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한국의 메이커 문화 동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신현우(Shin Hyunwoo),이광석(Lee Kwang-Suk) 인문콘텐츠학회 2017 인문콘텐츠 Vol.0 No.45

        전지구적으로 제조업, 생산, 경영 전 부문에서 3D프린팅,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기술이 매개하는 혁신이 촉구되는 4차 산업혁명 담론과 더불어 ‘메이커 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와 활동의 지평 또한 급속도로 확장되어 가고 있다. 오늘날의 메이커문화는 집안에서 제작 키트를 만지거나 자가 제작 제품을 다루는 개인화된 DIY나 오타쿠 문화, 소비자 운동과는 다른 맥락을 가지고 있다. 이 글은 메이커문화의 성장을 2008년 이후 서서히 무너져가는 신자유주의 체제의 끝자락에서 자본은 다시금 이윤율 저하와 이와 맞물려 삶의 불안정성 증대에 따른 과소소비에 의해 벌어진 과잉생산에서 원인을 찾는다. 이 글은 ‘메이커 문화’의 확산과 ‘메이커’ 주체의 소환이 갑작스레 등장한 소비사회의 유행이 아니라 역사적인 것이라 판단한다. 또한 한국에서 활발하게 활성화되고 있는 메이커 운동의 동향을 비판적으로 진단하고, 국가와 자본에 의해 도구적으로 융해되는 공공 주도형 메이커 운동을 비판하는 동시에 메이커 운동의 가능성을 살핀다. 그 가능성을 통해 메이커들의 온․오프라인 공동체와 네트워크가 국가나 자본을 넘어선 연합, ‘어소시에이션’을 지향할 수 있는지 탐색해 본다. In addition to the discours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calls for innovation through technology such as 3D printing, IoT,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all manufacturing, production, and management sectors globally, The horizon of related studies and activities are also rapidly expanding. Today’s maker culture has a different context from personalized DIY, otaku culture, and consumerism, which touch the production kits in the house or deal with self-made products. This article looks at the growth of maker culture at the end of the neoliberal system, which has been gradually falling since 2008, in the overproduction of capital caused by underconsumption due to falling profits of Capital and increasing Precarity of life. This article considers that the proliferation of ‘maker culture’ and summoning of ‘maker’ subject matter are historical rather than suddenly emerging trends of consumer society. In addition, it diagnoses the trend of the maker’s movement which is actively active in Korea, criticizes the government-led maker’s movement that is instrumentally fused by the state and capital, and examines the resistance possibility of the maker’s movement. Through this, we explore maker’s communities and networks can lead to ‘association’ go beyond countries and capital as a regulative idea.

      • KCI등재

        디지털 게임의 대중미학 에르고딕 연구 : 컴퓨터-문화 조형행위의 인식적 지도그리기

        신현우(Shin, Hyunwoo) 한국언론정보학회 2021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6 No.-

        본 연구는 뉴미디어 정보기술 환경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디지털 게임의 미학적 지평을 이론적으로 탐색한다. 디지털 게임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가로지르며 새로운 컨버전스 문화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또한 디지털 게임은 문화산업의 새로운 기관이자 가치 축적의 힘으로서, 디지털 소비문화와 서브컬처를 양산하는 영역으로도 인식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 두 가지 담론 자장에서 소외된, 디지털 게임의 미적 공통감각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크게 두 가지 차원에서 다루고자한다. 첫째는 게이밍의 ‘컴퓨터적 층위’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게임의 매체적 본질을 규명하고자 하는 기존의 서사학과 루돌로지의 논의를 넘어, 수학적 동역학이자 능동적 탐색 과정으로서 ‘에르고딕’이 플레이와 접합된 것으로 디지털 게임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는 주로 ‘상호작용성’의 수준에서만 디지털 게임을 이해하고자 했던 추상적인 논의와 단절하면서, 디지털 게임의 ‘조형적 행위’를 재구성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에르고딕성에 도달하고자 하는 디지털 게임 플레이는, 데카르트적 좌표계의 전통에서 벗어나 놀이의 상상력을 연산적 수준에서 재배치하는 행위로 이해된다. 둘째, 게이밍의 문화적 층위로서 에르고딕이 소비주의적 문화산업 논리로부터 탈주하는 흐름을 포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디지털 게임의 고유한 재현 양식에서 이뤄지는 ‘미학적 대중주의’를 프레드릭 제임슨의 ‘인식적 지도그리기’ 개념을 바탕으로 조망한다. 또한, 컴퓨터-문화적 층위로 직조된 게이밍의 미학적 대중주의의 구체적 몇 가지 사례를 분석하고 그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탐색을 통해, 디지털 게임이 자아내는 미적 숭고를 이해할 수 있는 잠재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This study theoretically explores the aesthetic horizons of digital games emerging in a new media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Digital games have been understood to form a new convergence culture among digital era. Digital games have also been recognized as a new institution in the cultural industry and a power to accumulate value, creating digital consumerism and subcultures. This study seeks to address the discussion of the possibility of a common aesthetic sense of digital games, underrated in these two discourse, on two main dimensions. The first is about the ‘computer layer’ of gaming. Beyond the discussion of Narratology and Ludology, which seek to clarify the media essence of digital games, it i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digital games as a mathematical dynamic and active exploring process that “Ergodic” is articulated with play. This is an attempt to reconstruct the ‘configurative practice’ of digital games, rupturing from the past abstract discussion of understanding digital games only at the level of ‘interactivity’. Digital gameplay, which makes path to reach ergodicity, can be understood as an act of relocating the imagination of play at the computational level, away from the tradition of Cartesian coordinate systems. The second is about a cultural layer of gaming, generating Ergodic play as a flow of escaping from consumerist cultural industry logic. To this end, this study views “Aesthetic Popularism” that occurs in the mode of representation of digital games based on Frederick Jameson’s concept of “Cognitive mapping”. In addition, this study try to analyse some specific examples of the aesthetic populism of gaming, which is woven into computer-cultural layers, and examine its potential. Through this exploration, this study would like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the aesthetic sublime of digital games.

