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도우미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 간 인식 차이 분석

        구민지 ( Koo Minji ),양길석 ( Yang Gilseok ) 이중언어학회 2017 이중언어학 Vol.6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orean language learner and the instructor’s perception about Korean buddy program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arner’s perception and the instructor’s perception as a basic study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program. In order to do this, we investigated the learner’s perception about the program by variables and implemented in-depth analysis using SPSS(23.0) program. Also we analyzed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 in order to utilize the instructor’s expertise and rich experience for improving the buddy program. As a result of the needs survey for learners, it seems to be necessary to develop a differentiated program according to the learner’s proficiency. Especially, regarding the buddy’s academic background and nationality, both the learner and the instructor do not absolutely require the standard of being a Korean university student. The result of the differences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arner and the instructor about the main role of the Korean buddy and the usefulness of the program. These research results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buddy’s role and to reorganize the contents of buddy’s activit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KCI등재

        교육 프로그램 메타평가 기준 개발

        김성훈(Sung-Hoon Kim),김신영(Shinyoung Kim),서민원(Minwon Seo),양길석(Gilseok Y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09 교육평가연구 Vol.22 No.3

        이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점차 확산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 프로그램 평가의 질을 제고하는 동시에 궁극적으로는 교육의 질을 보장할 수 있기 위한 메타평가 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평가는 평가대상을 조형할 것이라는 가정 아래,교육 프로그램 평가가 타당하고 장기적으로는 교육을 교육답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메타평가 기준을 개발하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실제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대학평가와 외국의 메타평가기준을 검토하고,교육의 본위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교육평가활동의 특성을 살펴보았다.이 연구에서 제안한 메타평가 기준은 목적부합성,실천적합성,정보정확성,보고충실성,교육본위성 등 5개 평가 준거와 각 준거별 3-4개의 하위준거로 구성된다. This study is to develop meta-evaluation standards for the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with an aim to enhance the quality of a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which in sequel may secure quality of education. Given that evaluation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and shape the process of educational program, we intended to develop meta-evaluation standards to enhance the validity of program evaluation and to promot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long run. For the study, we examined various types of domestic and overseas higher education evaluation standards and reports to draw the standard swhich suited our context, and reviewed the literatures on the fundamental values of education to postulate the meta-evaluation standards which may make such values be taken into account at a program evaluation. The meta-evaluation standards proposed in this study consist of 5 evaluation criteria including ‘goal-correspondence’, ‘practicality’, ‘accuracy’, ‘report-fidelity’ and ‘education-orientedness’,and each of which has 3-4 subordinate criteria.

      • KCI등재

        대학생 핵심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박영신(Youngshin Park),안현아(Hyunah Ahn),장미숙(Misuk Jang),양길석(Gilseok Yang),김경이(Kyungyee Kim)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기관과 대학생들이 대학생 핵심역량을 손쉽게 자기-평가할 수 있는 척도의 문항을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었다.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정의되고 있는 대학생 핵심 역량을 구성요인으로 추출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95개 예비문항을 개발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C대학교를 중심으로 대학생 2,677명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한 뒤,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51개 문항으로 구성된 1차 본검사 문항을 확정하여 1,625명을 대상으로 역량평가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선정된 문항들에 대한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본검사 문항을 확정하였다. 최종 본검사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내적합치도를 통해 신뢰도를 산출하여 최종 검사의 양호도를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공인 타당도 확보를 위해 본조사에 응했던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K-CESA를 실시한 후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대학생 핵심역량 평가도구에서 정의된 총 4개 요인인 문제해결역량, 인성윤리역량, 세계시민역량, 학문 역량의 구성요인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 4개 요인으로 구성된 41개 문항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는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신뢰도 계수는 .94로 나타났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적합도 검증 결과 모든 부합도 지수들 역시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다. 학생들이 본인의 핵심역량 수준을 스스로 측정해 볼 수 있도록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대학생 핵심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는 타당한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타당화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핵심역량 자가진단 측정도구가 갖는 의의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self-evaluating Core Competency Assessment for college students. Ninety-five preliminary items that represented the four sub-components(problem solving competency, moral competency, learning competency, and global competency)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experts research and consulting. A preliminary survey was administered to 2677 college students and an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termined on 51 items. A main survey with 51 items was administered to 1625 college students. Based on preliminary analysi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alize items. Total 41 items for the scale were extracted.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scale were tested for developed 41 item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s conducted. Reliability of items were verified by intrinsic consistency coefficients( Cronbach s α) . And also correlational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from reliabilities test were satisfactory. Evidences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ggested valid constructs with acceptable every fit indices. Also, good concurrent validity wes shown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is developed self-evaluating core competency assessment and K-CESA scales. The core competency scale for college was composed of four factors including problem-solving competency, moral competency, global competency, and learning competen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