지 부하량의 차이를 분석하고 작물에 따른 온실 내부에서의 에너지 부하량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작물의 열교환은 현열과 잠열 형태로 구분할 수 있고, 작물 현열의 경우에 작물의 기공저항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작물 기공저항의 일별 변화를 기공확산도 측정기 (SC-1 Leaf porometer, Decagon Devices, In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잠열은 물수지법을 이용하여 작물로부터 증산되는 양으로부터 산정하였고, 그 외 일사량, 엽온, 기온 및 습도 등을 측정하였으며, 현장실험은 안동대학교 내 실험온실 (Width : 35.0m, Length : 21.0m, Ridge : 3.25m, Eave : 6.0m)에서 이루어졌다. 길이방향으로 20 열로 토마토가 총 1,020 개체 재배되고 있고, 온실 내부 환경 조절은 양쪽 측벽의 환기창으로부터 이루어진다. 직달일사와 이로 인한 온도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광막이 지면으로부터 5.0m 높이에 설치되었다.

      • 동절기 비육돈사 내 온·습도 모니터링 및 내부 환경 개선을 위한 환기 시스템 운영 효과 분석

        여욱현 ( Uk-hyeon Yeo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동절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비육돈사의 내·외부의 기온차가 10℃ 이상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차가운 외기온도로부터 동물의 직접적인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고 돈사 내부의 난방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최소 환기를 실시한다. 그러나 최소 환기를 실시할 경우에는 비육돈사 내부에 열, 수증기, 가스가 집적되는 문제와 이로 인하여 사육 권장 기준치를 초과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내부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비육돈사 내·외부의 공기 교환 및 환경조절을 위한 장치 및 기기가 필요하다. 그러나 전기적 장치 및 기기를 이용하는 것은 초기 투자비용이 과다할 뿐만 아니라 가스 및 습도 환경이 동절기에 더욱 심각하기 때문에 유지관리 및 운영비용이 증가하여 농가의 경영비 부담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환기를 통하여 비육돈사 내부의 환경이 최대한 조절되도록 해야 하며, 이때 기존의 비육돈사 환기 운영구조에서 환기량을 증가시킬 경우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그대로 유입되기 때문에 유입되는 공기가 비육돈까지의 도달시간을 지체시켜 공기 온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동절기의 비육돈사 내부의 온·습도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비육돈사 내부의 온·습도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환기량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이때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유입공기의 온도 완충 구간 (전실)을 구축하여 전실 유무 및 전실 체적에 따른 효과를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설계된 비육돈사 모델의 검증은 총 5가지 난류 모델(standard κ-ε, RNG κ-ε, realizable κ-ε, standard κ-ω, SST κ-ω)을 대상으로 공기 온도와 습도에 대한 현장 실측 값과 전산유체역학 모델 결과값의 결정계수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전실 유무 및 체적에 따른 효과를 분석한 결과, 공기층의 체적이 12.8 ㎥으로 가장 큰 Case 3이 약 15℃로 전실이 없는 모델 (Case 0)보다 약 4℃정도의 온도 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실 크기에 따른 공기층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평균 온도는 각각 17.4℃ (Case 1; 체적 3.5 ㎥), 18.3℃ (Case 2; 체적 7.5 ㎥), 19.4℃ (Case 3; 체적 12.5㎥)에서 각각 나타났다. Case 0 (16.3℃)과 비교하여 각각 6.7%, 12.3%, 19.0% 효과적이었으며, 외부 공기층 체적이 증가할수록 입기 덕트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평균 온도가 증가하였다.

