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능가경』의 십지설(十地說) 연구

        양용선(승행)(Yang, Yong-Sun (Ven. Seung-Ha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5

        『능가경』은 유식사상과 여래장사상을 융합한 경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인 『능가경』의 십지설(十地說)은 유식사상의 십지설을 계승하는 한편 여기에 여래장사상을 융합하였다. 본 논문은 『능가경』에서 설해진 십지설을 체계적으로 종합하고 분석함으로써 그 융합이 궁극적으로 여래장사상을 지향하고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능가경』의 십지를 초지에서 제7지까지, 제8지에서 불지(佛地)까지의 두 단계로 분류하고, 이것을 다시 네 가지 선정(禪定)에 배대해서 살펴본다. 즉, 보살은 초지에서 이무아(二無我)에 통달하고 나서 제2지부터 삼자성(三自性) · 오법(五法) · 팔식(八識) 등 일체가 유심(唯心)이라는 의리(義理)를 관찰하는 두 번째 선정을 닦는다. 첫 번째 선정을 닦는 성문 · 독각처럼 제6지에서 멸진정(滅盡定)에 들어가지만, 여기에 머물지 않고 제7지에서 무주처열반(無住處涅槃)을 실천한다. 이후 제8지에서 유식사상에 의해 의식(意識)이 소멸해서 무심(無心)에 머무는 세 번째 진여(眞如)를 소연으로 하는 선정을 성취하지만, 여래장사상에 의해 저 무심에 머물지 않고 의성신(意成身)에 의해 중생을 위한 일을 하는 네 번째 선정을 실천한다. 이러한 결과로 보살은 제8지에서 의식이 소멸하는 보살의 열반을 성취하고, 불지(佛地)에서 유루(有漏)의 팔식(八識) 모두 소멸하는 여래의 열반을 성취한다. 이처럼 『능가경』에서는 불지에서 유루(有漏)의 팔식 모두 소멸한다고 한 동시에, 무루(無漏)의 ‘여래장이라 불리는 아뢰야식’은 불지에서도 결코 소멸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것이 『능가경』이 여래장사상을 그 궁극으로 삼고 있다는 첫 번째 증거이다. 특히 ‘여래장이라 불리는 아뢰야식’은 십지에 있는 보살의 무루심(無漏心)이다. 이 심(心)은 보살의 자내성지(自內聖智)이고, 보살 일천제의 윤회와 열반의 소의(āśraya, 所依)이다. 이것이 그 두 번째 증거이다. 결국 『능가경』의 십지설이 유식사상에 의해서 전개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여래장사상을 지향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Lankāvatāra-sūtra is widely recognized as a scripture that combines Yogācara thought with Tathāgata-garbha thought. The theory of daśa-bhūmi of the Lankāvatāra-sūtra which is the study of this article originated from the daśa-bhūmi theory of the Yogācara thought and united Tathāgata-garbha thought. Through analysis on the theory of daśa-bhūmi explained in Lankāvatāra-sūtra,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combination ultimately aims for Tathāgatagarbha thought. To explain this, this theory is classified into two process which are from the first stage to the seventh stage and from the eighth stage to the Buddha Stage. Also this theory corresponds to four meditations in Lankāvatāra-sūtra. That is, the bodhisattva masters Two non-self in the first stage and meditates observing reason that three-svabhava, five-dharma, eight-vijnana etc, all of these are Mind-only. Like śrāvaka or pratyekabuddha who practices first meditation, the bodhisattva entrances into the nirodha-samapatti in the sixth stage. But the bodhisattva who doesn’t stay there practices Nirvāṇa of Non-Abiding in the seventh Stage. Afterwards, he meditates tathatā staying acitta as the disappearance of conciousness in the eighth stage on the base of Yogācara thought. Furthermore the bodhisattva works for the unenlightened people by the manomaya-kāya on the base of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As a result, the Bodhisattva accomplishes Nirvāṇa of Bodhisattva as the disappearance of consciousness in the eighth stage and fulfills Nirvāṇa of Tathāgata which all eight-vijñāna of sāsrava entirely vanishes in the Buddha Stage. This way, Lankāvatāra-sūtra asserts that in the Buddha Stage, all eight-vijñāna of sāsrava vanish but “ālaya-vijñāna called Tathāgata-garbha” of anāsrava never vanishes. In particular, the “ālaya-vijñāna called Tathāgata-garbha” is the anāsrava-citta of the Bodhisattva in the daśa-bhūmi. This “citta” is pratyātma-ārya-jñāna of the Bodhisattva or “āśraya” of Nirvāṇa and transmigration of Bodhisattva-icchantika. Finally the daśa-bhūmi theory of Lankāvatāra sūtra can be considered ultimately to aims for Tathāgata-garbha thought on the base of Yogācara thought.