      • KCI등재

        메이커문화의 플랫폼화 비판: 중국 선전(深圳)의 메이커스페이스 사례를 중심으로

        신현우(Shin, Hyunwoo),이광석(Lee, Kwang-Suk)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20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7 No.4

        본 연구는 정보기술⋅생산 환경에서 하드웨어 코딩을 통해 제작물을 만들어내는 수작(手作) 행위가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이라는 구호 아래 어떻게 신제조업 경제동력에 새롭게 자본주의적으로 포획되는 지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 본래 시민권에 대한 요구이자 풀뿌리 행동주의의 실천적 차원으로서 자가제작 문화(DIY; Do It Yourself)는 ‘비판적 제작(critical making)’이라는 자율적 기술 실천의 전통 속에서 이해되어 왔다. DIY는 오픈소스 컴퓨팅 기반 또래 협업생산(P2P)을 통해 기술 물성과 사회적 관계를 변혁하고자 하는 기술민주주의적 구상을 추동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부상한 주류 메이커운동은 정보자본주의 단계에서 제조 부문에서의 기술혁신 및 노동분업 재조직화를 관철시키고자 하는 흐름 속에서 포착된다. 지구적인 메이커운동의 혁신 담론 자장에서, 하이테크 장인들이 벌이는 하드웨어 코딩 등 수제작 작업은 일종의 산업노동의 분산 배치로 편류시키는 스타트업 담론 또는 4차산업혁명의 신생 동력으로 변주되고 있다. 이 글은 오늘날 주류 메이커운동을 정치경제학 비판의 프레임워크를 통해 자본의 생산양식 변화와 새로운 노동 과정의 징후로 파악하고, 구체적으로 현장 탐방 연구를 통해 중요 메이커스페이스 운용 사례들을 분석한다. 무엇보다 세계 메이커운동의 메카로 부상한 중국 선전(深圳) 지역의 메이커스페이스들은 기존의 노동집약적 가전산업을 매뉴팩처 생산양태로 전화시키고 있는 적절한 사례로 보고 이를 분석 대상으로 삼고 있다. 본 연구는 이의 분석을 통해 사물인터넷, 오픈소스 소프트웨어⋅하드웨어 등 기술 커먼즈 공동체들에 기반했던 기술 공유적 가치들이 자본의 힘에 의해 플랫폼 기제로 어떻게 새롭게 전유되고 포획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ses the problem of hand-making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and production environment being included in the economic organ of the new manufacturing industry under the slogan “Maker Movement”. Originally based on a demand for citizenship and a practice of grassroots activism, DIY(Do It Yourself) has been understood in the tradition of critical making. DIY has also promoted the techno-democratic imagine of expanding technocommons, which aims to transform physical and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open-source computing based P2P cooperation technology. But the recently emerged maker movement is captured amid a trend in capitalist subsumption, which has reached its limit seeks to push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re-organization of labour division in the manufacturing sector. In the industrial innovation discourse of global maker movement, the high-tech craftsmanship is being transformed into a startup discourse or a driving forc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shits it to a distributed arrangement of capitalist labour. This article identifies the maker movement as a sign of change in the mode of production of capital through the framework of Marxist Political economy critique, and analyses specific cases of Makerspace. Shenzhen Makerspaces in China, which has emerged as the mecca of the world’s maker movement, is a good example of Shifting the existing labour-intensive consumer electronics industry into a manufacture production. Through this, this article aims to criticize the ways in which technology principles such as the Internet of Things, Open-source software and hardware are transferred to the ‘Becoming Manufacture Labour Platform’ by the power of capital.