      • ICT 기반 동적 에너지 교환 시스템 설계를 위한 온실 내 작물을 고려한 BES 모델 설계 및 검증

        여욱현 ( Uk-hyeon Yeo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

        온실 및 건물이 독립적으로 운영될 경우, 최대 에너지 부하 (열/전기)를 감당하기 위한 에너지 공급시스템이 개별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는 온실과 건물에서 폐에너지 (잉여에너지)가 발생하게 되며, 에너지 효율적이지 못하다. 그러나 온실과 건물을 통합한 건물 통합 옥상온실의 경우, 건물에서 손실되는 잉여에너지를 작물 재배에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어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물 내 에너지 설비의 용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건물 통합 옥상온실의 에너지부하를 분석하고 에너지 소비를 최적화 할 수 있는 ICT 기반 동적 에너지 교환 시스템 설계기술 개발이 필요하나 국내기술 개발이 전무한 실정이다. 온실에 작물의 생산성과 품질은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다양한 환경조건 (광환경, 토양수분, 실내 온습도, 주변 열환경 등)과 재배조건에 종속적이고 건물은 기상환경 및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 사무기기, 조명 등에 의하여 내부 환경이 변화되기 때문에 실시간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동적시뮬레이션 기법 (Building energy simulation, BES)을 이용한 에너지부하 평가가 필요하다. 특히, 온실의 적정 에너지설계를 위해서는 작물로부터 발생하는 열교환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실제 온실 내 유입된 에너지 중 상당 부분이 작물에 흡수되며 특히 주간에는 재배 작물의 종류 및 재식 밀도에 따라 약 20%에서 최대 75%까지 작물의 에너지 교환에 활용된다. 작물의 에너지 교환 모델은 현열 및 잠열을 포함하며 경험식에서는 다양한 설계 인자들을 고려하고 있다. 또한, 온실의 경우에는 골조율이 내부로 투과되는 일사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고려한 건물에너지 평가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CT 기반 실시간 에너지 교환이 가능한 건물 통합 옥상온실 모델 설계에 앞서 온실 내부에서의 골조와 작물 모델을 고려한 BES 모델의 설계와 검증을 수행하였다.

      •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광생물반응기의 구조 매개변수에 대한 통계적 분석

        여욱현 ( Uk-hyeon Yeo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우리나라는 2014년 기준 약 95%의 높은 에너지 수입 의존도를 나타내고 있다(KEEI, 2014). 그러나 높은 에너지 수입 의존도는 원유 수급 현황에 따라 국가 경제 및 에너지 안보를 위협할 수 있는 요인일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탄소화합물이 연소과정에서 CO<sub>2</sub>로 결합됨에 따라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현상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에 정부는 2013년 1차 에너지 대비 3.5%에 불과하던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정책적으로 증가시켜 2035년까지 13.4%까지 확대 계획을 고시하였다(MOTIE, 2014). 신재생에너지 중 바이오매스는 탄소 중립적이며 연료에 국한되지 않고 바이오소재의 생산도 가능하여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 바이오매스 생산 자원 중 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은 다른 생산 자원(곡물류 및 목질류)과 비교하여 최대 1,000배 이상의 높은 효율을 가진다. 미세조류는 광합성을 기반으로 생장하는 수중 단세포 생물로써 배양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태양광, CO<sub>2</sub>, 영양물질 등이 이용되며, 배양시스템은 크게 자연환경을 그대로 이용하는 폰드 시스템과 인공적으로 성장 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광생물반응기 시스템으로 나뉜다. 폰드 시스템은 대량생산에 용의한 장점을 갖지만 광, CO<sub>2</sub> 농도, pH 등의 환경 조절이 어려우며 오염물의 유입가능성이 있다. 반면 광생물반응기는 인공적인 환경조절이 가능하고, 좁은 국토면적을 고려하였을 때 실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광생물반응기의 설계에 있어서 노즐 수 및 배열, 배플 설치유무 그리고 배플 상·하부 높이와 같은 구조 매개변수는 혼합을 통하여 미세조류의 광노출 빈도, 균일성 그리고 물질교환 속도를 향상시키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고려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하여 광생물반응기 설계에 있어서 구조 매개변수의 주효과 및 교호작용 분석을 통하여 광생물반응기 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광생물반응기는 200-L 용량의 평판형 광생물반응기이며 단위 폭(0.5m), 깊이(0.26m), 높이(1.7m)로 구성되었다. Seo et al., 2014에 의해 개발된 광생물반응기의 성능평가 모델(Biomass production prediction grafting mixing and growth model, BPMG)을 이용하여 각 구조 매개변수에 따른 미세조류 생산량을 회귀분석을 통하여 주효과 및 교호작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 매개변수(노즐 수 및 배열, 배플 설치깊이, 배플 하부높이)의 상관관계는 각각 R<sup>2</sup>=0.35, 0.18, 0.82, 0.42을 나타냈으며 배플 설치 깊이에 있어서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또한 주효과 분석에 있어서는 배플 설치깊이, 배플 하부높이, 노즐 배열, 노즐 수의 순서로 매개변수의 영향력 크기가 크게 형성되었으며 배플 설치깊이와 배플 하부높이의 교호작용에 대한 P-value가 0.003으로 교호성을 설명함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 CFD를 이용한 하절기 표준 오리사 설계안에 대한 열환경 및 환기효율 분석

