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재적 인지부하 이론에 기반한 디자인 전략 연구 : 학습 콘텐츠의 학습 효율성을 중심으로

        장초학(Zhang, Qiao He),양재범(Yang, Jae Bum)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4

        포스트 코로나(POST-COVID-19) 시대에서는 대면 수업방식이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되면서 학습자와 교사,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학습 교류가 감소하였으며, 이로 인해 학습자들이 집에서 독학하는 현상이 갈수록 보편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자인 전략을 통해 학습의 학습 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중요해졌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에 기초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 콘텐츠를 전통적인 형식의 학습 콘텐츠와 디자인 전략 형식의 학습 콘텐츠로 구분하였으며, 두 팀의 실험 대상자들에게 서로 다른 2가지 유형의 학습 콘텐츠를 무작위로 나눠 실험하였다. 그리하여 두 팀의 실험 차이를 비교해 본 연구에서의 디자인 전략에 대한 실행 가능성과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주로 학습 콘텐츠의 시각적 디자인 전략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외재적 인자부하 이론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경험 모델, 지식 시각화의 디자인 원칙 및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 등을 결합해 학습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시각적 디자인 전략을 개발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공간 능력을 학습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삼아 그 변수 간의 관계를 고찰하였으며, SPSS 20.0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디자인 전략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2단계의 실험 논증을 진행하였다. 1단계의 실험은 학생들이 디자인 전략형 학습 콘텐츠를 읽고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디자인 전략이 사용자들의 열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였다. 2단계 실험은 유형별 학습 콘텐츠를 비교해 디자인 전략이 인식과 기억(학습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론: 첫째, 본 연구의 디자인 전략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콘텐츠에 대한 열독 경험을 개선시켰으며, 둘째는 디자인 전략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효율을 향상시켰다. 셋째는 공간능력이 뛰어난 학생이 디자인 전략형 학습 콘텐츠를 사용할 때, 그 학습효과가 더욱 컸으며, 실험 분석을 통해 학습 콘텐츠의 시각적 디자인에서 디자인 전략을 사용하면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와 동시에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일상적인 학습과정에서 공간적인 훈련을 강화해 학습 효율성을 향상시킬 것을 제안하며, 본 논문에서는 인지부하 이론과 시각적 디자인을 결합해 학습 콘텐츠 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In the era of Post-COVID-19, the Face-to-Face teaching mode has changed to Non-Face-to-Face teaching, with less learning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nd between students. It is increasingly common for students to teach themselves at home. In the case of Self-study , the study of improving learning efficiency through designing strategies becomes very important. This study is based on this situation.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is to divide the learning content into Traditional Learning Content and design strategy learning content . At the same time, 2 groups of different types of learning content were randomly distributed to 2 groups of experimental subjects for experiment. The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design strategy in this study were analyzed throug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f experiments. It mainly takes the visual design strategy of Learning Content as the research object. Based on external cognitive load theory, this paper develops a visual design strategy to improve learning efficiency by combining user experience model, design principles of knowledge visualization, and specific design methods. In this paper, spatial ability is added as an influence variable of learning efficienc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this study, SPSS20.0 software was used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design strategies in two stages. In the first stage, students were asked to read design strategy learning content and fill in a questionnaire to test the impact of design strategies on users reading experience. The second phase of the experiment: compare different types of Learning Content experiments to examine the impact of design strategies on cognition and memory (Learning Efficiency). Conclusions of this study: First, the design strategy of this study improved students reading experience of learning content. Second, designing strategies can improve students learning efficiency. Thirdly, students with strong spatial ability have better learning effect when they use Design Strategy-based Learning Content . Through experimental analysis, in the visual design of learning content, the use of design strategies can improve learning efficiency. At the same time, it is suggested that students strengthen the training of sense of space in the daily learning process to assist the improvement of learning efficiency. This paper combines cognitive load theory with visual design, providing a new direction for learning content design.

      • KCI등재

        ‘프랙탈’ 시각 디자인의 시각적 주의력에 관한 연구 -자동자 포스터 디자인을 중심으로-

        맹남(Meng, Nan),양재범(Yang, Jae Bu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3

