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영사계곡의 명승 지정구역 조정 및 현상변경 방안 연구

        안승홍,홍윤순,김학범,Ahn, Seung-Hong,Hong, Youn-Soon,Kim, Hak-Beom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7 No.6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경치가 아름다워 금수강산으로 일컬어 왔으며, 문화재보호법에서는 경치가 아름다운 자연경관뿐만 아니라 역사문화적 가치가 뛰어난 대상을 명승으로 지정하여 보존과 이용을 도모하는 자연문화재로서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명승은 사적이나 여타 문화재와 같은 행위 제한방식을 중심으로 관리되고 있어 지역발전과 재산권 침해 등 역기능을 줄 뿐만 아니라 문화재로서의 지정 취지를 잘 이해하지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1979년 명승으로 지정된 불영사계곡을 대상으로 명승구역 경계의 조정과 현상변경 허용기준을 마련하여 주민들의 재산권을 보호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명승구역의 경계조정은 산 능선의 가시권을 기준으로 한 외곽경계의 조정과 경관미를 상실한 훼손지의 지정구역 해제 그리고 기존 취락을 중심으로 내부 해제지에 대해 조정하였으며, 기 지정면적 대비 약 $11,928,932m^2$, 38.6%를 지정구역에서 해제하였다. 둘째, 경관 보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현상변경 기준으로 '문화재 외곽경계~500m 반경 이내'에 대한 완충구역을 설정하였다. 셋째, 건축물의 '높이규제' 허용기준은 지붕형태에 따라 평지붕과 박공형태로 나누고, 평지붕은 높이 8m와 2층, 박공의 경우 높이 12m와 2층으로 적용하였다. Since ancient times, Korea has been called a land of beauty. Scenic sites under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include picturesque places that are famous for their natural scenic beauty as well as their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Scenic sites are managed as natural assets to promote their preservation and use. However, the management of scenic sites can produce adverse effects on regional development and ownership rights. Moreover, the purpose of their designation as cultural assets is not fully understood because scenic sites are managed by focusing on restraint on users' act the same as was applied to historic sit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tect inhabitants' rights of ownership by arranging the boundaries of designated areas and by providing standard permission for condition changes in the Buryeongsa Valley, which was designated as a Scenic Site in 1979.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rranging the boundaries of the designated area includes the arrangement of the edge lines standardized on the visual range of the mountain ridge, preventing the loss of landscape beauty in the designated district; the internal clearing district focuses on the existing settlement. Gearing the designated areas after the arrangement of the boundaries results in $11,928,932m^2$, 38.6% compared to the existing designated areas. Second, it establishes a 500m buffer zone inside the radius of the boundary of the cultural asset as a standard for condition changes that seriously affect landscape preservation. Third, the standards for permission on building 'height regulations' are divided into flat and gable, according to the roof shape. The adopted standard is 8m high for 2 story flat roofs, and 12m high for 2 story gable roofs.