        여욱현 ( Uk-hyeon Yeo ),이인복 ( In-bok Lee ),조예슬 ( Ye-seul Jo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13년 농업생산액은 약 42조 5천 억 원에 육박하며 이 중 축산업 생산액은 약 15조 5천 억 원으로 약 36.4%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기준오리는 국내에서 약 1억 2천 마리가 사육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오리 산업규모 역시 1조 451억 원으로 성장하였고, 전문화와 대형화에 따른 대규모 사육농가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밀집사육으로 인한 시설 내부 환경조절의 어려움과 오리의 스트레스로 인한 면역력 감소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등과 같은 가축질병에 대한 노출이 증가되며, 피해의 규모 또한 증가하고 있다. 국내 오리 사육농가의 69.4%는 플라스틱온실 등을 계량한 간이오리사형태의 사육시설 내에서 오리를 사육하고 있다. 이러한 시설물은 태풍이나 폭설에 대한 구조적 취약점을 나타내고 있으며 환기율, 열환경 분포, 공기유동 등 오리의 최적사육환경조절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특히, 하절기의 고온다습한 환경은 오리의 열적스트레스를 크게 증가시켜 폐사율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가축 생산성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작업자의 활동성 그리고 냉방을 위한 추가적인 에너지소비가 필요시 되므로 농가 경영에 큰 영향을 끼친다. 그러므로 폭설이나 강풍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며 오리 사육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최대의 사육환경을 유지함으로써 최소한의 에너지가 필요로 하는 새로운 오리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에서 설계 및 제시하고자 하는 오리사 설계안 중 강제환기식 오리사에 대해서 현장 검증 이전에 전산유체역학 을 이용하여 환기구조설계의 적합성에 대한 내부 환경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특히, 시설 전체 및 지역적인 환기 효과를 고려하기 위하여 미국 냉방공조학회 등에서 활용도가 높다고 알려진 추적가스접근법을 적용하였다. 설계안에 따라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연산된 결과를 통하여 오리사 규격에 따른 지역적, 높이별 공기유동 및 환기율 그리고 열환경에 대한 정성적, 정량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하절기 동안 강제환기식 오리사는 최대 환기를 실시하며 축산시설에 있어서 혹서기 동안 분당 1회 이상의 환기회수가 요구된다. 하지만 구조적 설계에 있어서 설계환기량이 매우 낮게 설정되어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CFD를 통하여 산출된 각 규격별 강제환기식 오리사의 평균 환기율은 0.059~0.087 AER·min<sup>-1</sup>를 나타냈으며 오리군 높이(0.5m)에서의 지역적 환기율의 편차는 0.002~0.005 AER·min<sup>-1</sup>로 나타났다. 오리 사육 공간 내 온도분포의 경우, 오리가 스트레스를 받기 시작하는 온도(28℃)를 넘어 규격별로 34.3~34.6℃를 나타났으며 오리군 높이에서의 지역적 온도편차는 0.5~0.9℃로 나타냈다. 이에 따라 축산과학원에서 설계 및 제시하고자하는 강제환기식 오리사는 최적 사육환경조절을 하는데 있어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건물에너지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옥상온실의 동적에너지 부하 분석

        여욱현 ( Uk-hyeon Yeo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도시농업은 도시로의 인구 밀집화, 녹지 부족, 물류비 증가, 기후변화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시와 농촌이 공간적으로 통합된 새로운 개념의 농업이다. 도시에서 농업이 가능한 형태 가운데 미활용 공공시설과 집단 주거시설의 옥상과 같은 유휴 공간을 활용하는 옥상온실이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Goldstein et al., 2016; Pons et al., 2015; Saha and Eckelman, 2017). 온실과 건물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는 에너지 (열 및 전기) 공급시스템을 개별적으로 설치해야 하며 복사, 대류, 전도 등에 의한 불필요한 에너지에 대한 획득 및 손실이 더 크게 발생하게 된다. 특히, 온실의 경우에는 일반 건축물과 달리 얇은 피복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외부 기상 환경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Lee, 2016; Lee et al., 2019). 그러나, 옥상온실 시스템은 유휴 공간인 건물의 옥상에 온실을 설치하여 토지 구입비가 절감될 수 있으며 (Pons, 2015; Ceron-Palma et al., 2012), 건물 에너지 사용량 및 손실량 절감, 도시 인구의 식량 수요 등을 충족시킬 수 있다 (Petit-Boix and Leipold, 2018). 또한, 생산된 농산물과 소비자 사이의 생산적 거리를 줄이면서 수송 및 저장에 소비하는 에너지를 최소화 및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Astee and Kishnani, 2010; Ceron-Palma et al., 2012), 이에 따른 온실 가스 배출을 저감하는 환경적 장점을 가지고 있다 (Zaar, 2011). 그러나, 새로운 시스템의 개발, 도입, 개선에 따른 에너지 성능과 관련한 문제를 이해하고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및 모델링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건물과 온실을 통합하여 옥상온실을 운영하였을 때, 건물 및 온실에 있어서 동적 에너지 변화를 건물에너지시뮬레이션 (Building Energy Simulation: BES)를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 온실 골조 및 작물 모델을 고려한 BES모델 설계