        프랙탈 디자인은 프랙탈 예술적 특징을 바탕으로 시각적인 영향이 강한 시각적 표현의 일종으로 점차 자동차 포스터 디자인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동차포스터 디자인을 연구대상으로 ‘프랙탈’ 포스터 디자인의 시각적 주의력의 특징을 분석한다. 연구 목적은 ‘프랙탈’ 포스터 디자인이 소비자의 시각적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 중 시각 주의력에 관한 연구는 시각 주의력의 합리성, 시각 주의력의 일치도, 시각 주의력의 피로도를 주로 연구를 진행한다. 본 연구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3가지 유형의 자동차 포스터 디자인에 대한 조사분석을 시행하고, 잠재적인 자동차 소비자 30명을 대상으로 안구 운동 측정기를 이용해 안구 운동 추적기술 실험을 분석한다. 동일한 쇼핑환경과 마케팅 장면을 통해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효과의 합리성 측면에서는 ‘프랙탈’ 유형의 자동차 포스터 디자인의 시각적 주의력의 시선 고정순서가 더 합리적이다. 둘째, 시각적 효과의 부합도에서 ‘프랙탈’ 유형의 자동차 포스터 디자인의 시각적 주의력 배분 비율이 더 잘 맞아떨어진다. 셋째, 시각 효과의 피로도는 ‘프랙탈’ 유형의 자동차 포스터의 시각적 주의 피로도가 더 낮게 디자인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동차 판매 포스터를 디자인할 때 ‘프랙탈(fractal)’ 시각 효과를 사용하면 소비자의 시각적 관심을 유도하고 소비자를 설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어 실제 광고 전략에 큰 도움이 된다. Fractal Design is an ingenious visual design for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fractal art and has a very strong visual impact. Fractal design is increasingly being applied to car poster design as a form of new visual design.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attention of ‘fractal’ poster design with the automobile poster design as the research o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effect of ‘fractal’ poster design on consumers’ visual attention. Among them, research on visual attention mainly studies the rationality of visual attention, the degree of concordance of visual attention, and the degree of visual attention fatigu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nalysis of three types of car poster designs targeting consumers, and analyzed eye movement tracking technology experiments using an eye movement meter for 30 potential car consumers. The research results that appeared through the same shopping environment and marketing scene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rationality of visual effects, the order of gaze fixation of visual attention in ‘fractal’ type car poster design is more reasonable. Second, the visual attention distribution ratio of the ‘fractal’ type car poster design fits better in the degree of visual effect conformity. Third, as for the fatigue of visual effects, the visual attention fatigue of the ‘fractal’ type car poster was designed to be lower. Research has shown that designers are encouraged to use the visual effects of ‘fractals’ when designing car posters. Such a design effect is a great help to the actual advertising strategy by inducing the consumer’s visual interest and increasing the likelihood of persuading the consumer.

      • KCI등재

        인쇄 광고에서 표현된 엔트로피의 상호텍스트성에 관한 연구 : 세 가지 상호텍스트성 인쇄 광고를 중심으로

        곽미함(Guo, Mei Han),양재범(Yang, Jae Bum)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1

        본 연구에서 엔트로피와 상호텍스트성 이론을 바탕으로 인쇄 광고에서의 시각 정보, 정보 엔트로피과 상호텍스트성을 연관을 지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정보 엔트로피 이론에 따르면 광고에 시각 정보가 많을수록 무질서하게 되고 엔트로피값이 높아진다. 반면에 시각 정보가 적을수록 질서있게 되고 엔트로피값이 낮아진다. 또한, 본 연구에서 미국 철학자인 피어스의 세 가지 기호에 따라 광고를 기호적 상호텍스트성 광고, 지표적 상호텍스트성 광고, 상징적 상호텍스트성 광고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이 세 가지 상호텍스트성 광고에 관한 사례 분석을 통해 인쇄 광고에서의 엔트로피를 고찰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기호적 상호텍스트성 광고의 경우 시각적 기호와 광고 대상 간의 직접적인 시각적 연관을 통해 상호텍스트성 효과를 나타냈다. 지표적 상호텍스트성 광고의 경우 시각적 기호와 광고 대상 간의 암시적인 시각적 연관을 통해 상호텍스트성 효과를 나타냈다. 상징적 상호텍스트성 광고의 경우 관련 없는 시각적 기호와 광고 대상이 논리적 관행이나 법칙을 통해 상호텍스트성 효과를 나타났다. 이 세 가지 광고의 디자인 과정은 정보에 관한 정리 과정으로 볼 수 있는데 혼란 정도 즉 엔트로피를 줄이는 과정이다. 광고 디자인은 상호텍스트성의 디자인 기법을 통해 시각 정보를 효율적으로 통합하고 엔트로피값을 낮춤으로써 시각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용자에게 전달한다. 디자이너는 이런 시각 정보, 엔트로피, 상호텍스트성에 대한 정리를 통해 보다 깊이 있고 수용자에게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광고를 만들 수 있다. Based on the theories of entropy and intertextuality, this research links the visual information, information entropy and intertextuality in print advertising work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entropy theor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ore visual information in the advertisement, the more disordered it is, the greater the entropy value will be. On the contrary, the less visual information, the more orderly it is, the smaller the entropy value will b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miotics trinity theory of American philosopher Pierce, this paper divides advertisements into icon intertextual advertising, index intertextual advertising and symbol intertextual advertis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through case analysis: Icon intertextual advertising achieves intertextual effects through the direct visual connection between visual symbols and advertising objects. index intertextual advertising achieves intertextual effects through the less obvious visual connection between visual symbols and advertising objects. symbol intertextual advertising is the intertextual effect of unrelated visual symbols and advertising objects through logical conventions or rules. These three advertising design processes can be considered as information integration and reduction of confusion, that is to say, the process of entropy reduction. Intertextuality design approach in advertisement design can efficiently integrate visual information and reduce entropy to achieve the effect of efficiently conveying visual information to the audience. This application of visual information, entropy, and intertextuality can enable designers to create deeper and more understandable advertisements.