      • KCI등재

        현대조경설계에서 미니멀리즘의 조형개념 특성

        안승홍,Ahn, Seung-Hong 한국조경학회 2009 韓國造景學會誌 Vol.37 No.5

        조경에서는 문화와 철학의 차이에서 오는 다원적인 표현을 추구하고, 조경가는 그 시대의 문화를 반영한 독특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동시대의 세대에게 사회적 목적과 공간적 관계에 대한 감각을 전해준다. 특히 조경가는 설계작품을 통해 그 시대의 예술을 반영하게 되며, 당대의 예술 특성을 현실공간에 투영하게 된다. 역사적으로 조경가들은 모든 형태의 예술행위에서 많은 모티브(motive)를 찾아 왔으며, 특히 회화는 형태 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조형개념의 근간을 이루기도 하였다. 조경에서의 미니멀리즘(Minimalism)은 모더니즘 시대를 통해 상실되었던 미적 대상으로서의 경관과 경관에서의 예술성 향상 그리고 동시대예술의 구현이라는 조경에서의 예술참여적 성격 표방에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의 미니멀리즘 조형개념이 조경설계의 조형개념에 미친 영향을 설계 작품의 해석적 연구를 통해 미니멀리즘의 수용과 재현 양상을 밝혔으며, 조형개념 특성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미니멀리즘 조경의 환원성(reduction)은 원 삼각형 사각형과 같은 단순기하학의 함축된 형태언어를 사용하여 이용자가 즉각적으로 작품의 정체성을 파악하고, 작품의도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하였다. 둘째, 확장성은 선적 요소의 채택으로 개별 요소 상호간을 연결하는 내적 질서와 시각적 방향성을 위한 외연적 활로를 찾고 있다. 셋째, 평면성은 주변 환경과의 차별화를 통하여 무의미한 공간을 정의하고, 경관 연속체로서 지각을 유발하고자 평탄하게 조성된 부지에 부가 요소를 중첩시키거나 시각 이미지를 위해 포장을 패턴화하는 경향을 가진다. 넷째, 연속성은 공간의 중심성을 확보하고 개별공간의 독자성보다 부지의 전체성을 추구하여 조형요소의 반복적 구성과 소재의 반복을 통한 구성 등의 특성을 가진다. In landscape architecture, the pursuit of pluralism requires diverse expression based on cultural and philosophical differences. Landscape architects impart social purposes and spatial relationships to the contemporary generation by providing particular environments that reflect the culture of the day. Particularly, landscape architects reflect contemporary art in their design works and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s of the day in real spaces. Historically they have sought motives from all fields of art. The plastic concept in landscape design is based specifically on paintings that directly influence spatial composition. Minimalism in landscape architecture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artistic characteristics that can be explained to improve artistry in landscapes as aesthetic objects, which were eliminated in the modernist era, and to realize contemporary art. By interpretively studying design works, therefore, this study reveals plastic concepts' influence on landscape design affected by minimalist art. The characteristics of plastic concepts in minimalist landscape desig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duction of Minimalist Landscape is meant for viewers to immediately understand a work's identity and to easily perceive its intention by using design language implied by the pure geometric forms such as circles, triangles and squares. Second, the extension intends to seek internal order by connecting design elements mutually and externally to provide visual direction by adopting linear expression. Third, the flatness that defines meaningless space tends to overlay additional elements on a flattened site to induce the perception of a sequence of landscapes and to patternize pavement to improve its visual image. Finally, seriality has two characteristics: to make centrality in space and to compose by repeating formative elements and materials based on the pursuit of a site's totality, rather than an individual space's originality.