      • KCI등재

        원효의 『금강삼매경론』의 여래장 해석

        양용선(Yang, Yong-Su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1 佛敎學報 Vol.- No.94

        본여래장사상은 『여래장경』에서 일체 중생이 여래장(tathāgata-garbha)임을, 더불어 『열반경』에서 일체 중생에게 불성(buddha-dhātu, 佛性)이 있음을, 주장하는 사상이다. 특히 일체 중생이 여래장인 것에 대해서 『보성론』 제1장 제27게송에서는 법신(dharma-kāya), 진여(tathatā), 종성(gotra)의 세 가지 의미로 분석한다. 지금까지 여래장과 불성은 전변론(轉變論)과 현현론(顯現論)에 의해서 해석하는 두 가지 흐름이 있다. 전변론에 의한 해석은 대표적으로 다카사키 지키토와 옥 로댄쎄랍이 있고, 현현론에 의한 해석은 진제(眞諦)가 한역한 『불성론』과 원효(元曉)가 주석한 『금강삼매경론』이 있다. 여래장(tathāgata-garbha)과 불성(buddha-dhātu, bauddha-gotra)은 현대 학자들에게 전변론에 의한 해석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현현론에 의한 해석은 최근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전변론에 의하면, 여래장과 불성은 일체 중생 안에 가능성 · 원인(dhātu, gotra, hetu)으로서 존재하는 유위법이다. 반면에 현현론에 의하면, 일체 중생(bauddha-gotra)이 섭장(garbha, 攝藏)하고 있는 무구진여 · 불성(buddha-dhātu), 혹은 여래법신 · 불성(buddha-dhātu)은 번뇌장의 유, 무에 따라 은복(garbha, 隱覆)되어 있거나 현현(顯現)하는 무위법이다. 진제가 한역한 『불성론』은 유가행파의 관점에서 여래장을 해석하고, 『금강삼매경론』에서 원효는 『부증불감경』과 『승만경』을 바탕으로 해서 여래장을 해석한다. 구체적으로 『여래장경』의 “sarva-sattvās tathāgata-garbhāḥ”를, 진제는 “일체 중생은 무구진여 · 불성을 섭장하고 있는 붓다에 속한 종성들이다.”라고 해석하고, 원효는 “일체 중생은 여래법신 · 불성을 섭장하고 있으나 번뇌장에 은복되어 있는 붓다에 속한 종성들이다.”라고 해석한다. 이제까지 여래장사상이란 일체 중생에게 여래장(여래가 될 원인) ․ 불성(붓다가 될 가능성)이 있음을 주장하는 사상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원효의 해석에 의하면, 여래장사상은 일체 중생이 본래 여래 · 붓다임을 주장하는 사상이다. 구체적으로 일체 중생이 섭장하고 있는 계 · 성 · 체(dhātu)가 여래 · 붓다임을, 그러나 아직은 계 · 성 · 체가 번뇌장에 은복되어 있음을 주장하는 사상이다. 이것이 바로 『보성론』 제1장 제27게송에서 설하고 있는 여래장사상이다.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is an idea claiming that all living beings are tathāgata-garbha in Tathāgata-garbha-sūtra, and all living beings have buddha-dhātu in Parinirvā a-sūtra. In particular, the claim that all living beings are tathāgata-garbha is analyzed in the 27th verse in Chapter 1 of the Ratna-gotra-vibhāga in three meanings: dharma-kāya, tathatā, and gotra. So far, there are two trends in interpreting tathāgata-garbha, using the transformation and the manifestation theories. The transformation theory interpretation is represented by Jikido Takasaki and rNgog Blo ldan shes rab, the manifestation theory by Bauddha-gotra-śāstra, translated by Jeanje, and Vajra-samādhi-sūtra-śāstra, commented by Wonhyo. Among modern scholars, the transformation theory interpretation is mainstream, while the manifestation theory has recently emerged. According to the transformation theory, tathāgatagarbha and buddha-dhātu · bauddha-gotra are the saṃskṛta-dharma, which exists as possibility · hetu to all living being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manifestation theory, the amala-tathatā ․ buddha-dhātu or tathāgata-dharma-kāya · buddha-dhātu that all living beings contain is the asaṃskṛta-dharma that is covered or appear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the absence of kleśa-kośa. Jeanje interprets tathāgata-garbh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Yogācāra School, while Wonhyo interprets it based on Anūna-anadhika-sūtra and Śrīmālā-devī-si ha-nāda-sūtra. Specifically “sarva-sattvās tathāgata-garbhāḥ” described in Tathāgata-garbha-sūtra is interpreted as “all living beings are bauddha-gotra who contains amala-tathatā ․ buddha-dhātu inside.” by Jeanje, and “all living beings contain tathāgata-dharma-kāya · buddha-dhātu inside, but all living beings are bauddha-gotra who is covered in kleśa-kośa.” by Wonhyo. Until now,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has been known to claim that all living beings has tathāgata-garbha (the cause of becoming tathāgata) and bauddha-gotra (the possibility of becoming buddha). But according to Wonhyo’s view,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is the idea that all living beings are naturally tathāgata · buddha. Specifically,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suggests that dhātu in all living beings (gotra) is tathāgata · buddha, but that dhātu is still covered in kleśa-kośa. This idea is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that the 27th verse in Chapter 1 of the Ratna-gotra-vibhāga is trying to present.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