      • KCI등재

        광고 커뮤니케이션에서 초현실 표현의 무의식 심리적 유형분석

        서위(Wei Xu),양재범(Jae Bum Ya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1

        현대 광고 디자인에서 초현실주의로 표현된 작품은 소비자가 이해하기 쉬운 시각적 콘텐츠를 기반으로 무의식 상태에서 현실과 환상이라는 두 극단 사이의 긴밀한 관계를 탐구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검토와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기존 연구문헌을 이용하여 무의식 관련 이론과 초현실주의 용어를 정의하고 있으며, 사례를 통해 초현실주의 비주얼은 수용자에게 무의식의 감성을 유도할 수 있고 예술적 가치를 경험하게 하는 광고 기법임을 알 수 있다. 광고디자이너가 소비자의 이러한 무의식의 감성 영역을 유도하고자 한다면 그것은 무의식으로까지 광고표현의 확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특히 존재한다고 믿지도 않는 허구적 비주얼 내용에 왜 수용자가 경이로움을 느끼는지를 사례를 통해 유형별로 설명하였다. 그러한 모순적으로 보이는 현상에 대한 궁금함이 제기되었고 초현실주의 비주얼의 사례분석을 통해서 그러한 궁금함을 해결한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가장 중요한 의미를 찾고자 한다. Works created with surreal expressions in modern advertisement design utilize visually approachable content to explore the correlation of the two polarized concepts reality and fantasy. This study defines surrealist language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of related references. The surrealist visual is an advertisement method that arouses unconscious sentiments of the beholder and invites for artistic experience. Should the advertisement elicit such unconcious sensitivity of the consumers, the designer furthers the boundary of advertisement expressions to the unconcious level. Through various case studies, the thesis explains on a typological level why consumers feel awe and wonder within such fictional, inexisistent visual content. Inquiries have been raised on the ironical phenomenon, and the thesis’ attempt to resolve the intellectual curiosity bears significant meaning.

      • KCI등재

        포스터 여백에 나타나는 시각과 상징 유형에 관한 연구 : 동양 포스터를 중심으로

        무심아(Wu, Xin Ya),양재범(Yang, Jae Bum)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4

        본 연구는 국제그래픽연맹에 실린 1960~2017년의 동양 디자이너의 작품에서 무작위로 6명 디자이너의 8개의 작품을 선정하여 Kostelnick, C. & Roberts, D.(1998)의 시각적 언어 분류학을 적용하여 포스터의 시각적 유형을 분석하였고 또한,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 2단계 모델을 사용하여 포스토의 상징적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적 표현의 경우 동양 포스터 디자인에서 내부(Intra) 유형은 자연적 형상(본상)을 나타났다. 사이(Inter) 유형은 주체적 조형물 사이에 남겨둔 여백이고 이는 공간감을 나타냈다. 여분(Extra) 유형은 여백을 배경으로 하고 기호학에서의 휴지공간과 같다. 상징 유형의 경우 동양에서 기표(Signifier), 기의(Signified)는 ‘도(Virtue) 로 표현되고 함축의미는 디자이너의 내면과 문화 관념을 나타냈다. 둘째, 동양 포스터에서 동양 여백은 불교의 공(空) 사상, 유교의 중용(中庸) 사상, 도교의 무위(無爲) 사상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동양의 여백은 조형 기능 외에 감성 기능도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작품의 사상 주제를 표현할 수 있다. 셋째, 동양 포스터의 조형 기능에서 여백은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다. 여백은 조형과 결합하여 불완전한 효과를 만들어낸다. 또한, 화면 속 평면적인 특징으로 인해 여백과 모양을 함께 조형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randomly selected eight works of six designers from the works of Asian designers from 1960 to 2017 published in the International Graphic Federation and applied the visual language taxonomy of Kostelnick, C. & Roberts, D. (1998) to analyze the visual types of posters, and also used Roland Barthes s two-step model of semiotics to analyze the symbolic types of the poster. According to the study, in the case of visual expression, in Oriental poster design, the Intra type is the natural shape (main image), and the Inter type is the margin left between the self-reliant sculpture, which represents a sense of space. The extra type is the same as the waste space in semiotics with the blank set in the background. For symbol types, Signifier and Signified are expressed as Virtue in the East, and the implication is that the designer s inner and cultural concepts are expressed. Second, in the poster of Oriental, the Oriental Blank shows the Emptiness ideas of Buddhism, the Moderation ideas of Confucianism, and the Inaction ideas of Taoism. In addition, the blank of the Oriental besides the modeling function still contains the perceptual function. Moreover, the blank can represent the ideological theme of the work of art. Third, in the formative function of Oriental Posters, the Blank can draw attention. Blank and modeling combined to produce the effect of unfinished. Also, due to the plane features in the picture, blank and shape can be used together as modeling elements.