      • KCI등재

        조경설계에서 미술 재현 특성 연구

        안승홍 ( An Seung H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4

        조경가들은 모든 예술행위에서 설계 단서를 찾아 왔으며 다른 예술 매체와 표현방식을 탐구하였다. 특히 미술은 조경가에게 설계 감각과 재현의 형태를 제시하였으며 회화는 경관 조성에 풍부한 자료원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 분야의 시대적 예술 상황과 조경공간의 상호 연관성을 파악함으로써 조경설계의 재현 특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고대 중국 산수화에서 모더니즘 작품까지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상적 자연을 실현하고자 한 중국과 영국의 정원은 중국 산수화와 영국 풍경화의 회화적 이상을 추구하였다. 중국정원은 취경적 자연미를 추구하고 영국정원은 픽춰레스크(picturespue)를 중심개념으로 그림같은 정원을 만들고자 하였다. 2) 큐비즘과 미니멀리즘으로 특징되는 모더니즘 예술의 영향은 조경설계에서 추상적 공간 특성을 나타나게 하였다. 단일한 한 지점에서 다양한 국면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큐비즘 회화의 공간개념은 조경가에 많은 영감을 주었으나 2차원의 그림이 3차원의 조경공간에 적절하게 표현되지는 못 하였다. 20세기 중후반 물체의 본질적 환원성을 강조한 미니멀리즘과 달리 조경의 미니멀리즘은 미니멀리스트들이 갤러리 공간을 조절하기 위해 오브제를 이용하듯이 거대한 환경 속에서 심미적이고도 의미를 가지는 공간예술을 추구하였다. 3) 모더니즘 시대의 기술문명에 대한 맹신으로 인해 1960년대 후반 자연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회복되었다. 물질로서 예술의 부정 경향과 반문명적 문화현상의 혼합으로 탄생한 대지예술은 조경에서 장소의 역사와 특성을 존중하고, 자연과 인간 문화, 환경과 예술의 대화를 풍부하게 이끌어내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문화적 통찰과 시대적 예술 교감을 강조하는 시대적 조류를 감안할 때 설계 영감의 모티브로 미술 작품을 조경 작품과의 관계 속에서 해석하고 상호 연관성을 조감해 본 것이 의의라 할 수 있다. Landscape architects have been searching for a design motif in all artistic activities and exploring forms of various art and expression. Especially, the fine arts have given a sense of design and a form of representation to landscape architects. Paintings served as abundant resources for making landscap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presentation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design by grasping the interrelation between situation of the fine arts and a landscape architecture-designed spa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rom Chinese ancient landscape paintings to modernism work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 Chinese and English gardens realizing idealistic nature sought the painting ideal of Chinese and British landscape painting. Chinese gardens pursued a natural beauty of selecting landscape. English gardens sought to create a garden like a painting with the concept of `picturesque.` 2) The influence of Modernism art characterized by Cubism and Minimalism led to abstract spatial features in landscape design. The space concept of Cubism paintings which show images of various phases at a single point gave a lot of inspiration to landscape architects. However, a two-dimensional painting could not be appropriately expressed in a three-dimensional landscape architect-designed space. Unlike Minimalism that emphasizes the essential reduction of objects in the middle and late 20th century, Minimalism of landscaping pursued aesthetic and meaningful space arts in an enormous environment of landscape just like using objects by minimalists to control their gallery space. 3) In the late 1960s, interests in nature and the environment were recovered due to the blind faith in technological civilization in the modernist era. The land art emerged to mix both tendency to deny art as a material and anti-civilized cultural phenomenon. It respected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place in landscape architecture. It had also led to abundant dialogue between nature and human culture, environment and art in landscape design. This study is meaningful to interpret and to overlook relationship and interconnectivity between landscape architect-designed works and art works as a motif of design inspiration considering a trend that emphasizes various cultural insights and periodical arts sympathy.

      • KCI등재

        경의선 장단역 증기기관차 이전지 기념공간 설계

        박노천,안승홍,Park, No-Chun,An, Seung-Hong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4