      • KCI등재

        공공부문의 인권경영 수준 결정요인 분석

        신현우(Hyunwoo Shin),김주일(Juil Kim) 한국기업법학회 2021 企業法硏究 Vol.3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부문의 인권경영 수준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우리나라 공공기관에 대한 유효한 설명을 제시하고 공공기관의 인권경영 수준 향상을 위한 정책적 함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진 다양한 학제의 경험적·이론적 논의를 참고하여 인권경영과 관련 있는 요인을 도출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인권경영은 기업의 사회적 가치 창출. 사회적 책임 등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경영전략을 넘어 기업의 모든 영역에서 인간의 가치를 존엄시하는 경영을 의미한다. 하지만 기업의 인권침해 행위금지 등을 위하여 인권경영이 새로운 경영전략으로서 필수적 경영원리로 이해됨에도 불구하고, 아직 공공부문에서는 미성숙단계이다. 국내 공공부문 사업체들은 인권경영에 대한 국제적 요구에 부응하고자 각종 노력을 하고 있으나, 여전히 국제수준에 비하면 인권경영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고, 실천적 수준도 부족한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권경영 수준 향상과 상관관계가 있는 요인에 대해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패널자료를 분석하여 13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기관장 출신, 우수사업장 벤치마킹, 채용시 특별권장제도 및 법정외 복지제도가 인권경영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4가지 영향 요인을 중심으로 공공부문에 인권경영 체제가 조기 정착되어 궁극적으로 수준 높은 인권 선진국으로의 도약을 도모하고자 한다. Human Rights management refers to management that values human dignity and values in all activities of a company beyond management strategies for sustainable growth such a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social value creation. However, although human rights management is understood as an essential management principl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new management strategy, it is still immature.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have long banned corporate human rights violations as laws, but only recently have such corporate human rights violations emerg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in Korea. Some domestic companies are making various efforts to meet international demands for human rights management, but compared to the international level, there is still a low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human rights management and a lack of practical level. Therefore, in this study, 13 hypotheses were adopted by analyzing the business panel data of the Korea Labor Institute for factors affecting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of human rights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human rights management system in Korea early and ultimately seek to leap into a high-quality advanced human rights country.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부부의 성역할 인식과 가정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상호매개효과: APIMeM의 적용

        김효진 ( Kim Hyojin ),신현우 ( Shin Hyunwoo ),홍세희 ( Hong Sehe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3

        본 연구는 남편과 아내의 성역할 인식과 가정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어 커플자료의 특성을 반영하고, 각 변수들의 행위자 효과와 상대자 효과를 고려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 하에 APIMeM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한국복지패널 13차 자료의 3,294쌍의 부부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남편의 성역할 인식이 유연할수록 자신의 자아존중감은 높아졌지만 아내의 자아존중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아내의 경우, 성역할 인식과 자아존중감 사이의 행위자, 상대자 효과가 모두 유의하였다. 아내의 성역할 인식이 유연할수록 남편과 자신의 가정생활 만족도는 모두 높아졌지만, 남편의 성역할 인식은 부부의 가정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남편의 자아존중감은 부부의 성역할 인식이 부부의 가정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행위자 효과와 상대자 효과에 모두 순기능적으로 매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남편의 성역할 인식은 아내의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하여 아내의 자아존중감은 남편의 성역할 인식을 매개하여 가정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der role perception and the family life satisfaction of both husband and wife, considering the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of each variable from dyadic data. For this purpose, we applied the APIMeM model for analysis using the Korea Welfare Panel’s 13th wave dataset of 3,294 coupl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husband’s self-esteem tended to increase as his perception of gender roles became more flexible, but his gender awarenes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wife’s self-esteem. When it comes to wife, the effects of both actors and partn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wareness and self-esteem was significant. The more flexible the wife's perception of gender role, the higher the family life satisfaction level of both the husband’s and wife’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mediated effect of wife’s self-esteem between the husband’s perception of gender roles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for both because the husband’s perception of gender role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wife's self-esteem.

      • 건물 외벽 환경을 고려한 BIPV SU(string unit) module에 관한 연구

        이길송(kilSong Lee),김병만(ByeongMan Kim),신현우(HyunWoo Shin),윤종호(JongHo Yoon),유권종(GwonJong Yu),강기환(KiHwan Kang) 대한전기학회 2008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10

        In korea, PV business has been growing fast since 2000. There are many ways to build PV module. Among them, BIPV system(BIPV: building integrated system) using PV modules as external wall has been carried out research on and invested much. I suggest another way to apply the BIPV system. BIPV SU(string unit) module is easier and faster to be installed and more economical than other BIPV module. In this paper, I will show how to make, and how to install this BIPV SU modul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