      • KCI등재

        광고커뮤니케이션에서 나타나는 억압과 동일시가 소비자 설득 효과에 미치는 영향

        서위(Wei Xu),양재범(Jae Bum Ya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3

        본 연구는 광고 설득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방어기제 중 '억제' 및 '동일시'가 표현된 초현실주의 광고가 노출되어 수용자 심리태도에 영향을 주어 설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설계되었다. 구체적으로 실험을 통해 '억제' 및 '동일시'가 표현광고의 광고 설득 효과를 사례 유형에 따라 비교 분석 하였다. 실험 결과, '억제' 및 '동일시'가 표현된 광고의 설득 효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자아방어기제 표현 광고가 '억제' 및 '동일시'가 함께 조작 되었을 때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광고커뮤니케이션의 광고 설득 효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나기 위해선 자아방어기제를 고려해야 한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기존 광고 커뮤니케이션 표현 연구들의 결과를 확장했다는 학문적 의의와 자아방어기제 활용의 효과적인 광고 전략 제시라는 실무적 의의를 동시에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surrealist advertisements Repression and Identification during self-defense mechanisms can affect the psychological attitude of the audience and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persuasion. Specifically, through experiments, the advertising persuasion effect of expression advertisements Repression and Identification was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case typ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persuasion effect of advertisements expressing Repression and Identification was positive. This effect was greater when the self-defense mechanism expression advertisements of Repression and Identification was manipulated with oppres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elf-defense mechanism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for the advertising persuasion effect of advertising communication to appear positive, suggesting both academic significance and practical significance of expanding the results of existing advertising communication expression studies.

      • KCI등재

        Post-COVID19 시대의 내재적 인지부하 이론을 기반한 디자인 전략 연구 -학습 콘텐츠의 학습 효율성 중심으로-

        장초학(Zhang, Qiao He),양재범(Yang, Jae Bu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4

        COVID-19의 영향으로 인해, 현재 학교에서는 “대면” 수업을 할 수 없으며, 일반적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학습을 진행한다.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는, 학생과 교사 간,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줄어들고, 학습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학생들의 수업 형태는 전통적인 수동적 학습에서 온라인 수업의 능동적 학습으로 변화되었다. 능동적인 학습 형태에서는, 학생이 주도적으로 수업 내용을 배우고 이해해야만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POST-COVID-19 시대에는 “학습 콘텐츠”의 인지 및 기억에 대한 연구가 특히 중요해졌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내재적 인지부하 이론에 시각디자인 방식을 결합하여, 인지부하 디자인의 방법을 도출해 내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에 있는 중국유학생과 중국현지에 있는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총 58개 실험 데이트를 수집하였다. 또한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 20.0을 통해서 데이트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라 인지도와 기억의 정도를 통해 내부인지 부하 디자인 전략이 학습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한 것으로 내재적 인지 부하 디자인 전략은 학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향후 학습 콘텐츠 디자인 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내재적 인지부하 디자인 전략은 텍스트 디자인과 레이아웃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학습 콘텐트에 대해 디자인은 전략내용에 따라 디자인하는 것을 확인했다. 둘째, 학습 콘텐츠의 디자인에 있어서는 “교사 귀납”의 관점에서 디자인하는 것이다. 셋째, 내재적 인지 부하 디자인 전략은 고난이도 유형 학습 콘텐츠에 적합하고 디자인 관점에서 보는 내부적 인지 부하 디자인 전략은 학습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디자인 방법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Due to the impact of COVID-19, currently schools are unable to teach “face-to-face”, and are generally taught as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In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nd students and students is reduced, and communication efficiency is reduced. Students’ teaching style has changed from traditional passive learning to active learning in online classes. In the active form of learning, the efficiency of learning can be enhanced only when the student actively learns and understands the content of the class. Therefore, in the era of POST-COVID-19, research on cognition and memory of “learning content” has become particularly importa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method of cognitive load design by combining the visual design method with the implicit cognitive load theory. In this study, a total of 58 experimental dates were collected by selecting Chinese students in Korea and university students in China as subjects. In addition,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20.0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internal cognitive load design strategy was evaluated through the degree of cognition and memor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rinsic cognitive load design strategy can improve the learning efficiency. Therefore, the following is suggested as a way to design future learning contents. First, since the intrinsic cognitive load design strategy is composed of text design and layout design, it was confirmed that the design for the learning content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strategy content. Second, when it comes to designing learning contents, it is designed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 induc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rinsic cognitive load design strategy is suitable for difficult learning contents, and the internal cognitive load design strategy from a design perspective is a design method that can improve learning efficiency.