        경의선 철도는 부산과 신의주를 오가던 한반도의 주요 종단 철도로서 한반도 물류, 교통의 중심이었으며, 동시에 분단국가의 하나됨을 염원하는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경의선 장단역에 멈춰선 증기기관차는 한국전쟁 당시 피폭되었다. 이 기관차는 녹슨 채 반세기 넘게 비무장지대 안에 방치되어 있었으며, 남북분단의 역사적 상징물이다. 본 연구는 등록문화재 제78호인 '경의선 장단역 증기기관차'의 이전에 따라 역사적 관점, 기념공원으로서의 역할 그리고 지역문화 관광적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설계의 주안점은 기본적으로 증기기관차라는 문화재의 정체성을 대변하는 3가지 이슈를 가지고 접근하였다. 첫째, 독개다리 지역은 경의선 상에 배치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부지가 협소하여 기존 지형을 이용한 경사로와 계단 등을 설치하여 일정한 보행환경을 유지하였다. 둘째, 수직적 관람데크를 설치하여 전시물을 다양한 방식으로 관람하도록 하였으며, 관람공간은 관람객의 안전과 문화재의 보호를 고려하였다. 셋째, 증기기관차가 원래 있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기관차 내에 자생하던 뽕나무를 이식하였으며, 전시공간 주변으로는 통풍을 위해 초화류를 식재하여 문화재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였다. Kyong-Eui Railway used to be one of the major cross-country railways connecting Busan and Shineuiju. Being the central axis of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in Korea, it also signifies a symbolic meaning of the people's desire for the unification of divided Korean peninsula. A steam locomotive that had stopped in Jangdan Station was bombed out during the Korean War. The locomotive has been neglected and covered with rust in DMZ over a half century, and now is becoming a historic reminder of divided Korea. The initial design approach was based on the three main perspectives of the relocation plan of the steam locomotive in Jangdan Station which is designated as the registered cultural asset no. 78: historical significance, role of a monumental space, and influence on and from the local culture and tourism. Three design subjects were especially highlighted which would represent the identity of the cultural asset, the stream locomotive. First, a vertical watching deck was installed to provide various view points toward the locomotive while ensuring the security of visitors as well as the cultural asset. Second, the Dokgae bride area has good design potentials being on the railway. However, the site is too narrow. Thus, a new ramp and a stairway were placed responding to the existing topography so that the pedestrian environment could be secured last, to respect the local context where the locomotive was originally located, mulberry trees in the locomotive were transplanted as well. Flowering plants were planted around the display area for better ventilation to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on the locomotive.

      • KCI등재

        아파트 단지 조경사업에서 발생하는 민원 특성 분석 - 민원의 공공성과 조치용이성 분석을 중심으로 -

        조세환,이명훈,조현길,김인호,안승홍,오정학,Cho, Se-Hwan,Lee, Myeong-Hun,Jo, Hyun-Kil,Kim, In-Ho,An, Seung-Hong,Oh, Jeong-Hak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5

        본 연구는 아파트단지 조경사업에 의해 발생한 민원의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조경사업 과정에서 민원 발생의 원인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아파트단지 조경사업의 민원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LH공사, SH공사, 경기도시공사의 2009년부터 2012년까지의 민원 사례를 대상으로 전체 672건의 조경민원을 공통언어 추출방법을 통해 73개로 범주화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구축된 자료를 중요도-성취도 분석기법(IPA)을 사용하여 공공성(공공적-개인적)-조치용이(어려움-쉬움)의 유형별 특성과 입주민과 조경가의 민원 인식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범주화된 73건의 민원은 공원, 녹지 및 가로수, 보행로, 시설물, 기타 등 5개 항목으로 재범주화 될 수 있었다. 둘째, 조경 민원이 가장 많이 제기되는 것이 녹지 및 가로수였으며, 다음으로 시설물, 보행로, 공원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항목별로 공공성과 조치용이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설물', '가로 및 녹지'와 '보행로', 등은 입주민과 전문가의 민원 인식이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나 공원에 대한 민원은 입주민과 전문가의 인식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73개 민원 중 35개(47.9%)는 공공성이 높고 동시에 조치가 용이한 반면, 25개(34.2%) 민원은 개인적이고 동시에 조치가 어려운 사항으로 분석되어 이들 민원사항에 대해서는 설계단계에서부터 미리 점검을 하여 민원으로 인한 사업비의 추가 부담과 입주민들의 신뢰 저하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complaints caused by the landscape architecture projects in the case of apartment complex. Furthermore, its purpose was also to propose as the basis data for the minimization of complaints in the course of future landscape architecture projects. To analyze and categorize the apartment complex civil complaints, we collected basic and case study data from LH Corporation, SH Corporation and GICO from 2009 to 2012. We also categorized 672 landscape complaints to 73 categories and conducted a survey from residents and landscape architecture. This Survey is to use IPA can collect character(public-private), handling of civil affair(easy-hard) and analyze typical characters and difference of civil complaint awareness between landscape architecture and residents. First, we were categorized 73 civil complaints by type in 5 categories such as park, green space and street trees, pedestrian road, facilities, and others. Second, the most common landscape complaints appear in green spaces, street trees, facilities, pedestrian roads and park orders. Third, results of the analysis conducted for each item which are publicity and measures the ease. 'Facilities', 'landscape and greenery', 'pedestrian road' and others were commonly appears from residents and professional awareness of the complaints. However, complaints of park appear different awareness between landscape architecture and residents. Fourth, 35 from 73 civil complaints(47.9%) are having high publicity and easy to measure, 25 civil complaints(34.2%) has analyzed to individual and difficult to measure so about the these complaints need to check from the design step so that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problem of additional expense by civil complaints burden and decrease the confidence of residence problem were considered.