        여욱현 ( Uk-hyeon Yeo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온실 및 빌딩이 독립적으로 설치될 경우, 최대 에너지 부하 (열/전기)를 감당하기 위한 에너지 공급시스템이 개별적으로 설치되어야한다. 이 경우에는 각 건물에서는 폐에너지 (잉여에너지)에 대한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온실과 빌딩을 통합한 옥상온실형 와이즈팜빌딩의 경우, 건물에서 버려지는 폐에너지를 작물 재배에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어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설비의 용량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와이즈팜빌딩 옥상온실의 에너지부하를 분석하고 에너지 소비를 최적화 할 수 있는 설계기술 개발이 필요하나 국내기술 개발이 전무한 실정이다. 온실에 작물의 생산성과 품질은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다양한 환경조건 (광환경, 토양수분, 실내 온습도, 주변 열환경 등)과 재배조건에 종속적이고 빌딩은 기상환경 및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 사무기기, 조명 등에 의하여 내부 환경이 변화되기 때문에 실시간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동적시뮬레이션 기법 (Building energy simulation, BES)을 이용한 에너지 부하 평가가 필요하다. 특히, 온실의 적정 에너지설계를 위해서는 작물로부터 발생하는 열교환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실제 온실 내 유입된 에너지 중 상당 부분이 작물에 흡수되며 특히 주간에는 재배 작물의 종류 및 재식 밀도에 따라 약 20%에서 최대 75%까지 작물의 에너지 교환에 활용된다. 작물의 에너지 교환 모델은 현열 및 잠열을 포함하며 경험식에서는 다양한 설계 인자들을 고려하고 있다. 또한, 온실의 경우에는 골조율이 내부로 투과되는 일사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고려한 건물에너지 평가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옥상온실 와이즈팜빌딩에 앞서 온실 내부에서의 골조와 작물 모델을 고려한 에너지 부하량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작물 유무에 따른 에너지 부하량의 차이를 분석하고 작물에 따른 온실 내부에서의 에너지 부하량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팜 구현을 위한 연구동향 및 ICT 핵심기술 분석

        여욱현(Uk-hyeon Yeo),이인복(In-bok Lee),권경석(Kyeong-seok Kwon),하태환(Taehwan Ha),박세준(Se-jun Park),김락우(Rack-woo Kim),이상연(Sang-yeon Le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5 No.1

        정부는 정책적으로 ICT 기반 시설원예의 첨단화로 농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고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온실의 보급 확대를 계획하고자 한다. 그러나 농업 분야에 있어서 모니터링 및 제어의 다양성 및 연계성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자동화된 시설원예를 활용하여 다양한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복합형 알고리즘을 활용한 농업생산 전주기적 과정의 지능적 시스템화를 위한 현장 중심형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팜 융합 서비스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농업분야 ICT 현장적용 관련 국내·외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 이로부터 시설원예 분야에 접목 가능한 ICT 기반 미래 핵심기술을 분석 및 제시하고자 하였다. Korean government has planned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horticultural crops and to expand supply smart greenhouse for energy saving by modernization of horticultural facilities based on ICT in policy. However, the diversity and linkages of monitoring and control are significantly insufficient in the agricultural sector in the current situation. Therefore, development of a service system with smart-far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IoT) for intelligent systemization of all the process of agricultural production through remote control using complex algorithm for diverse monitoring and control is required. In this study,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 related to ICTbased horticultural facilities was briefly introduced and limits were analyzed in the domestic application of the advanced technology. Finally, future core technologies feasible to graft in agricultural field were review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