      • KCI등재

        정보 엔트로피와 미도를 이용한 정량적 광고의 미학 효과에 관한 연구 -세 가지 상호텍스트성 광고를 중심으로-

        곽미함(Guo, Mei Han),양재범(Yang, Jae Bu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에서 정량적으로 광고의 미학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없는 실정을 감안하여 정보 엔트로피 공식과 미도 공식을 3가지 상호텍스트성 광고에 접목하여 3가지 상호텍스트성 광고의 미학 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18~35세의 젊은 사람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정보 엔트로피 공식과 버코프의 미도 공식의 계산 과정에 따라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상호텍스트성 광고의 미학 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정보 엔트로피 공식으로 질서성(O)와 복합성(C)의 13가지 요소의 값을 계산한 다음에 미도 공식으로 미도(M)를 계산하여 세 가지 상호텍스트성 광고의 미학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기호적(icon) 상호텍스트성 광고의 창작은 비교적 간단하고 직접적인 시각적 요소와 평형, 균형, 대칭 등을 많이 사용하여 전체적인 미도 값은 1.68로 가장 좋게 나타났다. 따라서 수용자에게 넓고 균형하며 리듬감이 있는 느낌을 줄 수 있다. 지표적(index) 상호텍스트성 광고의 창작은 상대적인 암시적인 시각적 요소를 사용해서 불균형, 불평형, 비대칭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미학 효과는 1.09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수용자에게 약간 붐비고 불균형하며 복잡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상징적(symbol) 상호텍스트성 광고는 주로 시각적 요소 간의 논리적 상관관계에 의존하고 시각적 요소의 양과 관계가 없기 때문에 광고의 전체적인 효과가 비교적 뛰어나고 시각적 효과가 비교적 고르고 넓으며 리듬감이 강하다. 미도 값은 1.31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미도(M)를 계산하여 광고 작품의 미학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광고의 미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통해 수용자에게 보다 좋고 즐거운 체험을 주고 나아가 광고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디자이너가 보다 아름답고 수용자에게 잘 수용할 수 있는 광고를 창작하는데 참고를 제공할 수 있다. Based on the formula of information entropy, this paper calculated the entropy value of 13 variables of order in the Aesthetic Measures (M), and finally calculated the M value of three intertextual advertisements. This study applies online questionnaire and people aged between 18 and 35 as the interviewees. Intertextual advertising is the research object. The analytical model was established by combining the calculation process of the information entropy formula and Birkhoff aesthetic measures formula. The icon intertextual advertisements apply relatively simple and direct visual elements, so they often apply balance, equilibrium, symmetry, and refined order design methods. Therefore, the M value is the highest (1.68) and the aesthetic effect is the best. Index intertextual advertisements require a certain amount of visual elements due to the use of hinting techniques, so it often appears unbalanced and asymmetrical phenomena. It makes audiences feel slightly complex, crowded, the sense of design rhythm is slightly disorderly and the M value is the lowest with 1.09. Symbol intertextual advertising mainly relies on the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visual elements, and has nothing to do with the number of visual elements. Therefore, the overall advertising effect is relatively strong, the visual effect is relatively uniform and spacious, and has a strong sense of rhythm. The M value is 1.31 and the effect is better. Advertising works can be quantitatively evaluated through the calculation of the M value, and the increase in the M value can make the advertisement more beautiful, and the visual elements can give the audience a better and pleasant viewing experience, so that the advertising elements can be conveyed to the audience more efficiency. This research can provide a reference for designers to make advertisements that are more aesthetically pleasing and easier to be accepted by the aud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