      • KCI등재

        한,중,일 궁궐정원의 경관 구성 비교 연구 -창덕궁(昌德宮), 이화원(이和園), 선동어소(仙洞御所)를 중심으로-

        윤상준 ( Sang Jun Yoon ),안승홍 ( Seung Hong An ),윤성융 ( Sung Yung Yoon ),염성진 ( Sung Jin Yeom ),박희성 ( Hee Soung Park ),이원호 ( Won Ho Lee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4

        본 연구는 동아시아 삼국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 고정원 문화의 정수이자 역사적 배경과 정치, 문화적 관계성 등을 공간적으로 잘 대변할 수 있는 궁궐정원을 대상으로 형성배경, 입지와 배치, 공간구성, 공간구성요소 그리고 조성계획 및 경관연출기법과 조망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사한 위상을 가진 한국의 창덕궁, 중국의 이화원 그리고 일본의 선동어소를 선정하여 3국의 궁궐정원에 대한 이해와 연구기반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또한 경관 연출을 중심으로 한중일 궁궐정원의 원형에 대한 비교와 분석을 통해 동질성(유사성) 및 이질성(차별성)을 찾아 한중일 궁궐정원이 가지는 정체성을 규명하고 나아가 한국 궁궐정원이 가지는 가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동질성과 이질성을 기반으로 도출된 비교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을 훼손하지 않은 정원의 조성으로 자연에 순응한 한국 고유의 양식을 보여준다. 둘째 동아시아적 사상을 반영한 다양한 상징적 정원요소가 표현되고 있다. 우리 궁궐정원의 발달에 있어 중국의 사상과 기술, 기법 등이 큰 영향을 끼쳤고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공간에 구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수경관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유사함은 한국과 중국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찾을 수 있다. 셋째 창덕궁 후원은 엄격한 왕권의 권위보다 풍류적 취향의 문화.예술적 수용체 역할을 하였다. 창덕궁과 이화원, 그리고 선동어소가 문화수용체의 성격을 지니듯이 한중일 3국이 문화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에도 그 형태와 재현의 방법이 다르며 각각 독자적인 궁정정원의 양식을 수립할 수 있었던 것은 각 정원이 각 나라 고유의 문화와 예술을 수용하면서 발전해왔기 때문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vestigation of characteristics palace gardens representing historical background, political and cultural identity in Korea, China, and Japan. It had been done a comparative analysis in formation, location and site layout, site composition, landscape elements and planning, landscape technique and vista for palace gardens in East asia``s three countries. In order to process this study, Changdeokgung Palace in Korea, Summer Palace in China and Sento Imperial Palace in Japan were selected based on similar status. therefore it provide theoretical foundation to investigate the identity of palace gardens in three countries. Furthermore the study determined homogeneity(similarity) and heterogeneity(differentiation) of the characteristics between palace gardens in three countries through the in-depth comparative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identity of palace gardens in three countries and to present the value of Korean palace garden.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between palace gardens in three countries deducted from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hows indigenous style of Korean garden throughout adapting natural terrain without natural destruction. Second, various symbolic elements which ie reflected East asian ideologies present in the gardens. Chinese thoughts and technique were influenced in the development of palace garden in Korea and implemented in similar ways of China. Homogeneity of utilizing waterscape could be found in three countries. Lastly, Palace garden in Changdeokgung had played a role as cultural place with taste for the arts rather than representing authority of the throne. It appears to be similar in China and Japan. The reason how Korea, China and Japan established their own independent style is that each palace garden had been developed to embrace indigenous culture with introduced elements even though they were closely bound up with culture.

      • KCI등재

        카츠라리큐(桂離宮, 계리궁)의 형성배경 및 공간특성

        염성진 ( Sung Jin Yeom ),안승홍 ( Seung Hong An ),윤성융 ( Sung Yung Yoon ),윤상준 ( Sang Jun Yoon ),손용훈 ( Yong Hoon Son ),이원호 ( Won Ho Lee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4

        한국과 일본의 정원문화는 공통적으로 중국의 원림문화의 영향을 받아 발전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각 서로 다른 정원문화의 발전을 통해 정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대표적 정원조성양식인 회유식정원의 원류인 일본의 황실정원인 카츠라리큐(桂離宮, 계리궁)의 정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한 형성배경 및 조성주체를 파악하고 현장조사 및 관리자 인터뷰를 실시하여 공간구성요소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서. 일본의 정원문화에 있어서 중요한 사례인 카츠라리큐에 대한 기초적 지견을 얻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카츠라리큐는 겐지이야기(源氏物語, 원씨물어)에 기반을 둔 왕조문학을 통해 와카(和歌, 화가)에 통달한 토시히토친왕(智仁親王, 지인친왕)과 아들인 토시타다친왕(智忠親王, 지충친왕)에 의해 2대에 걸쳐 약 30년에 달하는 기간을 들여 완성한 최초의 치센슈유(池泉舟遊, 지천주유)카이유시키(回遊式, 회유식)정원으로 정원의 공간구성은 크게 육상과 섬, 수공간으로 구분되며 총36개의 공간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카츠라리큐는 쇼킨테이(松琴亭, 송금정), 쇼카테이(賞花亭, 상화정), 쇼이켄(笑意軒, 소의헌) 등의 다정(茶亭)을 두어 원지(園池)를 중심으로 주유(舟遊)를 주목적으로 조성되었으며 이는 당시의 놀이문화를 정원에 도입한 것이다. 셋째, 원지의 서쪽에 위치한 건축물인 코쇼인(古書院, 고서원)의 북쪽에 성토를 하고 돌담을 쌓아 주변보다 높은 지형을 형성하고 그 위에 차정인 겟파로(月波樓, 월파루)를 만들어 카츠라리큐만의 경관특성인 동산에 떠오르는 달을 조금이라도 오랫동안 즐기려 하였다. The garden culture of Korea and Japan have been commonly influenced by Wonrim culture of China. Nevertheless, each culture has been settled down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two separate garden cul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formation background and main agent of development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gardens in Japanese Imperial Garden Katsura Imperial Villa, which is the origin of the representative garden making style.Circuit Style Garden, to look into the characteristic of spatial organization elements by conducting on-site survey and interview with a garden manager, and to obtain elementary views on Katsura Imperial Villa which is an important case of Japanese garden culture. As a result; first, Katsura Imperial Villa is the first jicheol juyu(round tour of ponds and springs) circuit style garden created by Toshihito Emperor and his son Toshitada Emperor, who were well-versed in Waka through the dynasty literature based on the story of Genji throughout about two generations lasting about 30 years; space composition of this garden is divided into land, island and water space, being composed of a total of 36 space components. Second, Katsura Imperial Villa was created with the primary goal of making a round tour around the garden land by arranging tea pavilions, such as Shokintei, Shokatei and Shoiken, etc., which introduced the then game culture into the garden. Third, the personnel in Katsura Imperial Villa intended to enjoy the scenic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Katsura Imperial Villa was located from the interior of the garden by making Gepparo which was a tea pavilion for enjoying the rising moon on the hill even a litter faster and longer by piling up earth and setting up stone walls north of Koshoin which was a structure located west of the garden lan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